조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카는 형제자매의 자녀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어원은 프랑스어 "neveu"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라틴어 "nepos"에서 비롯되었다. "조카딸"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는 "nece"이며, 이는 라틴어 "nepotem"에서 나왔다. 남녀를 구분하지 않는 성 중립적 용어로는 "nibling"이 있으며, 이는 1951년 새뮤얼 마틴이 제안한 신조어이다. 문화적으로 조카는 삼촌의 상속을 받을 수 있었으며, 일부 문화권에서는 딸과 동등한 사회적 지위를 갖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족의 구성원 - 사촌
사촌은 부모의 형제자매의 자녀를 의미하며, 아버지의 형제 자녀는 종형제자매, 아버지 자매의 자녀는 고종사촌, 어머니의 형제 자녀는 외사촌, 어머니 자매의 자녀는 이종사촌으로 구분하고, 영미권에서는 차수와 제거 개념을 사용하며, 사촌 간의 결혼은 국가별로 허용 여부가 다르다. - 가족의 구성원 - 아들
아들은 사회, 종교, 문화 등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는 단어이며, 과거에는 남아선호사상으로 인해 딸보다 더 높은 가치를 부여받았고, 기독교에서는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로 지칭하며, 성씨의 형태로 사용되거나 파생어, 속어, 대중문화의 소재로 활용되기도 한다. - 가족 - 사촌
사촌은 부모의 형제자매의 자녀를 의미하며, 아버지의 형제 자녀는 종형제자매, 아버지 자매의 자녀는 고종사촌, 어머니의 형제 자녀는 외사촌, 어머니 자매의 자녀는 이종사촌으로 구분하고, 영미권에서는 차수와 제거 개념을 사용하며, 사촌 간의 결혼은 국가별로 허용 여부가 다르다. - 가족 - 아들
아들은 사회, 종교, 문화 등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는 단어이며, 과거에는 남아선호사상으로 인해 딸보다 더 높은 가치를 부여받았고, 기독교에서는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로 지칭하며, 성씨의 형태로 사용되거나 파생어, 속어, 대중문화의 소재로 활용되기도 한다. - 입력지원 - 인류학
인류학은 인간의 생물학적, 문화적, 사회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형질인류학, 문화인류학, 고고학, 언어인류학 등의 분야로 나뉘어 인간의 진화, 문화적 다양성, 사회 조직, 언어의 기원과 발전을 탐구하며,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추구한다. - 입력지원 - 양궁
양궁은 활과 화살로 표적을 맞히는 스포츠로, 선사 시대부터 무기로 사용되다가 1538년 영국에서 스포츠로 발전하여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되어 국제 대회에서 경기가 열린다.
조카 | |
---|---|
관계 정보 | |
조카 | 형제자매 또는 배다른 형제자매의 자녀 |
다른 관계 | |
손아랫사람 | 손아랫사람은 손위의 사람에게 쓰는 친족 용어이다. |
손윗사람 | 손윗사람은 손아랫사람에게 쓰는 친족 용어이다. |
2. 어원
"조카"라는 단어는 프랑스어 neveu프랑스어에서 유래했으며, 이 단어는 라틴어 neposla에서 유래했다.[2] 친족편애라는 용어는 이 라틴어에서 유래했다.[3] "조카딸"은 고대 프랑스어 necefro에서 유래했으며, 라틴어 nepotemla에서 왔다.[4] "니블링(nibling)"은 "조카 또는 조카딸"을 아우르는 신조어로, 1951년 새뮤얼 마틴이 제안했지만 전문 문헌 외에는 잘 쓰이지 않는다.[1]
이러한 프랑스어 유래 용어들은 중세 영어 nyfteenm, niftenm, nifteenm (고대 영어 niftang, 원시 게르만어 ('조카딸')에서 유래)와 중세 영어 neveenm, neaveenm (고대 영어 nefaang, 원시 게르만어 ('조카')에서 유래)를 대체했다.[8][9][10][11]
2. 1. 영어
"조카"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는 프랑스어 neveu프랑스어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다시 라틴어 neposla에서 왔다.[2] "친족편애"라는 단어는 가족에 대한 충성을 의미하며, 이 라틴어에서 유래했다.[3] "조카딸"은 중세 영어에서 고대 프랑스어 necefro에서 유래했으며, 이 단어 역시 라틴어 nepotemla에서 왔다.[4]"조카 또는 조카딸"을 모두 아우르는 "니블링(nibling)"이라는 신조어는 1951년 새뮤얼 마틴이 제안했지만, 전문적인 글 외에는 잘 쓰이지 않는다.[1] 분석 자료나 추상적인 문헌에서는 "남성 니블링", "여성 니블링"과 같이 조카와 조카딸을 구분하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5] "니블링"은 영어의 과도한 성별 구분을 벗어난 성중립적 표현으로 여겨지기도 하며, 비이성적 친척을 가리킬 때도 쓰인다.[6][7]
이러한 프랑스어 유래 단어들은 중세 영어 nyfteenm, niftenm, nifteenm (고대 영어 niftang, 원시 게르만어 ('조카딸')에서 유래)와 중세 영어 neveenm, neaveenm (고대 영어 nefaang, 원시 게르만어 ('조카')에서 유래)를 대체했다.[8][9][10][11]
2. 2. 한국어
"조카"라는 단어는 프랑스어 단어 neveu프랑스어에서 유래했으며, 이 단어는 라틴어 neposla에서 유래했다.[2] 친족편애라는 용어는 가족에 대한 충성심을 의미하며, 이 라틴어 용어에서 유래했다.[3] "조카딸"은 중세 영어에서 고대 프랑스어 단어 necefro에서 유래했으며, 이 단어 역시 라틴어 nepotemla에서 유래했다.[4] "니블링(nibling)"이라는 단어는 "조카 또는 조카딸"을 모두 가리키는 용어로, 1951년 새뮤얼 마틴이 제안한 신조어이다. 그러나 이 용어는 전문 문헌 외에서는 일반적이지 않다.[1] 분석 자료 또는 추상적인 문헌을 다루는 논의에서는 때때로 "남성 니블링" 및 "여성 니블링"과 같은 용어가 각각 조카와 조카딸을 설명하는 데 선호된다.[5] "니블링"과 같은 용어는 영어의 과도한 성별 구분을 피할 수 있는 성중립적 대안으로 간주되기도 한다.[6] 또한 비이성적 친척을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7]이러한 프랑스어 유래 용어들은 중세 영어 nyfteenm, niftenm, nifteenm (고대 영어 niftang, 원시 게르만어 ('조카딸')에서 유래)와 중세 영어 neveenm, neaveenm (고대 영어 nefaang, 원시 게르만어 ('조카')에서 유래)를 대체했다.[8][9][10][11]
3. 문화
일부 문화권에서는 딸과 조카에게 사회적 지위에서 동등한 지위를 부여했다. 모리셔스의 인도계 공동체,[15] 태국 나콘파놈의 타이 소 공동체는 딸, 조카딸, 시누이에게 직조와 같은 문화적 지식을 동등하게 전수했으며,[16] 일부 가리푸나족은 조카딸에게 언어를 전수했다.[17] 일부 전도 공동체에서는 친족이 아닌 더 어린 여성 공동체 구성원에게도 애정 표현으로 비공식적으로 '조카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했다.[18] 파푸아뉴기니 마누스 주의 일부 부족에서는 여성의 자매, 딸, 조카딸로서의 역할이 사회적 중요성에서 결혼 상태보다 우선하는 경우도 있었다.[19]
3. 1. 서구 문화
전통적으로 삼촌에게 후계자가 없을 경우 조카가 삼촌의 상속을 받는 것이 당연한 일이었다. 조카는 삼촌의 딸보다 더 많은 상속권을 가질 수도 있었다.[12][13]안정적인 가정이 부족하거나 난민과 같은 상황의 사회 환경에서는 삼촌과 아버지 모두 아들과 조카에 대한 책임을 동등하게 부여받았다.[14]
일부 문화권에서는 딸과 조카딸에게 사회적 지위에서 동등한 지위를 부여했다. 예를 들어, 모리셔스의 인도계 공동체,[15] 태국의 나콘파놈에서는 타이 소 공동체가 딸, 조카딸, 시누이에게 직조와 같은 문화적 지식을 동등하게 전수했으며,[16] 일부 가리푸나족은 조카딸에게 언어를 전수했다.[17] 일부 전도 공동체에서는 친족이 아닌 더 어린 여성 공동체 구성원에게도 애정 표현으로 비공식적으로 '조카딸'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18] 파푸아뉴기니 마누스 주의 일부 부족에서는 여성의 자매, 딸, 조카딸로서의 역할이 사회적 중요성에서 결혼 상태보다 우선할 수 있었다.[19]
3. 2. 한국 문화
전통적으로 삼촌에게 후계자가 없을 경우 조카가 삼촌의 상속을 받는 것이 당연한 일이었다. 조카는 삼촌의 딸보다 더 많은 상속권을 가질 수도 있었다.[12][13]안정적인 가정이 부족하거나 난민과 같은 상황의 사회 환경에서는 삼촌과 아버지 모두 아들과 조카에 대한 책임을 동등하게 부여받았다.[14]
일부 문화권에서는 딸과 조카딸에게 사회적 지위에서 동등한 지위를 부여했다. 예를 들어, 모리셔스의 인도계 공동체,[15] 태국 나콘파놈의 타이 소 공동체가 딸, 조카딸, 시누이에게 직조와 같은 문화적 지식을 동등하게 전수했으며,[16] 일부 가리푸나족은 조카딸에게 언어를 전수했다.[17]
3. 3. 그 외 문화
전통적으로 삼촌에게 후계자가 없을 경우 조카가 삼촌의 상속을 받는 것이 당연한 일이었다. 조카는 삼촌의 딸보다 더 많은 상속권을 가질 수도 있었다.[12][13]안정적인 가정이 부족하거나 난민과 같은 상황의 사회 환경에서는 삼촌과 아버지 모두 아들과 조카에 대한 책임을 동등하게 부여받았다.[14]
일부 문화권에서는 딸과 조카딸에게 사회적 지위에서 동등한 지위를 부여했다. 예를 들어, 모리셔스의 인도계 공동체,[15] 태국 나콘파놈의 타이 소 공동체는 딸, 조카딸, 시누이에게 직조와 같은 문화적 지식을 동등하게 전수했으며,[16] 일부 가리푸나족은 조카딸에게 언어를 전수했다.[17] 일부 전도 공동체에서는 친족이 아닌 더 어린 여성 공동체 구성원에게도 애정 표현으로 비공식적으로 '조카딸'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18] 파푸아뉴기니 마누스 주의 일부 부족에서는 여성의 자매, 딸, 조카딸로서의 역할이 사회적 중요성에서 결혼 상태보다 우선할 수 있었다.[19]
4. 기타 용어
"조카"라는 단어는 프랑스어 단어 neveu프랑스어에서 유래했으며, 이 단어는 라틴어 neposla에서 유래했다.[2] 친족편애라는 용어는 가족에 대한 충성심을 의미하며, 이 라틴어 용어에서 유래했다.[3] "조카딸"은 중세 영어에서 고대 프랑스어 단어 necefro에서 유래했으며, 이 단어 역시 라틴어 nepotemla에서 유래했다.[4]
"니블링(nibling)"이라는 단어는 조카 또는 조카딸을 포괄하는 용어로, 1951년 새뮤얼 마틴이 제안한 신조어이다. 전문 문헌 이외에서는 일반적이지 않다.[1] 분석 자료 또는 추상적인 문헌을 다루는 논의에서 때때로 "남성 니블링" 및 "여성 니블링"과 같은 용어가 각각 조카와 조카딸을 설명하는 데 선호되기도 한다.[5] "니블링"은 영어의 과도한 성별화를 영속시키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용어에 대한 성중립적 대안으로 간주되기도 하며, 비이성적 친척을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6][7]
이러한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용어들은 중세 영어 nyfteenm, niftenm, nifteenm (고대 영어 niftang, 원시 게르만어 ('조카딸')에서 유래)와 중세 영어 neveenm, neaveenm (고대 영어 nefaang, 원시 게르만어 ('조카')에서 유래)를 대체했다.[8][9][10][11]
- '''조카손자''' 또는 '''조카손녀'''는 형제자매의 손자 또는 손녀를 말한다.[20] '''증손조카'''/'''증손조카딸'''이라고도 한다.[21]
- '''이복조카''' 또는 '''이복조카딸'''은 이복형제자매의 자녀로, 혈족 관계로는 12.5%의 친족 관계이다.[22][23]
일부 문화와 가족 전통에서는 사촌(종사촌)들을 조카나 조카딸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더 새로운 세대로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자세한 내용은 사촌을 참조.
참조
[1]
서적
Explorations in Cultural Anthropology: Essays in Honor of George Peter Murdock
McGraw-Hill
[2]
웹사이트
nephew (n.)
http://www.etymonlin[...]
Douglas Harper
2016-06-08
[3]
서적
Loss and Renewal: Australian Languages Since Colonisation
2016
[4]
백과사전
niece, n.
http://www.oed.com/v[...]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6-26
[5]
학술지
Definitions of kin
[6]
학술지
Culture Influencing Language: Plurals of Hopi Kin Terms in Comparative Uto-Aztecan Perspective
[7]
뉴스
Jennifer Lopez shares video about transgender 'nibling,' Brendon
https://www.nbcnews.[...]
2024-05-25
[8]
서적
A Dictionary of Selected Synonyms in the Principal Indo-Europe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8-07-03
[9]
서적
From Proto-Indo-European to Proto-Germanic: A Linguistic History of English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6-08-31
[10]
서적
German kinship terms, 750–1500: documentation and analysis
https://books.google[...]
W. de Gruyter
1990-03-19
[11]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97-03-19
[12]
서적
Victims who Do Not Cooperate with Law Enforcement in Domestic Violence Incidents
2007
[13]
웹사이트
Marginality, Modes of insecurity and Indigenous Women of Northern Bangladesh
http://calternatives[...]
2016-06-08
[14]
학술지
The Politics of Culture in Humanitarian Aid to Women Refugees Who Have Experienced Sexual Violence
McGill University
[15]
학술지
Comparative Studies in Society and History — The Religion and Culture of Indian Immigrants in Mauritius and the Effect of Social Change — Cambridge Journals Online
http://journals.camb[...]
1966-01
[16]
웹사이트
Knowledge Management on Local Wisdom of Tai-so Community Weaving Culture in Phone Sawan District, Nakhon Phanom Province
http://www.npu.ac.th[...]
2016-04-11
[17]
웹사이트
Language transmission in a Garifuna community: Challenging current notions about language death
https://dialnet.unir[...]
2016-04-11
[18]
웹사이트
Divine Domesticities : Christian Paradoxes in Asia and the Pacific
http://www.oapen.org[...]
2016-04-11
[19]
서적
Traditions and Modernities in Gender Roles: Transformations in Kinship and Marriage Among the M'Buke from Manus Province
1999
[20]
웹사이트
Definition of Grandnephew by Merriam-Webster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20-10-16
[21]
웹사이트
Definition of Great-nephew by Merriam-Webster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20-10-16
[22]
웹사이트
Definition Of Half Niece by Merriam-Webster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22-03-30
[23]
웹사이트
Definition Of Half Nephew by Merriam-Webster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22-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