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해진 (작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해진은 대한민국의 소설가로, 1976년 서울에서 태어나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교육학 및 국어국문학을 전공했다. 2004년 문예중앙 신인문학상으로 등단하여 작품 활동을 시작했으며, 소수자, 사회적 약자 등 '타자'의 삶에 대한 깊이 있는 시선을 담은 작품을 주로 발표하며 '타자의 작가'로 불린다. 주요 작품으로 《로기완을 만났다》, 《빛의 호위》 등이 있으며, 신동엽문학상, 이효석문학상, 대산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또한, 작품이 러시아어와 일본어로 번역 출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동엽창작상 - 도종환
    도종환은 충청북도 청주시 출신의 시인이자 정치인으로, 시집 《접시꽃 당신》을 발표하고 국회의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 신동엽창작상 - 송기원
    송기원은 1947년 출생하여 2024년 사망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베트남 전쟁 참전 경험을 바탕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하여 민주화 운동에 헌신하고 불교적 사유를 담은 작품을 발표했으며 동인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 이효석문학상 수상자 - 성석제
    성석제는 해학과 풍자를 통해 인간과 사회의 부조리를 그려내는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유머와 비애를 조화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으며 다양한 문학상을 수상했다.
  • 이효석문학상 수상자 - 편혜영
    편혜영은 2000년 등단 후 기괴하고 잔혹한 묘사로 현대 사회의 소외와 폭력성을 드러내며 한국일보문학상, 셜리 잭슨상 등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하고 명지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소설가이다.
  • 신동엽문학상 수상자 - 도종환
    도종환은 충청북도 청주시 출신의 시인이자 정치인으로, 시집 《접시꽃 당신》을 발표하고 국회의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 신동엽문학상 수상자 - 송기원
    송기원은 1947년 출생하여 2024년 사망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베트남 전쟁 참전 경험을 바탕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하여 민주화 운동에 헌신하고 불교적 사유를 담은 작품을 발표했으며 동인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조해진 (작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조해진
로마자 표기Jo Hae-jin
직업소설가
국적대한민국
출생1976년 서울특별시
데뷔2004년 문예중앙 신인문학상
학력
모교이화여자대학교
수상
2013년신동엽문학상
2016년이효석 문학상
2016년무영문학상
2017년통영문학상
2019년대산문학상

2. 생애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2004년 등단한 이후,[2] 소수자와 사회적 약자 등 소외된 이들의 삶에 주목하는 작품 활동을 이어오며 '타자의 작가'라는 평가를 받는다. 신동엽문학상, 이효석문학상, 대산문학상[5] 주요 문학상을 수상하며 현대 한국 문학의 중요한 작가로 자리매김했다.

2. 1. 유년 시절 및 학창 시절

조해진은 1976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교육학을 전공했으며,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하여 졸업했다.[11] 대학교 졸업 후 잠시 작은 출판사에서 일했다.[11] 2004년 《문예중앙》 신인문학상을 받으며 등단했다.[2]

2. 2. 등단 및 작가 활동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국문학을 전공했다.[11] 대학 졸업 후 잠시 작은 출판사에서 일한 경험이 있다.[11] 2004년 《문예중앙》 신인문학상(신인 소설 부문)을 수상하며 문단에 등단했다.[2]

2008년 말부터 약 1년간 폴란드의 한 대학교에서 한국학 강사로 활동하며 한국어를 가르쳤다. 이 시기 벨기에의 탈북자 관련 기사를 접한 것을 계기로[3] 두 번째 소설인 《로기완을 만났다》를 집필하여 출간했다.[4] 이 작품으로 2013년 제31회 신동엽문학상을 수상하는 등 문단의 주목을 받았다.

이후에도 꾸준히 작품 활동을 이어가며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했다. 주요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연도상 이름수상작
2004문예중앙 문학상 (신인 소설 부문)해당 없음
2013제31회 신동엽문학상《로기완을 만났다》
2016제17회 이효석문학상「산책자의 행복」[5]
2016무영문학상《여름을 지나가다》
2018백신애문학상《빛의 호위》
2019제27회 대산문학상해당 없음



데뷔 이후 소수자, 사회적 약자, 사회에서 소외된 이들 등 '타자'의 삶과 마음에 깊은 관심을 기울이는 작품을 꾸준히 발표해왔다. 이러한 작품 경향으로 '타자의 작가'라는 평가를 받으며, 폭넓은 독자층의 지지를 받는 현대 한국 문학의 주요 작가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다.

3. 작품 세계

문학 평론가 신형철은 조해진의 첫 소설에 대한 평론에서 "이 작가는 육체적으로 죽어가는 사람들, 또는 이미 사회적으로 죽은 사람들에 대해서만 쓴다"고 언급했다.[6] 또한, 문학 평론가 고인환은 조해진의 소설이 "타인의 삶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하여, 그들의 삶 속으로 스며드는 고통스러운 과정을 통해 독자들이 타인의 내면에 몰입하게 한다"고 평하며, "독자들의 내면에 새겨지는 눈부시게 명확한 소통의 패턴"을 가지고 있다고 분석했다.[7]

조해진은 문학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다음과 같이 밝혔다. "근본적으로 문학, 그리고 문학의 정체성은 이와 같다. 이름 없는 사람들의 이야기, 지위와 윤리의 문제를 다루는 것은 문학의 본질일 뿐만 아니라 모든 작가에게 공통적인 주제라고 생각한다. 모든 것을 갖춘 사람들은 다른 매체들이 알아서 기억해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8]

4. 수상 경력

wikitext

연도상 이름수상작
2004문예중앙 신인문학상《여자에게 길을 묻다》
2013제31회 신동엽문학상《로기완을 만났다》
2014제5회 젊은작가상《빛의 호위》
2016이상문학상「산책자의 행복」
2016이효석문학상「산책자의 행복」
2016무영문학상《여름을 지나가다》
2018백신애문학상《빛의 호위》
2019제27회 대산문학상


5. 저서

(내용 없음)

5. 1. 소설

'''단독 저서'''

제목출판사발표 연도
《천사들의 도시》민음사2008년
《한없이 멋진 꿈에》문학동네2009년
《로기완을 만났다》창비2011년
《아무도 보지 못한 숲》민음사2013년
《목요일에 만나요》문학동네2014년
《겨울의 눈빛》문학과지성사2014년
《여름을 지나가다》문예중앙2015년
《빛의 호위》창비2017년
《단순한 진심》민음사2019년



'''공저'''

공저 제목출판사발표 연도수록 작품명
《사랑해, 눈》열림원2011년〈하카타轉多 역에는 눈이 내리고〉
《옥수수와 나》문학사상2012년〈유리〉
《포맷하시겠습니까?》한겨레출판2012년〈이보나와 춤을 추었다〉
《요요》문학의숲2012년〈밤의 한가운데서〉
《누구나, 이방인》창비2013년폴란드라는 시간을 통과하였다〉
《몬순: 2014년 제38회 이상문학상 작품집》문학사상2014년〈빛의 호위〉
《누가》문학의숲2014년〈문래〉
《2014 제5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문학동네2014년〈빛의 호위〉
《제5회 문지문학상 수상작품집》문학과지성사2015년〈빛의 호위〉
《눈 한송이가 녹는 동안: 2015 제15회 황순원문학상 수상작품집》문예중앙2015년〈사물과의 작별〉
《베를린 필: 2016년 제61회 현대문학상 수상소설집》현대문학2015년〈사물과의 작별〉
《산책자의 행복》생각정거장2016년〈산책자의 행복〉
《풍경소리: 2017 제41회 이상문학상 작품집》문학사상2017년〈눈 속의 사람〉
《아직 지나가지 않은 것들만 지나간다 (문래동 앤솔로지)》청색종이2017년〈나의 문장이 온 곳, 문래〉
《이해 없이 당분간》걷는사람2017년〈빛의 온도〉
《이효석 문학상 수상작품집 2017 (어른의 맛)》생각정거장2017년〈작은 사람들의 노래〉
《꿈을 꾸었다고 말했다 (2018년 제42회 이상문학상 작품집)》문학사상2018년〈파종하는 밤〉
《인생손님》교보문고2018년〈연애편지〉
《불가능한 대화들 4》호밀밭2018년
《멜랑콜리 해피엔딩》작가정신2019년
《너의 빛나는 그 눈이 말하는 것은: 신동엽 50주기 기념 신동엽문학상 역대 수상자 신작소설집》창비2019년〈경계선 사이로〉
《김승옥문학상 수상작품집 (2019)》문학동네2019년〈환한 나무 꼭대기〉


5. 2. 공저


  • 《사랑해, 눈》 (열림원) 2011년 5월
  • * 〈하카타轉多 역에는 눈이 내리고〉
  • 《옥수수와 나》 (문학사상사) 2012년 1월
  • * 〈유리〉
  • 《포맷하시겠습니까?》 (한겨레출판) 2012년 7월
  • * 〈이보나와 춤을 추었다〉
  • 《요요》 (문학의숲) 2012년 10월
  • * 〈밤의 한가운데서〉
  • 《누구나, 이방인》 (창비) 2013년 10월
  • * 〈'폴란드'라는 시간을 통과하였다〉
  • 《몬순: 2014년 제38회 이상문학상 작품집》 (문학사상사) 2014년 1월
  • * 〈빛의 호위〉
  • 《누가》 (문학의숲) 2014년 9월
  • * 〈문래〉
  • 《2014 제5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문학동네) 2014년 12월
  • * 〈빛의 호위〉
  • 《제5회 문지문학상 수상작품집》 (문학과지성사) 2015년 5월
  • * 〈빛의 호위〉
  • 《눈 한송이가 녹는 동안: 2015 제15회 황순원문학상 수상작품집)》 (문예중앙) 2015년 11월
  • * 〈사물과의 작별〉
  • 《베를린 필: 2016년 제61회 현대문학상 수상소설집)》 (현대문학) 2015년 12월
  • * 〈사물과의 작별〉
  • 《산책자의 행복》 (생각정거장) 2016년 9월
  • * 〈산책자의 행복〉
  • 《풍경소리: 2017 제41회 이상문학상 작품집)》 (문학사상) 2017년 1월
  • * 〈눈 속의 사람〉
  • 《아직 지나가지 않은 것들만 지나간다 (문래동 앤솔로지)》 (청색종이) 2017년 7월
  • * 〈나의 문장이 온 곳, 문래〉
  • 《이해 없이 당분간》 (걷는사람) 2017년 8월
  • * 〈빛의 온도〉
  • 이효석문학상 수상작품집 2017 (어른의 맛)》 (생각정거장) 2017년 9월
  • * 〈작은 사람들의 노래〉
  • 《꿈을 꾸었다고 말했다 (2018년 제42회 이상문학상 작품집)》 (문학사상) 2018년 1월
  • * 〈파종하는 밤〉
  • 《인생손님》 (교보문고) 2018년 6월
  • * 〈연애편지〉
  • 《불가능한 대화들 4》 (호밀밭) 2018년 12월
  • * 〈소설의 시작〉 (작가 산문) 〈외롭고 낮고 쓸쓸한 그와, 나의 이야기〉 (조해진·김필남 대담)
  • 《멜랑콜리 해피엔딩》 (작가정신) 2019년 1월
  • 《너의 빛나는 그 눈이 말하는 것은: 신동엽 50주기 기념 신동엽문학상 역대 수상자 신작소설집》 (창비) 2019년 4월
  • * 〈경계선 사이로〉
  • 김승옥문학상 수상작품집 (2019)》 (문학동네) 2019년 9월
  • * 〈환한 나무 꼭대기〉

6. 번역 작품

(내용 없음)

6. 1. 일본어

wikitext

일본어 제목번역자출판사시리즈출간 연월
『소중한 마음』오영아아키 쇼보이웃나라 이야기2021년 9월
『천사들의 도시』오화순신천사한국 문학 셀렉션2022년 12월
『빛의 호위』김경숙사이류샤2023년 3월
『로기완을 만났다』아사다 에미신천사한국 문학 셀렉션2024년 2월


6. 2. 러시아어


  • 나는 로기완을 만났다 (Я встретила Ро Кивана|야 프스트레틸라 로 키바나rus) [9]

참조

[1] 웹사이트 ko:조해진 {{!}}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LTI Korea) http://library.ltiko[...] 2017-12-07
[2] 뉴스 Cho Haejin https://web.archive.[...] 2019-11-10
[3] 뉴스 Significanc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Fiction https://web.archive.[...] 2019-11-10
[4] 뉴스 The Journey to Meet Lo Kiwan https://web.archive.[...] 2019-11-10
[5] 뉴스 "[공개인터뷰 나는 왜 대담]나는 왜 약자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는가 – 사이버문학광장 문장 웹진" https://web.archive.[...] 2017-12-07
[6] 웹사이트 ko:아무도 보지 못한 숲 http://mbook.interpa[...] 2017-12-07
[7] 뉴스 ko:세상서 지워져가는 벼랑끝 인생들 http://www.segye.com[...] 2008-10-17
[8] 뉴스 "[공개인터뷰 나는 왜 대담]나는 왜 약자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는가 – 사이버문학광장 문장 웹진" https://web.archive.[...] 2017-12-07
[9] 웹사이트 Я встретила Ро Кивана {{!}}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LTI Korea) http://library.ltiko[...] 2017-12-07
[10] 웹사이트 조해진 - YES24 작가파일 http://www.yes24.com[...] 2023-02-04
[11] 웹사이트 내 이름의 뿌리를 찾아, 조해진 작가가 전하는 「단순한 진심」 https://inews.ewha.a[...] 2019-11-20
[12] 뉴스 제17회 이효석문학상에 소설가 조해진 http://www.yonhapnew[...] 2016-08-06
[13] 뉴스 제28회 만해문학상에 소설가 조갑상 http://www.yonhapnew[...] 2013-07-30
[14] 뉴스 "[매경이 만난 사람] 단편 `산책자의 행복`으로 이효석 문학상 받은 조해진 작가" https://news.naver.c[...] 2016-09-11
[15] 뉴스 "'2017 통영문학상' 수상자에 천양희, 김산, 문희숙, 조해진"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16-08-21
[16] 웹인용 "[문학]세상서 지워져가는 벼랑끝 인생들"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08-10-17
[17] 뉴스 제27회 대산문학상 수상자, 조해진·오은 선정 http://www.readersne[...] 2019-1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