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신동엽문학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신동엽문학상은 신동엽 시인의 유족들이 기탁한 기금을 바탕으로 제정된 문학상이다. 신동엽 시인의 문학 정신을 계승하여, 시와 소설 장르에 구애받지 않고 창작에 전념할 수 있는 역량 있는 작가를 발굴하고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82년 '신동엽창작기금'으로 시작하여, 이후 시상금 증액 및 수상작 발표 등의 변화를 거쳤으며, 매년 시와 소설 부문에서 각 1명씩 총 2명을 선정한다. 민주화, 사회 정의, 인간 존엄성 등 사회적 가치를 담은 작품을 장려하며, 역대 수상자로는 도종환, 박영근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동엽창작상 - 도종환
    도종환은 충청북도 청주시 출신의 시인이자 정치인으로, 시집 《접시꽃 당신》을 발표하고 국회의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 신동엽창작상 - 송기원
    송기원은 1947년 출생하여 2024년 사망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베트남 전쟁 참전 경험을 바탕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하여 민주화 운동에 헌신하고 불교적 사유를 담은 작품을 발표했으며 동인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문학상 - 대산문학상
    대산문학상은 교보생명 창업주 신용호가 한국 문학의 세계화를 위해 제정한 문학상으로, 대산문화재단이 운영하며, 시, 소설, 희곡, 평론, 번역 등 5개 부문에 상금을 수여하고 수상작의 번역을 권장한다.
  • 대한민국의 문학상 - 심훈문학상
    심훈문학상은 한국 문학가 심훈의 문학 정신을 기리기 위해 제정되었으며, 등단 작가, 신인 작가, 학술 연구자, 청소년 및 어린이를 대상으로 다양한 부문에서 시상한다.
  • 한국 사람에 관한 - 한덕수
    한덕수는 경제 관료 출신 정치인으로, 제47대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며, 윤석열 정부에서 국무총리로 임명되어 의사 파업 대응과 의료 개혁을 추진했고, 대통령 탄핵 이후 권한대행을 맡았으나 탄핵소추로 직무가 정지되었다.
  • 한국 사람에 관한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신동엽문학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신동엽문학상
분야문학상
역대 수상자
1회 (2001년)시 부문: 문정희
소설 부문: 윤정모
2회 (2002년)시 부문: 정현종
소설 부문: 김훈
3회 (2003년)시 부문: 고정희
소설 부문: 한강
4회 (2004년)시 부문: 김광규
소설 부문: 박범신
5회 (2005년)시 부문: 최승자
소설 부문: 김인숙
6회 (2006년)시 부문: 이성복
소설 부문: 황석영
7회 (2007년)시 부문: 김혜순
소설 부문: 신경숙
8회 (2008년)시 부문: 송찬은
소설 부문: 최윤
9회 (2009년)시 부문: 나희덕
소설 부문: 박민규
10회 (2010년)시 부문: 이시영
소설 부문: 김연수
11회 (2011년)시 부문: 장석남
소설 부문: 정이현
12회 (2012년)시 부문: 이문재
소설 부문: 김애란
13회 (2013년)시 부문: 박정대
소설 부문: 김숨
14회 (2014년)시 부문: 오규원
소설 부문: 전성태
15회 (2015년)시 부문: 백무산
소설 부문: 구효서
16회 (2016년)시 부문: 최영미
소설 부문: 윤고은
17회 (2017년)시 부문: 김정란
소설 부문: 이기호
18회 (2018년)시 부문: 유홍준
소설 부문: 최은영
19회 (2019년)시 부문: 황인숙
소설 부문: 조남주
20회 (2020년)시 부문: 이영광
소설 부문: 장류진
21회 (2021년)시 부문: 이제니
소설 부문: 최진영
22회 (2022년)시 부문: 강성은
소설 부문: 김멜라
23회 (2023년)시 부문: 오은
소설 부문: 박서련

2. 제정 배경 및 목적

신동엽문학상은 1982년 신동엽 시인의 유족들이 기탁한 기금을 바탕으로 제정되었다. 초기에는 '신동엽창작기금'으로 시작해 역량 있는 작가들이 창작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1] 이 상은 신동엽 시인의 문학 정신을 계승하고 한국 문학 발전에 기여하며, 민주화 운동 정신을 문학으로 승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1. 제정 배경

1982년 신동엽 시인의 유족들이 기탁한 기금을 바탕으로 제정되었다. 초기에는 '신동엽창작기금'으로 시작하여 역량 있는 작가들이 창작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1] 일반적인 문학상과 달리, 뛰어난 작품을 쓸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주는 성격을 지녔다.[1] 수상자 선정 기준은 신동엽 시인의 문학정신을 열린 마음으로 창조적으로 계승한 작가여야 하며, 시와 소설 장르에 구애받지 않는다.[1]

2. 2. 목적

신동엽 시인의 문학 정신을 열린 마음으로 창조적으로 계승한 역량 있는 작가를 발굴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시와 소설 장르 구분 없이 우수한 작품을 창작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1] 민주화, 사회 정의, 인간 존엄성 등 사회적 가치를 담은 작품을 장려한다.

3. 역대 수상자 및 수상작

신동엽문학상은 1982년 제정되어 민주화 운동에 헌신했던 시인, 소설가들에게 수여되며 그 가치를 인정받아 왔다.[2] 도종환, 박영근 등이 대표적인 수상자이다.[3] 역대 수상자 및 수상작은 다음과 같다.

횟수연도수상자구분작품발간년도
11982이문구장편산너머 남촌1990
21983하종오시집넋이야 넋이로다1986
송기원시집마음속 붉은 꽃잎1990
31984김명수시집피뢰침과 심장1986
김종철산문집아픈 다리 서로 기대며1995
41985양성우시집그대의 하늘길1987
김성동장편집上
집下
1989
51986이동순시집지금 그리운 사람은1986
현기영장편바람 타는 섬1989
61987박태순산문집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1960년대의 사회운동
1980
1991
김사인산문집진정 건강하길 기원하며
지금 힘든 시간인가요?
1992
71988윤정모장편1991
81990도종환시집당신은 누구십니까1993
91991김남주시집사상의 거처1991
방현석장편십년간1
십년간2
1991
101992곽재구시집참 맑은 물살1995
김하기장편항로 없는 비행上
항로 없는 비행下
1993
111993고재종시집날랜 사랑1995
121994박영근시집지금도 그 별은 눈뜨는가1997
131995공선옥장편시절들1995
141996윤재철시집생은 아름다울지라도1995
151997유용주시집크나큰 침묵1996
161998이원규시집돌아보면 그가 있다1997
171999박정요장편어른도 길을 잃는다1998
182000전성태소설집매향1999
192001김종광소설집경찰서여 안녕2000
202002최종천시집눈물은 푸르다2000
212003천운영소설집바늘2001
222004손택수시집호랑이 발자국2003
232005박민규소설카스테라2005
242006박후기시집종이는 나무의 유전자를 갖고 있다2006
252007박성우시집가뜬한 잠2007
262008오수연소설황금 지붕2007
272009김애란소설침이 고인다2007
282010안현미시집이별의 재구성2009
292011송경동시집사소한 물음들에 답함2009
김미월소설여덟 번째 방2010
302012김중일시집아무튼 씨 미안해요2012
황정은소설파씨의 입문2012
312013박준시집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2012
조해진소설로기완을 만났다2011
322014김성규시집천국은 언제쯤 망가진 자들을 수거해가나2013
최진영소설팽이2013
332015박소란시집심장에 가까운 말2015
김금희소설센티멘털도 하루 이틀2014
342016안희연시집너의 슬픔이 끼어들 때2015
금희소설세상에 없는 나의 집2015
352017임솔아시집괴괴한 날씨와 착한 사람들2017
김정아소설가시2017
362018김현시집입술을 열면2018
김혜진장편소설딸에 대하여2018


3. 1. 역대 수상자

1960년대의 사회운동1980
1991김사인산문집진정 건강하길 기원하며
지금 힘든 시간인가요?199271988윤정모장편들199181990도종환시집당신은 누구십니까199391991김남주시집사상의 거처1991방현석장편십년간1
십년간21991101992곽재구시집참 맑은 물살1995김하기장편항로 없는 비행上
항로 없는 비행下1993111993고재종시집날랜 사랑1995121994박영근시집지금도 그 별은 눈뜨는가1997131995공선옥장편시절들1995141996윤재철시집생은 아름다울지라도1995151997유용주시집크나큰 침묵1996161998이원규시집돌아보면 그가 있다1997171999박정요장편어른도 길을 잃는다1998182000전성태소설집매향1999192001김종광소설집경찰서여 안녕2000202002최종천시집눈물은 푸르다2000212003천운영소설집바늘2001222004손택수시집호랑이 발자국2003232005박민규소설카스테라2005242006박후기시집종이는 나무의 유전자를 갖고 있다2006252007박성우시집가뜬한 잠2007262008오수연소설황금 지붕2007272009김애란소설침이 고인다2007282010안현미시집이별의 재구성2009292011송경동시집사소한 물음들에 답함2009김미월소설여덟 번째 방2010302012김중일시집아무튼 씨 미안해요2012황정은소설파씨의 입문2012312013박준시집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2012조해진소설로기완을 만났다2011322014김성규시집천국은 언제쯤 망가진 자들을 수거해가나2013최진영소설팽이2013332015박소란시집심장에 가까운 말2015김금희소설센티멘털도 하루 이틀2014342016안희연시집너의 슬픔이 끼어들 때2015금희소설세상에 없는 나의 집2015352017임솔아시집괴괴한 날씨와 착한 사람들2017김정아소설가시2017362018김현시집입술을 열면2018김혜진장편소설딸에 대하여2018


4. 운영 및 심사

신동엽문학상은 역량 있는 작가가 뛰어난 작품을 창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시와 소설 장르 구분 없이 신동엽 시인의 문학정신을 창조적으로 계승한 작가를 선정하여 수여한다.[1]

1988년까지는 매년 말에 시상했고, 1990년 제8회부터는 신동엽 시인의 기일인 4월 7일에 시상했다. 2000년대 들어서는 매년 말에 창비에서 시상하는 다른 문학상과 함께 시상한다. 1995년 제13회까지는 수상 작가가 2년 안에 작품을 완성하여 출간해야 했다. 2004년 제22회부터 '신동엽창작상'으로 이름을 바꾸면서 수상자와 수상작품을 함께 발표한다.[1]

3~4명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수상자를 선정하며,[1] 1990년 제8회 때는 도종환, 1994년 제12회 때는 박영근 등이 수상했다.

4. 1. 운영 방식

초기에는 유족이 기탁한 기금 200만으로 시작했으며, 제2회부터는 유족과 창비(당시 창작과비평사)가 공동 출자하여 시상했다. 시상금은 1988년 제7회 때부터 300만, 1992년 제10회부터 500만, 1996년 제14회부터는 700만, 2001년 제19회부터는 1000만이 되었다.[1]

보통 매년 한 명씩 선정했는데, 1983년~1987년까지, 1991년~1992년까지는 2명씩 선정했고, 1989년은 선정하지 못했다. 2011년부터는 매년 시와 소설 부문에서 각각 1명씩 총 2명을 선정한다.

4. 2. 심사위원

백낙청, 구중서, 염무웅, 신경림, 이문구, 최원식, 현기영, 김사인, 이시영, 성석제, 손택수, 전성태, 임규찬, 이광호, 한기욱, 나희덕 등이 심사위원을 맡았다.[1]

참조

[1] 웹인용 신동엽창작상 http://www.changbi.c[...] 창비 2010-07-09
[2] 뉴스 ‘신동엽창작상’ 시인 송경동 - 수상석엔 주인잃은 의자만 http://www.hani.co.k[...] 한겨레 2012-01-09
[3] 뉴스 제32회 신동엽문학상에 김성규 시인·최진영 소설가 http://news1.kr/arti[...]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