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호리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호리산은 적을 유인하여 유리한 지형에서 전투를 벌이는 병법을 의미한다. 한나라 말기 우후는 강족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증원군이 오는 것처럼 속여 강족을 분산시킨 후 무도로 진격하여 승리했다. 또한 한신은 정형 전투에서 배수진을 쳐 조나라 군대를 요새 밖으로 유인하여 승리했는데, 이는 조호리산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2. 사례

조호리산 계책이 사용된 대표적인 사례로는 후한우후(虞詡)가 강족의 반란을 진압할 때 사용한 기만 전술과, 초한쟁패기 정형 전투에서 한신이 사용한 '''배수진''' 전략이 있다. 이들 사례는 적을 유리한 위치에서 끌어내어 격파하는 조호리산의 핵심 원리를 잘 보여준다.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2. 1. 우후의 증원군 속임수 (만천과해, 성동격서)

한나라 말기, 강족이 반란을 일으켜 서량 무도군 일대를 휩쓸었다. 반란 진압을 위해 파견된 우후(虞詡)는 강족의 대군에게 길이 막혀 진군을 멈추게 되었다. 이에 우후는 조정에 상주하여 증원군을 요청했으며, 증원군이 도착하면 진군을 재개할 것이라고 널리 알렸다. 이 소식을 들은 강족은 대규모 병력 집결을 풀고 흩어져 주변 지역 약탈에 더욱 집중했다.

우후는 적당한 시기를 노려 무도를 향해 다시 행군을 시작했다. 실제로는 증원군이 오지 않았지만, 그는 진군 중 머무는 곳마다 병사들이 솥을 걸기 위해 파는 구덩이의 수를 매일 늘리도록 지시했다. 강족 정찰병들은 우후 군대의 진지 터에 남은 솥 구덩이의 수가 점점 늘어나는 것을 보고, 증원 부대가 계속 도착하여 병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오판하여 섣불리 공격하지 못했다. 덕분에 우후는 별다른 저항 없이 무사히 무도에 입성하여 강족 반란군을 성공적으로 격파할 수 있었다. 이는 증원군 파견이라는 거짓 정보로 적을 안심시킨 만천과해(瞞天過海)와, 솥 구덩이 수를 늘려 병력 증강을 위장하여 적의 공격 의지를 꺾은 성동격서(聲東擊西)의 계책을 활용한 예시로 볼 수 있다.

2. 2. 한신의 배수진 (조호이산, 욕금고종)

정형 전투에서 유방의 무장 한신조나라의 요새를 공격할 때 강을 등지도록 진을 치는 '''배수진'''을 사용했다. 한신은 병사들에게 물러서면 강에 빠져 죽는다고 생각하게 함으로써 필사의 힘을 끌어내 조나라 군대의 맹공을 막았고, 그 틈을 타 별동대를 사용하여 비어 있는 조나라의 요새를 점령하여 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이 전략에서 정말 중요한 점은 단순히 병사들의 사생결단 정신을 유도한 것만이 아니다. 스스로 퇴로를 끊는 배수진은 자칫 위험할 수 있는 전략이지만, 한신은 이를 미끼로 활용했다. 즉, 배수진을 통해 조나라 군대에게 섬멸의 좋은 기회라고 생각하게 만들어, 그들에게 유리한 견고한 요새에서 나와 야전을 벌이도록 유인한 것이다. 이것이 바로 한신의 조호리산(調虎離山)의 승리였다.

2. 3. 기타 사례

한나라 말기, 강족이 반란을 일으켜 서량 무도 일대를 휩쓸었다. 진압을 위해 파견된 우후(虞詡)는 강족의 대군에 막혀 진군을 멈추었다. 우후는 조정에 증원을 요청했으며 증원군이 도착하면 진군하겠다고 선전했다. 이 말을 들은 강족은 경계를 풀고 흩어져 약탈을 계속했다. 우후는 이 틈을 타 다시 무도를 향해 행군을 시작했다. 실제 증원군은 오지 않았지만, 우후는 머무는 곳마다 병사들이 밥을 지을 솥의 수를 날마다 배로 늘려가도록 지시했다. 강족은 우후 군대의 진지에 남은 솥의 수를 보고 증원군이 계속 도착하여 병력이 늘어나고 있다고 믿고 감히 공격하지 못했다. 덕분에 우후는 무사히 무도에 입성하여 강족 반란군을 격파할 수 있었다.

정형 전투에서 유방 휘하의 장수 한신은 조나라의 요새를 공격할 때 강을 등지고 진을 치는(배수진) 방식으로 적을 요새 밖으로 유인했다. 한신은 병사들에게 물러서면 강물에 빠져 죽는다는 필사적인 각오를 심어 조나라 군대의 맹렬한 공격을 막아냈다. 동시에 분견대를 몰래 보내 비어있는 조나라의 요새를 점령하여 승리를 거두었다. 이 전략에서 중요한 점은 단순히 퇴로를 끊는 배수진 자체가 아니라, 이를 미끼로 사용하여 조나라 군대가 자신들에게 유리한 요새(산)에서 나와 불리한 야전(평지)으로 나오도록 유도한 것이다. 이는 호랑이를 산에서 유인해내는 조호리산 계책의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3. 삼십육계 목록

(내용 없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