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도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도군은 중국의 옛 행정 구역으로, 전한 무제 원정 6년(기원전 111년)에 설치되었다. 이후 여러 왕조를 거치며 행정 구역 개편을 겪었고, 수나라 대업 3년(607년)에 무도군으로 다시 설치되었다. 무도군은 량주, 진주, 남진주, 무주 등에 속했으며, 여러 현을 관할했다. 무도군 지역은 저족, 강족 등 여러 종족이 섞여 살았던 곳으로, 각 시대별로 행정 구역과 명칭이 변화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촉한의 군 - 파서군
    파서군은 중국 삼국시대부터 당나라 시대까지 존속한 행정 구역으로, 201년 유장에 의해 파군에서 분리 신설되어 시대에 따라 소속과 관할 구역의 변화를 겪었으며 수나라와 당나라 현종 시기에 일시적으로 다른 이름으로 개칭되기도 하였다.
  • 촉한의 군 - 파군 (행정 구역)
    기원전 316년 진나라가 파나라를 멸망시킨 후 설치된 파군은 현재의 충칭시와 쓰촨성 동부 일대에 걸쳐 있었으나, 수나라 때 유주로 개명되고 당나라 때 다시 유주로 개칭되면서 그 이름이 사라졌다.
  • 쓰촨성의 군 - 파서군
    파서군은 중국 삼국시대부터 당나라 시대까지 존속한 행정 구역으로, 201년 유장에 의해 파군에서 분리 신설되어 시대에 따라 소속과 관할 구역의 변화를 겪었으며 수나라와 당나라 현종 시기에 일시적으로 다른 이름으로 개칭되기도 하였다.
  • 쓰촨성의 군 - 촉군
    촉군은 진나라부터 당나라 시대에 쓰촐성 청두 일대에 설치된 행정 구역으로, 고촉 왕국을 정복한 진나라에 의해 설치되어 시대에 따라 영역 변화를 겪었으며, 수나라 때 폐지되었다가 당나라 때 부활했으나 청두부로 개명되어 사라졌다.
  • 간쑤성의 군 - 북지군
    북지군은 기원전 271년 진나라가 의거족의 영토를 병합하여 설치한 군으로 현재의 간쑤성 칭양시 일대에 위치했으며, 여러 왕조를 거치며 행정 구역과 관할 지역에 변화가 있었고 당나라 대에 빈주로 불리다 군제가 폐지되어 사라졌다.
  • 간쑤성의 군 - 농서군
    농서군은 기원전 3세기에 진나라가 설치한 군으로, 치소가 적도에 있었으며 여러 왕조를 거치며 행정 구역과 명칭이 변화했고, 양무현이 행정 중심지가 되면서 현대 룽시 현의 전신이 되었다.
무도군
개요
위치현재 중화인민공화국 간쑤성룽난시우두구
존속 시기한나라 ~ 당나라
상세 정보
설치 시기한나라 시대
폐지 시기당나라 시대
전한무도군
신나라낙평군
후한무도군
삼국 시대무도군
서진무도군
동진무도군
남북조 시대무도군
영도군
무주
수나라무주
무도군
당나라무주
무도군
무주

2. 역사

전한 무제 원정 6년(기원전 111년)에 설치되었다.[1] 응소에 따르면, 옛 백마저강(白馬氐羌)으로, 원시 2년(2년) 인구조사에서 51,376호, 235,560명이었다. 당시 무도군에는 족, 족, 검위족, 장가족, 월수족 등 여러 종족이 섞여 살았으며, 그들의 풍속은 대략 파족, 촉족과 비슷했다고 한다.

한서》지리지에 따르면,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 무도군은 9현(5현 4도)을 관할했다. 일반적으로 첫 현이 치소로 여겨진다.

이름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무도현武都縣룽난시 리현 남동으로 한강이 저도수(氐道水)에서 갈려나온다. 별명은 면수(沔水)로, 강하를 지나면서는 하수(夏水)라 하며, 강하군에서 강수로 들어간다. 천지대택(天池大澤)이 서쪽에 있다.
상록현上祿縣룽난시 청현 남서
고도현故道縣바오지시 펑현 북동
하지현河池縣룽난시 후이현 북서천가수(泉街水)가 남으로 저(沮)에서 한수로 들어가니, 520리를 간다.
평락도平樂道룽난시 캉현 북서
저현沮縣한중시 뤠양현 동저수(沮水)가 동랑곡(東狼谷)에서 나와 남으로 사이현(沙羨縣)에서 강수로 들어가니, 다섯 군(무도·한중·남양·남·강하)을 지나 4000리를 간다. 형주천(荊州川)이다.
가릉도嘉陵道룽난시 후이현 남동 일대
순성도循成道룽난시 청현 남동
하변도下辨道룽난시 청현 북서

[1][2]

왕망신나라를 건국하고 군현 명칭을 개명하면서 무도군은 낙평군(樂平郡)이 되었고, 속현의 이름도 변경되었다.[1]

전한
무도순로(循虜)
고도선치(善治)
하지악평정(樂平亭)
하변양덕(楊德)



219년(헌제 건안 24년), 한중 전투에서 승리한 촉한이 이 지역을 점령했다.[3]

263년 촉한이 멸망하면서 위나라 땅이 되었다가 265년 서진 건국 후 서진 땅이 되었다. 269년 (서진 무제 태시 5년), 진주 설치에 따라 진주의 속군이 되었다. 296년 (서진 혜제 원강 6년) 저족 수령 제만년의 반란 때 약양에 정착했던 양무수가 부락민 4,000가를 이끌고 무도군 백경으로 정착했다. 영가의 난 이후 양무수의 아들이 무도군 지방을 점령하면서 구지가 형성되었다.[4][5]

371년(동진 간문제 함안 원년), 전진구지를 정복하여 전진 땅이 되었으나,[5] 383년 비수대전으로 전진이 몰락한 뒤 역성(歷城)에서 구지가 다시 건국되면서 구지 땅이 되었다.[5] 그 해에 구지를 다시 세웠던 양정(楊定)이 천수군 서현, 무도군 상록현을 구지군(仇池郡)으로 분리하였다.[5] 443년(북위 태무제 태평진군 4년), 북위가 구지를 정복하여 북위 땅이 되었다.[5]

선무제 시기 낙곡성(洛谷城)에 남진주가 설치되면서 남진주의 속군이 되었다. 535년(서위 문제 대통 원년), 무도군 지역에 '''무주'''를 세웠다.[7]

서위는 무주에 무도군을 설치했다.

수 문제 시기 군현제가 폐지되고 주현제가 실시되면서 무도군이 폐지되고 '''무주'''가 설치되었다. 607년(수 양제 대업 3년) 군현제가 재실시되면서 무주가 무도군으로 바뀌었다.

2. 1. 전한

전한 한무제 원정 6년(기원전 111년)에 설치되었다.[1]

응소에 따르면 옛 백마저강(白馬氐羌)으로,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51,376호, 235,560명이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지리지의 내용이다.[1]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9현(5현 4도)이다. 일반적으로 첫 현이 치소로 여겨진다.

이름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무도현武都縣룽난시 리현 남동으로 한강이 저도수(氐道水)에서 갈려나온다. 별명은 면수(沔水)로, 강하를 지나면서는 하수(夏水)라 하며, 강하군에서 강수로 들어간다. 천지대택(天池大澤)이 서쪽에 있다.
상록현上祿縣룽난시 청현 남서
고도현故道縣바오지시 펑현 북동
하지현河池縣룽난시 후이현 북서천가수(泉街水)가 남으로 저(沮)에서 한수로 들어가니, 520리를 간다.
평락도平樂道룽난시 캉현 북서
저현沮縣한중시 뤠양현 동저수(沮水)가 동랑곡(東狼谷)에서 나와 남으로 사이현(沙羨縣)에서 강수로 들어가니, 다섯 군(무도·한중·남양·남·강하)을 지나 4000리를 간다. 형주천(荊州川)이다.
가릉도嘉陵道룽난시 후이현 남동 일대
순성도循成道룽난시 청현 남동
하변도下辨道룽난시 청현 북서

[1][2]

무제는 원정 6년(기원전 111년)에 무도군을 설치하였으며, 량주에 속했다. 당시 무도군은 51,376호, 인구 235,561명, 9개의 현(무도현, 상록현, 고도현, 하치현, 저현, 평락도, 가릉도, 순성도, 하변도)을 관할했다. 무도 지역에는 족, 족, 검위족, 장가족, 월수족 등 여러 종족이 섞여 살았으며, 그들의 풍속은 대략 파족, 촉족과 비슷했다.

2. 2. 신

왕망이 군현 명칭을 개명하면서 무도군은 낙평군(樂平郡)이 되었고, 속현의 이름도 다음과 같이 바뀌었다.[1]

전한
무도순로(循虜)
고도선치(善治)
하지악평정(樂平亭)
하변양덕(楊德)


2. 3. 후한 ~ 촉한

219년(헌제 건안 24년), 한중 전투에서 승리한 촉한이 이 지역을 점령하면서 촉한의 영토가 되었다.[3] 촉한은 7개 현, 20,102호, 81,728명을 거느렸다.[3]

촉한의 무도군
이름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하변도下辨道룽난시 청현 북서
무도도武都道룽난시 리현 남
상록현上祿縣룽난시 청현 남서
고도현故道縣바오지 시 펑 현 북동
하지현河池縣룽난 시 후이 현 북서
저현沮縣한중 시 뤠양 현 북동면수(沔水)가 동랑곡(東狼谷)에서 나온다.
강도羌道간난 티베트족 자치주 저우취 현 북


2. 4. 서진

263년 촉한이 멸망하면서 위나라의 땅으로 편입되었다가 265년 서진이 건국되면서 서진의 땅이 되었다. 269년 (서진 무제 태시 5년), 진주가 설치됨에 따라 진주의 속군이 되었다. 서진대 무도군은 5현 3,000호를 거느렸다. 296년 (서진 혜제 원강 6년) 저족 수령 중 한 명이었던 제만년이 반란을 일으키자 약양에 정착했던 양무수가 부락민 4,000가를 이끌고 무도군에 있던 백경으로 정착했다. 영가의 난 이후엔 양무수의 아들이 무도군 지방을 점령하면서 구지가 형성되었다.[4][5]

서진대 무도군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하변현下辨縣룽난시 청현 북서317년 양무수의 아들인 양난적(楊難敵)이 아버지의 관직이었던 표기장군 좌현왕직을 계승하고 본현에 주둔했다.[5]
하지현河池縣룽난 시 후이 현 북서317년 양난적의 동생이었던 양견두(楊堅頭)가 형 양난적의 우현왕직을 받았고 본현에 주둔했다.[5]
저현沮縣한중 시 뤠양 현 북동
무도현武都縣룽난시 리현 남
고도현故道縣바오지 시 펑 현 북동


2. 5. 구지

무도군 지역을 통치했던 구지동진에 칭번했기 때문에 구지의 지배자가 동진에 의해 무도태수로 임명되기도 했다. 371년(동진 간문제 함안 원년), 전진이 구지를 정복하면서 전진의 땅으로 편입되었다.[5] 그러나 383년 비수대전으로 전진이 몰락한 뒤 역성(歷城)에서 구지가 다시 건국되면서 구지의 땅으로 편입되었다.[5] 그 해에 구지를 다시 세웠던 양정(楊定)이 천수군 서현, 무도군 상록현을 구지군(仇池郡)으로 분리하였다.[5] 443년(북위 태무제 태평진군 4년), 북위가 구지를 정복함에 따라 전군이 북위의 땅으로 편입되었다.[5]

2. 6. 북위 ~ 북주

선무제 시기 낙곡성(洛谷城)에 남진주가 설치되면서 남진주의 속군으로 편입되었다. 남진주의 무도군은 4개 현을 통치했다.[6] 535년(서위 문제 대통 원년), 무도군 지역에 '''무주(武州)'''를 세웠다.[7]

북위 ~ 북주 시기 무도군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석문현石門縣룽난시 우두구448년(북위 태무제 태평진군 9년) 설치되었다. 현내에 강도성(羌道城)이 있었다.
백수현白水縣|
동평현東平縣|
공제현孔提縣|



서위는 무주에 무도군을 설치했다. 당시 무도군은 7개 현을 통치하고 10,780호의 주민을 거느렸다.

서위 시기 무도군
현명연혁
장리현서위가 안육현으로 개칭하고, 북주가 장리현으로 개칭했다. 무도군에 두었다가 나중에 영도군으로 옮겼다. 583년(개황 3년) 영도군이 폐지되었으나, 607년(대업 3년)에 무도군이 다시 설치되었다.
건위현북위가 율읍현을 백수현으로 개칭하여 무도군에 소속시켰다. 서위는 다시 군을 설치하여 수융군으로 삼았다. 북주는 수융군을 폐지하고 건위현으로 삼았다.
복진현북위에서 처음 완당현이라 불렀으며, 무가군을 설치했다. 서위는 복진현을 설치하여 만군에 두고 적만·접난·오부의 3개 현을 통치했다. 북주는 1군 3현을 완당현으로 삼았다. 583년(개황 3년) 무가군이 폐지되었다.
반제현서위가 설치. 남오부현이라고 불렀으며, 후에 개명했다.
장송현서위가 설치. 처음에는 건창현이라고 불렀으며, 나중에 문주 및 가로군을 설치했다. 583년(개황 3년) 가로군이 폐지되고, 598년(개황 18년)에 장송현으로 개칭되었으며, 607년(대업 3년)에 문주가 폐지되었다.
곡수현서위가 설치.
정서현서위가 설치.


2. 7. 수

수 문제 시기 군현제가 폐지되고 주현제가 실시되면서 무도군이 폐지되고 '''무주(武州)'''가 설치되었다. 607년(수 양제 대업 3년) 군현제가 재실시되면서 무주가 무도군으로 바뀌었다. 수나라 때 무도군은 7현 10,780호를 거느렸다.[7]

수나라 시기 무도군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장리현將利縣룽난시 우두구서위 때 석문현이 안륙현(安育縣)으로 개명되었다. 북주 시기에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고, 동평현(東平縣)이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하지수(河池水)가 흘렀다.
건위현建威縣룽난시 우두구 북북위 때 백수군이 설치되었지만, 군이 폐지되자 현으로 남았다. 서위 때 수융군(綏戎郡)이 설치되며 독립했지만, 북주 때 수융군이 폐지되었고, 현의 이름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홍화현(洪化縣)과 공제현(孔堤縣)이 통폐합되었다.
복진현覆津縣룽난시 우두구 동남 길감향(桔柑鄕) 일대?서위 때 무계군(武階郡) 완당현(玩當縣)에서 복진현이 설치되었고, 복진현이 적만(赤萬), 접난(接難), 오부(五部) 3현과 함께 만군(萬郡)으로 분리되었다. 북주 때 만군과 적만, 접난, 오부 3현이 완당현에 통폐합되었고 개황 초기 무계군이 폐지되며 본군의 속현으로 내속되었다.
반지현盤堤縣룽난시 원현 북동서위 때 남오부현(南五部縣)이 설치되었지만 후에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북주 때 무양군(武陽郡)과 가로현(茄蘆縣)이 통폐합되었다.
장송현長松縣룽난시 원현 서서위 때 건창현(建昌縣)에서 문주(文州)와 노북군(盧北郡)이 신설되었다. 개황 초기 노북군이 폐지되었다. 598년(수 문제 개황 18년) 건창현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고 대업 초기 문주가 무주에 통폐합되었다.
곡수현曲水縣룽난시 원현서위 때 설치되었다.
정서현正西縣룽난시 원현 서남서위 때 설치되었다.


3. 행정 구역

무도군은 전한 무제(한) 원정 6년(기원전 111년)에 설치되었다.[1] 응소에 따르면 옛 백마저강(白馬氐羌)으로,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51,376호, 235,560명이 거주했다. 《한서》 지리지에 따르면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에는 총 9현(5현 4도)을 다스렸다.[1]

이름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무도현武都縣룽난시 리현 남동으로 한강이 저도수(氐道水)에서 갈려나온다. 별명은 면수(沔水)로, 강하를 지나면서는 하수(夏水)라 하며, 강하군에서 강수로 들어간다. 천지대택(天池大澤)이 서쪽에 있다.
상록현上祿縣룽난시 청현 남서
고도현故道縣바오지시 펑현 북동
하지현河池縣룽난시 후이현 북서천가수(泉街水)가 남으로 저(沮)에서 한수로 들어가니, 520리를 간다.
평락도平樂道룽난시 캉현 북서
저현沮縣한중시 뤠양현 동저수(沮水)가 동랑곡(東狼谷)에서 나와 남으로 사이현(沙羨縣)에서 강수로 들어가니, 다섯 군(무도·한중·남양·남·강하)을 지나 4000리를 간다. 형주천(荊州川)이다.
가릉도嘉陵道룽난시 후이현 남동 일대
순성도循成道룽난시 청현 남동
하변도下辨道룽난시 청현 북서

[1][2]

왕망을 건국하면서 무도군은 낙평군(樂平郡)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속현의 이름도 변경되었다.[1]

전한
무도순로(循虜)
고도선치(善治)
하지악평정(樂平亭)
하변양덕(楊德)



219년 한중 전투에서 승리한 촉한이 이 지역을 점령했다.[3] 촉한은 7개 성, 20,102호, 81,728명을 거느렸다.

이름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하변도下辨道룽난시 청현 북서
무도도武都道룽난시 리현 남
상록현上祿縣룽난시 청현 남서
고도현故道縣바오지 시 펑 현 북동
하지현河池縣룽난 시 후이 현 북서
저현沮縣한중 시 뤠양 현 북동면수(沔水)가 동랑곡(東狼谷)에서 나온다.
강도羌道간난 티베트족 자치주 저우취 현 북



263년 촉한이 멸망하고 265년 서진이 건국되면서 서진의 땅이 되었다. 269년(서진 무제 태시 5년), 진주가 설치되면서 진주의 속군이 되었다. 서진대 무도군은 5현 3천호를 거느렸다.[4][5] 296년(서진 혜제 원강 6년) 저족 수령 중 한 명이었던 제만년의 반란으로 약양에 정착했던 양무수가 부락민 4천 가를 이끌고 무도군에 있던 백경으로 정착했다. 영가의 난 이후엔 양무수의 아들이 무도군 지방을 점령하면서 구지가 형성되었다.[4][5]

서진대 무도군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하변현下辨縣룽난시 청현 북서317년 양무수의 아들인 양난적(楊難敵)이 아버지의 관직이었던 표기장군 좌현왕직을 계승하고 본현에 주둔했다.[5]
하지현河池縣룽난 시 후이 현 북서317년 양난적의 동생이었던 양견두(楊堅頭)가 형 양난적의 우현왕직을 받았고 본현에 주둔했다.[5]
저현沮縣한중 시 뤠양 현 북동
무도현武都縣룽난시 리현 남
고도현故道縣바오지 시 펑 현 북동



북위 선무제 시기 낙곡성(洛谷城)에 남진주가 설치되면서 남진주의 속군으로 편입되었다. 남진주의 무도군은 4개 현을 통치했다.[6] 535년(서위 문제 대통 원년), 무도군 지역에 '''무주(武州)'''를 세웠다.[7]

무도군 (4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석문현石門縣룽난시 우두구448년(북위 태무제 태평진군 9년) 설치되었다. 현내에 강도성(羌道城)이 있었다.
백수현白水縣태평진군 9년(448년)에 백수군을 설치하였으나, 후에 백수현으로 개칭되었다.
동평현東平縣태평진군 9년(448년)에 설치되었다.
공제현孔提縣|



시기 군현제가 폐지되고 주현제가 실시되면서 무도군이 폐지되고 '''무주(武州)'''가 설치되었다. 607년(수 양제 대업 3년) 군현제가 재실시되면서 무주가 무도군으로 바뀌었다. 수나라 때 무도군은 7현 10,780호를 거느렸다.[7]

수나라 시기 무도군의 7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장리현將利縣룽난시 우두구서위 때 석문현이 안륙현(安育縣)으로 개명되었다. 북주 시기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고, 동평현(東平縣)이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하지수(河池水)가 흘렀다.
건위현建威縣룽난시 우두구 북북위 때 백수군이 설치되었지만, 군이 폐지되자 현으로 남았다. 서위 때 수융군(綏戎郡)이 설치되며 독립했지만, 북주 때 수융군이 폐지되었고, 현의 이름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홍화현(洪化縣)과 공제현(孔堤縣)이 통폐합되었다.
복진현覆津縣룽난시 우두구 동남 길감향(桔柑鄕) 일대?서위 때 무계군(武階郡) 완당현(玩當縣)에서 복진현이 설치되었고, 복진현이 적만(赤萬), 접난(接難), 오부(五部) 3현과 함께 만군(萬郡)으로 분리되었다. 북주 때 만군과 적만, 접난, 오부 3현이 완당현에 통폐합되었고 개황 초기 무계군이 폐지되며 본군의 속현으로 내속되었다.
반제현盤堤縣룽난시 원현 북동서위 때 남오부현(南五部縣)이 설치되었지만 후에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북주 때 무양군(武陽郡)과 가로현(茄蘆縣)이 통폐합되었다.
장송현長松縣룽난시 원현 서서위 때 건창현(建昌縣)에서 문주(文州)와 노북군(盧北郡)이 신설되었다. 개황 초기 노북군이 폐지되었다. 598년(수 문제 개황 18년) 건창현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고 대업 초기 문주가 무주에 통폐합되었다.
곡수현曲水縣룽난시 원현서위 때 설치되었다.
정서현正西縣룽난시 원현 서남서위 때 설치되었다.


3. 1. 전한 (9현)

전한 무제(한) 원정 6년(기원전 111년)에 설치했다.[1]

응소에 따르면 옛 백마저강(白馬氐羌)으로,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호구 51,376호, 인구 235,560명이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의 내용이다.[1]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9현(5현 4도)이다. 일반적으로 첫 현이 치소로 여겨진다.

이름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무도현武都縣룽난시 리현 남동으로 한강이 저도수(氐道水)에서 갈려나온다. 별명은 면수(沔水)로, 강하를 지나면서는 하수(夏水)라 하며, 강하군에서 강수로 들어간다. 천지대택(天池大澤)이 서쪽에 있다.
상록현上祿縣룽난시 청현 남서
고도현故道縣바오지시 펑현 북동
하지현河池縣룽난시 후이현 북서천가수(泉街水)가 남으로 저(沮)에서 한수로 들어가니, 520리를 간다.
평락도平樂道룽난시 캉현 북서
저현沮縣한중시 뤠양현 동저수(沮水)가 동랑곡(東狼谷)에서 나와 남으로 사이현(沙羨縣)에서 강수로 들어가니, 다섯 군(무도·한중·남양·남·강하)을 지나 4000리를 간다. 형주천(荊州川)이다.
가릉도嘉陵道룽난시 후이현 남동 일대
순성도循成道룽난시 청현 남동
하변도下辨道룽난시 청현 북서

[1][2]

3. 2. 신 (9현)

왕망이 군현 명칭을 개명하면서 무도군은 낙평군(樂平郡)으로 바뀌었고, 속현의 이름도 다음과 같이 바뀌었다.[1]

전한
무도순로(循虜)
고도선치(善治)
하지악평정(樂平亭)
하변양덕(楊德)


3. 3. 후한, 촉한 (7현)

219년(헌제 건안 24년), 한중 전투에서 승리한 촉한이 이 지역을 점령했다.[3] 촉한은 7개 성, 20,102호, 81,728명을 거느렸다.

이름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하변도下辨道룽난시 청현 북서
무도도武都道룽난시 리현 남
상록현上祿縣룽난시 청현 남서
고도현故道縣바오지 시 펑 현 북동
하지현河池縣룽난 시 후이 현 북서
저현沮縣한중 시 뤠양 현 북동면수(沔水)가 동랑곡(東狼谷)에서 나온다.
강도羌道간난 티베트족 자치주 저우취 현 북


3. 4. 서진 (5현)

263년 촉한이 멸망하면서 위나라의 땅으로 편입되었다가 265년 서진이 건국되면서 서진의 땅이 되었다. 269년(서진 무제 태시 5년), 진주가 설치됨에 따라 진주의 속군이 되었다. 서진대 무도군은 5현 3천호를 거느렸다.[4][5] 296년(서진 혜제 원강 6년) 저족 수령 중 한 명이었던 제만년이 반란을 일으킴에 따라 약양에 정착했던 양무수가 부락민 4천 가를 이끌고 무도군에 있던 백경으로 정착했다. 영가의 난 이후엔 양무수의 아들이 무도군 지방을 점령하면서 구지가 형성되었다.[4][5]

서진대 무도군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하변현下辨縣룽난시 청현 북서317년 양무수의 아들인 양난적(楊難敵)이 아버지의 관직이었던 표기장군 좌현왕직을 계승하고 본현에 주둔했다.[5]
하지현河池縣룽난 시 후이 현 북서317년 양난적의 동생이었던 양견두(楊堅頭)가 형 양난적의 우현왕직을 받았고 본현에 주둔했다.[5]
저현沮縣한중 시 뤠양 현 북동
무도현武都縣룽난시 리현 남
고도현故道縣바오지 시 펑 현 북동


3. 5. 북위~북주 (4현)

북위 선무제 시기 낙곡성(洛谷城)에 남진주가 설치되면서 남진주의 속군으로 편입되었다. 남진주의 무도군은 4개 현을 통치했다.[6] 535년(서위 문제 대통 원년), 무도군 지역에 '''무주(武州)'''를 세웠다.[7]

무도군 (4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석문현石門縣룽난시 우두구448년(북위 태무제 태평진군 9년) 설치되었다. 현내에 강도성(羌道城)이 있었다.
백수현白水縣태평진군 9년(448년)에 백수군을 설치하였으나, 후에 백수현으로 개칭되었다.
동평현東平縣태평진군 9년(448년)에 설치되었다.
공제현孔提縣|


3. 6. 수 (7현)

중국어나라 시기 군현제가 폐지되고 주현제가 실시되면서 무도군이 폐지되고 '''무주(武州)'''가 설치되었다. 607년(수 양제 대업 3년) 군현제가 재실시되면서 무주가 무도군으로 바뀌었다. 수나라 때 무도군은 7현 10,780호를 거느렸다.[7]

수나라 시기 무도군의 7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장리현將利縣룽난시 우두구서위 때 석문현이 안륙현(安育縣)으로 개명되었다. 북주 시기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고, 동평현(東平縣)이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하지수(河池水)가 흘렀다.
건위현建威縣룽난시 우두구 북북위 때 백수군이 설치되었지만, 군이 폐지되자 현으로 남았다. 서위 때 수융군(綏戎郡)이 설치되며 독립했지만, 북주 때 수융군이 폐지되었고, 현의 이름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홍화현(洪化縣)과 공제현(孔堤縣)이 통폐합되었다.
복진현覆津縣룽난시 우두구 동남 길감향(桔柑鄕) 일대?서위 때 무계군(武階郡) 완당현(玩當縣)에서 복진현이 설치되었고, 복진현이 적만(赤萬), 접난(接難), 오부(五部) 3현과 함께 만군(萬郡)으로 분리되었다. 북주 때 만군과 적만, 접난, 오부 3현이 완당현에 통폐합되었고 개황 초기 무계군이 폐지되며 본군의 속현으로 내속되었다.
반제현盤堤縣룽난시 원현 북동서위 때 남오부현(南五部縣)이 설치되었지만 후에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북주 때 무양군(武陽郡)과 가로현(茄蘆縣)이 통폐합되었다.
장송현長松縣룽난시 원현 서서위 때 건창현(建昌縣)에서 문주(文州)와 노북군(盧北郡)이 신설되었다. 개황 초기 노북군이 폐지되었다. 598년(수 문제 개황 18년) 건창현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고 대업 초기 문주가 무주에 통폐합되었다.
곡수현曲水縣룽난시 원현서위 때 설치되었다.
정서현正西縣룽난시 원현 서남서위 때 설치되었다.


참조

[1] 서적 한서
[2]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3] 웹사이트 《후한서》113권 지 제23 군국 5 양주 무도군 https://zh.wikisourc[...]
[4] 웹사이트 《진서》14권 지 제4 지리지 上 진주 무도군 https://zh.wikisourc[...]
[5] 웹사이트 《송서》 98권 열전 제58 약양청수저열전 https://zh.wikisourc[...]
[6] 웹사이트 《위서》 106권 下 지 제2 지형지 下 제7 남진주 무도군 https://zh.wikisourc[...]
[7] 웹사이트 《수서》29권 지 제24 지리지 上 양주 무도군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