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존 로저스 (1812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로저스 (1812년)는 1812년 메릴랜드주에서 태어난 미국의 해군 장교이다. 1828년 해군 사관생도로 임관하여 지중해, 세미놀 전쟁 등에서 복무했으며, 북태평양 탐험에도 참여했다. 남북 전쟁 당시에는 가스포트 해군 공창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서부 하천 함대를 조직했으며, 제임스 강 원정에서 철갑선 갈레나 호를 지휘했다. 1869년 소장으로 진급하여 미국 아시아 분함대 사령관을 역임했고, 1871년 신미양요에서 미국 함대를 지휘했다. 이후 마레 섬 해군 기지 사령관, 미국 해군 천문대장을 거쳐 1882년 사망했다. 그는 4대에 걸쳐 해군에 복무한 가문의 일원이었으며, 두 척의 미국 해군 군함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릴랜드주 출신 - 매슈 헨슨
    매슈 헨슨은 로버트 피어리의 북극 탐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탐험가로, 뛰어난 항해술과 이누이트 문화 이해를 바탕으로 탐험에 기여했으나 인종차별로 인해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다가 사후에 업적이 재평가되었다.
  • 메릴랜드주 출신 - 에린 버넷
    미국 CNN의 《에린 버넷 아웃프런트》 진행자이자 저널리스트인 에린 버넷은 골드만삭스 금융 분석가로 시작해 블룸버그 TV와 CNBC에서 금융 및 경제 뉴스 진행, 다큐멘터리 제작 참여 후 2011년 CNN에 합류하여 현재까지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 미국 해군 군인 - 해리 벨라폰테
    해리 벨라폰테는 "데이-오 (바나나 보트 송)"으로 유명한 미국의 가수이자 배우, 사회 운동가로, 칼립소 앨범 성공과 더불어 흑인 민권 운동 참여, 에미상, 토니상, 그래미상 수상 등 예술과 사회 공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 해군 군인 - 모건 존스
    모건 존스는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활동한 미국의 배우로, 1955년 TV 드라마 《데스 밸리 데이즈》로 데뷔하여 《낫 오브 디스 어스》에서 주연을 맡는 등 다양한 영화와 TV 드라마에 출연했다.
  • 1882년 사망 - 찰스 다윈
    찰스 다윈은 자연 선택을 통한 진화론을 제시하여 현대 진화생물학의 기초를 세운 영국의 자연과학자이다.
  • 1882년 사망 - 민겸호
    민겸호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명성황후를 지지하고 개화 정책을 추진했으며 임오군란 때 살해된 후 충숙공의 시호와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존 로저스 (1812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저스, 남북 전쟁 당시
로저스, 남북 전쟁 당시
이름존 로저스
출생일1812년 8월 8일
출생지메릴랜드주 하버디그레이스
사망일1882년 5월 5일
사망지워싱턴 D.C.
매장지오크 힐 묘지 워싱턴 D.C., 미국
소속미국 해군
복무 기간1828년–1882년
최종 계급해군 소장
참전 전투세미놀 전쟁
미국 남북 전쟁
신미양요
가족 관계존 로저스 (아버지)
윌리엄 L. 로저스 (아들)
존 로저스 (손자)
서명
군사 경력
지휘북태평양 탐험 및 조사 원정대
서부 하천함대
미국 아시아 분함대
미국 해군 천문대

2. 어린 시절

존 로저스는 메릴랜드주 하버디그레이브스 근처에서 태어났다. 1828년 4월 18일 미 해군 사관생도로 입대했다.[1] USS 콘코드 호와 USS 콘스텔레이션 호에서 지중해에서 복무한 것은 그의 긴 해군 경력의 시작이었다. 세미뇰 전쟁 중에는 플로리다에서 해군 보병 및 해병대의 원정대를 지휘하기도 했다.

그는 존 로저스 (1772-1838) 제독의 아들이었다.

3. 초기 경력

1828년 4월 18일 미 해군 사관생도로 입대했다. USS 콘코드 호와 USS 콘스텔레이션 호에서 지중해 근무는 그의 긴 해군 경력의 시작이었고, 세미뇰 전쟁 중에는 플로리다에서 해군 보병 및 해병대의 원정대를 지휘하기도 했다.[1] 1850년대 중반, 캐드월레이더 링골드 제독을 계승하여 북태평양 탐험 및 조사 원정대를 지휘하며 탐험 활동을 통해 새로운 정보들을 추가했다.[1] 1855년 중령으로 승진한 후 결혼하여 워싱턴 D.C.에 정착하여 해군성 일본국(Navy's Japan Office)에서 근무했다.[1]

4. 남북 전쟁

루이스 M. 골즈보로 준장과 함께 가스포트 해군 공병창에 부임한 로저스 중령은 해군 소유 함정 및 자산을 이전하는 임무를 수행하여 남부동맹이 사용할 수 없도록 했다.[4] 버지니아가 연방 탈퇴를 막 선언했을 때, 메리맥 호를 포함하여 가스포트 공병창은 이미 난장판이 된 상태였다.

로저스는 공병창을 지켜낼 수 있을지를 심사숙고해야 했다. 골즈보로 준장은 공병창을 파괴하기로 결심했고, 로저스 중령과 육군의 호라시오 G. 라이트 공병대위에게 드라이독 파괴를 명령했다. 그러나 물 때문에 도화선이 꺼져 실패했다. 남부 동조자가 도화선을 껐다는 소문이 돌았으나, 사실이 아니었다.[4] 로저스 중령과 라이트 대위는 버지니아주 민병대의 윌리엄 탤리어페로 장군에게 붙잡혔지만, 버지니아가 아직 남부 동맹에 가입한 상태는 아니었기에 존 렉터 주지사는 두 장교를 워싱턴으로 돌려보냈다.

로저스 중령은 서부로 파견되어 서부 하천함대를 조직했다. 이 함대는 서부 지역 최초의 철갑 포함인 시티급 포함으로 구성되었다. 깐깐한 존 C. 프레몬트 육군 소장을 상대할 보다 상급자가 필요했던 앤드류 헐 푸트 대위의 짐을 덜어주었다.[4] 조지아주 서배너에 대한 봉쇄 작전 후, 로저스는 1862년 4월에 제임스 강에서 작전을 성공리에 수행한 실험 철갑선 갈레나 호의 지휘를 맡았다. 제임스 강 함대를 이끌고 1862년 5월, 제임스 강을 거슬러 올라가 남부동맹의 요새인 드레위리 블러프에서 공격을 당해 수도 리치먼드 8마일 지점에서 저지당했다. 갈레나 호가 입은 피해는 "함정이 방탄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입증했다"고 보고될 정도였다.[4] 그 후 로저스는 조지 매클렐런반도 전역을 지원하면서 함포 사격으로 남군이 포토맥군의 진지를 돌파하지 못하도록 저지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1862년 7월 16일 철갑선 위호켄 호의 함장이 된 존 로저스는, 북군의 모니터 호를 침몰시킨 폭풍우를 뚫고 브룩클린에서 찰스턴까지 성공적으로 항해했다.[4] 1863년 5월 단독으로 섬터 요새를 공격했고, 6월 17일에는 남군의 CSS 아틀랜타 호를 나포하여 중령으로 승진했다.[4] 부상에서 회복된 후, 철갑선 독재자 호의 함장이 되었으나, 함선의 설계 및 구조 문제로 인해 남은 전쟁 기간 동안 큰 활약을 보이지 못했다.

5. 신미양요

1869년 12월, 소장으로 진급한 로저스는 미국 아시아 분함대 사령관이 되었다. 로저스 소장은 휘하 함대의 지휘뿐만 아니라 외교 임무도 관할할 수 있었다. 1871년 그가 지휘했던 신미양요는 미국 외교사에서 좋은 순간은 아니었다.

원정의 총책임은 청나라 주재 전권공사였던 프레드릭 로우가 맡았고, 로저스는 그를 도와 무력 투사를 지휘했다. 로저스가 이끈 병력은 군함 5척 (함포 85문)과 병력 1,230명이었다. 조선과 외교협상이 조선의 완강한 거부로 실패하자, 로저스는 초지진을 시작으로 광성보까지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조선은 지구전으로 나왔고, 대규모 침략은 감행할 수 있는 전력도 없고 미국 정부의 훈령 범위도 벗어난 문제여서, 로저스는 후퇴하게 되었다.[2]

미 해군 소장(Rear Admiral) 로저스가 1871년 6월 조선 앞바다에서 기함인 증기 프리깃함에 승선하여 해군 장교들과 전쟁 회의를 하는 모습을 담은 사진. 오른쪽 테이블에 기대앉아 있다. 이 사진은 미국 조선 원정(United States expedition to Korea)에 앞서 촬영되었다.

6. 말년

1873년 6월 15일, 미국으로 돌아온 존 로저스는 마레 섬 해군 기지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거의 4년간 복무했다. 1877년 4월에는 미국 해군 천문대 소장으로 임명되었고, 1882년 5월 5일 워싱턴 D.C.에서 사망했다.[2] 그는 워싱턴 D.C.의 오크힐 묘지(Oak Hill Cemetery)에 안장되었다.[3]

7. 가계

그의 아버지 존 로저스 (1772–1838)는 미국-영국 전쟁 당시 해군 준장이었으며, 그의 할아버지 역시 미국 독립 전쟁 당시 연대를 지휘했던 존 로저스 대령이었다.[1] 그의 아들 윌리엄 L. 로저스는 미국 해군에서 중장까지 진급했다. 그의 형제 Robert Smith Rodgers|로버트 스미스 로저스영어는 미국 남북 전쟁 당시 연방군 대령으로 복무했다. 그의 조카인 프레더릭 로저스와 John Augustus Rodgers|존 오거스터스 로저스영어 (1848-1933)는 모두 미국 해군에서 소장을 역임했다.

8. 기타

그의 아버지도 존 로저스였다. 그의 아버지는 1812년 미영 전쟁에 참전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의 존 로저스와도 관련있다.[1]

두 척의 미국 해군 군함이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이는 미국 해군에서는 큰 명예로 여겨진다.[1]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Discovery and Exploration of the Pacific Islands https://archive.org/[...] The Scarecrow Press
[2] 학술지 Rear-Admiral John Rodgers, President of the Naval Institute, 1879–82 https://www.usni.org[...] 2024-06-11
[3] 웹사이트 Oak Hill Cemetery, Georgetown, D.C. (North Hill) - Lot 298 https://www.oakhillc[...] 2022-08-17
[4] 문서 섬터 요새는 남북전쟁이 시작된 찰스턴 항 앞바다에 있는 요새로서, 전쟁 직후 남군이 접수하여 요새로 사용하고 있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