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방콕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방콕 홍콩 경제무역대표부는 태국 방콕에 위치한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의 대표부이다. 2019년 2월 28일에 설립되어 태국, 캄보디아, 미얀마, 방글라데시 4개국과 홍콩 간의 경제, 무역, 투자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을 촉진하고 홍콩과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간의 관계를 증진하는 역할을 한다. 2019년부터 레이성윈이 대표를 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국-홍콩 관계 - 밀크티 동맹
밀크티 동맹은 2020년 태국 배우의 트위터 논란을 계기로 시작된 중국 반대 온라인 연대로, 홍콩, 대만, 태국 등의 민주주의 및 반권위주의 가치를 지향하며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국제적인 사안에도 영향을 미치는 수평적인 연대이다. - 방콕 주재 공관 - 주태국 대한민국 대사관
주태국 대한민국 대사관은 1958년 한-태국 외교 관계 수립 후 1960년 대사관으로 승격되어 태국 방콕에서 정무, 경제, 영사, 문화홍보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대한민국 외교공관이며, 현재의 청사는 김중업이 설계한 한국 건축 양식의 건물로 티암루암밋 로드에 위치한다. - 방콕 주재 공관 - 주태국 포르투갈 대사관
주태국 포르투갈 대사관은 태국 방콕에 위치하며, 1786년 라마 1세 국왕이 부지를 제공하면서 시작되어 콜로니얼 양식의 건물과 정원을 갖추고 외교, 문화, 상업 교류를 증진하는 역할을 한다. -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 홍콩 경제무역문화판사처
홍콩 경제무역문화판사처는 홍콩 정부가 타이베이에 설립하여 홍콩과 대만 간 교류 및 협력을 증진하고 대만 거주 홍콩 시민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했으나 2021년 5월 무기한 잠정 폐쇄되었다. -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서울 사무소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서울 사무소는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가 대한민국에 설치한 공식 대표 기관으로, 홍콩과 한국 간의 경제, 무역, 투자 관계 증진 및 문화 교류를 목표로 한다.
주방콕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현지어 이름 | 香港駐曼谷經濟貿易辦事處 (홍콩 주 방콕 경제무역대표부) |
현지어 (영어) | Hong Kong Economic and Trade Office (Bangkok)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방콕)) |
개요 | |
설립일 | 2019년 2월 28일 |
관할 국가 및 지역 | 태국 캄보디아 미얀마 방글라데시 |
소재지 | 방콕 방락 시롬 북사톤로 98번가 사톤 광장 21층 |
상급 기관 | 상무경제발전국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주방콕 홍콩 경제무역대표부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2010년대 들어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이 홍콩의 중요한 무역 파트너로 부상하면서,[1] 기존 주싱가포르 홍콩 경제무역대표부의 업무가 증가하였다. 이에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는 아세안 국가들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업무를 효율적으로 분담하기 위해 대표부 신설을 추진했다. 2016년 주자카르타 홍콩 경제무역대표부를 설립한 데 이어,[2]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유대를 더욱 강화하고 남아시아에서의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2019년 2월 28일 태국 방콕에 주방콕 홍콩 경제무역대표부를 추가로 개설하였다.[3][4][5] 주방콕 대표부는 태국, 캄보디아, 미얀마, 방글라데시 4개국과의 관계를 담당하며,[6] 경제, 무역, 투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홍콩과 이들 국가 및 아세안 전체와의 협력을 증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4]
2. 1. 설립 배경
2010년대 들어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은 경제 성장을 바탕으로 일본, 미국을 제치고 홍콩의 2번째로 큰 무역 상대로 부상했다.[1] 이에 따라 기존에 동남아시아 지역을 담당하던 주싱가포르 홍콩 경제무역대표부의 업무 부담이 커졌다.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는 늘어나는 업무를 분담하기 위해 2016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주자카르타 홍콩 경제무역대표부를 신설하고, 주싱가포르 대표부의 일부 업무를 이관했다.[2]이후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는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를 더욱 강화하고, 남아시아 국가들에서의 새로운 사업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태국 방콕에 추가로 경제무역대표부를 설립하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결정에 따라 2019년 2월 28일 주방콕 홍콩 경제무역대표부가 공식적으로 문을 열었으며,[3] 기존 주자카르타 대표부가 담당하던 업무 일부를 넘겨받았다.[4][5] 대표부 설립은 홍콩과 태국, 캄보디아, 미얀마, 방글라데시 4개국 간의 경제, 무역, 투자 등 다방면에 걸친 협력을 증진하고, 나아가 홍콩과 아세안 전체의 관계를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6][4]
2. 2. 설립 과정
2010년대 들어 경제 성장을 이룬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아세안)은 일본, 미국을 넘어 홍콩의 2번째로 큰 무역 상대로 부상했다.[1] 이에 따라 주싱가포르 홍콩 경제무역대표부의 업무 부담도 커졌다.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는 늘어나는 업무를 분담하고 아세안과의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2016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주자카르타 홍콩 경제무역대표부를 새로 설립하고, 기존 주싱가포르 대표부가 맡던 업무 일부를 이곳으로 옮겼다.[2]이후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는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유대를 더욱 강화하고 남아시아에서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찾기 위해 태국 방콕에도 대표부를 추가로 설립하기로 결정했다. 2019년 2월 28일, 주방콕 홍콩 경제무역대표부가 공식적으로 문을 열었으며[3], 주자카르타 홍콩 경제무역대표부가 담당하던 업무 중 일부가 다시 주방콕 대표부로 이관되었다.[4][5] 이를 통해 주방콕 대표부는 태국, 캄보디아, 미얀마, 방글라데시 4개국과 홍콩 간의 관계를 전담하게 되었다.[6] 대표부는 경제, 무역, 투자 등 여러 분야에서 태국과 홍콩의 협력을 증진하고, 홍콩과 아세안 전체의 관계 발전을 돕는 역할을 맡게 되었다.[4]
3. 역할
대표부는 태국, 캄보디아, 미얀마, 방글라데시 4개국과 홍콩 간의 관계를 담당한다.[6] 주요 역할은 경제, 무역, 투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태국과 홍콩 간의 상호 협력을 증진하고, 나아가 홍콩과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전체와의 관계를 촉진하는 것이다.[4]
4. 역대 대표
(내용 없음)
4. 1. 현 대표
- 레이성윈 (李湘原zho, 2019년 ~ 현재)
참조
[1]
웹인용
立法會CB(1)642/15-16(05)號文件
https://www.legco.go[...]
2016-03-15
[2]
웹인용
立法會CB(1)642/15-16(05)號文件
https://www.legco.go[...]
2016-03-15
[3]
웹인용
香港駐曼谷經貿辦開幕 林鄭:將大灣區帶到泰國
https://www.hk01.com[...]
2019-02-28
[4]
웹인용
香港駐曼谷經濟貿易辦事處投入運作
https://www.info.gov[...]
2019-02-28
[5]
웹인용
立法會CB(1)1238/17-18(08)號文件
https://www.legco.go[...]
2018-07-17
[6]
웹인용
Welcome Message
https://www.hketob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