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석부 (베트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석부(베트남)는 프랑스 식민지 시기에 인도차이나 총독의 관저로 건설되어, 베트남 독립 이후 국가 주석궁으로 사용된 건물이다. 1901년부터 1906년 사이에 건축되었으며, 유럽식 건축 양식을 따르고 있다. 호찌민은 이 웅장한 건물에 거주하지 않고, 부지 내의 다른 건물에서 생활하며 국가 손님을 맞이하는 장소로 활용했다. 현재는 정부 회의 장소로 사용되며, 일반에게는 공개되지 않지만 부지 관람은 가능하다. 부지 내에는 호찌민의 묘소와 잉어 연못 등이 있으며, 2019년에는 도널드 트럼프와 김정은의 회담 장소로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궁전 - 후에 황성
후에 황성은 베트남 응우옌 왕조의 수도였던 후에에 자롱제에 의해 건설된 성곽 도시로, 자금성을 본떠 만든 황궁, 자금성 등으로 구성되어 한때 베트남의 중심지였으나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어 보존 및 복원되고 있다. - 베트남의 궁전 - 독립궁
독립궁은 과거 남베트남 대통령 관저이자 집무실이었으며 현재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고,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는 노로돔 궁전으로 불렸으며, 베트남 전쟁의 상징적인 장소로 당시 전차와 내부가 보존되어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 - 1906년 완공된 건축물 - 덴마크 왕립도서관
덴마크 왕립도서관은 1648년 프레데리크 3세에 의해 설립된 국립 도서관으로, 일반 공개와 코펜하겐 대학교 도서관 등과의 통합을 거쳐 현재는 블랙 다이아몬드 신관과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 자료들을 소장하고 있다. - 1906년 완공된 건축물 - 부다페스트 미술관
부다페스트 미술관은 헝가리 건국 1000년을 기념하여 1896년 설립, 1906년 개관한 미술관으로 고대 이집트 미술, 앤티크, 서양 회화 및 조각, 19세기 이후 회화 등 다양한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으며, 특히 파울 아른트의 고전 시대 유물과 에스테르하지 가문의 소장품이 핵심 컬렉션을 이루고, 2008년부터 미술관 지구 프로젝트가 추진되었으나 논란과 비판에 직면했다. - 베트남 정부 - 베트남 철도
베트남 철도는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시작되어 남북선 완공 후 전쟁 피해를 겪었으나 복구 및 발전을 거쳐 현재는 노선망 운영과 현대화 사업이 진행 중이며, 고속철도 건설 및 국제 노선 확장 계획을 추진 중이나 시설 노후화와 운행 속도 저하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베트남 정부 - 베트남 항공
베트남항공은 1956년 설립된 베트남 국영 항공사로, 스카이팀 회원사로서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오세아니아 등 다양한 지역에 취항하며, 기종 현대화와 국제적인 경쟁력 강화를 통해 성장하고 있고, 다양한 좌석 등급과 마일리지 적립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주석부 (베트남)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푸쭈띡 (Phủ Chủ tịch) |
프랑스어 명칭 | 팔레 뒤 구베르느망 제네랄 드 랭도신 (Palais du Gouvernement général de l'Indochine) |
베트남어 명칭 | 푸 똔 꾸옌 동 즈엉 (Phủ Toàn quyền Đông Dương) |
위치 | 바딘구, 하노이, 베트남 |
좌표 | 21°02′20″N 105°50′03″E |
상세 정보 | |
건축가 | 오귀스트 앙리 빌디외 |
건축 양식 | 프랑스 식민지 양식, 이탈리아 르네상스 양식 |
착공 | 1900년 또는 1901년 |
완공 | 1906년 |
용도 | 인도차이나 총독부 건물 |
소유주 | 베트남 정부 |
층수 | 3층 |
바닥 면적 | 1,300㎡ |
2. 역사
19세기 후반 프랑스는 베트남을 점령하면서 중앙에서 지방까지 통치 기구를 조직했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는 통킹 총독부가 있었고, 각 성에는 주재 대사들이 있었다. 1945년 8월 혁명까지 29명의 총독들이 이 건물에서 거주하며 생활했다. 일본이 인도차이나에서 프랑스를 전복했을 때, 이 저택은 베트남 북부의 일본 대사 거주지 및 근무지로 사용되었다. 일본이 항복한 후, 프랑스는 재통치의 상징으로 이 저택을 다시 차지하려 했다. 그러나 호찌민 주석은 인도차이나 총독부 기관을 폐지하고 베트남 임시 정부를 수립했다. 프랑스는 인도차이나를 다시 점령한 후 이곳을 통킹 공화국 위원회의 일터로 삼았다.
1954년 베트남 민주공화국이 하노이로 옮겨오면서 이 건물은 주석과 보조 기구의 저택으로 사용되었고, 이때부터 '주석궁'이라는 공식 명칭을 갖게 되었다. 1954년부터 1969년까지 15년간 호찌민 주석은 주석궁에서 1000여 명의 국내외 대표단을 영접했고, 새해 첫날 신년사를 낭독하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베트남 독립 선언으로 베트남이 독립하면서 총독 관저는 국가 주석 궁전이 되었다. 부지는 14ha의 넓이로 망고 나무가 심어져 있다. 남쪽에 연못이 있고 잉어가 길러지고 있다. 근처에는 호찌민 묘와 국회의사당 (베트남)이 위치하고 있다.[2]
2. 1. 프랑스 식민지 시기
19세기 후반, 프랑스는 베트남 점령기에 중앙에서 지방까지 통치 기구를 조직했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는 코친차이나 총독의 궁전인 통킹 총독부가 있었고, 각 성에는 주재 대사들이 있었다.[3]1883년 하노이를 점령한 프랑스인들은 하노이 시를 새로 건설하기 시작했으며, 인도차이나 총독부 본부를 포함한 인프라 공사를 진행했다. 인도차이나 총독부는 1901년부터 1906년 사이에 건축가 찰스 리히텐펠더(Charles Lichtenfelder)에 의해 설계 및 건축되었다. 당시 프랑스 식민지 정권의 공공 건설 수장이었던 아우구스트 앙리 빌디우(Auguste Henri Vildieu)가 정부 건설을 담당했다는 설도 있다. 폴 두메르 총독이 이 건축을 시작했는데, 학자 윌리엄 로건은 두메르가 "프랑스의 영광을 반영하는 식민지 수도를 건설하고 싶었기 때문에" 지나친 열정을 보였다고 말했다.[3]

이 궁전은 1900년에서 1906년 사이에 인도차이나의 프랑스 총독을 수용하기 위해 지어졌으며, 대부분의 프랑스 식민지 건축과 마찬가지로 명확하게 유럽적이다. 베트남에 있다는 유일한 시각적 단서는 부지에 자라는 망고 나무뿐이다. 노란색 궁전은 주철 문 뒤에 있으며, 초소가 양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디자인 요소를 통합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1906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총독의 관저로 세워진 순수한 유럽 스타일 건축물이다. 프랑스 건축이지만 계단과 기둥 장식에 이탈리아 르네상스 건축의 요소가 보인다. 1층은 사용인용으로 반 지하이며, 2층은 현관, 홀, 사무실, 3층은 총독의 거주 공간이었다.
2. 2. 베트남 독립 이후
1945년 8월 혁명으로 베트남이 독립하면서, 기존 인도차이나 총독부 건물은 주석궁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호찌민 주석은 1945년 10월 3일 이곳에서 인도차이나 총독부의 모든 기관을 폐지하고 베트남 임시 정부 조직 체계를 확립하는 법령에 서명했다.[3] 1954년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베엣민이 승리한 후, 주석궁은 주석과 보조 기구의 저택으로 사용되었다.호찌민은 상징적인 이유로 웅장한 주석궁 건물에 거주하는 것을 거부하고, 대신 1954년부터 1969년까지 궁전 뒤편의 옛 전기기술공의 저택에서 생활하며, 국제기자와 외교사절도 만났다.[3] 주석궁에서는 주로 국내외 대표단을 영접했다. 그는 부지에 전통적인 베트남 말뚝집과 잉어 연못을 지었다. 그의 집과 부지는 1975년에 주석궁 역사 유적지가 되었다.
주석궁은 정부 회의를 주최하는 장소로 사용된다. 궁전 자체는 일반에 공개되지 않지만, 유료로 부지를 둘러볼 수 있다. 호찌민 묘소는 궁전 근처에 있다. 2019년 2월 27일, 도널드 트럼프는 김정은과 하노이 주석궁에서 두 번째로 공식 회담을 가졌다.[1]
3. 건축 양식
이 건물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지어진 30개의 방으로 이루어진 가장 큰 건물 중 하나로, 각 방마다 다른 장식이 있다. 인도차이나 총독부의 원래 설계에 따르면, 건물의 구내는 대칭적으로 설계되었으며, 가운데에는 큰 블록이 있고 측면에는 두 블록이 있다. 이 건물은 연단에 두 개의 주요 층이 있으며, 꼭대기에는 펜트하우스가 있다. 지하실은 반 부동의 지하실로, 프랑스 고전 건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홈을 판 돌로 된 석조공예로, 서비스실이 있다. 2층은 원래 거실, 사무실, 연회장이고, 3층은 총독의 개인방과 거주지다. 같은 시대의 많은 프랑스 식민지 건축물과 마찬가지로, 이 건물도 완전히 유럽적인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이 지역의 유일한 베트남적 요소는 주변 정원에서 자라는 망고 나무들이다.
철문 뒤에 위치한 이 건물은 노란 석회로 칠해져 있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건축의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 방
- 큰 계단과 중앙 홀
- 깨진 박공벽
- 고전적인 기둥
- 모퉁이
이 궁전은 1900년에서 1906년 사이에 인도차이나의 프랑스 총독을 수용하기 위해 지어졌으며, 건축가 샤를 리히텐펠더(Charles Lichtenfelder)가 건설했다. 이는 종종 오귀스트 앙리 빌디유에게 잘못 귀속되는데, 그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공식 프랑스 건축가였다. 대부분의 프랑스 식민지 건축과 마찬가지로, 이 궁전은 명확하게 유럽적이다. 베트남에 위치해 있다는 유일한 시각적 단서는 부지에 자라는 망고 나무뿐이다.
노란색 궁전은 주철 문 뒤에 있으며, 초소가 양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디자인 요소는 다음과 같다.
1906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총독의 관저로 세워진 순수한 유럽 스타일 건축물이다. 프랑스 건축이지만 계단과 기둥 장식에 이탈리아 르네상스 건축의 요소가 보인다. 1층은 사용인을 위한 반 지하이며, 2층은 현관, 홀, 사무실, 3층은 총독의 거주 공간이었다.[2]
4. 부속 시설
이 궁전은 1900년에서 1906년 사이에 인도차이나의 프랑스 총독을 수용하기 위해 지어졌으며, 건축가 샤를 리히텐펠더(Charles Lichtenfelder)가 건설했다. 대부분의 프랑스 식민지 건축과 마찬가지로, 이 궁전은 명확하게 유럽적이다. 베트남에 위치해 있다는 유일한 시각적 단서는 부지에 자라는 망고 나무뿐이다.[1]
노란색 궁전은 주철 문 뒤에 있으며, 초소가 양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디자인 요소를 통합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1906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총독의 관저로 세워진 순수한 유럽 스타일 건축물로, 프랑스 건축 양식이지만 계단과 기둥 장식에 이탈리아 르네상스 건축의 요소가 보인다. 1층은 사용인용으로 반 지하이며, 2층은 현관, 홀, 사무실, 3층은 총독의 거주 공간이었다.[2]
궁전 자체는 일반에 공개되지 않지만, 유료로 부지를 둘러볼 수 있다. 호찌민 묘소는 궁전 근처에 위치해 있다.[1] 부지는 14ha의 넓이로 망고 나무가 심어져 있다.[2]
4. 1. 호찌민의 관저
호찌민은 상징적인 이유로 이 웅장한 건물에 사는 것을 거부했지만, 국가 손님을 맞이할 때는 이곳을 사용했다.[1] 그는 궁전 뒤편에 전통적인 베트남 말뚝집과 잉어 연못을 지었다. 그의 집과 부지는 1975년에 주석궁 역사 유적지가 되었다.
호찌민은 궁에서 살거나 업무를 보지 않고 손님 영접만 했다. 1954년부터 1969년까지 그는 궁전 뒤편의 옛 전기기술공 저택에서 거주하며 국제기자와 외교사절을 만났다.[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베트남 독립 선언으로 베트남이 독립하자 총독 관저는 국가 주석 궁전이 되었다. 호찌민은 1969년 사망할 때까지 국가 주석을 지냈으나, 궁전 내 거주 공간에 입주하는 것을 거부하고 부지 내에 있는 Khu di tích Phủ Chủ tịch|사용인 주택vi에 거주했으며, 내빈을 만날 때만 궁전에 들어갔다.[2]
이곳은 호찌민 주석이 새해 첫날 신년사를 낭독하던 곳이기도 하다. 그는 1954년부터 1969년까지 15년간 주석궁에서 1000여 명의 국내외 대표단을 영접했다.
4. 2. 잉어 연못
1954년 베트남이 독립을 달성했을 때, 호찌민은 상징적인 이유로 이 웅장한 건물에 사는 것을 거부했지만, 국가 손님을 맞이할 때는 그곳을 이용했다. 그는 결국 부지에 전통적인 베트남 말뚝집과 잉어 연못을 지었다.[1] 부지는 14ha의 넓이로 망고 나무가 심어져 있으며, 남쪽에는 잉어가 길러지는 연못이 있다.[2]5. 갤러리
6. 같이 보기
-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 프랑스 건축
- 르네상스 건축
- 호찌민
- 호찌민 묘
- 국회의사당 (베트남)
참조
[1]
웹사이트
Trump in Hanoi for 2nd Summit with Kim
https://www.voanews.[...]
2019-02-26
[2]
웹사이트
Khu di tích Chủ tịch Hồ Chí Minh tại Phủ Chủ tịch
http://niengiam.toqu[...]
2022-11-16
[3]
서적
Hanoi: Biography of a Ci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