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잉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잉어는 잉어과에 속하는 물고기로, 동아시아가 원산지이며,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잉어(Cyprinus rubrofuscus)는 과거에는 잉어(Cyprinus carpio)의 아종으로 여겨졌으나, 유전학적 및 계측형질적 차이로 인해 별개의 종으로 인정받는다. 잉어는 하천, 웅덩이, 연못 등 진흙 바닥에서 주로 서식하며, 육식성으로 작은 동물을 먹는다. 잉어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문화에서 중요한 상징으로 여겨지며, 식용, 관상용으로 널리 이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어속 - 비단잉어
    비단잉어는 일본에서 만들어진 화려한 색과 무늬를 가진 관상용 잉어 품종으로, 식용 잉어의 돌연변이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행운과 번영의 상징으로 여겨지지만 야생에서는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 잉어속 - 향어
  • 민물고기 - 메기
    메기는 메기과에 속하는 비늘 없는 야행성 어류로, 긴 수염을 이용해 감각을 감지하며 한국에서는 매운탕 재료, 일본에서는 낚시 대상어 및 문화 소재로 활용되지만 서식지 파괴로 보호가 필요한 상황이다.
  • 민물고기 - 줄납자루
  • 생물학에 관한 - 나일농어
    나일농어는 아프리카 원산의 눈볼개과 민물고기로, 거대한 크기와 왕성한 식욕을 가진 최상위 포식자이지만, 빅토리아 호수 생태계 교란과 상업적 가치로 인한 낚시 대상어라는 양면성을 지닌 어종이다.
  • 생물학에 관한 - 녹색 경제
    녹색 경제는 환경 영향 최소화, 자원 효율성 증대,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하며, 재생에너지, 친환경 건축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는 경제 시스템으로, 기후변화 대응의 필수 전략이지만 사회경제적 비용, 불평등 심화 우려, 시장 메커니즘 한계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며, 국제기구와 여러 국가, 대한민국 또한 녹색 경제 전환을 추진 중이나 정책 불확실성, 사회적 합의 부재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잉어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학명Cyprinus rubrofuscus
명명자Lacépède, 1803
영명Amur carp
잉어속
잉어과
잉어목
조기어류
동물계
IUCN 보존 상태LC
IUCN 보존 상태 참고국제 자연 보호 연맹
형태
기타 학명Cyprinus carpio haematopterus Temminck & Schlegel, 1846
Cyprinus viridiviolaceus Lacépède, 1803
기타 정보
FishBaseFishBase 링크
ISBN978-2-7380-0869-5
978-1-118-39442-7

2. 분포

잉어(Cyprinus rubrofuscus)는 과거 라오스, 베트남, 중국에서만 서식한다고 알려졌으나, 이후 러시아 연해주 아무르강에서부터 베트남 홍강까지 서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29] 한국, 북한의 야생 재래종 잉어는 ''Cyprinus rubrofuscus''이다.

아무르강에서 홍강 유역에 이르는 라오스, 베트남, 한국, 중국, 러시아 연해주가 원산지이며,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한다. 자연 서식지 외에도 도입된 곳이 있다.[9]

3. 분류

최근 일본에서는 비단잉어의 조상을 기존의 Eurasian_carp|유라시안 잉어|Cyprinus carpio영어가 아닌 Cyprinus rubrofuscus|Cyprinus rubrofuscus영어일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는데[30][31], 이는 Cyprinus carpio|Cyprinus carpio영어의 원 서식지가 동아시아가 아닌 동유럽카스피해 부근이기 때문이고, 중국 대륙에 서식하는 Cyprinus rubrofuscus|Cyprinus rubrofuscus영어에서 홍잉어와 같은 변이종이 잘 출현하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Cyprinus rubrofuscus|Cyprinus rubrofuscus영어의 학명이 Cyprinus_rubrofuscus|C. c. haematopterus영어였기 때문에 유럽잉어(Cyprinus carpio|Cyprinus carpio영어)에 속한다고 할 수 있으나, 지금은 Cyprinus rubrofuscus|Cyprinus rubrofuscus영어로 아종이 아닌 별개의 종으로 분리되었기 때문에 Cyprinus carpio|Cyprinus carpio영어라고 하는 것에는 문제가 있어 보인다.

과거에는 종종 ''C. carpio haematopterus''(이명)라는 학명 아래 잉어(''Cyprinus carpio'')의 아종으로 여겨졌지만, 이들은 유전학[10][11] 및 계측형질적으로 다르다. 따라서 최근의 자료들은 이들을 별개의 종으로 인정하고 있다[12][9]. 이전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북부("''haematopterus''")와 남부("''viridiviolaceus''") 집단 간에 계측형질[13] 및 유전학적[10] 차이가 약간 있음을 발견했지만, 후속 연구에서 이들이 단계통군이 아님이 밝혀졌다[14]. 그러나 잉어가 다양한 지역 사이를 광범위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계통학적 구조를 구축하는 것은 어렵다[14]. 관상용으로 개량된 니시키고이의 조상종은 ''C. carpio''가 아니라 아마도 동아시아 잉어(''C. rubrofuscus'')일 것이다[15][16].

4. 생태

잉어는 육식성으로 흙 속의 작은 동물을 먹는다. 봄철 수온이 20°C가 되면 식욕이 늘어나고, 28°C~30°C에서 가장 왕성하다.[1] 산란기가 되면 암수가 물 위로 날뛰며 산란, 방정한다. 알은 18°C~22°C 전후에서 3~6일이면 부화한다.[1]

4. 1. 서식 환경

잉어는 하천 중류 이하의 물살이 세지 않은 큰 강이나 웅덩이, 연못과 같이 바닥이 진흙으로 된 곳에서 주로 서식한다. 주로 큰 강이나 호수에 살며, 겨울에는 물속 깊이 들어가고 수온이 상승하면 얕은 곳으로 몰려든다. 다소 짠물이 섞인 강 어귀에 사는 경우도 있고, 물이 빠질 때에는 하구나 물이 흘러드는 내만에서도 발견된다.[1] 육식성으로 흙 속의 작은 동물을 먹는데, 봄에 수온이 20°C가 되면 식욕이 늘어나고 28°C~30°C에서 가장 왕성하다.[1]

4. 2. 산란

산란은 5월경부터 수온이 20°C로 상승하면서 시작되며 28°C~30°C 사이에서 가장 왕성하다. 산란은 보통 한 산란기에 2-3회 하며, 아침 일찍부터 오전 사이에 물가의 잡초가 우거진 곳에 모여 암수가 물 위로 날뛰며 산란·방정한다. 알은 동그랗고 난막이 약간 두꺼우며 표면에 점성물질이 있어서 다른 물체에 잘 부착한다. 알은 18°C~22°C 전후에서 3-6일이면 부화한다.

5. 형태



어린 잉어는 '발강이'라고 부른다.[28] 몸길이는 일정하지 않으나 대략 0.5m 정도이다. 몸은 유선형으로 길고 두께가 얇고 폭이 넓다. 머리는 원뿔 모양이며 입은 몸의 앞쪽에 있다. 몸은 누른빛을 띤 녹색이고 등쪽은 짙고 배쪽은 연한 색이며 옆구리는 갈색이다. 입 둘레에 두 쌍의 수염이 있고 이빨은 잘 발달되어 있으며, 비늘은 작고 둥글다.

잉어는 빛깔이나 비늘에 따라 뚜렷한 변이가 있다. 색채 변이로는 금잉어, 적백잉어, 오색잉어, 삼색잉어 및 기타 여러 종류가 있고, 비늘의 차이로는 가죽잉어, 거울잉어 등의 변종이 있다. 일반 가정에서 자양 또는 반약용으로 귀하게 여겨 왔다. 간디스토마가 없으므로 회로 먹어도 안전하다.

6. 문화

잉어는 예로부터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상징과 의미를 지닌 물고기로 여겨져 왔다. 특히 중국과 일본에서는 잉어가 특별한 의미를 가지며, 이는 민속, 요리, 풍습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중국에서는 잉어가 좋은 징조를 상징하며, 잉어와 관련된 여러 속설이 전해진다. 특히 '잉어가 용문을 뛰어넘는다'는 이야기는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는 입신양명을 상징한다. 당나라 시대에는 황제의 성과 잉어의 발음이 같아 잉어의 이름을 바꾸고, 잉어를 잡거나 먹는 것을 금지하기도 했다.[17] 광둥성 등 일부 지역에서는 잉어 비늘을 포함한 잉어찜 요리가 발달했다.

일본에서는 중국에서 유래한 '등용문' 전설이 전해지며, 에도 시대부터 단오에 잉어 깃발(고이노보리)을 장식하는 풍습이 있었다. 이는 자녀의 출세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메이지 시대 이후 일반에 보급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일본서기에는 경행천황이 잉어를 연못에 풀어 미녀의 환심을 사려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18] 후쿠시마현은 잉어 출하량이 가장 많은 지역으로,[19] 잉어국, 조림, 회 등 다양한 잉어 요리가 발달했다. 잉어는 간디스토마 등의 기생충 감염 위험이 있으므로 날것으로 섭취하는 것은 주의해야 한다.[20][21][22]

바다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는 잉어가 귀중한 단백질 공급원으로, 장군이나 천황에게 바치는 공식적인 연회 요리에 사용되기도 했다.[23] 또한, 임산부가 잉어를 먹으면 건강에 좋다는 속설과 모유 수유에 도움이 된다는 전승도 전해진다. 야마가타현 요네자와시후쿠시마현 고리야마시 등에서는 잉어 양식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식생활 변화로 인해 잉어 생산량이 감소하는 추세이다.[25][26][27]

6. 1. 중국

잉어는 예로부터 좋은 징조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으며, 마음의 양식으로서 고대 가요에도 다양한 잉어가 등장한다. 중국어에서 잉어 ‘鯉|lǐ중국어’와 ‘얻다’라는 뜻의 ‘得|dé중국어’는 동음이의어이기 때문에, “두 집안이 다 얻는다”, “한 집안이 다 얻는다”라는 속설이 있다. 그 외에도 ‘富貴有餘|fùguì yǒuyú중국어’라는 말도 주로 잉어를 가리킨다. 잉어가 용문을 뛰어넘는다는 이야기는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

중국 4대 품종에 잉어(鯉)가 포함되지 않는 첫 번째 이유는, 당나라 시대 황제의 성이 ‘이(李)’였고, ‘이(鯉)’와 음이 같으면서 뜻이 다른 동음이의어였기 때문이다.[17] 따라서 잉어의 이름이 "적굉공(赤鯶公)"으로 변경되었다.[17] 더 나아가 조정에서는 잡은 잉어를 다시 놓아주도록 하는 법령을 제정했다. 잉어를 먹는 것은 전국적으로 금지되었고, 잉어를 판매한 자에게는 60대의 태형이라는 형벌이 주어졌다.[17] 이로 인해 전통적인 잉어 양식 산업이 파괴되어, 중국 4대 품종에 잉어가 포함되지 않게 되었다. 왕유(王維)는 "착한 사나이가 송마를 타고, 시녀는 금쟁반에 담긴 잉어를 먹는다"라고 말한 것으로 보아, 당시에는 잉어를 잡아 먹을 수 있었다.

두 번째 이유는 가어(家魚, 가정에서 기르는 물고기)의 정의이다. 초어(靑魚)·붕어마름(ソウギョ)·흰줄납자루(ハクレン)·검정납자루(コクレン)는 인공적으로 번식시킬 수 있지만, 잉어는 자연 번식만 가능하기 때문에 완전한 가어로 인정받지 못한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 주장에는 근거가 없다. 또한, 양잠을 하면서 잉어를 양식하는 연못 농업은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었다.

세 번째 이유는 가어의 원산지가 장쑤 성·저장 성 지역(호남성(湖南省), 호북성(湖北省), 장쑤성(江蘇省), 저장성(浙江省))이라고 믿는 사람이 많고, 그 지역에서는 잉어를 먹는 사람이 적어 개체 수가 적기 때문에, 잉어는 가어로서 인기가 없다고 여겨지고 있다.

잉어의 비늘은 먹을 수 있으며, 광둥 성 남부 광저우, 순더, 난하이, 중산, 둥관 등 지역에서는 비늘째 먹어야 하는 광둥식 잉어찜이 있다.

6. 2. 일본

중국에서 유래한 잉어가 폭포를 오르면 용이 된다는 ‘등용문’ 전설은 일본에도 전해졌다. 에도 시대에는 무가에서 자제들의 출세를 기원하며 단오 무렵 잉어 깃발(こいのぼり)을 장식하는 풍습이 있었다. 메이지 시대에 사민평등 정책으로 무가 신분이 폐지되면서 잉어 깃발은 일반에 보급되었고, 현재는 그레고리력 5월 5일에 이 풍습을 이어가고 있다. 장래에 유능한 인물이 되기 위한 첫 관문을 비유적으로 ‘등용문’이라 부르기도 한다.

일본서기』 제7권에는 경행천황이 미노에서 잉어를 연못에 풀어 미녀의 환심을 사려 했다는 설화가 전해진다.[18]

후쿠시마현은 식재료로서 잉어 출하량이 가장 많으며,[19] 잉어국, 졸임, 조림 등으로 조리한다. 드물게 잉어 비늘을 튀김하여 과자처럼 먹거나, 로 만들어 초장이나 와사비 간장에 찍어 먹기도 한다. 하지만 날것이나 덜 익힌 잉어를 섭취하면 간디스토마나 가시극구충에 의한 기생충병에 걸릴 위험이 있다.[20][21][22] 잉어를 요리하기 전에는 깨끗한 물에 반나절에서 수일 정도 담가 흙냄새를 제거해야 한다. 손질 시에는 젖은 행주로 눈을 가리면 얌전해진다.

남조류가 생성하는 게오스민과 2-메틸이소보르네올은 잉어 등 담수어의 흙냄새 원인이다. 식초 등 산성 조미료를 사용하면 흙냄새를 줄일 수 있다.

바다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는 잉어가 귀중한 동물성 단백질원으로, 장군이나 천황에게 바치는 공식적인 연회 요리나 경사스러운 자리에 이용되었다.[23] 알을 가진 암컷 잉어의 졸임이나 회 모양새 때문에 암컷이 더 귀하게 여겨진다.[24]

임산부가 잉어를 먹으면 건강해지고 순산한다는 전설, 출산 후 잉어를 먹으면 모유가 잘 나온다는 전승도 전해진다.

연어방어를 구하기 어려웠던 내륙 지역에서는 정월 음식 재료로 잉어가 이용되기도 한다. 야마가타현 요네자와시에서는 우에스기 하루노리가 1802년에 잉어 치어를 들여와 잉어 양식을 장려했다. 후쿠시마현 코리야마시에서는 누에의 번데기를 먹이로 사용하여 잉어 생산량 일본 1위까지 성장했다.[25] 현재는 농업용 저수지나 논농사 용수로에서 잉어를 양식한다. 식생활 변화로 수요가 감소하면서,[26] 잉어 생산액은 1998년 36억에서 2008년 15억 남짓으로 감소했다.[27]

7. 현대적 동향

최근 일본에서는 비단잉어의 조상이 기존의 Cyprinus carpio가 아닌 Cyprinus rubrofuscus일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는데[30][31], 이는 Cyprinus carpio의 원 서식지가 동아시아가 아닌 동유럽카스피해 부근이기 때문이고, 중국 대륙에 서식하는 Cyprinus rubrofuscus에서 홍잉어와 같은 변이종이 잘 출현하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Cyprinus rubrofuscus의 학명이 Cyprinus carpio의 아종인 C. c. haematopterus였기 때문에 유럽잉어(Cyprinus carpio)에 속한다고 할 수 있으나, 지금은 Cyprinus rubrofuscus로 아종이 아닌 별개의 종으로 분리되었기 때문에 Cyprinus carpio라고 하는 것에는 문제가 있어 보인다.

참조

[1] IUCN Cyprinus rubrofuscus 2021-11-12
[2] FishBase
[3] 논문 Molecular Phylogenetics of Three Subspecies of Common carp Cyprinus Carpio, based on sequence analysis of cytochrome b and control region of mtDNA 2004-00-00
[4] 논문 Genome sequence and genetic diversity of the common carp, Cyprinus carpio 2014-00-00
[5] 서적 Genetics and Breeding of Common Carp INRA 1999-00-00
[6] 논문 Mitochondrial genetic diversity and gene flow of common carp from main river drainages in China 2010-00-00
[7] IUCN Cyprinus carpio 2021-11-12
[8] 서적 Freshwater Fisheries Ecology Wiley-Blackwell 2015-00-00
[9] 웹사이트 Cyprinus rubrofuscus https://www.iucnredl[...] 국제자연보호연맹 2016-11-07
[10]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ree subspecies of common carp Cyprinus carpio, based on sequence analysis of cytochrome b and control region of mtDNA https://onlinelibrar[...] 2004-11-00
[11] 논문 Genome sequence and genetic diversity of the common carp, Cyprinus carpio https://www.nature.c[...] 2014-11-00
[12] FishBase
[13] 서적 Genetics and breeding of common carp INRA 1999-00-00
[14] 논문 Mitochondrial genetic diversity and gene flow of common carp from main river drainages in China https://onlinelibrar[...] 2010-09-00
[15] 웹사이트 Cyprinus carpio https://iucnredlist.[...] 국제자연보호연맹 2016-11-07
[16] 서적 Freshwater fisheries ecology Wiley Blackwell 2016-00-00
[17] 서적 酉阳杂俎
[18] 웹사이트 日本書紀 https://zh.wikisourc[...] 朝廷 0000-00-00
[19] 웹사이트 内水面養殖業収獲量 都道府県別・魚種別収獲量 http://www.e-stat.go[...] 농림수산성 2023-10-15
[20] 웹사이트 知っておきたいこと https://www.forth.go[...] 2023-10-15
[21] 간행물 口虫(1/11) ※平成 22 年度食品安全確保総合調査 https://www.fsc.go.j[...] 식품안전위원회
[22] 논문 喉頭顎口虫症の1例
[23] 논문 コイ刺身の食味と物性 : 佐久鯉と福島産鯉の比較 https://u-nagano.rep[...] 2008-12-00
[24] 서적 いばらき魚顔帳 https://www.pref.iba[...] 茨城県水産試験場内水面支場 2011-03-08
[25] 웹사이트 鯉料理レシピ集 https://www.city.kor[...] 蒲郡市 2023-10-15
[26] 논문 霞ヶ浦における魚類および甲殻類の現存量の経年変化 https://www.jstage.j[...] 2013-00-00
[27] 웹사이트 海面漁業生産統計調査 確報 平成20年漁業・養殖業生産統計 年次 2008年 https://www.e-stat.g[...] 2023-10-15
[28] 웹인용 발강이 https://stdict.korea[...] 표준국어대사전 2018-04-08
[29] 웹인용 Cyprinus rubrofuscus https://www.fishbase[...] 2023-09-07
[30] 논문 A list of suggested research areas in freshwater fisheries ecology http://dx.doi.org/10[...] 2015-09-12
[31] 웹인용 Cyprinus carpio http://dx.doi.org/10[...] 2023-0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