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세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세진은 명나라를 건국한 홍무제 주원장의 아버지이다. 사주 우이현에서 태어나 가난한 소작농으로 여러 지역을 옮겨 다니며 생활했다. 황하 범람으로 사망했으며, 주원장이 명나라를 건국한 후 인조순황제로 추존되었다. 슬하에 4남 2녀를 두었으며, 묘소는 안후이성 펑양현에 있는 황릉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83년 출생 - 시모네 마르티니
    시모네 마르티니는 14세기 이탈리아 시에나 출신의 화가이며, 부드럽고 장식적인 화풍으로 유명하며, 《마에스타》, 《알렉산드리아의 성 카타리나 폴립티크》, 《성 마가레트와 성 안사누스와 함께 한 수태고지》 등의 작품을 제작하고 1344년 아비뇽에서 사망했다.
  • 1283년 출생 - 요시다 겐코
    요시다 겐코는 1283년경에 태어나 황궁 경비대 장교를 거쳐 승려가 된 일본의 작가로, 수필집 《쓰레즈레구사》를 통해 삶의 덧없음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표현했다.
  • 1344년 사망 - 시모네 마르티니
    시모네 마르티니는 14세기 이탈리아 시에나 출신의 화가이며, 부드럽고 장식적인 화풍으로 유명하며, 《마에스타》, 《알렉산드리아의 성 카타리나 폴립티크》, 《성 마가레트와 성 안사누스와 함께 한 수태고지》 등의 작품을 제작하고 1344년 아비뇽에서 사망했다.
  • 1344년 사망 - 충혜왕
    충혜왕은 고려의 제28대 왕으로, 사치와 패륜적인 행위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원나라의 간섭 속에서 국정을 문란하게 하다가 폐위되어 사망했다.
  • 명나라의 황족 - 한확
    한확은 조선 초 문신으로, 명나라 외교에서 활약하며 세종 대에 사신으로 공물 면제를 주청하고, 세조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정난공신에 책록되어 우의정에 올랐으며, 세조의 명나라 책봉을 성사시키는 데 기여했으나 명나라로 가는 길에 사망했다.
  • 명나라의 황족 - 곽흥
    곽흥은 원나라 말 주원장을 섬기며 홍건적의 난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고, 명나라 건국 후에는 섬서행도독부첨사가 되었으나 이선장의 옥에 연좌되어 작위를 박탈당했다.
주세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주세진의 묘소 조각상
펑양 현, 추저우, 안후이 성에 있는 주세진의 무덤
주오사(朱五四)
출생1281년
출생지쥐룽
사망1344년
매장지명 황릉 (펑양, 안후이성)
배우자순황후 진씨
자녀홍무제
존성주세진(朱世珍)
추존 칭호
시호순황제(淳皇帝)
묘호인조(仁祖)
가계
부친주초일
모친유황후

2. 생애

주세진은 사주(泗州) 우이현(盱眙縣)에서 태어났다. 가난한 소작농으로 살면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져야 했기에 자주 이사를 다녔다. 우이현에서 영벽현(靈璧縣)으로 이사하였고, 곧이어 홍현(虹縣)으로 이주하였으며, 50세에는 종리현(鍾離縣) 동향(東鄕)으로 와서 농사를 지었다가 지주에게 소작권을 박탈당하고 서향(西鄕)으로 이주, 후에 고장촌(孤莊村)으로 이주하였다.

그의 가족은 가난한 농부였고, 주원장이 16세일 때 황하가 범람하여 아이들만 남기고 타계하였다.

아내는 진씨로 슬하에 아들 넷과 딸 둘을 두었는데, 사망 후 장례비와 매장할 땅이 없어서 이웃 농부 유씨의 땅에 헝겊으로 싸서 매장하였다. 훗날 주원장은 부친의 황릉비를 쓰면서 관곽도 마련 못해 썩은 헝겊에 싸서 매장하였다며 오열하였다고 한다.[1] 주원장은 즉위하자마자 아버지 주세진과 어머니 진씨를 각각 인조순황제(仁祖淳皇帝)와 순황후(淳皇后)로 추존하였다.[1] 그가 사망하자 주원장은 그의 형인 백부댁에 가봤으나, 사촌과 조카들도 일찍 죽었고, 그의 동생이자 숙부인 주오일(朱五一, 수춘왕(壽春王)에 추증됨) 일가나 외가 역시 빈한하였으므로, 오갈 곳이 없던 주원장은 탁발승이 되었다.[1] 능은 황릉이다.

주원장이 명나라를 건국하자, 묘호는 '''인조''', 시호는 '''순황제'''로 추존되었다.[1]

3. 가계


  • 아버지: 주초일 (후에 희조 유황제로 추존)
  • 어머니: 왕씨 (후에 유후로 추존)
  • 배우자: 순황후(淳皇后) 진씨(陳氏) (1286년 ~ 1344년)

3. 1. 조상

3. 2. 부인

淳皇后 陳氏|순황후 진씨중국어 (?년 ~ 1344년)는 홍무제의 아버지 주세진의 부인이다. 진씨는 1344년에 사망하였다. 사후 순황후(淳皇后)로 추존되었다.

자녀
이름출생 - 사망비고
남창왕(南昌王) 주충사(朱重四)1307년 ~ 1344년첫째 아들
서의왕(盱眙王) 주충륙(朱重六)?년 ~ ?년둘째 아들
임회왕(臨淮王) 주충칠(朱重七)?년 ~ ?년셋째 아들
홍무제 주충팔(朱重八)1328년 10월 21일 ~ 1398년 6월 24일넷째 아들
태원장공주(太原長公主)?년 ~ ?년첫째 딸, 왕칠일(王七一)과 결혼
조국장공주(曹國長公主)1317년 ~ 1351년둘째 딸, 이진(1304년 ~ 1379년)과 결혼, 아들 1명


3. 3. 자녀


  • 朱重四|주중사중국어 (朱興隆|주흥륭중국어, 후에 남창왕(南昌王)으로 추봉)
  • 朱重六|주중육중국어 (朱興盛|주흥성중국어, 후에 우이왕(盱眙王)으로 추봉)
  • 朱重七|주중칠중국어 (朱興祖|주흥조중국어, 후에 임회왕(臨淮王)으로 추봉)
  • 홍무제 朱重八|주중팔중국어 (朱興宗|주흥종중국어, 朱元璋|주원장중국어)
  • 태원장공주(太原長公主), 왕칠일(王七一)과 결혼
  • 조국장공주(曹國長公主) 朱佛女|주불녀중국어, 이진(李貞)과 결혼, 슬하 1남

4. 묘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