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영하 (1908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영하는 일제강점기 말부터 한국 전쟁 이후까지 활동한 북한의 정치인이다. 1945년 조선공산당 북조선지부 홍원군책, 함경남도 임시인민위원회 위원, 원산시 인민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북조선 노동당 창당 후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정치국 위원 등을 지냈으며, 북조선중앙선거위원회 위원장, 남북협상 조직준비위원장, 초대 주소련 북조선 대사, 교통상, 외무성 부상 등을 역임했다. 한국 전쟁 중 모스크바 주재 북한 대사를 지냈으나, 1953년 종파분자로 몰려 실각하고 지방공장 지배인으로 좌천되었다. 이후 교육성 부상으로 복귀했으나 박창옥, 윤공흠 사건에 연루되어 다시 실각, 노동교화소로 추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주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 - 김영재 (1952년)
    김영재(1952년)는 강원도 출신으로 행정고시 합격 후 공직에 입문하여 상공부, 산업통상자원부 등에서 주요 보직을 거쳐 한국가스공사 사장, 한국무역협회 부회장을 역임하고, 국가장의위원회 위원과 대외경제상으로 활동 후 변호사가 되었다.
  • 러시아 주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 - 박의춘
    박의춘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여러 국가의 대사를 거쳐 외무성 부상, 주 러시아 대사를 역임하고 외무상으로 활동하며 다양한 외교 활동을 수행했다.
  • 일제강점기의 노동운동가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일제강점기의 노동운동가 - 이현상
    일제강점기부터 한국전쟁까지 활동한 이현상은 6·10 만세운동 참여, 노동 및 항일 운동, 남로당 활동, 남부군 사령관으로서의 게릴라전 지휘 등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빨치산 지도자로서의 삶을 살았으며 북한에서 애국렬사로 추앙받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장관 - 김영주 (1920년)
    김영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김일성의 동생이자 김정일의 삼촌이며, 한때 후계자로 여겨졌으나 김정일과의 권력 투쟁에서 밀려났고, 7·4 남북 공동 성명 당시 북측 대표, 국가부주석 등을 역임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장관 - 김책
    일제강점기 항일 무장 투쟁가이자 북한의 군인, 정치인인 김책은 만주에서 항일 투쟁 후 소련에서 김일성과 함께 활동했으며, 해방 후 북한 건국에 참여하여 부수상 겸 산업상, 한국 전쟁 전선사령관을 역임했고 사후 공화국영웅 칭호를 받았다.
주영하 (1908년)
기본 정보
직함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겸임김두봉
임기 시작1946년 8월 30일
임기 종료1948년 9월 9일
동반김일성
직함 1교통상
수상 1김일성
임기 시작 11948년 9월 9일
임기 종료 11948년 10월
전임 1신설
후임 1박의완
국적한국
출생일1908년
정당조선로동당
로마자 표기Ju Yeongha

2. 약력



주영하는 김일성 파와 타협했지만, 박헌영의 지지자로 남았다. 북한 정부 기관지 ''민주조선''은 북한에 남은 남조선 노동당 전직 당원들을 옹호했다는 이유로 주영하를 비판했다. 김일성의 빨치산파, 소련파, 연안파는 또한 주영하를 제거하려고 했다.

2. 1. 해방 직후 ~ 북조선 노동당 창당 (1945~1946)

1945년 8월 조선공산당 북조선지부 홍원군책을 맡았다.[1] 같은 해 함경남도 임시인민위원회 위원이 되었고, 1945년 9월 원산시 인민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1] 1946년 8월 소련의 지시에 따라 북조선 노동당이 창당되자, 국내파를 대표하여 북조선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겸 정치위원이 되었다.[2]

1946년 8월 28일부터 30일까지 열린 북조선 노동당 제1차 당대회에서 당의 제1기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과 당 비서국 부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3] 8월 31일 제1기 중앙위원회 제1차 전원회의에서 김일성과 함께 당 부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3]

2. 2. 북한 정권 수립 초기 (1947~1951)

1947년 2월 북조선중앙선거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1] 1948년 3월 27~30일에 열린 북조선 노동당 제2차 당대회에서 정치국 위원으로 재선되었고, 3월 31일 제2기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부위원장으로 다시 선출되었다.[3]

1948년 4월~5월에는 남북협상 조직준비위원장으로 선임되어 제1차 남북협상에 참여했다.[1] 1948년 8월 해주에서 개최된 제2차 남북협상에서는 남한 몫의 제1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1]

1948년 9월 북한이 공식 선포되면서 김일성 내각의 교통상으로 임명되었다.[4] 1948년 9월 24~25일에 열린 제2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원회의에서 허가이에게 당 부위원장과 검사위원회 위원장직을 물려주었다.[3]

1949년 10월 주소련 북조선 초대 대사를 역임했다.[1] 1951년에는 교통상과 내각 외무성 부상을 겸임했다.[1]

2. 3. 실각과 숙청 (1953~1956)

1953년 8월, 주영하는 종파분자로 몰려 실각하고 지방 공장 지배인으로 좌천되었다.[7] 이는 한국 전쟁 직후 이승엽 등 12명에 대한 공개 재판에서 드러난 허구적 음모 때문이었다. 이 재판에서 주영하는 박헌영이 총리가 될 경우, 장시우와 함께 부총리가 될 예정이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7] 한국 전쟁 기간 동안 주영하는 모스크바 주재 북한 대사를 역임했다.[6]

1956년, 주영하는 교육성 부상으로 복귀했으나, 박창옥, 윤공흠 사건에 연루되어 다시 실각하고 노동교화소로 추방되었다.

3. 정치적 숙청 배경

주영하는 1908년에 태어났다.[1] 1946년 8월, 소련의 지시에 따라 창설된 북조선 노동당 정치위원회 위원이 되었고, 국내파를 대표했다.[2] 제1차 당대회에서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 겸 비서국 부위원장으로 선출되었으며, 1948년 제2차 당대회에서 다시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었다.[3] 1948년 9월 제2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원회의에서 허가이에게 당 부위원장과 검사위원회 위원장직을 물려주었다.[3]

한국 전쟁 기간 동안 주영하는 모스크바 주재 북한 대사를 지냈다.[6]

3. 1. 김일성과의 권력 투쟁

주는 1946년 8월 소련의 지시에 따라 창설된 북조선 노동당 정치위원회 위원이었다. 그는 새로 창당된 당에서 국내파를 대표했다.[2] 김일성 내각의 총리로 임명된 것은 1948년 9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이 공식 선포되었을 때였다.[4] 주는 김일성 파와 타협했지만, 박헌영의 지지자로 남았다.

북한 정부 기관지인 ''민주조선''은 북한에 남은 남조선 노동당 전직 당원들을 옹호했다는 이유로 주를 비판했다. 빨치산파, 소련파, 연안파 등 김일성 파벌은 또한 주를 제거하려고 했다.[5]

한국 전쟁 종전 직후인 1953년 8월 이승엽과 다른 12명의 피고인에 대한 공개 재판에서 허구적인 음모가 드러났다. 고소인에 따르면, 공모자들은 김일성을 전복하고 박헌영을 총리로 만들 계획이었다. 주는 박헌영의 부총리로서 장시우를 동반할 예정이었다.[7]

3. 2. 종파 분자 혐의

1953년 8월 이승엽 등 12명에 대한 공개 재판에서 김일성을 전복하고 박헌영을 총리로 만들려는 허구적인 음모가 드러났다고 한다. 이 재판에서 주영하는 박헌영의 부총리 후보로 지목되었고, 장시우가 그를 동반할 예정이었다.[7] 이로 인해 주영하는 박헌영 지지자이자 김일성 전복 음모 연루 혐의를 받게 되었다.[7]

참조

[1] 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2015-12-12
[2] 서적 Korea, a Century of Change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2001-01-01
[3] 논문 Soviet Policy in North Korea 1970-01
[4] 뉴스 北韓組閣完了(북한조각완료)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48-09-11
[5] 논문 The Post-War Politics of Communist Korea 1963-06
[6] 서적 Mao, Stalin and the Korean War: Trilateral Communist Relations in the 1950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
[7] 서적 From Stalin to Kim Il Sung: The Formation of North Korea, 1945–1960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Publishers 20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