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조 말레이시아 대사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조 말레이시아 대사관은 1973년 6월 30일 북한과 외교 관계를 수립한 말레이시아가 2004년 2월 28일 평양에 개설한 대사관이다. 김정남 암살 사건 이후 양국 관계가 악화되었고, 2021년 말레이시아가 북한 사업가 문철명을 미국으로 송환하면서 북한이 외교 관계 단절을 선언하여, 현재는 대사관이 폐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레이시아의 재외 공관 - 주한 말레이시아 대사관
주한 말레이시아 대사관은 대한민국 서울에 위치하며, 대한민국과 말레이시아 간의 외교 관계를 위해 설립되어 외교 교섭, 경제 및 통상 교섭, 문화 교류, 자국민 보호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말레이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 김정남 암살 사건
김정남 암살 사건은 2017년 2월 13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서 VX 신경 작용제에 의해 김정일의 장남 김정남이 암살된 사건이다. - 말레이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 주말레이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
주말레이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은 1974년 개설되었으나, 2017년 김정남 암살 사건으로 외교 관계가 악화되어 2021년 외교 관계 단절과 함께 철수했다.
주조 말레이시아 대사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주조 말레이시아 대사관 |
문화어 | 조선 주재(주조) 말레이시아 대사관 |
설립일 | 2004년 2월 28일 |
해산일 | 2021년 3월 21일 |
소재지 | 평양직할시 대동강구역 문흥동 |
상급 기관 | 말레이시아 외무부 |
기관장 직책 | 대사 |
2. 역사
말레이시아는 1973년 6월 30일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외교 관계를 수립했으며,[1] 2004년 2월 28일에는 평양에 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을 개설했다.[2] 개발도상국 간의 연대를 강화하기 위해 북한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2017년 2월 13일, 김정남 암살 사건이 발생하면서 양국 관계가 악화되었다.[3] 이후 양국은 상대국 대사를 추방하고, 북한은 말레이시아 국민의 출국을 금지하는 등 갈등이 심화되었다.[4][5]
2018년 북미정상회담을 계기로 관계 정상화를 추진했으나, 코로나19 범유행과 북한 사업가 문철명 송환 문제로 인해 좌절되었다. 2021년 3월 19일, 북한은 말레이시아와의 외교 관계 단절을 선언했고, 말레이시아는 주북한 대사관을 철수했다.[9][10][11]
2. 1. 외교 관계 수립과 초기 관계 (1973년 ~ 2017년)
말레이시아는 1973년 6월 30일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외교 관계를 수립했으며,[1] 2004년 2월 28일에는 평양에 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을 개설했다.[2] 처음에는 중구역 고려호텔에 임시 공관을 설치하여 운영하다가, 2006년 5월에 대동강구역 문흥동에 새로 지은 상주 공관으로 이전했다.[2]말레이시아는 개발도상국 간의 연대를 강화하기 위해 북한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2. 2. 김정남 암살 사건과 외교 관계 악화 (2017년)
2017년 2월 13일, 김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지도자의 이복형인 김정남이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적자들의 공작으로 인해 VX 신경독으로 암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3] 이 사건으로 말레이시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의 외교 관계는 급격히 악화되었다.2017년 3월 4일, 말레이시아 정부는 강철 주말레이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를 기피 인물로 지정하고 추방 명령을 내렸다.[4] 이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는 3월 5일에 모하맛 니잔 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말레이시아 대사를 추방하고, 대사관 직원들과 가족들을 인질로 잡아 출국을 금지하는 맞대응을 했다.[5]
2017년 9월 28일, 말레이시아 정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연이은 미사일 발사와 관련된 한반도의 정세 불안을 이유로 자국민들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방문을 금지하는 명령을 내렸다.[6] 이처럼 양국 모두 후임 대사의 파견을 거부하면서 양국 간의 외교 공관은 사실상 폐쇄되었다.[6]
2. 3. 관계 회복 시도와 좌절 (2018년 ~ 2020년)
2018년 북미정상회담을 계기로 말레이시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외교 관계 정상화를 추진했다.[6] 그러나 2020년에 아시아에서 일어난 코로나19 범유행의 여파로 이러한 계획은 흐지부지되었다. 설상가상으로 2019년 5월 14일 말레이시아 당국은 미국 정부의 요청을 받고 싱가포르 등에서 활동하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출신의 사업가 문철명을 불법 자금 세탁, 사치품 수출을 통해 유엔과 미국의 대북한 제재를 위반한 혐의로 체포했다.[7] 2019년 12월 13일 말레이시아 고등법원은 문철명을 미국으로 송환하는 결정을 승인했으며,[7] 2021년 3월 17일 말레이시아 연방법원은 이러한 결정을 최종 확정했다.[8]2. 4. 문철명 송환과 외교 관계 단절 (2021년)
2019년 5월 14일, 말레이시아 당국은 미국 정부의 요청으로 싱가포르 등지에서 활동하던 북한 사업가 문철명을 체포했다. 문철명은 불법 자금 세탁, 사치품 수출 등 유엔과 미국의 대북 제재를 위반한 혐의를 받았다.[7] 2019년 12월 13일, 말레이시아 고등법원은 문철명의 미국 송환을 승인했고,[7] 2021년 3월 17일 말레이시아 연방법원은 이 결정을 최종 확정했다.[8]2021년 3월 1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은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공식 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에서 북한 외무성은 "말레이시아 정부가 미국의 대북 적대 정책에 동조하여 무고한 북한 공민을 범죄자로 매도하고 강압적으로 미국에 인도하는 용납할 수 없는 범죄 행위를 저질렀다"며 말레이시아와의 외교 관계 단절을 선언했다.[9] 이에 말레이시아 외무부는 북한의 결정에 깊은 유감을 표명하는 공식 성명을 발표하고, 주말레이시아 북한 대사관에 48시간 이내 철수를 명령했다. 또한 평양 주재 말레이시아 대사관도 48시간 이내에 철수한다고 밝혔다.[10][11]
3. 현재 상황
2017년 2월 13일, 김정은의 이복형인 김정남이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서 VX 신경독으로 인해 암살당하면서 양국 관계는 급격히 악화되었다.[3] 말레이시아 정부는 강철 주말레이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를 추방했고,[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에 맞서 모하맛 니잔 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말레이시아 대사를 추방하고 대사관 직원과 가족들의 출국을 금지했다.[5]
2018년 북미정상회담을 계기로 말레이시아는 외교 관계 정상화를 추진했으나,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무산되었다. 2019년 5월 14일, 말레이시아 당국은 미국의 요청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업가 문철명을 체포했고,[7] 2021년 3월 17일 말레이시아 연방법원은 그의 미국 송환을 최종 확정했다.[8]
이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은 2021년 3월 19일, 말레이시아가 미국의 대북 적대 정책에 동조하여 무고한 자국 공민을 범죄자로 매도했다며 외교 관계 단절을 선언했다.[9] 말레이시아 외무부는 유감을 표명하고 주말레이시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에 48시간 이내 철수를 명령했으며, 평양 주재 말레이시아 대사관도 철수했다.[10][11]
이러한 김정남 암살 사건과 문철명 송환 문제 등으로 인해 양국 관계는 단기간 내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참조
[1]
웹인용
DPRK Diplomatic Relations
http://www.ncnk.org/[...]
2014-01-24
[2]
웹인용
Ministry of Foreign Affairs, Malaysia - History
https://web.archive.[...]
2021-11-06
[3]
웹인용
Malaysia expels North Korea ambassador over Kim murder
http://www.newvision[...]
New Vision
2017-03-05
[4]
뉴스
말레이 강철 대사 추방.. 다음단계는 단교?
https://www.hankooki[...]
한국일보
2017-03-05
[5]
뉴스
北, 말레이 대사 '맞추방' 결정…양국 극한 외교대립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7-03-06
[6]
뉴스
북한 인질외교에 '질린' 말레이 "평양에 대사 파견 않겠다"(종합)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7-10-13
[7]
뉴스
말레이 법원, 북한인 사업가 문철명씨 미국 인도 승인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9-12-13
[8]
뉴스
"[탐정손수호]겨우 17억에 국교 단절? 北 문철명 누구길래?"
https://www.nocutnew[...]
노컷뉴스
2021-03-25
[9]
뉴스
북한, '제재위반' 주민 美송환 반발…"말레이와 외교관계 단절"(종합)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1-03-25
[10]
웹인용
MALAYSIA DEEPLY REGRETS THE DPRK'S DECISION TO SEVER TIES 19 MARCH 2021
https://www.kln.gov.[...]
2021-03-19
[11]
뉴스
말레이 "北대사관, 48시간 이내 떠나라…단교에 깊은 유감"(종합)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1-03-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