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구역은 대동강이 흐르는 평양의 행정 구역으로, 북한의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다. 과거 고구려 장안성의 외성 지역이었으며, 김일성광장, 대중학습당, 조선노동당 본부 등 주요 시설이 위치한다. 1946년 설치되었으며, 1979년 외성구역을 통합하여 구역 면적이 확장되었다. 평양역을 비롯하여 평양 지하철 노선이 지나고, 고려항공 예약 사무소도 위치한다. 한국 전쟁으로 파괴되었으나 재건되었으며, 현재 22개 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양시의 구역 - 만경대구역
만경대구역은 평양직할시에 설치된 구역으로, 대동강 북안에 위치하며, 26개의 동과 2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고, 평남선 철도, 평양 지하철 혁신선 광복역 등의 교통 시설과 만경대혁명사적관 등의 관광 시설이 있다. - 평양시의 구역 - 룡성구역
룡성구역은 1959년 평양시 북부에 대성구역과 순안군 일부를 합쳐 설치된 구역으로, 임원저수지, 용골산, 건지산 등의 지형지물을 포함하며 김정일정치군사대학과 룡성관저가 위치하고 룡성선과 평라선 철도 노선이 지난다. - 중구역 - 평양역
평양역은 1906년 경의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1958년 사회주의 리얼리즘 건축 양식으로 재건되었으며, 북한 철도의 중심지로서 여러 노선이 지나고 베이징행 국제 열차도 운행하며, 남북통일 이후 한반도 북부 교통 중심지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 중구역 - 만수대의사당
만수대의사당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가 열리는 평양에 있는 건물이며, 2,000석 규모의 회의장과 동시통역 설비를 갖추고 북한의 주요 정치적 결정이 이루어지는 상징적인 건물이다. - 1946년 설치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 1946년 설치 - 홍제동 (서울)
홍제동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위치하며, 중국 사신이 머물던 홍제원에서 이름이 유래했고, 서울 지하철 3호선 역과 무악재 고개가 있는 지역이다.
중구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 | |
기본 정보 | |
유형 | 평양시 구역 |
한국어 표기 | 중구역 |
한글 표기 | 중구역 |
로마자 표기 | Jung-guyeok |
매큔-라이샤워 표기 | Chung-guyŏk |
국가 | 북한 |
소속 광역시 | 평양시 |
행정 구역 | 19개 행정동 |
면적 | 13.1km² |
인구 | 131,333명 |
인구 조사 시점 | 2008년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기타 |
2. 지리
중구역은 대동강이 동에서 서로 방향을 바꾸는 지점의 우안에 위치한다. 동쪽에는 대동강, 북서쪽에는 보통강이 흐르고, 대동강의 하중도로는 릉라도와 양각도가 있다. 구역 북쪽에는 모란봉(96m), 만수대(60m), 창광산(49m) 등의 낮은 언덕들이 있으며, 창광산에는 일제강점기 일본군 육군병원이 있었다. 평양의 중심부인 이 지역에는 김일성광장을 비롯해 대중학습당 등 중요 건물들이 밀집해 있다.[2] 한국 전쟁 당시 미군의 폭격으로 거의 완전히 파괴되었으나, 재건된 보통문, 대동문, 평양종, 룡왕각, 숭령전, 숭인전 등 여러 국보와 고려호텔, 대동강호텔, 평양 제1백화점, 조선우표박물관, 평양중앙어린이궁전, 대동문극장 등의 건물이 있다.[3] 평양 지하철 용광역, 봉화역, 승리역이 이 지역을 통과하며, 평양역(중앙역)도 이곳에 위치한다. 조선노동당 본부와 중앙위원회 본부를 비롯한 북한 정부 행정부와 산업 시설들이 이 지역에 자리 잡고 있다. 보통강 수로를 따라 새로운 강변 계단식 아파트들이 건설되었으며,[4]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의 690호 명령에 따라 이름이 바뀌었다.[5] 중구역은 북쪽으로 모란봉구역, 보통강구역, 평천구역과, 대동강 건너편으로는 대동강구역, 대원구역, 선교구역과 경계를 접한다. 구역의 북부에는 김일성광장, 남부에는 평양역이 있다. 1979년 12월, 외성구역이 중구역에 편입되었다.[12]
이 지역은 장안성의 외성(外城)에 해당하며, 과거부터 평양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다. 중구역은 1946년 처음 설치되었다. 1979년에는 외성구역을 통합하여 구역 면적이 확장되었다. 평양의 중심부에는 도시에서 가장 중요한 건물들이 많이 있다. 대동강변에 위치한 유명한 김일성광장과 대중학습당(북한의 국립도서관)이 대표적이다.[2] 한국 전쟁 당시 미군의 폭격으로 거의 완전히 파괴되었으나, 재건된 보통문과 대동문, 평양종, 룡왕각, 숭령전 및 숭인전을 포함하여 여러 개의 북한 국보가 이 지역에 위치해 있다.[3] 그 외에도 고려호텔, 대동강호텔, 평양 제1백화점, 조선우표박물관, 평양중앙어린이궁전 및 대동문극장 등의 건물이 있다.
3. 역사
평양 지하철 용광, 봉화, 승리 역이 이 지역을 지나며, 평양의 중앙역도 이곳에 위치해 있다. 북한 정부의 행정부와 산업 시설이 이 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조선노동당 본부와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본부도 중구역에 있다. 김정은의 지시에 따라 보통강 수로를 따라 새로운 강변 계단식 아파트들이 많이 건설되었다.[4] 또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의 690호 명령에 따라 이름이 변경된 바 있다.[5]
1946년 9월 평안남도 평양시가 평양직할시로 승격됨과 동시에 중구가 설치되었고, 28개 리(역전리, 교구리, 류성리, 오탄리, 외성리, 연화리, 동흥리, 서성일리, 서성이리, 서성삼리, 서성사리, 서성오리, 신양리, 신암리, 중성리, 경림리, 남문리, 서문리, 종로리, 창달리, 사창리, 설수리, 영문리, 경상리, 릉라리, 양각리, 정평리, 평천리)를 관할하였다. 1948년 7월에는 일부 리가 분리되어 남구가 신설되었고, 서구의 일부 리가 편입되었다. 1952년 12월에는 군면리 통폐합에 따라 중구가 중구역으로 개칭되었다. 1955년 2월에는 리를 동으로 개편하고, 여러 동이 신설 및 통폐합되었다. 이후에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치며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1979년 12월에는 외성구역을 편입하여 구역이 크게 확장되었으며, 2021년에는 규루동이 신설되었다.[11] [12]
3. 1. 외성구역
1948년 7월, 평양시 중구의 일부 지역과 서구, 대동군 일부 지역을 포함하여 남구가 설치되었다. 남구에는 교구리, 류성리, 오탄리, 연화리, 역전리, 동흥리, 양각리, 평천리, 정평리, 외성리 등 중구의 10개 리와 서구의 당상일리, 당상이리, 그리고 대동군 고평면의 일부 지역이 포함되었다. 이는 당시 진보적인 정책의 일환으로 평양시 행정구역 개편이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12] 1952년 12월에는 군면리 통폐합에 따라 남구가 남구역으로 개칭되었고, 1955년 2월에는 리가 동으로 개편되었다. 이 과정에서 여러 동이 신설되거나 통폐합되는 등 변화가 있었다. 1959년 9월, 남구역은 외성구역으로 개칭되었다. 외성구역은 1979년 12월 중구역에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이는 평양시 행정구역 개편의 일환으로, 중구역의 행정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로 해석될 수 있다. [12] 당시 진행된 행정구역 개편은 사회주의 체제 확립 과정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당시 시대적 상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행정 구역
광복 당시 중구 지역은 산수동, 릉라동, 양각동을 포함한 여러 동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당시 행정구역은 산수동(山手洞), 릉라동(陵羅洞), 양각동(羊角洞), 경제동(鏡齊洞), 신창동(新倉洞), 상수동(上需洞), 설암동(薛巖洞), 창전동(倉田洞), 경상동(慶上洞), 전구동(磚九洞), 아청동(衙廳洞), 육로동(陸路洞), 진향동(眞香洞), 수옥동(水玉洞), 순영동(巡營洞), 이향동(履鄕洞), 대찰동(大察洞), 하수구동(下水口洞), 장별동(將別洞), 계동(鷄洞), 관후동(館後洞), 상수구동(上水口洞), 신양동(新陽洞), 경창동(景昌洞), 죽전동(竹典洞), 감점동(監店洞), 이문동(里門洞), 채관동(釵貫洞), 남산동(南山洞), 수동(壽洞), 남문동(南門洞), 대화동(大和洞), 욱동(旭洞), 천동(泉洞), 팔천대동(八千代洞), 행동(幸洞), 남동(南洞), 동동(東洞), 죽원동(竹園洞), 교구동(橋口洞), 홍매동(紅梅洞), 약송동(若松洞), 서동(西洞), 황금동(黃金洞), 암동(巖洞), 유동(柳洞), 빈동(濱洞), 진동(賑洞), 본동(本洞), 앵동(櫻洞), 항동(港洞) 등 매우 광범위한 지역을 포함하고 있었다.
현재 중구는 22개 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목록은 다음과 같다. 경림동, 경상동, 교구동, 대동문동, 동성동, 동안동, 동흥동, 련화1동, 련화2동, 류성동, 만수동, 보통문동, 서문동, 서창동, 역전동, 오탄동, 외성동, 종로동, 중성동, 창광동, 해방산동, 경루동이다. [7] [11]
행정동 | 한글 | 한자 |
---|---|---|
창광동 | 창광동 | 蒼光洞 |
종로동 | 종로동 | 鍾路洞 |
중성동 | 중성동 | 中城洞 |
해방산동 | 해방산동 | 解放山洞 |
교구동 | 교구동 | 橋口洞 |
경림동 | 경림동 | 敬臨洞 |
경루동 | 경루동 | 瓊樓洞 |
경상동 | 경상동 | 慶上洞 |
만수동 | 만수동 | 萬壽洞 |
외성동 | 외성동 | 外城洞 |
오탄동 | 오탄동 | 烏灘洞 |
보통문동 | 보통문동 | 普通門洞 |
련화1동 | 련화1동 | 蓮花一洞 |
련화2동 | 련화2동 | 蓮花二洞 |
류성동 | 류성동 | 柳城洞 |
서창동 | 서창동 | 西蒼洞 |
서문동 | 서문동 | 西門洞 |
대동문동 | 대동문동 | 大同門洞 |
동안동 | 동안동 | 東岸洞 |
동흥동 | 동흥동 | 東興洞 |
동성동 | 동성동 | 東城洞 |
역전동 | 역전동 | 驛前洞 |
5. 경제
6. 교통
중구역은 평양뿐 아니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전체 교통의 중심지이다. 평양역이 위치해 있으며, 평양 지하철 천리마선이 지나고 봉화역, 승리역, 모란봉역 등의 역이 있다. 주요 도로로는 평양역과 대동강변을 잇는 영광거리와 많은 음식점이 위치한 창광거리가 있다. 최근 김정은이 방문한 창전거리는 45층 고층아파트와 인민극장, 아동백화점 등의 편의시설이 들어서 평양의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 외에도 평양학생소년궁전과 만수대의사당을 잇는 서문거리, 승리거리, 오탄강거리, 옥류거리, 해방산거리 등이 있으며, 이들 거리 주변에는 주민 공동주택이 밀집해 있고 각 거리마다 지하철역이 있다. 철도는 철도성 관할 하에 평남선, 평의선, 평부선이 평양역을 기점으로 운행된다.
7. 주요 시설
김일성광장을 비롯해, 인민대학습당, 조선역사박물관, 조선민속박물관, 평양제1백화점 등 주요 시설들이 중구역에 위치해 있다. 특히 조선로동당 본청사, 김정일 집무실, 만수대의사당, 당창건사적관 등 북한 정권의 핵심 시설들이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교육 시설로는 평양의과대학과 김책공업대학이 있으며, 고려호텔, 양각도국제호텔, 대동강려관 등 다양한 숙박 시설과 옥류관, 청류관 등 유명 식당들도 자리 잡고 있다. 창광상점, 평양제1백화점, 락원백화점 등의 상업 시설과 릉라도 5월1일 경기장, 양각도축구경기장, 평양체육관 등의 체육 시설도 중구역에 포함된다. 중구역은 한국전쟁 당시 큰 피해를 입었으나 재건을 거쳐 현재는 북한의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평양 지하철 용광역, 봉화역, 승리역이 이 지역을 지나며, 평양역도 중구역에 위치한다. 아울러, 보통강변에는 최근 새로운 강변 아파트들이 건설되고 있다.[2][3][4][5]
8. 유적지
고구려 평양성 외성 지역이었던 중구역에는 다수의 유적지가 있다. 모란봉에는 삼국시대 건축물인 을밀대와 부벽루가 있으며, 대동강변에는 연광정과 대동문, 보통강변에는 보통문이 있다. 한국 전쟁 당시 미군의 폭격으로 옛 도시의 대부분이 파괴되었으나, 재건된 보통문, 대동문, 평양종, 룡왕각, 숭령전, 숭인전 등 북한의 국보급 유적들이 남아있다.[3] 이 외에도 김일성광장과 같은 중요한 건물들이 위치해 있다. 김일성광장은 북한의 국립도서관인 대중학습당과 함께 대동강변에 위치하고 있다.[2]
9. 기타
김정은의 지시에 따라 보통강 수로를 따라 새로운 아파트들이 건설 중에 있다. 또한, 중구역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이름이 변경되었다. 구체적인 변경 전후 명칭이나 변경 시점에 대한 정보는 추가적인 자료가 필요하다.
참조
[1]
웹사이트
North Korea: Administrative Division
https://www.citypopu[...]
[2]
웹사이트
The Grand People's Study House of the DPR of Korea
http://web.worldbank[...]
2008-08-31
[3]
웹사이트
북한문화재 자료관
http://north.nricp.g[...]
2009-05-25
[4]
뉴스
North Korea upgrades new skyscraper to 80 floors, making it 2nd-tallest in DPRK | NK News
https://www.nknews.o[...]
NK News
2021-09-10
[5]
웹사이트
로동신문
http://rodong.rep.kp[...]
2021-09-12
[6]
웹사이트
Contact
http://www.korea-dpr[...]
2009-08-06
[7]
웹사이트
북한지명사전
http://nk.joins.com/[...]
2009-04-23
[8]
웹사이트
Rodong Sinmun
http://rodong.rep.kp[...]
[9]
웹사이트
劳动新闻
http://rodong.rep.kp[...]
2021-09-12
[10]
웹사이트
NORTH KOREA: Administrative Division
http://citypopulatio[...]
Citypopulation.de
2022-08-19
[11]
뉴스
「金正恩時代の記念碑的建築物」 北朝鮮、開発中の行政区域を命名
https://dailynk.jp/a[...]
デイリーNKジャパン
2021-09-19
[12]
웹사이트
평양시 중구역 역사
http://www.cybernk.n[...]
[13]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