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표는 명 태조 홍무제의 장남으로, 건문제의 아버지이자 영락제의 형이다. 그는 황태자에 책봉되었으나, 병약한 탓에 38세에 요절하였다. 그의 죽음은 아들 건문제와 동생 주체 간의 다툼을 유발했고, 홍무제의 공신들에 대한 의심을 증폭시켰다. 건문제 사후 흥종 강황제로 추존되었으나, 영락제 즉위 후 태자로 강등되었고, 만력제 재위 때 다시 황제로 추존되었다. 주표는 효강황후 상씨와 의문황태자비 여씨를 포함한 두 명의 황태자비를 두었으며, 5명의 아들과 4명의 딸을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의 황태자 - 주자랑
명나라 숭정제의 황태자 주자랑은 1630년 책봉되었으나 1644년 이자성의 난으로 피신 후 붙잡혀 인질이 되었고, 오삼계 옹립 실패 후 행방불명되어 살해 또는 병사 설이 있으며, 남명에서 추존되었으나 가짜 황태자 등장으로 혼란을 야기했다. - 홍무제의 황자 - 영락제
영락제 주체는 명나라 3대 황제로, 북평왕 시절 정난의 변을 통해 황위를 찬탈한 후 베이징 천도와 정화의 해양 원정 지원 등 국력을 강화했으나 숙청과 팽창 정책으로 비판받았으며, 묘호는 태종에서 성조로 변경되었다. - 홍무제의 황자 - 주권 (영헌왕)
주권은 명나라 초기의 황족이자 주원장의 아들로, 영왕에 봉해졌으며 정난의 변에 연루되어 영락제를 도왔고, 이후 도교에 심취하여 저술 활동에 전념하며 문화 예술 분야에도 기여했다. - 명나라의 추존황제 - 주상순
주상순은 명나라 만력제의 아들로, 복왕에 봉해졌으나 사치를 부리다 이자성의 난 때 처형당했으며, 아들이 황제로 추존했다. - 명나라의 추존황제 - 주세진
명나라 홍무제 주원장의 아버지 주세진은 가난한 소작농으로 여러 지역을 떠돌며 농사를 짓다가 아들이 황제가 된 후 인조순황제로 추존되었다.
주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주표 (朱標) |
로마자 표기 | Zhū Biāo |
묘호 | 흥종 (興宗) |
시호 | 의문황태자 (懿文皇太子) 효강황제 (孝康皇帝) |
능호 | 동릉 (東陵) |
직위 | |
직위명 | 명나라 황태자 |
재위 기간 | 1368년1392년 |
재위 유형 | 재임 |
계승 | 주윤문 (홍무제의 황태손-후계자) 주문규 (건문제의 황태자) |
생애 | |
출생일 | 1355년 10월 10일 |
사망일 | 1392년 5월 17일 |
매장지 | 남경 종산 동릉 |
가족 | |
아버지 | 홍무제 |
어머니 | 효자고황후 마씨 |
배우자 | 효강황후 상씨 (1371년 결혼, 1378년 사망) 여씨 (1392년 결혼) |
자녀 | 건문제 |
2. 생애
홍무제 주원장의 장남이자 건문제 주윤문의 아버지이다. 영락제 주체의 친형으로, 어머니는 효자고황후 마씨이다. 명나라 개국과 함께 황태자에 책봉되었으나, 온순한 성격 탓에 아버지 주원장의 걱정을 샀다. 몸도 병약하여 1392년 38세의 젊은 나이로 요절하였는데, 이는 아들 건문제와 동생 연왕 주체 간의 다툼(정난의 변)을 유발하는 최대 원인이 되었다.[1]
주표는 홍무제의 장남으로, 어머니는 효자고황후 마씨이다. 정실 부인은 상우춘의 딸 상씨이며, 건문제는 측실 여씨에게서 태어났다.
그의 요절은 홍무제의 공신들에 대한 의심과 경계심을 증폭시켜 대량 학살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1] 1398년 건문제 즉위 후 흥종(興宗) 강황제(康皇帝)로 추존되고 종묘에 배향되었다.[1] 영락제 즉위 후 다시 태자로 강등되었다가, 훗날 만력제 재위 때 다시 황제로 추존되었다.[1]
명나라 건국 후 황태자로 책봉되었고, 중신 상우춘의 딸 상씨를 아내로 맞이했다.(건문제의 생모는 측실 여씨이다.) 온화한 성품으로 아버지의 중신 숙청을 간언하여 아버지에게는 미덥지 않게 여겨졌다고 한다.[1]
홍무 25년 4월에 급사했다. 향년 38세.[1]
아버지를 앞서 급사하자, 주원장은 그의 죽음을 깊이 슬퍼하며 '''의문태자'''(懿文太子)의 시호를 내렸다.[1] 아들인 주윤문(건문제)이 즉위하자, '''흥종'''(興宗)의 묘호, '''효강황제'''(孝康皇帝)의 시호가 추존되었다.[1]
주표의 요절은 아버지에 의한 숙청을 가속화했을 뿐만 아니라, 정난의 변의 원인 중 하나가 되는 등, 여러 비극을 낳는 원인이 되었다.[1] 영락제가 황위에 오르자, 의문태자로 추강되었다.[1] 이후, 홍광제가 남명의 황제로 즉위하자, 효강황제의 시호가 복원되어 다시 추존되었다.[1]
3. 가계
주표의 후궁과 소생은 다음과 같다.배우자 자녀 비고 효강황후 상씨 의문황태자비 여씨 불명
3. 1. 조부모와 부모
3. 2. 후비
常氏|창씨중국어 황태자비는 1355년부터 1378년까지 생존하였으며, 효강황후로 추존되었다. 아버지는 개평충무왕(開平忠武王) 상우춘이며, 어머니는 개평왕부인(開平王夫人) 남씨(藍氏)이다. 경의황태자비(敬懿皇太子妃)라고도 불린다.[3]
呂氏|여씨중국어 황태자비는 여씨라고도 불리며, 생몰년은 알려져 있지 않다. 아버지는 여본(呂本)이다. 황태후(皇太后) 또는 황수의문황태자비(皇嫂懿文皇太子妃)라고도 불린다.[4]
주표의 후궁과 소생은 다음과 같다.
배우자 | 자녀 | 비고 |
---|---|---|
효강황후 상씨 | ||
의문황태자비 여씨 | ||
불명 |
3. 3. 황자
홍무제 주원장의 장남이자 건문제 주윤문의 아버지이며, 영락제 주체의 친형이다. 어머니는 효자고황후 마씨이다. 명나라 개국과 함께 황태자에 책봉되었으나, 성품이 온순하고 몸이 병약하여 1392년 38세의 젊은 나이로 요절하였다. 그의 죽음은 아들 건문제와 동생 연왕 주체 간의 다툼(정난의 변)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었다.[5]주표의 요절은 홍무제의 공신들에 대한 의심과 경계심을 증폭시켜 대량 학살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1398년 건문제 즉위 후 흥종(興宗) 강황제(康皇帝)로 추존되고 종묘에 배향되었다. 영락제 즉위 후 다시 태자로 강등되었다가, 훗날 만력제 재위 때 다시 황제로 추존되었다.
주표는 중신 상우춘의 딸 상씨를 아내로 맞이했다. 건문제의 생모는 측실 여씨이다. 온화한 성품으로 아버지의 중신 숙청을 간언하여 아버지에게 미덥지 않게 여겨졌다고 한다.
1392년 급사했으며, 향년 38세였다.
주원장은 아들의 죽음을 슬퍼하며 '''의문태자'''라는 시호를 내렸다. 건문제가 즉위하자, '''흥종'''이라는 묘호와 '''효강황제'''라는 시호를 추존하였다.
주표의 요절은 아버지에 의한 숙청을 가속화했을 뿐만 아니라, 정난의 변의 원인 중 하나가 되는 등, 여러 비극을 낳는 원인이 되었다. 영락제가 황위에 오르자, 의문태자로 추강되었다. 이후, 홍광제가 남명의 황제로 즉위하자, 효강황제의 시호가 복원되어 다시 추존되었다.
봉호 | 시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비고 | |
---|---|---|---|---|---|---|
장남 | 우왕(虞王) | 회(懷) | 주웅영(朱雄英) | 1374년 ~ 1382년 | 효강황후 상씨 | 조졸 |
차남 | 황태손(皇太孫) | 주윤문(朱允炆) | 1377년 ~ ? | 황태후 여씨 | 제2대 황제 건문제 | |
3남 | 오왕(吳王) | 도(悼)→애(哀) | 주윤통(朱允熥) | 1378년 ~ 1417년 | 효강황후 상씨 | 광택왕(廣澤王)[5] |
4남 | 형왕(衡王) | 민(愍)→도(悼) | 주윤견(朱允熞) | 1385년 ~ 1414년 | 황태후 여씨 | 광택왕(廣澤王)→노왕(魯王)[6] |
5남 | 서왕(徐王) | 애간(哀簡)→민(愍) | 주윤희(朱允𤐤) | 1391년 ~ 1407년 | 황태후 여씨 | 부혜왕(敷惠王)→구령애간왕(甌寧哀簡王)[7] |
3. 4. 황녀
봉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부마 | 별칭 | 비고 |
---|---|---|---|---|---|---|
강도공주 | 경선(耿璿) | 강도군주(江都郡主) | [1] | |||
의륜공주(宜倫公主) | 우예(于禮) | 의륜군주(宜倫郡主) | [1] | |||
공주(公主) | 요절 [1] | |||||
남평공주(南平公主) | ? ~ 1412년 | 남평군주(南平郡主) | [1] |
4. 세대명
주표는 첫째 아들 주슝잉(Zhu Xiongying) 이후, 다른 자녀들의 세대명을 이름에 포함시키는 관례를 따랐다. 이름은 다음과 같은 세대시를 따랐다.[1]
: 允文、遵祖訓。
: 欽武、大君勝。
: 順道、宜逢吉。
: 師良、善用晟。
이 시는 명나라의 다음 20명의 황제의 이름 첫 글자를 정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처음 두 구절만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연왕의 찬탈 이후, 건문제는 화재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의 생존한 자녀들은 경쟁자들이 왕위를 차지하는 것을 막기 위해 살해되거나 격리되었다. 마찬가지로 주표의 어린 아들들도 가택 연금되거나 살해되었다. 그러나 중화민국 시대에 정치인 왕피쉬(王丕煦)는 라이양의 현지 지를 기록했는데, 그는 주윈퉁(Zhu Yuntong)이 그의 아들 주원쿤(Zhu Wenkun)을 통해 그곳에 많은 후손을 두었다고 기록했다.[2]
5. 평가
홍무제 주원장의 장남이자 건문제 주윤문의 아버지이며, 영락제 주체의 친형이다. 어머니는 효자고황후 마씨이다. 명나라 개국과 함께 황태자에 책봉되었으나, 성품이 온순하고 몸이 병약하여 1392년 38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하였다. 그의 죽음은 아들 건문제와 동생 연왕 주체 간의 다툼(정난의 변)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었다.[1]
주표의 죽음은 홍무제의 공신들에 대한 의심과 경계심을 증폭시켜 대량 학살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1398년 건문제 즉위 후 흥종(興宗) 강황제(康皇帝)로 추존되고 종묘에 배향되었으나, 영락제 즉위 후 다시 태자로 강등되었다. 훗날 만력제 재위 때 다시 황제로 추존되었다.[1]
그는 온화한 성품으로 아버지의 중신 숙청을 간언하여 아버지에게 미덥지 않게 여겨졌다고 한다. 이러한 성격은 아버지 홍무제의 걱정을 샀으며, 실제로 그의 죽음은 여러 비극을 낳는 원인이 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Generation Names of the Ming Imperial Clan
http://tieba.baidu.c[...]
[2]
서적
Records of Laiyang County
[3]
문서
건문제 때 황후에 추존되었다가, 영락제 제위 후에는 황태자비로 강등, 홍광제 즉위 후 다시 황후로 복귄됨.
[4]
문서
건문제의 생모. 건문제 때 황후에 추존되었다가, 영락제 제위 후에는 황태자비로 강등.
[5]
문서
영락제 즉위 직후 폐서인됨.
[6]
문서
영락제 즉위 직후 폐서인됨.
[7]
문서
영락제 즉위 직후 폐서인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