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74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374년은 갑인년으로, 명나라 홍무 7년, 북원 선광 4년, 고려 공민왕 23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는 최영이 제주도에서 목호의 난을 토벌하고, 공민왕이 홍륜과 최만생에게 시해당하여 우왕이 즉위한 사건 등이 있다. 유럽에서는 찰스 4세가 보헤미아 왕으로 즉위하고, 에드워드 3세가 브르타뉴를 침공했으며, 흑사병이 유럽에서 다시 창궐했다. 주요 사망 인물로는 공민왕, 페트라르카, 마그누스 에릭손 등이 있으며, 신개 등이 탄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374년 | |
---|---|
1374년 | |
달력 | |
유형 | 평년 |
주요 사건 | |
유럽 | 잉글랜드에서 제프리 초서의 《트롤러스와 크리세이드》가 완성되다. 프랑스의 브르타뉴에서 기욤 4세 드 로슈포르가 공작의 정부가 되다. 카스티야 왕국에서 쿠엔카가 건설되다. |
아시아 | 아유타야 왕국에서 보롬라차 2세가 왕위에 오르다. |
아프리카 | 마리 제타 2세가 말리 제국의 만사(황제)가 되다. |
탄생 | |
날짜 미상 | 야콥 폰 플리스 (1432년 사망) 장 2세 드 몽모렌시 (1414년 사망) |
2월 14일 | 오스트리아의 레오폴트 4세 (1411년 사망) |
사망 | |
3월 14일 | 시메온 이바노비치 (모스크바와 블라디미르의 왕자) (1347년 출생) |
5월 7일 | 도바시 (캄바의 군벌) |
6월 7일 | 요시다가 겐코 (일본의 승려) (1283년 출생) |
11월 6일 | 이반 알렉산더 (불가리아의 차르) |
날짜 미상 | 페트루 1세 (몰다비아) 니콜라스 쇼레이 |
2. 연호
3. 기년
간지 |
---|
갑인 (육십갑자 중 51번째) |
4. 사건
- 10월 27일 - 고려 공민왕이 암살당하고, 우왕이 왕위에 올랐다.
- 라오 비람 데브가 마르와르 (오늘날 인도 조드푸르 지구)의 통치자가 되었다.
- 샤이크 하산 잘라야르가 아버지 샤이크 우와이스 잘라야르의 뒤를 이어 오늘날 이라크와 서부 이란의 잘라야르 술탄국의 통치자가 되었으나, 인기가 없어 10월 9일에 처형당하고 동생 샤이크 후세인 잘라야르가 뒤를 이었다.
- 무사 2세가 아버지 마리 디자타 2세의 뒤를 이어 말리 제국 (오늘날 말리와 세네갈)의 만사가 되다.
- 그라나다 왕국의 왕자들이 아부 알-아바스 아흐마드를 마리니드 제국 (모로코)의 술탄으로 선택하였다. 제국은 페스 왕국과 마라케시 왕국으로 분열되었다.
4. 1. 고려
- 최영이 제주도에서 원의 목호 세력의 난(목호의 난)을 토벌하였다.
- 자제위 홍륜과 최만생이 개혁군주 고려 공민왕을 살해하였다.
- 이인임이 홍륜과 최만생을 반역자로 몰고 참살하였다.
- 우 왕자가 10살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고려 32대 국왕 우왕이다.
4. 2. 동아시아
- 최영이 제주도에서 원의 목호 세력의 난(목호의 난)을 토벌하였다.[1]
- 자제위 소속 홍륜과 최만생이 공민왕을 살해하였다.
- 이인임이 홍륜과 최만생을 반역자로 몰아 처형하였다.
- 우왕이 10살의 나이로 즉위하여 고려 32대 국왕이 되었다.
- 명이 닝보, 취안저우, 광저우의 시보사를 폐지하고 민간 무역을 전면 금지했다.
4. 3. 유럽
- 1월 - 찰스 4세가 신성 로마 제국의 보헤미아 왕으로 즉위하였다.
- 1월 28일 -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3세가 브르타뉴 공작위 계승 전쟁을 시작하며 브르타뉴를 침공했다.
- 4월 - 교황 그레고리오 11세가 아비뇽에서 선출되었다.
- 4월 23일 –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3세는 그의 공로를 인정하여 잉글랜드 작가 제프리 초서에게 평생 동안 매일 1갤런의 와인을 지급했다.
- 5월 15일 - 리옹에서 제노바 공화국의 대표와 교황청의 대표 간에 조약이 체결되어, 키프로스와 제노바 간의 교역이 재개되었다.
- 6월 24일 – 춤추는 열병으로 알려진 질병이 아헨에서 시작되었으며, 이는 맥각병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 7월 - 독일에서 흑사병이 창궐하기 시작했다.
- 8월 12일 - 체코의 카렐 1세가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 즉위하였다.
- 11월 3일 -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3세가 칼레에서 프랑스의 필리프 6세에게 프랑스 왕위 계승에 대한 항의 서한을 보냈다.
- 11월 25일 – 제임스 오브 보가 삼촌인 타란토의 필리포 2세를 이어 타란토 (현대 이탈리아 동부)의 공작이자 라틴 제국 (현대 북부 그리스와 서부 터키)의 명목상 통치자가 되었다.
- 11월 27일 - 스코틀랜드의 데이비드 2세가 잉글랜드와 강화 조약을 맺어 몸값을 지불하고 풀려났다.
- 십자군이 스미르나를 점령했다.
- 로베르 드 쥐이가 레이몽 베렝제를 이어 성 요한 기사단의 그랜드 마스터가 되다.
- 흑사병의 한 형태가 유럽으로 돌아오다.
- 프랑스에 콩피에뉴 성 왕실 거주지가 건설되다.
5. 탄생
- 우에스기 사다사다, 남북조 시대 및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 1416년)
- 야코포 델라 퀘르차,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시에나파의 조각가 (+ 1438년)
- 얀 지슈카, 보헤미아 출신 용병 (+ 1424년)
- 히노 시게미쓰, 남북조 시대 및 무로마치 시대의 공경, 히노 씨의 제21대 당주 (+ 1413년)
5. 1. 고려
5. 2. 유럽
6. 사망
- 6월 5일 또는 6월 6일 - 윌리엄 휘틀시, 캔터베리 대주교
- 6월 29일 - 얀 밀리치(체코, 사제이자 종교 개혁가, b. 1304년)
- 9월 - 플랑드르의 조안나, 브르타뉴 공작부인 (b. 1295년)
- 11월 25일 - 타란토의 필리포 2세
- ''날짜 불명'' - 가오치(명나라, 중국 시인, b. 1336년)
- ''날짜 불명'' - 콘라트 폰 메겐베르크, 역사가 (b. 1309년)
- 셰이크 우와이스, 자라이르 왕조의 제2대 군주 (생년 미상)
- 니잔, 원의 화가, 원말사대가의 1인 (* 1301년)
- 팡궈전, 원말기의 반란 지도자 (* 1319년)
- 고려의 무신 홍륜(洪倫)[1]
- 고려의 환관 최만생(崔萬生)[1]
6. 1. 고려
6. 2. 일본
- 3월 12일 (분추 3년/오안 7년 음력 1월 29일) - 남북조 시대 북조 제4대 천황 고코곤 천황이 사망하였다. (1338년 출생)
- 7월 6일 (분추 3년/오안 7년 음력 5월 26일) - 남북조 시대 무장이자 기쿠치 씨의 제16대 당주 기쿠치 다케마사가 사망하였다. (1342년 출생)
- (분추 3년/오안 7년 음력 6월 16일) - 남북조 시대 무장 미즈노 요시하루가 사망하였다. (출생 연도 미상)
- 남북조 시대 무장 아카마쓰 사다노리가 사망하였다. (1306년 출생)
6. 3. 유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