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98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398년은 명나라 홍무제, 조선 태조, 쩐 왕조의 연호가 사용된 해이다. 주요 사건으로 조선에서 성균관이 건립되었고, 제1차 왕자의 난이 발생하여 정종이 조선의 2대 국왕으로 즉위했다. 명나라에서는 건문제가 황위를 계승했으며, 베트남 쩐 왕조의 통치자가 어린 아들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또한, 잉글랜드에서는 헨리 4세가 왕위에 올랐고, 칼마르 동맹이 창설되었다. 주요 인물로는 명나라의 선덕제가 태어났고, 홍무제, 정도전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398년 | |
---|---|
1398년 | |
달력 | |
간지 | 무인년(戊寅年) |
일본 | 오에이 5년(応永5年) |
황기 | 2058년 |
중국 | 홍무 31년(洪武三十一年) |
조선 | 태조 7년 |
연호 | 명나라 홍무(洪武) 31년 |
주요 사건 | |
음력 8월 26일 | 조선에서 제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다. |
2. 연호
3. 기년
지역 | 국가 | 연호 및 기타 |
---|---|---|
명 | 태조 홍무제 31년 | |
조선 | 태조 7년 | |
쩐 왕조 | 순종 11년 / 소제 원년 | |
간지 | 무인 | |
일본 | 오에이 5년, 황기2058년 | |
중국 | 명 : 홍무 31년 | |
조선 | 조선 왕조 : 태조 7년, 단기 3731년 | |
베트남 | 쩐 왕조 : 꽝타이 11년, 끼엔떤 원년 3월 15일 - | |
불멸기원 | 1940년 - 1941년 | |
이슬람력 | 800년 - 801년 | |
유대력 | 5158년 - 5159년 |
4. 주요 사건
- 마자파힛 제국의 침략으로 싱가푸라 왕국이 멸망하였다.
- 압둘라가 아부 아미르의 뒤를 이어 오늘날 모로코의 마린 왕조 통치자가 되었다.
- 분에이가 아버지 삿토의 뒤를 이어 추잔 (오늘날 일본 오키나와현)의 왕이 되었다.
- 3월 15일 - 오늘날 베트남의 쩐 왕조 통치자 쩐 투언 통이 세 살 된 아들 쩐 티에우 데에게 왕위를 물려주도록 강요받았다.
- 4월 – 5월 – 보스니아 귀족들이 헬렌 여왕을 폐위시키고 오스토야를 그 자리에 앉혔다.
- 7월 – 세계 최초의 항해 가능한 정상 수위 운하 중 하나인 슈테크니츠 운하가 오늘날 북부 독일의 엘베강과 트라베강 사이(뤼베크에서)에 완공되었다.
- 문묘 공자 사당이 오늘날 서울에 세워졌다.
- 주변 이론가들에 따르면, 스코틀랜드 탐험가 오크니 백작 헨리 I 싱클레어가 북아메리카에 도달했다.
4. 1. 동아시아
- 조선 성균관 건립.[3]
- 10월 6일(음력 8월 26일) - 조선에서 이방원 등이 정도전, 남은 등을 살해하였다. (제1차 왕자의 난 발발)[3]
- 10월 14일(음력 9월 5일) - 조선 태조가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이방원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정종이 조선 제2대 국왕으로 즉위하였다.
- 6월 25일 - 건문제가 조부인 홍무제의 뒤를 이어 명나라의 황제가 되었다.
4. 2. 서아시아
- 티무르 제국이 술탄 무라드 4세가 이끄는 오스만 제국과의 전투에서 승리하였다.[1]
- 12월 17일 - 티무르는 4년간의 내전으로 약화된 델리 술탄국의 마지막 통치자를 격파하였다. 승리 후 티무르의 이슬람교 군대는 델리 시를 약탈하고 수십만 명의 힌두교 주민을 학살하였다.[1]
4. 3. 유럽
- 1월 19일 - 잉글랜드 국왕 리처드 2세와 헨리 볼링브로크가 플린트 성에서 만나고, 헨리 볼링브로크는 왕위를 주장한다.[1]
- 6월 5일 - 장 2세가 키프로스 국왕으로 즉위한다.
- 7월 27일 - 마르그레테 1세가 칼마르 동맹을 창설한다.
- 8월 22일 - 헨리 4세가 잉글랜드 국왕으로 즉위하고, 리처드 2세는 폐위된다.
- 9월 - 잉글랜드의 리처드 2세는 사촌인 헨리 볼링브로크(훗날의 잉글랜드의 헨리 4세)를 10년 동안 추방하여 토머스 드 모브레이, 노포크 공작 1세와의 불화를 끝낸다.[1]
- 11월 11일 - 야누스는 아버지인 제임스 1세를 계승하여 키프로스의 왕이 되고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의 왕위 계승자가 된다.
- 11월 15일 - 요한 1세가 바이에른-슈트라우빙의 공작이 된다.
- 프랑스가 대립 교황 베네딕토 13세에 대한 지원을 철회하면서, 제프리 부시코가 이끄는 군대가 아비뇽을 점령하고 교황 궁전을 5년간 포위한다.
- 튜튼 기사단은 리투아니아에 대한 습격을 재개한다.
- 튜튼 기사단은 이전에는 해적 비툭탈 형제단이 지배했던 스웨덴 근처 고틀란드 섬을 정복한다.
- 10월 12일 - 리투아니아 대공인 비타우타스와 튜턴 기사단의 대총장인 콘라드 폰 융겐이 사모기티아를 기사단에 양도하기 위한 시도로 살리나스 조약을 체결한다.
- 아라곤의 마르틴은 북아프리카의 무어인을 상대로 십자군을 일으킨다.
- 아일랜드 위클로의 글렌달로 수도원이 잉글랜드 군대에 의해 파괴된다.
- 페라폰토프 수도원은 오늘날 러시아 북서부에 벨로제르스크의 테라폰트에 의해 설립되었다.
- 마운트 그레이스 수도원이 잉글랜드 왕국 요크셔에 설립된다.
5. 탄생
- 8월 31일 - 장 드 발루아, 투렌 공작, 베리 공작 (1417년 사망)
- ''날짜 불명''
- * 모테쿠소마 1세, 두 번째 아즈텍 황제 (1469년 사망)
- * 틀라카엘렐, 멕시카 제국의 아즈텍 전사, 사상가, 고위 사제이자 귀족 (1487년 사망)
5. 1. 동아시아
- 5월 13일 - 명나라의 중신 우겸(~1457년)
- 2월 25일 (홍무 31년 음력 2월 9일) - 선덕제, 명나라 제5대 황제 ( + 1435년)
- 아시카가 모치우지,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제4대 가마쿠라 구보 (+ 1439년)
- 이세 사다쿠니, 무로마치 시대 막부 만도코로 집사 (+ 1454년)
- 위겸, 명나라 정치가 (+ 1457년)
- 오토아미, 무로마치 시대 사루가쿠노 배우 (+ 1467년)
- 쇼 킨푸쿠 왕, 류큐 왕국의 제1쇼씨 왕통 제5대 국왕 (+ 1453년)
- 하타케야마 모치쿠니, 무로마치 시대 수호 다이묘 (+ 1455년)
- 마카 야스나리, 무로마치 시대 무장, 지바씨 제19대 당주 (+ 1456년)
- 조선의 문신 김신민(金新民)·류의손(柳義孫)·성염조(成念祖)·이보흠(李甫欽)
5. 2. 유럽
- 8월 19일 – 이니고 로페스 데 멘도사, 산티야나 후작, 스페인 시인 (1458년 사망)
- ''날짜 불명''
- * 체칠리아 로즈고니, 헝가리 귀족이자 여성 영웅 (1434년 사망)
- * 멜슈틴의 스피트코 3세, 폴란드 귀족 (1439년 사망)
- * 윌리엄 웨인플리트, 잉글랜드 대법관이자 윈체스터 주교 (1486년 사망)
- *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독일 인쇄기 발명가

6. 사망
- 1월 6일 - 루프레히트 2세, 팔츠 선제후. (1325년~)
- 1월 21일 - 프리드리히 5세, 뉘른베르크 성백. (1333년~)
- 7월 20일 - 제4대 마치의 로저 모티머 (잉글랜드). (1374년~)
- 9월 9일 - 키프로스의 제임스 1세. (1334년~)
- 10월 5일 - 나바라의 블랑슈 (프랑스). (1333년~)
- 7월/8월 (불확실) - 카디 부르한 알딘, 시인이자 카디, 시바스의 통치자. (1345년~)
6. 1. 동아시아
- 洪武帝|홍무제중국어 (7월 2일) - 명나라의 초대 황제. (1328년~)
- 문익점(文益漸) (6월 13일) - 고려의 좌사의대부(左司議大夫). (1329년~)
- 정도전(鄭道傳) (10월 6일) - 조선의 봉화백(奉化伯). (1342년~)
- 남은(南誾) (10월 6일) - 조선의 의성군(宜城君).
- 심효생(沈孝生) (10월 6일) - 조선의 부성군(富城君).
- 박위(朴葳) (10월 6일) - 고려, 조선의 군인.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 역임.
- 류만수(柳曼殊) (10월 6일) - 고려, 조선의 관료. 상의문하부사(商議門下府事) 역임.
- 김균(金稛) - 조선의 계림군(雞林君). (1341년~)
- 이무방(李茂芳) - 조선의 광양부원군(光陽府院君). (1319년~)
- 류구(柳玽) - 조선의 예문춘추관태학사.
- 김선치(金先致) - 고려의 낙성군(洛城君).
- 안경량(安景良) - 조선의 예문춘추관학사(藝文春秋館學士).
- 구조 타다모토 (1월 8일 (응영 4년 12월 20일)) - 일본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의 공경. (1345년~)
- 스고 천황 (1월 31일 (응영 5년 1월 13일)) - 일본 남북조 시대 북조 제3대 천황. (1334년~)
- 나오히토 친왕 (6월 2일 (응영 5년 5월 14일)) - 일본 남북조 시대의 황족. (1335년~)
- 홍무제 (6월 24일 (홍무 31년 윤 5월 10일)) - 명나라의 초대 황제. (1328년~)
- 아시카가 우지미쓰 (12월 12일 (응영 5년 11월 4일)) - 일본 무로마치 시대 제2대 가마쿠라 공방. (1359년~)
6. 2. 유럽
참조
[1]
웹사이트
BBC History - Historic Figures - King Richard II
https://www.bbc.co.u[...]
2013-05-01
[2]
논문
Burhãn al-Dīn
[3]
간행물
태조실록 (1413) 14권, 태조 7년 8월 26일 기사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