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은 1949년 대한민국과 중화민국이 외교 관계를 수립한 후 서울에 개설되었다. 1974년에는 부산에 총영사관이 설치되었으며, 1977년에는 장제스 동상이 대사관 정원에 건립되었다. 1992년 대한민국이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면서 외교 관계가 단절되어 대사관과 총영사관이 폐쇄되었고, 대사관 부지의 쑨원과 장제스 동상은 한국한성화교중고등학교로 이전되었다. 이후 중화민국은 대한민국과의 비공식 관계 유지를 위해 대표부 설치에 합의하여 1994년 서울에 주한 타이베이 대표부를 개설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없어진 대한민국 주재 외교 공관 - 주한 니카라과 대사관
    주한 니카라과 대사관은 니카라과가 대한민국 서울에 설치했던 외교 공관으로, 재정 문제 등으로 설립과 폐쇄를 반복하다 2024년 최종 폐쇄되었으며, 대한민국과의 외교, 경제, 문화 교류 증진 및 자국민 보호 업무를 수행했다.
  • 없어진 대한민국 주재 외교 공관 - 주한 월남 공화국 대사관
    주한 월남 공화국 대사관은 1956년 서울에 설치되어 1975년 폐쇄된 베트남 공화국의 외교 공관이며, 베트남 전쟁 종결로 베트남 공화국이 소멸되면서 대사관 재산은 대한민국 정부에 인계되었다.
  • 중화민국의 없어진 외교 공관 - 주나우루 중화민국 대사관
    주나우루 중화민국 대사관은 중화민국이 나우루에 설치했던 외교 공관으로, 1980년 총영사관 개설을 시작으로 대사관으로 승격되었으나, 나우루가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함에 따라 두 차례 폐쇄되었다.
  • 중화민국의 없어진 외교 공관 - 주온두라스 중화민국 대사관
    주온두라스 중화민국 대사관은 1941년 중화민국과 온두라스의 외교 관계 수립 후 설치된 외교 공관으로, 1957년 공사관 개설, 1965년 대사관으로 승격되었으나 2023년 온두라스의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수교로 외교 관계가 단절되며 기능을 종료했다.
  • 대만-대한민국 관계 - 주한 타이베이 대표부
    주한 타이베이 대표부는 한중 수교로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이 폐쇄된 후 대한민국과 중화민국 간 비공식 관계 유지를 위해 서울에 설치된 대만 정부의 대표 기관으로, 경제·문화 교류 및 대한민국 내 대만 국민에 대한 영사 업무를 담당하며 부산에는 부산 사무처가 위치한다.
  • 대만-대한민국 관계 - 주타이베이 대한민국 대표부
    대한민국이 타이베이에 설치한 주타이베이 대한민국 대표부는 1992년 한중 단교 이후 1993년 대표부 상호 설치 합의를 통해 그해 11월 25일 정식 개관하였으며, 대표가 수장을 맡고 초대 대표는 한철수였다.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정식 명칭주한 중화민국 대사관
현지 명칭中華民國駐韓國大使館
설립일1949년 1월 4일
해산일1992년 8월 24일
후신주한 타이베이 대표부
소재지 (1992년 당시)서울특별시 중구 명동2가 83-7
상급 기관중화민국 외교부

2. 역사

1949년 1월 4일 중화민국 정부는 대한민국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고 서울특별시에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을 개설했다. 1974년에는 부산직할시(현재의 부산광역시)에 주부산 중화민국 총영사관(中華民國駐釜山總領事館중국어)을 개설했다.[2]

1992년 8월 24일, 대한민국 정부가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면서 하나의 중국 정책에 따라 중화민국과 대한민국 간의 외교 관계가 단절되었다. 이에 따라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과 총영사관이 폐쇄되었고, 대사관 청사 등 중화민국 정부 소유 부동산은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에 양도되었다. 또한 대사관 부지 내 쑨원, 장제스 동상은 한국한성화교중고등학교로 이전되었다.

이후 중화민국 정부는 대한민국과 비공식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1993년 7월 27일 일본 오사카부에서 대표부 상호 설치에 합의했고, 1994년 1월 25일 서울특별시주한 타이베이 대표부를 개설했다.

2. 1. 수교와 외교 관계

1949년 1월 4일 중화민국 정부는 대한민국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고 서울특별시에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을 개설했다.[2] 1974년에는 부산직할시(현재의 부산광역시)에 주부산 중화민국 총영사관(中華民國駐釜山總領事館중국어)을 개설했다.[2] 1977년 10월 5일에는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 정원에 건립된 장제스 전 중화민국 총통 동상 제막식이 거행되었다.[3]

1992년 8월 24일 대한민국 정부가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면서 하나의 중국 정책에 따라 중화민국과 대한민국 간의 외교 관계가 단절되었다. 이에 따라 서울에 있던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과 부산에 있던 주부산 중화민국 총영사관은 각각 1992년 8월 24일9월 22일을 기해 폐쇄되었다.[4] 대한민국 정부는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수교에 앞서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 청사를 포함한 모든 중화민국 정부 소유 부동산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에 양도하기로 결정했다.[5][6] 1992년 9월 15일에는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 청사 부지 안에 설치되어 있던 쑨원과 장제스 동상을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동에 위치한 한국한성화교중고등학교로 이전하는 계획이 확정되었고[7][8] 1993년 5월 5일에 동상 이전 작업이 완료되었다.[9]

중화민국 정부는 대한민국과의 비공식 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대표부 상호 설치 문제를 논의했고 1993년 7월 27일 일본 오사카부에서 대표부 상호 설치에 합의했다. 1994년 1월 25일에는 서울특별시에 주한 타이베이 대표부가 개설되었다.

2. 2. 부산 총영사관 설치

중화민국 정부는 1949년 1월 4일에 대한민국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고 서울특별시에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을 개설했다. 1974년에는 부산직할시(현재의 부산광역시)에 주부산 중화민국 총영사관(中華民國駐釜山總領事館중국어)을 개설했다.[2] 1992년 8월 24일 대한민국 정부가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면서 하나의 중국 정책에 따라 중화민국과 대한민국 간의 외교 관계가 단절됨에 따라 주부산 중화민국 총영사관은 1992년 9월 22일을 기해 폐쇄되었다.[4]

2. 3. 장제스 동상 건립

1977년 10월 5일,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 정원에서 장제스 전 중화민국 총통 동상 제막식이 거행되었다.[3] 1992년 9월 15일, 쑨원과 장제스 동상을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동에 위치한 한국한성화교중고등학교로 이전하는 계획이 확정되었고,[7][8] 1993년 5월 5일에 동상 이전 작업이 완료되었다.[9]

2. 4. 외교 관계 단절과 그 배경

대한민국 정부는 1949년 1월 4일에 중화민국과 수교한 후 서울특별시에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을 설치했다. 1974년에는 부산광역시에 주부산 중화민국 총영사관(中華民國駐釜山總領事館중국어)을 개설했다.[2] 1977년 10월 5일에는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 정원에 장제스 전 중화민국 총통 동상 제막식이 열렸다.[3]

1992년 8월 24일, 대한민국 정부가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면서 하나의 중국 정책에 따라 중화민국과 대한민국 간의 외교 관계가 단절되었다. 이에 따라 서울에 있던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은 1992년 8월 24일을 기해 폐쇄되었고, 주부산 중화민국 총영사관도 1992년 9월 22일을 기해 폐쇄되었다.[4] 대한민국 정부는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수교에 앞서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 청사를 포함한 모든 중화민국 정부 소유 부동산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에 양도하기로 결정했다.[5][6] 1992년 9월 15일에는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 청사 부지 안에 설치되어 있던 쑨원과 장제스 동상을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동에 위치한 한국한성화교중고등학교로 이전하는 계획이 확정되었고,[7][8] 1993년 5월 5일에 동상 이전 작업이 완료되었다.[9]

2. 5. 쑨원, 장제스 동상 이전

1992년 8월 24일 대한민국 정부가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면서 하나의 중국 정책에 따라 중화민국과의 외교 관계가 단절되었다. 이에 따라 서울에 있던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은 같은 날 폐쇄되었다.[4] 대한민국 정부는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수교에 앞서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 청사를 포함한 모든 중화민국 정부 소유 부동산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에 양도하기로 결정했다.[5][6] 1992년 9월 15일,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 청사 부지 안에 설치되어 있던 쑨원과 장제스 동상을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동에 위치한 한국한성화교중고등학교로 이전하는 계획이 확정되었고,[7][8] 1993년 5월 5일에 동상 이전 작업이 완료되었다.[9]

2. 6. 주한 타이베이 대표부 설치

대한민국과 중화민국은 단교 이후 비공식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대표부 상호 설치 문제를 논의했고, 1993년 7월 27일 일본 오사카부에서 합의했다.[4] 1994년 1월 25일 서울특별시주한 타이베이 대표부가 개설되었다.

3. 역대 대사

대수이름임기
1사오위린1949년 7월 14일 ~ 1951년 9월 4일
2왕둥위안1951년 9월 13일 ~ 1961년 2월 11일
3류위완1961년 2월 18일 ~ 1964년 4월 11일
4량쉬자오1964년 3월 23일 ~ 1966년 12월 25일[1]
5탕쭝1967년 2월 13일 ~ 1970년 9월 18일
6뤄잉더1970년 9월 27일 ~ 1975년 1월 29일
7주푸쑹1975년 1월 29일 ~ 1979년 8월 18일
8딩마오스1979년 8월 30일 ~ 1982년 12월 31일
9쉐위치1983년 2월 23일 ~ 1986년 7월 31일
10쩌우젠1986년 8월 20일 ~ 1990년 8월 9일
11(마지막)진수지1990년 8월 9일 ~ 1992년 8월 23일



제4대 대사 량쉬자오는 도서관 자산을 부적절한 방식으로 매각한 사건으로 인하여 해임되었다.[1]

참조

[1] 뉴스 '"그래도 臺灣(대만)은 영원하다" 오열'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2023-01-29
[2] 서적 Chinese Yearbook of International Law and Affairs https://books.google[...] Occasional Paper/Reprints Series in Contemporary Asian Studies, Incorporated 1981
[3] 뉴스 故(고) 蔣介石(장개석)총통 銅像(동상)제막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2023-01-29
[4] 뉴스 부산의 외국공관 <5> 中國 총영사관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2020-09-23
[5] 뉴스 정부, "中国(중국)에 귀속" 공식 입장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2023-01-29
[6] 뉴스 모든 臺灣(대만) 자산 中國(중국)에 귀속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2023-01-29
[7] 뉴스 蔣介石(장개석) 동상 15일 한성 화교학교로 이전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2023-01-29
[8] 뉴스 장개석총통·손문선생 동상 이전/구 대만대사관 구내서 한성화교학교로 https://www.hankooki[...] 한국일보 2023-02-02
[9] 웹인용 我們的家族史 http://www.scs.or.kr[...] 2023-0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