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한성화교중고등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한성화교중고등학교는 1948년 서울 명동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 부지에 개교한 학교로, 중화민국 교육부의 교육 과정을 따르며 한국어 교육을 병행한다. 1942년 일제강점기에는 광화중학으로 개교했으나, 2차 세계 대전 종전으로 폐교되었다가 1948년 재개교했다. 6.25 전쟁 중 부산으로 임시 이전했다가 서울 수복 후 복귀했으며, 1969년 서대문구 연희동으로 이전했다. 7학년부터 12학년까지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2020년 기준 약 500명이 재학 중이다. 트로트 가수 주현미, 배우 강래연, 걸그룹 트와이스 멤버 쯔위 등이 이 학교 출신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서대문구의 학교 -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는 1957년 연희대학교와 세브란스 의과대학이 통합되어 설립되었으며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진리와 자유의 이념을 추구하는 대한민국의 사립 연구중심대학교이다.
  • 서울 서대문구의 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는 1886년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종합대학교로, 12개의 단과대학과 대학원을 운영하며 다양한 국제 교류를 진행하고, 친일 행적 논란 등 사회적 이슈에도 연루되었다.
  • 대한민국의 외국인학교 - 서울프랑스학교
    서울프랑스학교는 1974년 개교하여 1985년 서초구 서래마을로 이전했으며, 프랑스 문화가 짙게 남아있는 지역으로 발전하는데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외국인학교 - 아시아퍼시픽국제외국인학교
    아시아퍼시픽국제외국인학교는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미국식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외국인학교로, 미국 서부 교육 위원회 인증을 받았으며 서울과 하와이 캠퍼스 간 학생 교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졸업생들은 세계 유수의 대학교에 진학한다.
  • 1948년 개교 - 명지고등학교
    명지고등학교는 명지학원이 설립한 사립 고등학교로, 1948년 단국중학교로 개교하여 명지여자고등학교와 통합 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남가좌동에서 홍은동으로 이전, 학급 증설, 특수학급 설치 등의 변화를 거쳐 2024년 3월 현재 63회 졸업생을 배출, 졸업생 누계 6만 명을 넘었다.
  • 1948년 개교 - 효덕초등학교
    경기도 [시/군/구]에 위치한 효덕초등학교는 1948년 고덕국민학교 분교장으로 시작해 1954년 독립 초등학교로 설립되었으며, 2015년까지 5,520명의 졸업생을 배출하고 병설유치원과 특수학급을 운영하는 학교이다.
한국한성화교중고등학교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학교 입구 (2014년)
위치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학교 형태사립
개교1948년
교장우식성 (于植盛)
교훈충효근박 (忠孝勤樸)
웹사이트한국한성화교중고등학교 홈페이지 중국어
학교 정보 (중국어)
중국어 (번체)韓國漢城華僑中學
중국어 병음Hánguó Hànchéng Huáqiáo Zhōngxué
웨이드-자일스Han-kuo Han-ch'eng Hua-ch'iao Chung-hsüeh
한글한국한성화교중고등학교

2. 연혁

1942년 일본 제국의 식민 통치 하에 있던 조선에 거주하는 화교들을 위해 '''광화중학'''(光華中學)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문을 열었다.[4] 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면서 1945년에 잠시 폐교되었다.[4]

이후 중화민국 관리들의 도움을 받아 1948년 9월, 서울 중구 명동에 위치한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 부지 내에서 서울 중국 소학교와 함께 한국한성화교중고등학교라는 이름으로 다시 개교하였다.[4] 1951년에는 6·25 전쟁의 여파로 부산으로 임시 이전했다가, 1954년 3월 대한민국 정부의 서울 수복과 함께 다시 서울로 돌아왔다.

학교 규모는 점차 확장되어 명동에서 1955년 9월 제1교사, 1959년 9월 제2교사, 1962년 8월 23일 제3교사를 차례로 준공하였다. 1968년에는 학생 수가 크게 늘어나면서 중등학교를 분리하기로 결정하고, 같은 해 11월 현재 위치인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에 제1교사를 준공하였다. 1969년 3월, 학교는 연희동으로 완전히 이전하였다.

연희동 이전 후에도 시설 확충은 계속되어 1971년 6월 제2교사, 1974년 10월 구내식당, 1974년 11월 기숙사, 1977년 5월 오디토리엄, 1982년 8월 시청각실, 1986년 1월 컴퓨터실 등이 차례로 마련되었다. 학생 수는 꾸준히 증가하여 2003년에는 1,100명으로 정점을 찍었으나, 이후 화교 사회 규모 축소와 함께 점차 감소하여 2020년 기준으로 약 500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한편, 1992년 9월 15일 대한민국과 중화민국 간의 외교 관계가 단절되면서 폐쇄된 명동의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 부지에 있던 쑨원과 장제스의 동상을 학교로 이전하기로 결정하였고,[7][8] 이듬해인 1993년 5월 5일에 동상 이전 작업이 완료되었다.

교장으로는 1984년 쑨슈이(孫樹義)가 취임하였으며,[4] 2015년 쑨슈이 교장이 은퇴한 후 위지성(于植盛)이 교장직을 이어받았다.

3. 교육 과정

학교의 교육 과정은 기본적으로 중화민국 교육부(中華民國教育部중국어)가 정한 내용을 따른다. 다만 학생들의 현지 적응을 돕기 위해 한국어 교육 과정이 추가되어 운영된다. 2020년 가을 학기부터는 중화민국 교육부가 2019년에 새로 제정한 교육 과정 지침인 '108課綱'에 맞춘 교재와 자료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교재는 중화민국의 중화민국 교무위원회(僑務委員會, 中華民國僑務委員會중국어)에서 제공하며, 대만의 교과서 출판사인 남일서국(南一書局중국어)에서 발행한 것을 사용한다.

미술 교육 과정 역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학생들은 회화나 중국 서예와 같은 전통 미술뿐만 아니라 현대적인 오디오비디오 미디어 기술도 배운다.[2] 정규 교육 과정 외에도 사자춤, 중국 민속 무용, 용춤 등 다양한 중국 문화 관련 활동을 운영한다. 특히 학교 무용단은 여러 공식 행사나 지역 사회 행사에 참여하여 공연을 선보이기도 한다.

4. 운영

학교는 7학년부터 12학년까지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약 500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학생들은 주로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연계 학교인 서울 화교 소학교(韓國漢城華僑小學), 영등포 화교 소학교, 수원 화교 중정 소학교, 의정부 화교 소학교 출신이다. 일부 학생은 인천이나 부산 등 다른 지역에서 오기도 한다. 대한민국의 자매 학교로는 인천 화교 중산 중학교(仁川華僑中山中學)와 대구 화교 중학교(韓國大邱華僑中學)가 있다.

학교 교육과정은 기본적으로 중화민국 교육부가 정한 기준을 따르며, 한국 현지 적응을 위해 한국어 수업이 추가된다. 2020년 가을부터는 중화민국 교육부가 2019년에 제정한 새로운 교육과정 지침(108課綱)에 따른 교재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교재는 해외 화교 위원회(中華民國僑務委員會)에서 제공하며, 난이서국(南一書局)에서 발행한 것을 사용한다.

미술 수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학생들은 회화나 중국 서예 같은 전통 예술뿐만 아니라 현대 시청각 매체도 다룬다.[2] 또한 사자춤, 중국 민속 무용, 용춤 등 다양한 중국 문화 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학교 무용단은 공식 행사나 지역 사회 행사에서 정기적으로 공연을 선보인다.

5. 저명한 동문

참조

[1] 웹사이트 Seoul Overseas Chinese High School Holds An Opening Ceremony Of The New Semester of 104th Academic Year http://www.ocac.gov.[...] Overseas Community Affairs Council 2016-03-30
[2] 웹사이트 Foreign Schools http://english.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6-03-30
[3] 웹사이트 Overseas Chinese High School Seoul,KOREA http://www.isi.go.kr[...] International School Information, Government of South Korea 2016-03-30
[4] 뉴스 Education keeps overseas Chinese culture alive in South Korea http://taiwantoday.t[...] Taiwan Today 2016-03-30
[5] 서적 'Us' and 'Them' in Korean Law Routledge 2003-09-02
[6] 웹인용 우리의 가족사 http://www.scs.or.kr[...] 2023-02-02
[7] 뉴스 蔣介石(장개석) 동상 15일 한성 화교학교로 이전 https://n.news.naver[...] 2023-01-29
[8] 뉴스 장개석총통·손문선생 동상 이전/구 대만대사관 구내서 한성화교학교로 https://www.hankooki[...] 2023-0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