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나의 중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나의 중국은 중화인민공화국(PRC)이 타이완을 자국 영토의 일부로 간주하는 원칙이다. 이 원칙은 역사적 배경,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의 상반된 입장, 타이완 내부의 다양한 관점, 그리고 국제사회의 복잡한 입장과 관련하여 논란을 야기한다. 중화인민공화국은 타이완 독립 시도에 반대하며, 유엔 등 국제기구에서 타이완의 활동을 제약하고 있다. 반면, 중화민국은 초창기에는 하나의 중국을 인정했으나, 현재는 타이완의 주권과 민주주의를 강조하는 입장을 보이며, 타이완 내부에서도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국제 사회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입장을 인정하거나 이해하는 태도를 보이며, 타이완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각국의 입장이 상이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나의 중국 - 중화 타이베이
    중화 타이베이는 중화인민공화국이 중국 대표로 인정받은 후 중화민국이 국제무대에서 사용하게 된 명칭으로, 복잡한 양안 관계를 반영하는 절충안이지만 명칭 사용에 대한 해석 차이와 다양한 국제사회의 사용 현황으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하나의 중국 - 92공식
    92공식은 1992년 양안이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지하되 해석은 각자 다르다는 구두 합의로, 교류의 기반이 되었으나 해석과 존재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양안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명수 1 - 일원론
    일원론은 모든 현상을 하나의 근본 원리로 설명하려는 철학적 사상이며, 정신과 물질의 관계를 탐구하는 심신 문제와 관련되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명수 1 - 삼위일체
    삼위일체는 기독교에서 하느님이 성부, 성자, 성령의 세 위격으로 존재하지만 본질적으로 하나의 신성을 지닌다는 교리로서, 구약성경에서 암시를 찾고 신약성경에서 구체화되었으며, 니케아 공의회와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를 거치며 확립되어 현재 대부분의 기독교 종파에서 핵심 교리로 받아들여지고 기독교 문화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하나의 중국
지도 정보
명칭
공식 명칭하나의 중국
한자 표기간체: 一个中国
번체: 一個中國
로마자 표기중국어 병음: Yīgè Zhōngguó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I-ko Chungkuo
민난어 병음: It-ê Tiong-kok
기본 정보
개념중국을 대표하는 유일한 합법 정부는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라는 정치적 원칙 또는 정책
관련 정책하나의 중국 원칙
하나의 중국 정책
각자 해석에 따른 하나의 중국하나의 중국은 인정하나, 각자 다른 해석을 주장하는 것
하나의 중국 원칙
중국어 표기一个中国原则
로마자 표기중국어 병음: Yīgè Zhōngguó yuánzé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I-ko Chungkuo yüantse
하나의 중국 정책
중국어 표기一个中国政策
로마자 표기중국어 병음: Yīgè Zhōngguó zhèngcè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I-ko Chungkuo Chengts'e
주요 내용 및 쟁점
핵심 내용중화인민공화국만이 중국을 대표하는 유일한 합법 정부라는 것
중화민국은 중국의 일부라는 주장
논쟁의 중심타이완의 지위 문제
각 측의 해석중화인민공화국: 타이완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일부이며, 통일되어야 한다고 주장
중화민국: 중화민국이 독립적인 주권 국가라는 입장
국제 관계
주요 국가 입장미국: 하나의 중국 정책을 유지하지만, 타이완의 주권에 대해서는 명확한 입장을 취하지 않음 (전략적 모호성)
오스트레일리아: 하나의 중국 정책을 인정하지만, 타이완과의 비공식적인 관계를 유지
미국 정부타이완에 대한 중국의 주권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음
국가 관계다수의 국가가 하나의 중국 정책을 따르지만, 타이완과 비공식적 관계 유지
관련된 합의 및 선언
상하이 코뮤니케미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의 '하나의 중국' 입장을 '승인'하였지만, 타이완에 대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주권을 인정하지 않음
1979년 미국-중국 공동 코뮤니케미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인정
타이완 관계법미국은 타이완의 방어에 대한 미국의 이해관계를 명시
6가지 보장미국은 타이완에 대해 중국의 주권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음
1992년 합의
내용"하나의 중국" 원칙은 인정하되, 각자 다른 해석을 할 수 있다는 합의 (하나의 중국, 각자 표명)
중화인민공화국은 '하나의 중국'을 '중화인민공화국'으로 해석하고, 중화민국은 '중화민국'으로 해석
논란중화민국에서는 '하나의 중국, 각자 표명'이라는 용어로 사용했으나,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인정하지 않음
리덩후이 전 총통은 1992년 합의가 없다고 주장
현재 입장민주진보당은 1992년 합의를 인정하지 않음
중화인민공화국은 1992년 합의를 바탕으로 양안 관계를 주장
중국국민당은 1992년 합의를 지지
관련 용어
양안 관계타이완 해협을 사이에 둔 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 간의 관계
대만 독립타이완이 중화인민공화국으로부터 독립하여 주권 국가가 되려는 움직임
중화민국중국 국민당이 설립한 정권
중화인민공화국중국 공산당이 설립한 정권

2. 역사적 배경

중화인민공화국(보라색)과 중화민국(주황색)이 통제하는 영토.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작은 섬의 크기가 과장되었습니다.


'하나의 중국' 원칙은 1949년 중국 국공 내전에서 중국 공산당이 승리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하고, 중국 국민당이 타이완으로 이동하여 중화민국을 유지하면서 양측이 '중국'의 유일한 합법 정부임을 주장하면서 시작되었다.

1624년 네덜란드는 현재 타이난에 위치한 타이완에 식민지를 건설했다. 그 직후 스페인이 1626년 타이완 북부에 식민지를 세웠지만, 1642년 네덜란드에 의해 쫓겨났다. 이 시기에 인근 푸젠성에서 중국인들의 이주가 시작되었다.[26][27]

이후의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

일본이 1952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에서 타이완에 대한 모든 영토 권리를 공식적으로 포기했지만, 해당 조약이나 일본과 중국 간의 평화 조약에는 타이완의 영토 주권이 중화민국에 부여되지 않았다.[34][35] 이러한 조약들은 중화민국이나 중화인민공화국이 통치하는 타이완의 지위를 의도적으로 모호하게 남겨두었다.[34][35]

중화민국은 중화민국 헌법 추가 조항의 통과와 함께 1990년대에 자유롭고 민주적인 국가로 변모했다.[43] 그 후, 법적 및 타이완의 정치적 지위가 더 논쟁이 많아졌고, 이전에는 불법이었던 타이완 독립을 찬성하는 공개적인 표현이 증가했다.

2005년에는 타이완 “독립” 방지를 위한 반분열 국가법이 제정되었다. 2023년 현재 이 원칙에 따라 중화인민공화국과 국교를 맺는 국가는 중화민국과 공식적인 국교를 맺을 수 없다. 또한, 중화민국과 공식적인 국교를 맺는 경우에는 중화인민공화국과 단교해야 한다.[97]

2. 1. 청나라와 일본의 타이완 통치

1683년 청나라는 타이완을 정복하여 푸젠성에 편입시켰고, 1887년 푸젠-타이완 성으로 승격시켰다.[26][27] 1895년 청일전쟁에서 패배한 청나라는 시모노세키 조약을 통해 타이완을 일본 제국에 할양했다.

2. 2. 중화민국의 성립과 타이완 통치

1912년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멸망하고 중화민국이 수립되었다.[28][29][30][31][32][33]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패망하면서 중화민국은 타이완의 통치권을 회복했다.[28][29][30][31][32][33]

2. 3. 국공 내전과 양안 분단

1949년 중국 국공 내전에서 중국 공산당이 승리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하자, 중국 국민당은 타이완으로 이동하여 중화민국 정부를 유지했다.[28][29][30][31][32][33] 이로써 양안은 분단되었고, 각자 '중국'의 정통성을 주장하게 되었다. 장제스는 하나의 중국이 중화민국 정부의 통치 아래 통일되어야 한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55] 그의 라이벌인 마오쩌둥은 그가 '두 개의 중국'이라는 개념을 거부한 것을 칭찬했다.[55]

1971년 유엔총회 결의 2758호는 유엔에서 중화민국의 자리를 중화인민공화국으로 대체했다. 과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이었던 중화민국(타이완)은 중화인민공화국과 ‘중국 유일의 정통 정부’라는 입장을 서로 양보하지 않았다. 1949년부터 중화인민공화국 측이 유엔총회에 “중국 대표권 문제”를 제기하여 오랫동안 부결되었지만, 1971년의 알바니아 결의 이후 중화민국이 유엔을 탈퇴하고, 새롭게 가입하여 상임이사국이 된 중화인민공화국이 주장하는 “하나의 중국” 개념이 국제 사회에 선포되었다.

1991년 4월 30일부터 중화민국은 할슈타인 독트린을 포기하면서 중국의 정당한 통치자로서의 독점적 권한을 주장하면서 공식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을 인정했다.[42]

3. 중화인민공화국(PRC)의 입장

중화인민공화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고수하며, 타이완이 자국 영토의 일부분이고 중화인민공화국만이 중국 전체를 대표하는 유일한 합법 정부라고 주장한다. 이들은 중국의 주권과 영토 분할을 용납할 수 없으며, 언젠가는 반드시 통일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중화인민공화국은 타이완을 홍콩, 마카오와 같은 특별자치구역으로 간주하며, 청나라 강희제의 타이완 정복을 자신들의 입장을 뒷받침하는 역사적 근거로 제시한다.[26][27]

2005년 민주진보당을 중심으로 타이완 공화국 추진 움직임이 거세지자, 중화인민공화국은 반분열국가법을 제정하여 타이완 독립 시도에 대한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보냈다.[64] 2008년 티베트 소요 사태 당시에도 중화인민공화국 지도부는 '하나의 중국' 원칙을 내세우며 강경 진압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외교 관계에서 다른 국가들이 타이완과 무역 사무소를 설립하는 것은 허용하지만, 공식적인 외교 활동은 금지한다.[54] 중화인민공화국과 외교 관계를 맺으려면 중화민국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아야 하며, 이는 사실상 다른 국가들이 베이징과 타이베이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을 만든다.[63][64]

1949년부터 중화인민공화국은 유엔에서 "중국 대표권 문제"를 제기했고, 1971년 알바니아 결의 이후 중화민국이 유엔을 탈퇴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이 상임이사국이 되면서 '하나의 중국' 개념이 국제 사회에 널리 알려졌다. 중화인민공화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에 따라 중화민국과 국교를 맺는 국가는 중화인민공화국과 단교해야 한다고 주장한다.[97]

3. 1. 법률적 주장

중화인민공화국 헌법은 타이완을 "중화인민공화국의 신성한 영토의 일부분"이라고 명시하고 있다.[63] 반분열국가법 제2조는 "세계에는 오직 하나의 중국만이 있으며, 중국 대륙과 타이완은 하나의 중국에 속한다"고 규정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은 어떠한 수단으로든 타이완 독립 시도를 허용하지 않겠다고 명시한다.[64] 제5조는 하나의 중국 원칙에 대한 지지가 국가의 평화적 통일의 기초라고 규정한다.

4. 중화민국(ROC)의 입장

중화민국의 국기


중화민국도 초기에는 '하나의 중국' 원칙을 인정했지만, 이는 중화민국이 중국의 유일한 합법 정부라는 주장이었다. 과거 중화민국의 강역이었던 중국 대륙은 중화민국이 수복해야 할 대상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중국 대륙에서 건너온 외성인 중심의 중국 국민당 장기집권이 끝나고, 청나라 시절 대륙에서 건너온 본성인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민진당천수이볜 집권 이후 '하나의 중국' 원칙은 타이완 내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네덜란드가 1624년 현재 타이난에 위치한 타이완에 식민지를 건설한 직후, 스페인은 1626년 타이완 북부에 식민지를 세웠지만 1642년 네덜란드에 의해 쫓겨났다. 이 시기에 인근 푸젠성에서 많은 중국인들이 이주해왔다.[26][27] 네덜란드 식민지는 1662년 명나라에 충성했던 정성공의 동닝 왕국에 의해 정복된 후, 1683년 청나라에 의해 푸젠성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1887년, 공식적으로 별도의 푸젠-타이완 성이 되었고, 시모노세키 조약에 따라 1895년 제1차 중일 전쟁 이후 일본에 할양되기 전까지 8년간 성으로 유지되었다.

타이완이 일본의 지배를 받는 동안, 청나라는 신해혁명으로 무너졌고, 베이양 정부와 국민정부가 수립되었다.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중화민국은 타이완의 통제권을 획득했다.[28][29][30][31][32][33] 1949년, 중국 국공 내전에서 패배하고 타이완으로 철수한 중국 국민당의 장제스는 계엄령을 선포했다.

일본이 1952년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에서 타이완에 대한 모든 영토 권리를 포기했지만, 이 조약이나 일본과 중국 간의 평화 조약 어디에도 타이완의 영토 주권이 중화민국에 부여되지 않았다.[34][35] 이 조약들은 타이완의 지위를 의도적으로 모호하게 남겨두었다.[34][35]

1971년, 유엔총회 결의 2758호에 따라 유엔에서 중화민국의 자리는 중화인민공화국으로 대체되었다. 1991년 4월 30일부터 중화민국은 할슈타인 독트린을 포기하면서 중화인민공화국을 인정했다.[42] 중화민국은 중화민국 헌법 추가 조항 통과와 함께 1990년대에 자유 민주 국가로 변모했다.[43] 이후, 타이완의 정치적 지위가 더 논쟁의 대상이 되었고, 타이완 독립에 대한 공개적인 지지가 증가했다.

타이완 내에서는 중국국민당민주진보당의 입장이 다르다.

중국국민당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고수하며, 1947년 난징에서 통과된 중화민국 헌법에 따라 중화민국이 중국 본토와 타이완을 포함한 중국 대부분 지역에 대한 주권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1949년 중국 공산당이 중화민국을 중국 대부분 지역에서 축출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한 후, 타이완을 장악하고 있던 중화민국의 중국 국민당 정부는 중국 전체의 정통성을 주장했다. 전 대통령 리덩후이 시절, 1991년 중화민국 헌법에 추가 조항이 삽입되어 사실상 타이완 지역에만 적용되도록 되었다.[24] 중국국민당은 '1992년 합의'로 알려진 수정된 형태의 '하나의 중국' 원칙을 선포하는데, 양측 정부가 중국 본토와 타이완을 포함하는 하나의 주권 국가가 있다는 데는 '동의'하지만, 어느 정부가 정통성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르다는 것이다. 전 중화민국 대통령 마잉주2008년 10월 8일까지 중국 본토에 대한 주장을 재확인했다.[44]

민주진보당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거부하며, 현재 공식 입장은 타이완이 타이완과 주변 섬들로 구성된 독립 국가이며, 그 주권은 1999년 '타이완의 미래에 관한 결의안'에 기초하여 타이완 거주 중화민국 시민에게서만 유래한다는 것이다. 이는 타이완을 중화민국이라는 이름 아래 독립 국가로 간주하여 공식적인 독립 선언이 불필요하다고 본다.[45] 1991년 당헌에 새로운 헌법 초안 작성과 타이완 공화국 선언이 명시되었지만, 1999년 결의안이 이전 당헌을 대체했다.[47]

2003년 중화민국이 키리바시와 외교 관계를 수립했을 때, 키리바시가 중국과의 관계를 단절할 것을 요구하지는 않았다.[60] 그러나 중국은 이중 인정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키리바시와의 관계를 단절했다.[61] 2024년, 중화민국 외교부는 다른 국가와의 외교 관계 유지를 위한 사전 조건이 없으며, 특히 중화민국과 중국 공산당의 동시 인정에 반대하지 않는다고 발표했다.[62]

중화민국은 중국 여권을 인정하지 않는다. 대신 중국 본토 거주민이 타이완과 중화민국 관할 하의 다른 지역을 방문하려면 중화민국 당국이 발급한 출입허가증을 사용해야 한다.

1992년 8월 1일, 중화민국의 국가통일위원회는 "하나의 중국 결의안 정의"를 통과시켰다. 그 내용은 "대만 해협 양측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지하지만, 양측의 해석은 다르다... 우리 측은 하나의 중국은 1912년에 설립되어 오늘날까지 존재하는 중화민국을 의미해야 하며, 그 주권은 중국 전역에 걸쳐 있지만, 현재 통치 권한은 대만, 澎湖, 금문, 마쭈에만 국한된다고 믿습니다. 물론 대만은 중국 영토의 일부이지만, 중국 본토 또한 중국의 일부입니다."이다.[56] 이 결의안은 중화민국의 해협교류재단(SEF)과 중국 공산당의 해협양안관계협회(ARATS) 간의 준정부 차원의 회담의 기초가 되었다.[56]

이러한 논의 중에 SEF는 "[하나의 중국]이라는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측이 구두로 자체 해석을 표명하고, 이에 따라 8월 1일 국가통일위원회 결의안을 SEF의 하나의 중국 해석으로 재확인했다"고 밝혔다.[56] ARATS는 이러한 해석을 구두로 표명하는 데 동의했으며, "해협 양측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지하고 적극적으로 국가 통일을 추구하지만, 하나의 중국의 정치적 해석은 기능적 문제에 대한 해협 간 협상에서 언급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56] 이러한 입장은 나중에 1992년 합의로 알려지게 되었다.[56]

하나의 중국 원칙에 대한 인식과 관련해서는 타이완 내에서 큰 차이가 있다. 범람연맹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중국 원칙을 수용한다. 특히 전 중화민국 총통 마잉주는 "하나의 중국은 중화민국"이라고 말했다.[57] 범녹연맹은 이 정책을 받아들이지 않고 타이완을 중국과 별개의 국가로 본다. 전 DPP 총통 천수이볜은 1992년 합의가 타이완의 국가 주권을 포기하고 중국 공산당에 넘겨주는 것이라고 믿는다.[58] 차이잉원 총통은 2019년에 1992년 합의를 거부했다.[59]

중화민국 헌법은 "중화민국 영토의 변경은 국민대회의 의결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명시하고 있다.[82] 영토 변경은 중화민국 입법원 재적 의원 1/4 이상의 발의와 재적 의원 3/4 이상 출석에 출석 의원 3/4 이상의 찬성을 거쳐야 하며, 국민대회 대표의 전체 2/3 이상 출석한 가운데 3/4 이상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따라서 중화민국 정부는 여전히 중국 대륙중화민국의 강역에 포함시키고 있다.

4. 1. 장제스 시대

장제스는 '하나의 중국' 원칙을 고수하며 중화민국이 중국의 유일한 합법 정부라고 주장했다. 제갈량의 후출사표를 인용하며 한적불양립(漢賊不兩立, 촉한한나라의 적인 위나라와 양립할 수 없다는 것)을 외쳤다.[26][27] 미국이나 일본이 '두 개의 중국'을 수용할 것을 제안했지만, 장제스는 이를 강력히 거부하였다.[28][29][30][31][32][33]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으로서 중국 대표 자격을 놓고, 미국과 일본은 중화민국에게 중국 대표권과 상임이사국 권한은 포기하되 타이완만을 대표하는 일반 회원국으로 유엔에 남을 것을 권유했다. 그러나 중화민국 정부는 이를 거부했다. 결국 1971년 유엔 총회 결의 제2758호가 가결되면서 중화민국유엔에서 탈퇴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이 중국의 유일 합법 정부로 유엔에서 공식 인정받게 되었다.[34][35]

4. 2. 장징궈 시대

장징궈 시대에는 중국 대륙 쪽에서 변화가 나타났는데, 중국이 자본주의 체제의 타이완을 적대시하지 않고 무력 수단에 따른 "타이완 해방" 구호에서 평화 통일 구호로 노선을 바꾸었다. 그러나 장제스 사망 이후 혼란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던 장징궈로서는 중국의 변경된 방침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는 없었고, '불접촉, 불담판, 불타협'이라는 이른바 '삼불 정책'을 내세웠다. 다만 중국과의 적대 정책을 계속 유지하기는 어려웠으므로 중화민국 국군의 퇴역 병사들이 중국 대륙의 가족과 친척들을 방문하는 것을 허용했다.

4. 3. 리덩후이 시대

1990년 이후 리덩후이 시대에는 정부 산하에 국가통일위원회를 설치하고 1991년에는 국가통일강령을 제정하여 '하나의 중국' 원칙이 상당히 완화되었고, 헌법 개정과 민주화에 발걸음을 내디뎠다. 그러나 '하나의 중국' 원칙을 부정한 것은 아니었는데, 중화민국 헌법 조문에는 통일 이전의 요청에 의해 헌법을 개정한다는 문구를 전문에 넣었다.

1999년, 리덩후이 총통은 '특수한 국가 대 국가 관계'(서독동독 간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설명할 때 설정되었던 국제 관계)를 제시했는데, 이는 이른바 '양국론'으로 해석되어 중국의 반발을 불러왔다.

리덩후이 시대의 '하나의 중국' 관련 정책 변화는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1990년1국 2정부론(一國兩府論)
1991년하나의 중국과 2개의 대등한 정치적 실체
1993년하나의 중국과 이를 지향하는 단계적인 두 개의 중국 정책
1999년특수한 국가 대 국가의 관계(特殊的國與國關係)


4. 4. 천수이볜 시대

천수이볜 민주진보당 정부는 '하나의 중국' 원칙 대신 일변일국(양안은 각각 별개의 국가)론을 강조하며 독립 국가 노선을 추구했다.[110] 2000년 5월 20일 총통 취임 연설에서 사불일몰유(중화인민공화국이 타이완에 무력을 행사할 의도가 없다면, 임기 중 독립 선언, 국호 변경, 양국론의 헌법 명기, 통일/독립 관련 국민투표를 하지 않고, 국가통일강령과 국가통일위원회를 폐지하지 않겠다는 내용)를 발표했다.[110]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의 반분열국가법 제정 후, 2006년 2월 27일 국가통일위원회국가통일강령을 폐지했다.[111]

2000년 천수이볜 당선 이후 중화민국 정부는 사전 조건 없는 협상을 제안했다. 천수이볜은 이덩후이의 양국론(두 국가 이론)을 명시적으로 거부하지도, 지지하지도 않았다. 2001년 내내 양측 모두에게 받아들일 수 있는 공식을 찾으려 했으나 실패했다. 천수이볜은 2002년 7월 민주진보당 당 의장직을 맡은 후, 2002년 8월 초 “해협 양안은 별개의 국가”라고 발언했다. 이 발언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지하지만 이 ‘하나의 중국’을 중화인민공화국으로 정의하는 것을 반대하는 범람연맹으로부터 비판받았다.

‘하나의 중국’ 정책은 2004년 중화민국 총통 선거에서 쟁점이 되었다. 천수이볜은 이전의 모호한 태도를 버리고, 타이완이 중화인민공화국의 일부임을 의미한다며 ‘하나의 중국’ 원칙을 공개적으로 거부했다. 그의 상대 후보인 롄잔은 1992년처럼 “하나의 중국, 다른 해석” 정책을 지지했다. 2004년 선거 후 롄잔과 그의 러닝메이트인 쑹추위는 타이완 해협 정책의 목표를 궁극적인 통일로 설정하지 않고, 미래에 독립적인 타이완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2005년 3월, 중화인민공화국은 ‘하나의 중국’ 정책을 위반하는 “심각한 사건”을 방지하기 위해 무력 사용을 승인하는 반분열법을 통과시켰지만, 동시에 ‘하나의 중국’을 중화인민공화국과 동일시하지 않고 정치적 해결책을 제안했다.

2005년 4월5월, 롄잔과 쑹추위는 각각 중국 본토를 방문해,[92] 1992년 합의와 ‘하나의 중국’ 개념을 지지하고, 대만 독립에 대한 당의 반대 입장을 밝혔다. 천수이볜은 타이완 해협 긴장 완화를 위해 롄잔과 쑹추위의 방문을 지지했지만,[93] “적”과 협력한다고 비난하기도 했다.

4. 5. 마잉주 시대

2008년 3월 국민당 마잉주 후보가 총통에 당선되면서 8년 만에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다. 마잉주는 '하나의 중국'을 지지하며 타이완 공화국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고, 중국과의 관계 회복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마잉주는 '3불(三不) 정책'(불통일, 불독립, 불사용 무력)을 제시하고, 양안의 미래는 후손들이 결정해야 할 문제라는 입장을 밝혔다.[89]

마잉주는 "하나의 중국은 중화민국"이라고 발언했으며, 민진당의 "타이완" 명의의 유엔 가입 시도에 맞서 "중화민국" 국호로 유엔에 복귀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두 주장 모두 국민투표에서 부결되었다.

마잉주 정부는 1992년 합의와 “하나의 중국”에 대한 상이한 해석을 재확인하면서, 대만해협관계협회와 해협교류재단의 만남, 직항편 운항을 통해 양안 관계 개선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4. 6. 차이잉원 시대

2016년 총통에 취임한 차이잉원은 '1992년 합의' 수용을 부정하고,[99] 타이완의 주권과 민주주의를 강조하며, 미국과의 관계 강화 방침을 추진했다.[100]

4. 7. 라이칭더 시대

2024년 중화민국 총통 선거에서 당선되어 2024년 총통에 취임한 라이칭더는 전임 차이잉원 정부의 노선을 계승하여 1992년 합의 수용을 부정하고 있다.[101] 라이칭더는 취임식 연설에서 1992년 합의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102]

4. 8. 법률적 주장

중화민국은 초기부터 하나의 중국 원칙을 인정했지만, 중화민국이 중국의 유일한 합법 정부라고 주장했다. 과거 중화민국의 강역(彊域)이었던 중국 대륙은 중화민국이 수복해야 할 대상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중국 국민당의 장기집권이 끝나고 본성인들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천수이볜 집권 이후 하나의 중국 원칙은 타이완 내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중화민국 헌법은 "중화민국 영토의 변경은 국민대회의 의결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명시하고 있다.[82] 영토 변경은 입법원 재적 의원 1/4 이상의 발의와 재적 의원 3/4 이상 출석에 출석 의원 3/4 이상의 찬성을 거쳐야 하며, 국민대회 대표의 전체 2/3 이상 출석한 가운데 3/4 이상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따라서 중화민국 정부는 여전히 중국 대륙중화민국의 강역에 포함시키고 있다.

5. 타이완 내부의 다양한 관점

타이완 내에서는 '하나의 중국' 원칙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중국 국민당(KMT)은 '1992년 합의'를 인정하고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지하지만, 그 '하나의 중국'이 중화민국임을 주장한다.[57] 국민당은 1947년 난징에서 통과시킨 중화민국 헌법에 따라 중화민국이 중국 본토와 타이완을 포함한 중국 대부분 지역에 대한 주권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1991년 이등휘 총통 시절 중화민국 헌법에 추가 조항이 삽입되어 사실상 타이완 지역에만 적용되도록 변경되었다.[24] 전 총통 마잉주는 "하나의 중국은 중화민국"이라고 말했다.[57]

민주진보당(DPP)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거부하며, 타이완은 독립적인 주권 국가라는 입장을 견지한다.[45] 민주진보당은 1999년 "타이완의 미래에 관한 결의안"을 통해 타이완의 주권은 타이완 거주 중화민국 시민에게서만 유래한다고 밝혔다.[45] 이는 타이완을 중화민국이라는 이름 아래 독립 국가로 간주하여 공식적인 독립 선언이 불필요하다고 본다.[45] 전 DPP 총통 천수이볜은 1992년 합의가 타이완의 국가 주권을 포기하고 사실상 중국 공산당에 넘겨주는 것이라고 비판했다.[58] 차이잉원 총통은 2019년에 1992년 합의를 단호히 거부했다.[59]

6. 국제사회의 입장

유엔, 미국, 독일, 대한민국, 일본을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주장을 인정하거나 양해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아시아의 일부 국가들과 아프리카의 대부분 국가들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주장을 적극 지지하고 있다. 중화민국과 수교를 하는 나라들만이 중화민국의 정통성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입장이다.[113][114][115][116][117][118]

중화인민공화국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려는 모든 국가는 중화민국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는 것을 전제 조건으로 한다. 사실상 다른 정부들은 베이징과 타이베이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63][64]

키이우에 있는 중화인민공화국 대사관. 우크라이나중화민국을 인정하지 않는다.


캔버라에 있는 중화인민공화국 대사관. 오스트레일리아는 공식적으로 중화민국을 인정하지 않지만 비공식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도쿄에 있는 중화민국 경제문화대표처. 일본중화인민공화국을 인정하지만 중화민국과 비공식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음바바네에 있는 중화민국 대사관. 에스와티니중화인민공화국을 인정하지 않는다.

6. 1. 주요 국가들의 입장

대한민국은 1992년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면서 '하나의 중국' 원칙을 인정하고 중화민국과 단교했다.[115] 그러나 타이완과의 비공식적인 관계는 유지하고 있다.[115]

6. 2. 각국의 승인 현황

2023년 기준으로, 대부분의 국가는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인정하고 있다. 중화민국과 수교한 국가는 소수에 불과하다.[97]

유엔이나 미국, 독일, 대한민국, 일본 등을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주장을 인정하거나 양해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아시아의 일부 국가들과 아프리카의 대부분 국가들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주장을 적극 지지하고 있다. 중화민국과 수교를 하는 나라들만이 중화민국의 정통성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입장이다.

  • 유엔 :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유엔이 하나의 중국 정책을 고수하고 있으며 중화민국의 가입 신청을 반려한 유엔의 결정도 이에 근거한다고 밝혔다. 즉, 1971년 유엔 내 중국 대표권을 중화민국에서 중화인민공화국에게 돌린 유엔 총회 결의 제2758호는 중화인민공화국을 사실상 유일한 합법 정부로 인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113] 유엔 회원국 중 15개국은 중화민국과 외교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유엔에서 중화민국의 입장을 지지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 유럽 연합 : 유럽연합은 중국 문제와 관련해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지한다는 기본 입장을 재확인하고 중화민국의 유엔 가입을 위한 국민 투표 실시에 대해 우려를 표시했다. 그러나 유럽연합은 회원국들의 입장이 정리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중화민국의 유엔 가입에 대해 중화인민공화국이 요구하는 강력히 반대하는 수준이 아니라, 지지하지 않는다는 '묵시적 반대' 수준을 유지했다.[114]
  • 미국 : 미국은 원래 중화민국을 지지했으나,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한 이래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승인(recognize)한다. 미국은 타이완이 중화인민공화국의 일부이며 하나의 중국은 중화인민공화국뿐이라는 입장을 인정(acknowledge)한다. 하지만 이는 공식적인 관계에 국한될 뿐 타이완과 단교한 이후에도 타이완에 무기를 판매하고 타이완을 사증 면제 프로그램 가입국에 포함하는 등 사실상 일개 국가로 간주하고 있다. 한편 콜린 파월은 하나의 중국 정책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안정을 가져온다고 이야기 한 바 있다.[115]
  • 대한민국 : 1992년 8월 24일 이전까지는 공식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과 외교 관계는 수립되어 있지 않았고 중화민국과 관계를 맺고 있었다.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한 이후 대한민국은 중화민국과 단교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 유일의 합법 정부로 인정하는 태도로 전향하였지만 대한민국은 타이완과의 비공식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 일본 : 일본은 1972년 이래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승인(recognize)하며 타이완이 중국의 일부임을 이해하고 존중한다(understand and respect)는 입장을 표명했다. 다만 타이완과의 단교 이후 타이완과 비정부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 독일 : 메르켈 총리는 하나의 중국 정책은 변함이 없으며 티베트 독립을 위한 어떤 노력도 지지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중국에 전했다.[116]
  • 프랑스 : 사르코지 대통령은 2007년 중국 대륙 방문에서 하나의 중국 정책에 대한 지지를 되풀이했다.[117]
  • 러시아 : 2006년 러시아 외무부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하나의 중국 정책을 지지한다고 밝혔다.[118]
  • 싱가포르 : 1992년부터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인정하고 있으나, 타이완에 싱가포르 군사 훈련소를 유지시키는 등 타이완과의 협력 관계도 계속 유지하고 있다. 2004년에는 싱가포르 부총리 리셴룽이 타이완을 방문하였다가 중국의 격렬한 항의를 받기도 하였다.
  • 해외 화교 단체 : 전 세계 화교들은 타이완이 중국의 일부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이중 중화민국 국적자는 현상 유지를,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자는 중국 대륙과의 합병을 주장한다.


7. 소수 민족 독립 운동

중국 내 소수 민족의 독립 문제로는 시짱 자치구를 중심으로 한 티베트 독립운동, 신장 위구르 자치구를 중심으로 한 동투르키스탄 독립운동, 타이완 성[112]을 중심으로 한 타이완 독립운동 등이 있다.

중국은 티베트족이나 위구르족이 분리 독립을 추진하지 못하도록 직접 억제하고 있으며, 타이완 독립 문제에 대해서도 반분열국가법을 제정하는 등 확고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110][111] 타이완을 실효 지배하는 중화민국 내 주요 정치 세력인 중국 국민당도 타이완인들의 탈중국화 독립 움직임에 원론적으로 반대하며 우려를 표명하고 있는데, 이는 1949년 분단국가가 된 이후부터 불거진 타이완 귀속 문제와 중국의 재통일을 둘러싼 양안 관계와 결부되어 매우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8. 논란

中華民國|중화민국중국어은 중국의 압력으로 올림픽 등 각종 국제 경기에서 자국의 국기(청천백일만지홍기), 국가(삼민주의), 국호(중화민국)를 사용할 수 없으며,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세계무역기구(WTO)와 같이 경제 협력 성격의 국제 기구와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국제 축구 연맹(FIFA)같은 국제 경기를 관장하는 국제 기구 이외에는 가입하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도 “중화민국”이나 “타이완” 국호를 사용하지 못하고 '''중화 타이베이'''라는 비공식 명칭을 써야 한다. 특히 타이완은 중국의 압력으로 유엔에 가입할 수 없으며 유엔 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 회원국이 아니기 때문에 타이완 소재 문화재의 세계유산 지정도 불가능한 실정이다.[122]

또 다른 문제점은 '하나의 중국' 원칙이 중화인민공화국의 영향력이 미치는 영역에서만 발휘될 수 있다는 점이다. 보수주의 정당 단체인 국제민주연합중화인민공화국이 참여하지 않기 때문에 중화민국중국 혹은 타이완 대표로 참여한다. 바티칸 시국중화인민공화국은 외교 관계가 없기 때문에 국교를 수립한 중화민국이 바티칸에서 중국 전체를 대표한다. 아직도 중화민국과 외교 관계가 있는 14개 국가는 중화민국을 중국의 정통 정부로 인정한다.

9. 관련 국제 뉴스 보도


  • 중국
  • : 중국중앙텔레비전(CCTV)은 2005년 9월 10일 유엔 총회에서 하나의 중국 원칙을 구현한 유엔 총회 결의안 2758에 관해 다루었고, 왜 타이완이 하나의 중국으로 중국에 속해있는지 설명하며, 역사적 사실과 두 개의 중국이 성립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한다.[119]
  • : 중국은 타이완이 중국의 일부라는 사실은 국제 사회의 하나의 중국 원칙을 고수하는 구도를 흔들 수 없으며, 중국의 통일은 필연적이라고 주장한다.[119]
  • 영국
  • : 영국방송공사(BBC)는 타이완이 돈을 위해 중국 간첩으로 활동한 군인 8명을 검거해 징역형에 처했으며, 타이완은 최근 베이징의 간첩 활동이 확대되고 있다고 경고했다고 보도했다.[120]
  • 미국
  • : CNN은 중국이 타이완을 침략하지 않고 점령하는 방법을 설명하며, 강압, 처벌 또는 합병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타이완 점령의 방법으로는 회색 지대 전략을 사용해 타이완 항구를 검열하여 에너지 등의 필수품이 타이완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121]

참조

[1] 뉴스 What is America's policy of "strategic ambiguity" over Taiwan? https://www.economis[...] 2022-07-23
[2] 웹사이트 Wilson Center Digital Archive https://digitalarchi[...] 2022-07-23
[3] 웹사이트 Wilson Center Digital Archive https://digitalarchi[...] 2022-07-22
[4] 웹사이트 Text - H.Con.Res.88 - 114th Congress (2015-2016): Reaffirming the Taiwan Relations Act and the Six Assurances as cornerstones of United States-Taiwan relations. https://www.congress[...] 2016-05-17
[5] 웹사이트 What Is the U.S. "One China" Policy, and Why Does it Matter? https://www.csis.org[...] CSIS 2017-01-13
[6] 뉴스 What is the 'One China' policy? https://www.bbc.com/[...] 2017-02-10
[7] 웹사이트 US Does Not Take a Position on Taiwan's Sovereignty, State Department Says https://www.voanews.[...] 2022-09-26
[8] 웹사이트 China/Taiwan: Evolution of the "One China" Policy—Key Statements from Washington, Beijing, and Taipei https://fas.org/sgp/[...] 2014-10-10
[9] 웹사이트 U.S.-Taiwan Relationship: Overview of Policy Issues https://web.archive.[...]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3-01-04
[10] 웹사이트 Australia-Taiwan relationship https://www.dfat.gov[...]
[11] 웹사이트 Interpretations of 'one China' https://chinamatters[...]
[12] 웹사이트 The United States "One China Policy" is NOT the same as the PRC "One China Principle" https://www.us-taiwa[...] US-Taiwan Business Council 2022-01-01
[13] 웹사이트 One China, Multiple Interpretations https://www.ccpwatch[...] Center for Advanced China Research 2017-12-28
[14] 웹사이트 The One-China Principle and the Taiwan Issue http://www.china.org[...]
[15] 웹사이트 Taiwan's Opposition Struggles to Shake Pro-China Image https://foreignpolic[...] Foreign Policy 2020-03-11
[16] 웹사이트 Taiwanese Identity and the Memories of 2.28: A Case for Political Reconciliation http://faculty.ndhu.[...] National Dong Hwa University 2010
[17] 저널 Constructing Peaceful Development: The Changing Interpretations of "One China" and Beijing's Taiwan Strait Policy https://www.tandfonl[...] 2014-03-11
[18] 뉴스 陸委會指沒有九二共識 陸學者:民進黨將對抗責任「甩鍋大陸」 https://www.ettoday.[...] 2022-07-27
[19] 웹사이트 The DPP Administration's Logic and Policy on China https://www.mac.gov.[...] Mainland Affairs Council
[20] 뉴스 No such thing as the '1992 consensus': Lee Teng-hui - Taipei Times http://www.taipeitim[...] 2015-05-03
[21] 서적 Building castles in the sand Routledge 2015
[22] 웹사이트 A Map of Greater China, Made in Taiwan https://bigthink.com[...] 2010-07-23
[23] 뉴스 Taiwan in Time: The 'communist rebellion' finally ends https://www.taipeiti[...] Taipei Times 2021-04-25
[24] 웹사이트 Lee Teng-hui 1999 interview with Deutsche Welle https://fas.org/news[...]
[25] 웹사이트 Xi Urges Vigilance Against Taiwan Independence https://thediplomat.[...]
[26] 서적 How Taiwan Became Chinese - Dutch, Spanish, and Han Colonization in the Seventeenth Century http://www.gutenberg[...]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0
[27] 서적 The Island of Formosa, Past and Present : history, people, resources, and commercial prospects : tea, camphor, sugar, gold, coal, sulphur, economical plants, and other productions https://archive.org/[...] Macmillan & co.
[28] 서적 At Cross Purposes, US-Taiwan Relations since 1942 M.E. Sharpe 2004
[29] 서적 Why Taiwan? Geostrategic rationales for China's territorial integrity.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7
[30] 웹사이트 UK Parliament http://www.taiwanbas[...] 1955-05-04
[31] 웹사이트 Sino-Japanese Relations: Issues for U.S. Policy http://www.taiwanbas[...]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08-12-19
[32] 웹사이트 Resolving Cross-Strait Relations Between China and Taiwan http://www.taiwanbas[...] Americ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2000-07
[33] 웹사이트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http://www.taiwanbas[...] US Dept. of State 1951-05-03
[34] 웹사이트 Starr Memorandum of the Dept. of State http://www.taiwanbas[...] 1971-07-13
[35] 서적 Mandate for Change 1953–1956 http://www.taiwanbas[...] Doubleday & Co., New York 1963
[36] 웹사이트 Disputes over Taiwan Sovereignty and the Sino-Japanese Peace Treaty Since World War II http://aao.sinica.ed[...] Central Academic Advisory Committee and Academic Affairs Office 2015-01-25
[36] 서적 A History of East Asia: From the Origins of Civilization to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2-23
[36]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sia and Oceania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20-02-23
[36] 서적 Encyclopedia of United States National Security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20-02-23
[37] 간행물 One-China Policy and Taiwan http://www.taiwanbas[...] Fordham International Law Journal 2011-08-23
[38] 웹사이트 Taiwan's Political Status: Historical Background and Ongoing Implications https://fpc.state.go[...]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1-08-23
[39]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Sovereignty: A Case Study of Taiwan http://spice.fsi.sta[...] Stanford University 2011-08-23
[40] 웹사이트 Republic of China government in exile http://www.taiwanbas[...] 2011-08-23
[41] 서적 Problematic Sovereignty: Contested Rules and Political Possibilities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42] 서적 Chinese (Taiwan) Yearbook of International Law and Affairs, Volume 24 (2006) Cameron May Ltd 2023-04-13
[43] 웹사이트 Taiwan https://freedomhouse[...] 2019-06-18
[44] 뉴스 Ma refers to China as ROC territory in magazine interview http://www.taipeitim[...] 2008-10-08
[45] 웹사이트 DPP Party Convention http://www.taiwandc.[...] 2020-12-18
[46] 학술지 Measuring and Explaining Party Change in Taiwan: 1991–2004 https://www.jstor.or[...] 2020-12-18
[47] 뉴스 DPP denies existence of '1992 consensus' https://www.taipeiti[...] 2020-12-18
[48] 뉴스 'Taiwan Independence' Doesn't Mean What You Think https://foreignpolic[...] 2024-05-30
[49] 웹사이트 Why is unification so unpopular in Taiwan? It's the PRC political system, not just culture https://www.brooking[...] 2024-05-30
[50] 학술지 Xi Jinping's Taiwan Policy: Boxing Taiwan In with the One-China Framework https://www.jstor.o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4-04-22
[51] 학술지 法律並非重心-從法律分析的角度,看反分裂法的法律分析 侷限性 2005
[52] 학술지 The Effect of 'One China' Policies of Foreign States on the International Status of Taiwan 2024-01-02
[53] 서적 The Dragon Roars Back: Transformational Leaders and Dynamics of Chinese Foreign Policy http://dx.doi.org/10[...]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3-04-13
[54] 서적 China's Relations with Africa: a New Era of Strategic Engagement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3
[55] 서적 Mao and Markets: The Communist Roots of Chinese Enterprise Yale University Press 2022
[56] 서적 China under Xi Jinping: A New Assessment Leiden University Press
[57] 웹사이트 President Ma holds press conference to discuss '1992 Consensus' https://english.pres[...] 2024-05-30
[58] 뉴스 Beijing's 'one China' https://www.washingt[...] 2024-05-30
[59] 뉴스 Taiwan's President, Defying Xi Jinping, Calls Unification Offer 'Impossible' https://www.nytimes.[...] 2019-01-18
[60] 뉴스 Taiwan forges diplomatic ties with Kiribati https://www.taipeiti[...] 2024-02-15
[61] 뉴스 China severs diplomatic ties with Kiribati https://www.abc.net.[...]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24-02-15
[62] 웹사이트 Taiwan has no preconditions for foreign exchanges: MOFA https://focustaiwan.[...] 2024-02-15
[63] 학술지 China, Taiwan, and the Battle for Latin America
[64] 웹사이트 The One-China Principle and the Taiwan Issue http://www.china.org[...] China Internet Information Center 2014-04-09
[65] 웹사이트 China and Taiwan in Africa http://www.hiidunia.[...] HiiDunia 2014-04-09
[66] 학술지 'Taiwan Expendable?' Reconsidered https://brill.com/vi[...] 2019-12-01
[67] 웹사이트 Secretary Powell Must Not Change U.S. Policy on Taiwan http://www.heritage.[...] 2005-01-16
[68] 웹사이트 David and Goliath: Strengthening Taiwan's Deterrence and Resiliency https://globaltaiwan[...] Global Taiwan Institute 2021-04-27
[69] 서적 The dragon roars back : transformational leaders and dynamics of Chinese foreign policy https://www.worldcat[...]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3
[70] 웹사이트 White House: no change to 'one China' policy after Trump call with Taiwan https://www.reuters.[...] Reuters 2016-12-02
[71] 웹사이트 U.S.-Taiwan Relationship: Overview of Policy Issues https://fpc.state.go[...]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3-01-04
[72] 웹사이트 Trump's Taiwan call: Tempest in a teapot? https://asiatimes.co[...] 2016-12-07
[73] 뉴스 Trump says U.S. not necessarily bound by 'one China' policy https://www.reuters.[...] 2016-12-12
[74] 웹사이트 Donald Trump questions 'one China' policy http://www.aljazeera[...]
[75] 웹사이트 China official says Trump's Taiwan comments cause 'serious concern' https://www.foxnews.[...] 2016-12-12
[76] 웹사이트 Readout of the President's Call with President Xi Jinping of China https://trumpwhiteho[...] 2017-02-09
[77] 웹사이트 Biden: US would intervene with military to defend Taiwan https://apnews.com/a[...] 2022-05-23
[78] 뉴스 China Follows Biden Remarks by Announcing Taiwan Military Drills https://www.bloomber[...] 2022-05-25
[79] 뉴스 Biden's Words on Taiwan Leave Allies in an Awkward Spot - The New York Times https://www.nytimes.[...] 2022-07-05
[80] 웹사이트 U.S. updates Taiwan fact sheet again to say it does not support independence https://www.japantim[...] 2022-06-04
[81] 웹사이트 U.S. Relations With Taiwan -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https://www.state.go[...] 2022-07-05
[82] 서적 The dragon roars back : transformational leaders and dynamics of Chinese foreign policy https://www.worldcat[...]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2
[83] 웹사이트 Has Japan's policy toward the Taiwan Strait changed? https://www.brooking[...] The Brookings Institution 2021-08-23
[84] 잡지 Russia and China Unveil a Pact Against America and the West https://www.newyorke[...] 2022-02-07
[85] 뉴스 China joins Russia in opposing Nato expansion https://www.bbc.com/[...] 2022-02-04
[86] 뉴스 Russia supports 'one China' policy on Taiwan, Lavrov says https://nationalpost[...] 2022-07-29
[87] 뉴스 'One China' policy a bane to Taiwan's trade https://globalnation[...] 2017-10-05
[88] 뉴스 China unhappy as Philippines signs investment deal with Taiwan https://www.reuters.[...] 2017-12-08
[89] 뉴스 19th Party Congress: Any attempt to separate Taiwan from China will be thwarted http://www.straitsti[...] 2017-10-18
[90] 웹사이트 White Paper—The One-China Principle and the Taiwan Issue http://www.china-emb[...] Embassy of the PRC in the USA 1993-08-06
[91] 웹사이트 Beijing's Taiwan white paper: the messages for home and abroad https://www.scmp.com[...] 2022-08-10
[92] 뉴스 People First Party leader visits China after KMT head's return http://taiwanjournal[...] 2005-05-13
[93] 뉴스 Lien's China trip highlights tensions http://news.bbc.co.u[...] BBC 2005-04-27
[94] 뉴스 KMT's Lien to meet China's President Hu for fourth time http://www.chinapost[...] 2008-04-27
[95] 뉴스 Kuomintang Chairman Wu Poh-hsiung arrives in Beijing http://en.bcnq.com/c[...] 2008-05-27
[96] 웹사이트 教科書に現れた「二つの中国」に関する質問主意書 https://www.shugiin.[...] 衆議院 1974-07-30
[97] 웹사이트 《一個中國的原則與台灣問題》白皮書 http://www.gov.cn/go[...] 中華人民共和國國務院台灣事務辦公室 2000-02-21
[98] 잡지 台湾が感動した安倍総理の友人発言 https://books.google[...] PHP研究所 2013-05
[99] 웹사이트 台湾の蔡英文総統が「一つの中国」92年合意受け入れ“拒否” 米紙の取材に 中国は不快感示す https://www.sankei.c[...]
[100] 웹사이트 蔡政権2年 進む米依存 中国圧力、3カ国が断交 https://mainichi.jp/[...]
[101] 뉴스 中国との対話探るも「前提」認めず 国民党の対中接近に警戒 https://www.sankei.c[...] 2024-05-20
[102] 뉴스 頼・総統が就任演説で「92年合意」に触れず、日本の学者:中国に強い警戒感 https://jp.rti.org.t[...] 2024-05-22
[103] 웹사이트 ブータン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外務省
[104] 뉴스 日本、7/9から在留カード開始 出身の記載「台湾」に https://web.archive.[...] 中央通訊社 2012-06-26
[105] 잡지 台湾が感動した安倍総理の友人発言 https://books.google[...] PHP研究所 2013-05
[106] 뉴스 我が国及び国際社会の平和安全法制に関する特別委員会 平成27年7月29日 https://kokkai.ndl.g[...] 国立国会図書館 2015-07-29
[107] 웹사이트 台湾旅行法が成立 閣僚の相互訪問を促進 https://mainichi.jp/[...] 2018-06-06
[108] 웹사이트 米国務長官「台湾は中国に含まれず」、中国「反撃する」と警告 https://jp.reuters.c[...] 2021-01-10
[109] 웹사이트 米政府高官が「一つの中国」の立場に変更のないことを強調 https://news.nifty.c[...] ニフティ 2022-07-06
[110] 인용문 2000-05-20
[111] 뉴스 마잉주 승리..대만 8년만의 정권교체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03-22
[112] 일반
[113] 뉴스 반기문 총장 ″하나의 중국정책 고수″ http://www.kukinews.[...] 국민일보 2007-07-29
[114] 뉴스 중·EU 대만문제로 ‘냉랭’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07-12-05
[115] 웹사이트 "One China" Policy Stabilizes Asia-Pacific Region, Powell Says http://usinfo.state.[...]
[116] 뉴스 중·독 급속 해빙무드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08-01-23
[117] 웹사이트 French President Sarkozy kicks off China visit, stressing close ties http://news.xinhuane[...] www.chinaview.cn 2007-11-25
[118] 웹사이트 Russia firmly opposes "Taiwan independence," reaffirms one-China policy http://english.peopl[...] People's Daily Online
[119] 뉴스 国台办回应民进党当局宣称推动参与联合国:是对事实的歪曲、对国际法的践踏、对国际秩序和规则的公然挑战 https://news.cctv.co[...] 2024-09-11
[120] 뉴스 Taiwan jails spies 'seduced by money' to work for China https://www.bbc.com/[...] 2024-08-23
[121] 뉴스 How China could take Taiwan without even needing to invade https://edition.cnn.[...] 2024-06-21
[122]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