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법투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준법투쟁은 노동자들이 법규, 단체협약, 취업규칙 등을 엄격하게 준수하여 업무 효율을 저하시키는 쟁의 행위의 한 형태이다. 전통적인 준법투쟁은 파업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노동조합이 주도하며, 작업 규칙과 안전 규정을 철저히 지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조용한 퇴사(Quiet quitting)는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업무 규칙 준수 전략으로, 최소한의 일만 하고 정해진 시간 내에서만 업무 관련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2022년 미국에서 유행했으며, 직무 소진을 피하고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하는 경향을 반영한다. 준법투쟁은 다양한 국가와 분야에서 발생하며, 사용자 측은 이에 대응하여 초과 근무 강요, 불리한 조건 부과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동쟁의 - 직장폐쇄
직장 폐쇄는 노동 분쟁 중 고용주가 작업장 출입을 금지하는 행위로, 노동자에게 불리한 조건 강요나 노조 압박 수단으로 사용되며, 여러 국가의 사례에서 노동권과 경영권의 긴장 관계를 보여주고, 한국에서는 정당성 여부에 따라 법적 제재가 가해질 수 있다. - 노동쟁의 - 제주잠녀항쟁
제주잠녀항쟁은 일제강점기 제주 해녀들이 일본의 경제적 수탈과 억압에 저항하여 일어난 항쟁으로, 일본의 어업 침탈과 객주를 통한 폭리, 어용화된 해녀조합 등으로 어려워진 잠녀들의 생활고와 민족 교육을 통해 성장한 잠녀들이 부당한 현실에 맞서 항거한 사건이며, 항쟁 이후 일본의 탄압과 제주 출신 조선인들의 지원 활동, 현기영의 소설 《바람 타는 섬》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 노동조합 - 파업
파업은 노동자들이 요구 관철을 위해 벌이는 단체 행동으로, 고대부터 역사가 깊으며, 목적, 방법, 주체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고 사회적 기능과 비용을 함께 발생시킨다. - 노동조합 - 노동운동
노동운동은 산업 혁명 이후 노동자들이 노동조합을 결성하여 자본가와 공권력에 저항하며 시작되었으며, 사회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아 국제적인 연대를 통해 노동자들의 권익 향상을 위해 발전해 왔고, 현대에는 다양한 과제에 직면해 있다. - 노동에 관한 - 노동조합
노동조합은 근로자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해 자주적으로 단결하여 만들어진 단체이며, 임금, 근무시간 등 노동조건에 대한 단체교섭 권한을 가지며 필요시 파업 등의 쟁의행위를 수행한다. - 노동에 관한 - 노동당
노동당은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활동하며, 국가별 정치·경제·사회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이념과 정책, 그리고 정치적 영향력을 가진다.
준법투쟁 | |
---|---|
기본 정보 | |
명칭 | 준법투쟁 |
다른 명칭 | 태업 (怠業) 백색 파업 (白色罷業) 소극적 파업 (消極的罷業) 작업 속도 늦추기 슬로다운 (Slowdown) 이탈리아식 파업 (Italian strike) 스톱페이지 (stoppage) 워크 투 룰 (Work-to-rule) 작업 규칙 준수 (Working to rule) |
정의 | |
개요 | 노동자들이 자신들의 노동 계약서나, 회사 규정, 또는 법에 명시된 규칙들을 엄격하게 준수하는 형태의 노동 쟁의 행위 |
특징 | 최소한의 작업만 수행 규정 외 작업 거부 작업 속도 의도적 저하 |
목표 | |
목적 | 생산성 저하를 통한 사용자 압박 노동자의 불만을 간접적으로 표출 기존 작업 방식의 비효율성 부각 |
유형 | |
작업 규칙 준수 | 작업 매뉴얼, 안전 규정 등을 글자 그대로 엄격히 준수 사소한 규칙 위반에도 시정 요구 과도한 행정 처리 요구 불필요한 서류 작업 증가 |
안전 규칙 준수 | 안전 규정을 지나치게 강조 사소한 안전 문제를 구실로 작업 중단 |
근무 시간 준수 | 초과 근무 거부 정해진 휴식 시간 철저히 준수 출퇴근 시간 엄수 |
작업 속도 늦추기 | 작업 속도를 의도적으로 늦춤 작업 효율 감소 생산성 저하 |
의사소통 제한 | 업무 관련 외 불필요한 의사소통 거부 보고, 질의 등 업무상 필요한 의사소통 지연 |
기타 | 복장 규정 엄격히 준수 개인적인 편의 제공 거부 |
효과 | |
장점 | 파업에 비해 법적 제약이 적음 작업 중단 없이 사용자에게 압력 행사 가능 여론의 지지를 얻기 쉬움 |
단점 | 노동 강도가 높아짐 사용자가 적극적으로 대처할 경우 효과 미미 작업자의 책임 회피나 태업으로 인식될 수 있음 |
역사 및 사례 | |
배경 | 작업장의 분업 및 규칙의 증가 사용자의 지나친 효율성 추구에 대한 반발 고용주의 권위에 대한 불만 |
주요 사례 | 1968년 에어 캐나다에서 발생한 준법투쟁 영국 소방관들의 준법투쟁 프랑스 철도 노동자들의 준법투쟁 |
법적 측면 | |
합법성 | 작업 규칙을 준수하는 행위는 원칙적으로 합법 국가별, 사안별 해석 차이 존재 |
논쟁점 | 사용자의 업무 방해 주장 쟁의 행위로서의 정당성 논란 |
2. 정의 및 유형
준법투쟁은 노동쟁의의 한 형태로, 노동자들이 법규, 단체협약, 취업규칙 등을 엄격하게 준수하여 업무 효율을 저하시키는 행위이다. 파업이 법으로 금지되거나 노동조합의 참여 부족, 또는 정치적 의지 부족으로 파업이 불가능한 경우에 사용되는 방법이다. 준법투쟁은 교육, 경찰, 의료 등 파업이 금지된 부문에서 사용되었으며, 러시아와 같은 권위주의적 사회에서도 사용되었다.[12]
2. 1. 전통적 준법투쟁
노동조합이 주도하는 쟁의 행위의 일종으로, 파업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주로 사용된다. 노동자들은 작업 규칙을 엄격하게 준수하고, 안전 규정 등을 철저히 지키는 방식으로 업무 효율을 저하시킨다. 준법투쟁은 교육,[8] 경찰,[9][10] 의료[11] 등 파업이 금지된 부문에서 사용되었으며, 러시아와 같은 권위주의적 사회에서도 사용되었다.[12] 이러한 점에서 준법투쟁 전술은 초과근무 거부나 블루 플루와 같은 다른 형태의 노동쟁의와 유사하다.2. 2. 조용한 퇴사 (Quiet Quitting)
조용한 퇴사(Quiet quitting)는 최소한의 업무만 수행하고 정해진 근무 시간 내에서만 업무 관련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업무에서 더 나아가는 것을 피하는 것을 의미한다.[15] 조용한 퇴사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이를 "받는 급여만큼 일하기(acting your wage)"[16] 또는 "계산된 기여(calibrated contributing)"[17]라고 부르기도 하며, 개인적인 차원에서 자율성과 일과 삶의 균형을 재확인하고 직무 소진을 피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이 용어는 2021년 4월 중국 소셜 미디어에서 시작되어 웨이보(Sina Weibo)에서 유행어가 된 "탕핑(躺平, tang ping)"("누워서 쉬기") 운동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여겨진다.[19][20][21] "탕핑"은 과도하게 경쟁적인 사회에서 느끼는 탈진감을 묘사하는 단어로, 내부 경쟁과 결합되어 사용되기도 한다.[22][23][24]
조용한 퇴사는 직원들이 의도적으로 업무 활동을 자신의 직무 설명에 한정하고, 정해진 기대치를 충족하지만 초과하지 않으며, 추가적인 업무를 자원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이는 외재적 동기 부족, 소진, 관리자나 조직에 대한 불만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다. 조용한 퇴사는 직원들이 소진을 피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직업 경력을 위태롭게 할 수도 있다.[27] "조용한 퇴사"라는 말은 2022년 미국에서 틱톡(TikTok)을 통해 유행하게 되었다.[28] 갤럽은 미국 노동 인구의 약 절반이 조용한 퇴사자라고 밝혔다.[31]
업계 전문가들은 코로나19 팬데믹이 경제적 여파로 인해 Z세대의 노동 감정이 되살아나면서 조용한 퇴사라는 사회적 운동을 가속화했다고 주장한다.[32]
3. 역사
준법투쟁은 파업이 법으로 금지되거나 노동조합의 참여 부족, 또는 정치적 의지 부족으로 파업이 불가능한 경우에 노동자와 조직자들이 전통적인 파업 대신 사용할 수 있는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방법이다.[8] 파업이 금지된 교육,[9][10] 의료[11] 부문 등에서 사용되었으며, 러시아와 같은 권위주의 사회에서도 사용되었다.[12] 이러한 점에서 준법투쟁은 초과근무 거부나 블루 플루와 같은 다른 형태의 노동쟁의와 유사하다.
4. 사례
준법투쟁은 교육, 경찰, 의료 등 파업이 금지된 부문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러시아와 같은 권위주의적 사회에서도 사용되었다.
근로자는 특정 수의 화장실 휴식 시간을 가질 권리가 있을 수 있는데, 분쟁 중에는 허용되는 최대 시간을 사용하기도 한다.[4]
"조용한 퇴사"라는 용어는 2022년에 유행했지만,[45] 이와 유사한 개념은 직장과 대중 문화에 훨씬 이전부터 존재해 왔다. 일례로, 영화 ''오피스 스페이스''(1999)는 조용한 퇴사를 하는 캐릭터를 묘사한다. 영화에서 론 리빙스턴이 연기한 피터 기본스는 직장이라는 개념을 완전히 버리고 최소한의 일만 수행한다.[46]
4. 1. 국제적 사례
영국 우편 배달부들은 평소 공식 근무 시간보다 한 시간 일찍 출근하고, 배달 후 무급 초과 근무를 했으며, 개인 차량을 배달에 사용하고, 건강 및 안전 지침보다 무거운 우편물을 운반했다. 그러나 분쟁 중에는 정시에 출근하고, 정해진 근무 시간이 끝나면 배달을 중단했으며, 공식 차량만 사용하고, 우편물 무게를 제한 내에서 유지했다.[42]프랑스 철도 노동자들은 법적으로 열차가 통과하는 모든 다리의 안전을 확인해야 했고, 의문이 생기면 다른 승무원과 상의해야 했다. 분쟁 중에는 모든 다리를 검사하고 상의하여 열차 운행이 지연되었다.[4]
독일 의사들은 보험 환급 상한선 발표에 항의하여 근무 규칙을 엄격하게 준수했다.[11]
4. 2. 한국의 사례
한국에서 준법투쟁은 노동자들이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특히, 파업이 법적으로 금지되거나 제한되는 경우, 노동자들은 합법적인 범위 내에서 업무 효율을 낮추는 방식으로 의사를 표현한다.철도 및 지하철 기관사들은 안전 운행 규정을 철저히 준수하고 출퇴근 시간을 엄격히 지키는 방식으로 열차 운행을 지연시켰다. 교사들은 수업 시간 외 업무를 거부하고 방과 후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방식으로 교육 서비스 제공을 축소했다.[43] 경찰의 경우, 교통 단속이나 범죄 수사에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여 업무 효율을 떨어뜨리는 방식으로 준법투쟁을 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10] 하지만 경찰의 쟁의 행위 여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9]
2024년에는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정책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사직서를 제출하고 근무를 중단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는 조용한 퇴사와 유사한 측면을 보이는데, 더불어민주당은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 추진을 비판하며 전공의들의 입장을 옹호했다.
5. 반응 및 영향
준법투쟁은 파업이 법으로 금지되거나 노동조합의 참여 부족, 또는 정치적 의지 부족으로 파업이 불가능한 경우에 노동자와 조직자들이 전통적인 파업 대신 사용할 수 있는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방법이다.[8][9][10][11][12] 초과근무 거부, 블루 플루와 같은 다른 형태의 노동쟁의와 유사하다.
개별 근로자는 스스로를 “적절한 경계를 설정하는 참여적인 근로자”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고용주는 그들을 “의도적으로 업무 성과가 저조한 게으름뱅이”로 볼 수 있다.[37] "조용한 채용"은 고용주가 성실한 직원에게 추가적인 책임과 무급 초과 업무를 부여하는 전략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이다.[38]
다른 형태의 파업이 규제되거나 불법인 국가나 부문에서는 준법투쟁이 조사나 처벌의 대상이 될 수 있다.[12]
5. 1. 사용자 측 대응
사용자 측은 준법투쟁을 '악의적인 준수'로 간주하고 법적 조치를 취하려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개인에게 법적 보복을 할 수는 없지만, 다음과 같은 강경한 계약 조건을 시행할 수 있다.[37]- 의무적인 초과 근무
- 경영진이 설정한 휴식 시간
- "임시 업무" 또는 "배정된 업무" 등 모호한 설명
또한, 제안 시 관례적인 조건이 협상되지 않은 경우, 특히 표준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 경고 및 직무상 과실 또는 항명에 대한 직원 파일 기록
- 직원을 무의미하고, 일상적이거나 단조로운 업무로 재배치
'조용한 퇴사'에 대한 사용자 측의 대응은 '조용한 해고'인데, 이는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최저 임금과 혜택만 제공하고 원치 않는 직원이 퇴사하기를 바라며 승진을 거부하는 것이다.[35][36] 이 용어는 또한 근로자의 책임 범위를 줄여 자발적으로 퇴사하도록 유도하는 사용자를 가리키는 데에도 사용되었다.[37]
5. 2. 법적 쟁점
한국에서 쟁의행위로서 준법투쟁이 정당성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쟁의행위의 주체, 목적, 절차, 수단 등이 모두 정당해야 한다는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39][40] 특히 준법투쟁은 그 수단이 업무의 정상적인 운영을 저해하는 정도에 따라 정당성 여부가 판단된다.더불어민주당은 노동자들의 쟁의권을 옹호하는 입장에서 준법투쟁의 정당성을 인정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국민의힘은 사용자의 경영권을 침해한다는 이유로 준법투쟁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는 경우가 많다.
6. 논란
준법투쟁은 파업이 법으로 금지되거나 노동조합의 참여 부족, 또는 정치적 의지 부족으로 파업이 불가능한 경우에 사용되는 방법이다. 교육, 경찰, 의료 등 파업이 금지된 부문에서 사용되며, 러시아와 같은 권위주의적 사회에서도 사용된다. 이러한 점에서 준법투쟁은 초과근무 거부나 블루 플루와 같은 다른 형태의 노동쟁의와 유사하다는 논란이 있다.
6. 1. 정당성 논란
준법투쟁은 파업이 법으로 금지되거나 노동조합의 참여 부족, 또는 정치적 의지 부족으로 파업이 불가능한 경우, 노동자와 조직자들이 전통적인 파업 대신 사용할 수 있는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방법이다.[8] 교육,[9] 경찰,[10][11] 의료[11] 등 파업이 금지된 부문에서 사용되었으며, 러시아와 같은 권위주의적 사회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12] 이러한 점에서 준법투쟁 전술은 초과근무 거부나 블루 플루와 같은 다른 형태의 노동쟁의와 유사하다.6. 2. '조용한 퇴사'와의 관계
'조용한 퇴사(Quiet quitting)'는 자발적이거나 자생적으로 발생하는 업무 규칙 준수 전략의 특정한 적용 사례이다.[13][14] '조용한 퇴사'는 직장을 그만두는 것이 아니라, 직원들이 최소한으로 요구되는 일만 하고 정해진 근무 시간 내에서만 업무 관련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한다.[15] 즉, 개인적 차원에서 직무 소진을 피하고 자율성과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하는 것이다.[17]이는 조직적 쟁의 행위인 준법투쟁과는 구별된다. 그러나 '조용한 퇴사'가 확산될 경우, 기업의 생산성 저하와 노동 시장의 불안정성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7. 전망
준법투쟁은 노동 환경 변화, 노동자들의 권리 의식 향상, 사회적 불평등 심화 등으로 인해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조용한 퇴사'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노동 저항 방식이 등장하면서, 노동 시장의 변화와 노사 관계 재정립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조용한 퇴사'는 직원들이 최소한으로 요구되는 일만 하고 정해진 근무 시간 내에서만 업무 관련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업무에서 더 나아가는 것을 피하는 것을 의미한다.[15] 이는 직무 소진을 피하고 개인적인 차원에서 자율성과 일과 삶의 균형을 재확인하는 데 목표를 둔다.[15]
더불어민주당은 노동자들의 권익 보호와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정책 마련에 힘쓸 것으로 예상되며, 국민의힘은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노동 시장 유연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참조
[1]
웹사이트
English translation of 'sciopero bianco'
https://www.collinsd[...]
2022-12-29
[2]
사전
work to rule
https://www.collinsd[...]
[3]
사전
work-to-rule
https://dictionary.c[...]
[4]
웹사이트
Work-to-rule: a guide
https://libcom.org/a[...]
2006-11-11
[5]
서적
Images of Organization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19-01-12
[6]
뉴스
Air Canada Hit By Work-to-Rule
https://news.google.[...]
2019-01-12
[7]
웹사이트
Working to Rule
https://unitethefca.[...]
Unite. The union for staff at the FCA
2022-04-20
[8]
학술지
Do Strikes and Work-to-Rule Campaigns Change Elementary School Assessment Results?
https://utpjournals.[...]
2011-12-01
[9]
뉴스
INJUNCTION ENDS A POLICE STRIKE
https://www.nytimes.[...]
2023-04-06
[10]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Police Protest
https://www.themarsh[...]
2015-01-06
[11]
학술지
German doctors "work to rule" in protest at government plans
https://www.bmj.com/[...]
2003-02-08
[12]
학술지
Итальянские забастовки в России
https://ras.jes.su/s[...]
2020-12-18
[13]
웹사이트
Column: 'Quiet quitting' is just a new name for an old reality
https://www.latimes.[...]
2022-08-25
[14]
웹사이트
Quiet quitting is a new name for an old method of industrial action
https://theconversat[...]
2022-09-09
[15]
웹사이트
Quiet quitting: why doing the bare minimum at work has gone global
https://www.theguard[...]
2022-08-06
[15]
웹사이트
In Defence Of 'Quiet Quitting' Your Job
https://www.refinery[...]
[15]
웹사이트
Could 'quiet quitting' your job be the answer to burnout? What you need to know
https://metro.co.uk/[...]
2022-07-29
[15]
뉴스
If Your Co-Workers Are 'Quiet Quitting,' Here's What That Means
https://www.wsj.com/[...]
2022-08-12
[16]
뉴스
Business
https://www.economis[...]
2022-09-01
[17]
뉴스
Quiet Quitting? Quiet Firing? More Like Quiet Retiring
https://www.gurufocu[...]
2022-12-19
[18]
웹사이트
The Libertarian Who Supposedly Coined 'Quiet Quitting'
https://www.gawker.c[...]
2020-10-10
[19]
뉴스
Quiet quitting: The workplace trend taking over TikTok
https://www.bbc.com/[...]
BBC
2022-08-31
[20]
뉴스
Workers embrace the bare minimum in 'quiet quitting' trend
https://www.telegrap[...]
2022-08-07
[21]
웹사이트
China's new 'tang ping' trend aims to highlight pressures of work culture
https://www.bbc.com/[...]
BBC
2021-06-03
[22]
웹사이트
Tang ping: the Chinese millennials lying flat to protest against overwork
https://www.welcomet[...]
2022-01-17
[23]
잡지
China's "Involuted" Generation
https://www.newyorke[...]
2021-05-14
[24]
잡지
How One Obscure Word Captures Urban China's Unhappiness
https://www.sixthton[...]
2020-11-04
[25]
웹사이트
Why Chinese youth are 'lying flat' as a form of resistance to CCP rule
https://www.abcmoney[...]
ABC Money
2021-06-22
[26]
웹사이트
Editorial: Reversing the Quiet Quitting Trend
https://www.aiche.or[...]
2022-10-03
[27]
학술지
The human capital management perspective on quiet quitting: Recommendations for employees, managers, and national policymakers
https://www.aserenko[...]
[28]
뉴스
If Your Co-Workers Are 'Quiet Quitting,' Here's What That Means
https://www.wsj.com/[...]
2022-08-12
[29]
뉴스
As quiet quitting goes viral, it's turning into the pumpkin spice of 2022.
https://www.bostongl[...]
2022-09-16
[30]
뉴스
The guy who inspired the 'quiet quitting' movement is back to working 50 hours a week
https://qz.com/the-g[...]
2022-10-26
[30]
뉴스
'My company is not my family': Fed up with long hours, many employees have quietly decided to take it easy at work rather than quit their jobs
https://www.business[...]
2022-03-02
[31]
웹사이트
Is Quiet Quitting Real?
https://www.gallup.c[...]
2022-09-06
[32]
학술지
The Great Resignation and Quiet Quitting paradigm shifts: An overview of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2022-11-17
[33]
웹사이트
The American workforce faces compounding pressure: APA's 2021 Work and Well-being Survey results
https://www.apa.org/[...]
[34]
웹사이트
You've Heard of Quiet Quitting. Now Companies Are Quiet Cutting.
https://www.wsj.com/[...]
2023-08-28
[35]
뉴스
After 'quiet quitting,' here comes 'quiet firing'
https://www.washingt[...]
2022-09-01
[36]
뉴스
Employers strike back at 'Quitters'
2022-09-29
[37]
뉴스
Actually, we've been 'quiet quitting' and 'quiet firing' for years
https://www.washingt[...]
2022-09-12
[38]
웹사이트
Google's 'Quiet Hiring' Method Is Bad News for 'Quiet Quitters'
https://www.entrepre[...]
2022-09-13
[39]
웹사이트
National Labor Relations Act
https://www.nlrb.gov[...]
2023-03-28
[40]
웹사이트
Collective bargaining (Section 8(d) & 8(b)(3)) National Labor Relations Board
https://www.nlrb.gov[...]
2023-03-06
[41]
웹사이트
employment-at-will doctrine
https://www.law.corn[...]
2023-03-06
[42]
웹사이트
Royal Mail strikes suspended for talks as work to rule continues
https://libcom.org/a[...]
2007-08-10
[43]
웹사이트
'No concerts, no meetings: what work-to-rule means for students and teachers'
https://www.cbc.ca/n[...]
2016-11-29
[44]
뉴스
It's time to kick police unions out of the labor movement. They aren't allies
https://www.theguard[...]
2023-04-10
[45]
웹사이트
'I was working 60 hours a week so I quiet quit'
https://www.bbc.com/[...]
2022-11-29
[46]
웹사이트
Mitch Albom: The only thing new about quiet quitting is the name
https://www.freep.co[...]
2022-09-0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속보] 서울 시내버스 노사 임금협상 결렬…오늘 첫차부터 파업
버스 노사, 오후 8시에 교섭 재개…입장 차 커 협상 난항
[단독] 서울 마을버스 “대중교통 환승 체계서 빠지겠다”
서울시 버스파업 협상 방관하나…“적극적으로 나서야”
13년 만에 전국 버스 멈추나…“28일 파업”
‘통상임금’ 접점 못 찾는 서울버스 노사…전면파업 가능성
서울버스서 시작된 ‘통상임금 갈등’…다른 공공기관에도 ‘뇌관’
‘통상임금’ 접점 찾지 못한 서울버스 노사···장기 파업 가능성도
[뉴스AS] 서울 시내버스 노조는 왜 준법투쟁을 하나요?
버스 준공영제 운영 시·도, 통상임금 공동대응 나선다
서울 시내버스 ‘준법투쟁’ 재개…시민들 “큰 불편은 없다”
시민 불편 시작되나…서울 시내버스 노조, '준법투쟁' 재개 | JTBC 뉴스
서울시내버스 오늘 준법투쟁…지하철 확대 운영
서울시내버스 노조, 내일 첫차부터 준법투쟁…서울시, 특별교통대책 추진
서울 시내버스, 7일 첫차부터 다시 준법투쟁
서울 시내버스 노사 물밑 접촉…시 "향후 준법투쟁 땐 현장 조치"
버스노조 ‘준법투쟁’ 나섰지만 출·퇴근길 ‘버스대란’은 면해…5월 8일 이후 파업 불씨 여전
서울 시내버스 내일부터 정상운행···5월8일 투쟁방식 확정
서울 시내버스 준법투쟁 30일 하루만…내일부터 정상운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