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열린집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준열린집합은 위상 공간 X의 부분 집합 A에 대해, A와 열린집합 U의 대칭차집합이 제1 범주 집합이 되는 열린집합 U가 존재할 때를 의미하며, 베어 성질 또는 베어 속성을 갖는다고도 한다. 준열린집합들은 시그마 대수를 이루며, 열린집합, 닫힌집합, 보렐 집합 등은 모두 준열린집합이다. 폴란드 공간의 부분 집합이 베어 성질을 가지면 바나흐-마주르 게임은 결정성을 갖는다. 르네루이 베르가 1905년에 준열린집합을 도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반위상수학 - 극한
극한은 수학에서 함수의 값이나 수열의 항이 특정 값에 가까워지는 현상을 기술하는 개념으로, ε-δ 논법으로 엄밀하게 정의되며 수렴, 연속성, 미적분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하여 19세기에 현대적 정의가 완성되었다. - 일반위상수학 - 스콧 위상
스콧 위상은 부분 순서 집합 위에 정의되는 위상으로, 하향 집합과 directed set의 상한에 대해 닫혀있는 집합을 닫힌 집합으로 정의하며, 컴퓨터 과학, 특히 프로그램 의미론에서 연속 함수의 개념을 일반화하고 프로그램의 계산 과정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된다.
준열린집합 | |
---|---|
개요 | |
정의 | 어떤 열린 집합에서 미거 집합(meager set)을 뺀 집합 |
영어 명칭 | Set with the property of Baire |
일본어 명칭 | ベールの性質を持つ集合 |
상세 내용 | |
성질 | 집합 A가 베르의 성질을 가질 필요충분조건은 A와 어떤 열린 집합 U의 대칭차집합 A △ U가 제1종 집합인 것이다. 집합족이 충분 점족(adequate pointclass)이고, 그 여집합이 결정적(determined)이면, 그 집합족의 모든 집합은 베르의 성질을 갖는다. 초필터의 존재성은 베르의 성질을 갖지 않는 집합의 존재성을 함축한다. |
관련 개념 | |
관련 항목 | 준열린집합(almost open set) 미거 집합(meager set) |
2. 정의
위상 공간 의 부분 집합 에 대하여, 가 제1 범주 집합이 되는 열린집합 가 존재하면 를 '''준열린집합'''이라고 하며, '''베어 성질''' 또는 '''베어 속성'''을 갖는다고 한다.[8] 여기서 는 대칭차집합을 나타낸다.[1]
속의 다음과 같은 집합족들을 생각하자.
또한, 가 집합족 를 포함하는 최소의 시그마 대수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 집합족들이 일치하며, 이를 라고 표기한다.[8]
:
의 원소가 의 준열린집합이다.[8]
3. 성질
위상 공간의 부분 집합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함의 관계가 존재한다.
위상 공간 위의 준열린집합들은 시그마 대수를 이룬다.[1] 즉,
- 준열린집합의 여집합은 준열린집합이다.
- 가산 개의 준열린집합들의 합집합은 준열린집합이다.
- 가산 개의 준열린집합들의 교집합은 준열린집합이다.
모든 열린집합과 닫힌집합을 비롯한 모든 보렐 집합은 준열린집합이다. 만약 사영 결정 공리를 가정한다면, 모든 사영 집합은 준열린집합이다.[3]
폴란드 공간의 부분 집합이 베어 성질을 가지면, 해당 바나흐-마주르 게임은 결정성을 갖는다. 선택 공리로부터 베어 성질이 없는 실수의 집합이 존재한다. 특히, 비탈리 집합은 베어 성질을 갖지 않는다.[4]
4. 예
선택 공리를 가정하면, 실수선의 부분 집합들 가운데 준열린집합이 아닌 부분 집합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비탈리 집합은 준열린집합이 아니다.[1][4]
5. 역사
르네루이 베르가 1905년에 준열린집합을 도입하였다.[9]
6. 제한된 의미에서 베어 성질
참조
[1]
서적
Measure and Category
https://books.google[...]
Springer-Verlag
[2]
서적
Topology. Vol. 1
Academic Press and Polish Scientific Publishers
[3]
서적
The descriptive set theory of Polish group action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4]
harvtxt
[5]
서적
Ultrafilters across mathematics
https://books.googl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6]
서적
Measure and Category
https://books.google[...]
Springer-Verlag
[7]
harvtxt
[8]
서적
Classical descriptive set theory
Springer-Verlag
1995
[9]
서적
Leçons sur les fonctions discontinues professées au collège de France
https://archive.org/[...]
Gauthier-Villars, Imprimeur-Libraire
19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