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렐 집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렐 집합은 위상 공간의 열린 집합으로부터 가산 번의 가산 합집합, 가산 교집합, 차집합 연산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집합이다. 보렐 집합은 보렐 시그마 대수의 원소이며, 보렐 시그마 대수는 열린 집합들을 포함하는 최소의 시그마 대수이다. 보렐 집합은 보렐 위계에 따라 복잡도에 따라 분류되며, 폴란드 공간에서 보렐 집합의 수는 연속체 농도를 갖는다. 보렐 집합은 가산 합집합, 가산 교집합, 여집합 연산에 대해 닫혀 있으며, 연속 함수에 대한 원상은 보렐 집합이다. 보렐 집합의 개념은 1905년 에밀 보렐에 의해 도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술적 집합론 - 폴란드 공간
폴란드 공간은 분리 가능하고 완전 거리 공간인 위상 공간으로, 가산 합집합, 가산 곱, 상 연산에 대해 닫혀 있으며, 다양한 수학적 성질을 가지고 20세기 초 폴란드 수학자들에 의해 연구되기 시작하여 위상수학, 측도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위상수학 - 뫼비우스의 띠
"상상력" 한가 아닌 답변을 바랍니다. - 위상수학 - 공간
공간은 물체의 위치와 운동을 기술하는 배경으로, 시간과 함께 시공간을 구성하며, 학문 분야에 따라 정의와 관점이 다르지만, 현대 물리학에서는 고차원 공간을 가정하기도 한다. - 집합론 - 퍼지 집합
퍼지 집합은 각 원소가 0과 1 사이의 소속도를 가지며, 소속 함수를 통해 정의되고, 여집합, 합집합, 교집합 등의 연산을 수행하며, 퍼지 논리, 퍼지 수, 엔트로피 등의 개념과 L-퍼지 집합, 직관적 퍼지 집합 등으로 확장된다. - 집합론 - 무한 집합
무한 집합은 유한 집합이 아니며, 자연수보다 큰 크기를 가지고 자신의 진부분집합과 일대일 대응을 가지며, 가산 무한 집합과 비가산 무한 집합으로 나뉜다.
보렐 집합 | |
---|---|
수학적 집합 | |
유형 | 집합 |
분야 | 실해석학, 측도론 |
명명 유래 | 에밀 보렐 |
정의 | |
정의 | 위상 공간 X 의 보렐 대수 B는 X 의 모든 열린 집합을 포함하는 X 의 부분 집합의 σ-대수이다. |
성질 | 보렐 집합은 측정 가능하고 "잘 정의된" 집합으로 간주된다. 보렐 계층 구조를 사용하여 복잡성을 연구할 수 있다. 보렐 집합은 확률론, 통계학, 푸리에 해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예시 | |
실수 집합 | 실수 집합 R의 보렐 대수는 R의 열린 구간을 포함하는 가장 작은 σ-대수이다. |
보렐 함수 | 보렐 함수는 보렐 집합을 보렐 집합으로 매핑하는 함수이다. |
추가 정보 | |
관련 항목 | 르베그 측정, 보렐 계층 |
2. 정의
위상 공간 의 '''보렐 시그마 대수'''(Borel σ 代數, Borel sigma-algebra영어) 또는 는 열린집합들의 집합 를 포함하는 최소의 시그마 대수이다.[11] 의 '''보렐 집합'''은 그 보렐 시그마 대수의 원소이다.
'''보렐 측도'''(Borel 測度, Borel measure영어)는 보렐 시그마 대수에 대하여 정의되는 측도이다. 위상 공간 의 '''보렐 가측 공간'''(Borel measurable space영어)은 보렐 시그마 대수를 갖춘 가측 공간이다.
거리 공간 ''X''의 경우 보렐 대수는 열린 집합에서 시작하여 특정 연산을 반복하여 ''생성''될 수 있다.[11] 이는 최초의 비가산 서수인 ''G''ω1까지 반복하여 얻을 수 있다.
2. 1. 보렐 위계
거리화 가능 공간 에서, 보렐 시그마 대수 는 초한 귀납법을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다.임의의 순서수 에 대하여, '''보렐 위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11]
- (모든 열린집합들의 집합)
\forall i\in\mathbb N(X_i\in\boldsymbol\Pi^0_{\alpha_i}\land\alpha_i<\alpha)\right\}\qquad(\alpha>1)
여기서,
- 임의의 순서수 에 대하여,
즉,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11]
:
여기서 는 를 의미한다.
보렐 위계의 일부 단계의 원소들은 다음과 같은 특별한 이름을 갖는다.
보렐 위계의 단계 | 이름 |
---|---|
열린닫힌집합들의 집합 | |
열린집합들의 집합 | |
닫힌집합들의 집합 | |
Fσ 집합(Fσ set영어)들의 집합[10][11] | |
Gδ 집합(Gδ set영어)들의 집합[10][11] |
두 위상 공간 사이의 연속 함수 는 가측 함수이다. 즉, 보렐 집합 의 원상 은 보렐 집합이다. 그러나 보렐 집합의 연속 함수에 대한 상은 보렐 집합이 아닐 수 있다. 만약 와 가 폴란드 공간이라면, 보렐 집합의 상은 해석적 집합이다.
거리 공간 ''X''에서 보렐 대수는 열린 집합에서 시작하여 연산을 반복하여 ''생성''될 수 있다. 거리 공간의 임의의 열린 집합은 닫힌 집합의 증가하는 수열의 합집합이다.
각 보렐 집합 ''B''에 대해, ''B''는 특정 연산을 ''αB''번 반복하여 얻어지는 가산 서수 ''αB''가 존재한다. 그러나 ''B''가 모든 보렐 집합에 걸쳐 변함에 따라, ''αB''는 모든 가산 서수에 걸쳐 변한다. 따라서 모든 보렐 집합이 얻어지는 첫 번째 서수는 최초의 비가산 서수인 ''ω''1이다.
이러한 집합의 수열을 보렐 위계라고 한다.
3. 성질
폴란드 공간 의 보렐 집합의 수는 다음과 같다.
:
3. 2. 베르 범주와의 관계
임의의 위상 공간 의 임의의 제1 범주 집합 에 대하여, 인 제1 범주 집합 이 존재한다.[11]
준열린집합들의 집합족 은 열린집합과 제1 범주 집합을 포함하는 최소의 시그마 대수이므로,[11] 모든 보렐 집합은 준열린집합이다.[11]
:
4. 예시
수학에서 다루는 대부분의 집합은 보렐 집합이다. 예를 들어, 실수 집합 의 다음과 같은 부분 집합들은 보렐 집합에 속한다.
거리화 가능 공간에서는 모든 열린집합이 Fσ 집합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위상 공간에서는 열린집합이 Fσ 집합이 아닐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최소 비가산 순서수 에 순서 위상을 부여한 위상 공간에서, 의 고립점들의 집합 는 열린집합이며 비가산 집합이지만, Fσ 집합은 아니다.[12]
확률론에서 중요한 예로, 실수 집합 위에 보렐 측도가 정의되는 보렐 대수가 있다. 확률 공간에서 정의된 실수 값 확률 변수의 확률 분포는 보렐 대수 위의 측도가 된다. 실수 집합 위의 보렐 대수는 모든 구간을 포함하는 가장 작은 σ-대수이다.
보렐 집합의 총 개수는 연속체의 기수와 같다.
4. 1. 보렐 집합이 아닌 집합
무리수 가운데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집합 를 생각해 보자.- 의 연분수 표현
:
에서, 인 부분 수열 이 존재한다.
이때, 는 보렐 집합이 아닌 해석적 집합이다.[4] 니콜라이 루진이 이러한 집합이 보렐 집합이 아님을 밝혔다.[9] 더 자세한 내용은 기술 집합론과 A. S. 케크리스의 책을 참조할 수 있다.
또 다른 비보렐 집합의 예시는 무한 패리티 함수 의 역상 이다. 하지만 이 예시는 선택 공리를 통해 존재성이 증명되므로, 명시적인 예는 아니다.
5. 표준 보렐 공간과 쿠라토프스키 정리
폴란드 공간에 연관된 보렐 공간을 표준 보렐 공간이라고 한다. 표준 보렐 공간은 그 기수에 따라 동형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결정되는데,[3] 모든 비가산 표준 보렐 공간은 연속체 기수를 갖는다.[8]
쿠라토프스키 정리에 따르면, 폴란드 공간 \(X\)는 보렐 공간으로서 다음 중 하나와 동형이다.
# 실수선 ('''R''')
# '''Z'''
# 유한 공간
이 결과는 마할람 정리와 유사하다.
6. 역사
보렐 집합의 개념은 에밀 보렐이 1905년에 도입하였다.[13][10][14]
"Fσ 집합"이라는 용어에서 F는 fermé|페르메프랑스어(닫힌집합)의 머리글자이며, σ는 somme|솜프랑스어(합집합)의 머리글자에 해당하는 그리스 문자이다.[15] 마찬가지로, "Gδ 집합"이라는 용어에서 G는 Gebiet|게비트de(근방)의 머리글자이며, δ는 Durschnitt|두르슈니트de(교집합)의 머리글자에 해당하는 그리스 문자이다.[15]
참조
[1]
논문
Ergodic Theory and Virtual Groups
[2]
웹사이트
Jochen Wengenroth, Is every sigma-algebra the Borel algebra of a topology?
https://mathoverflow[...]
[3]
서적
A Course on Borel Sets
Springer Verlag
[4]
논문
Sur les ensembles analytiques
https://www.impan.pl[...]
[5]
서적
The Axiom of Choice
Courier Corporation.
2008
[6]
문서
Halmos
1950
[7]
간행물
Capacities on non-Hausdorff spaces
Math. Centrum Centrum Wisk. Inform., Amsterdam
[8]
서적
A Course on Borel Sets
Springer Verlag
[9]
논문
Sur les ensembles analytiques
http://matwbn.icm.ed[...]
Institute of mathematics, Polish academy of sciences
[10]
서적
A course on Borel sets
Springer-Verlag
1991
[11]
서적
[12]
웹인용
Why is each open set an Fσ?
https://math.stackex[...]
2019-12-04
[13]
서적
https://archive.org/[...]
[14]
서적
Set theory
https://archive.org/[...]
Springer-Verlag
2003
[15]
서적
Real analysis: measure theory, integration, and Hilbert spaces
http://press.princet[...]
Princeton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