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 범주 집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 범주 집합은 위상 공간의 부분 집합으로, 가산 개의 nowhere dense 집합의 합집합으로 표현될 수 있는 집합을 의미한다. 제1 범주 집합이 아닌 집합은 제2 범주 집합으로 불리며, "제1 범주"와 "제2 범주"라는 용어는 앙리 베르가 처음 사용했다. 조밀한 곳이 없는 집합은 폐포의 내부가 공집합인 집합과 동치이며, 베르 공간은 모든 제1 범주 집합의 여집합이 조밀한 위상 공간을 의미한다. 제1 범주 집합은 부분 집합, 유한 합집합, 가산 합집합에 대해 닫혀 있으며, 측도와 범주 사이에는 유사성이 존재하지만, 에르되시-시에르핀스키 정리와 슈필라인 불가능성 정리를 통해 두 개념 간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바나흐-마주르 게임에서 플레이어 을이 승리 전략을 갖는 것은 집합이 제1 범주 집합인 것과 필요충분조건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반위상수학 - 극한
극한은 수학에서 함수의 값이나 수열의 항이 특정 값에 가까워지는 현상을 기술하는 개념으로, ε-δ 논법으로 엄밀하게 정의되며 수렴, 연속성, 미적분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하여 19세기에 현대적 정의가 완성되었다. - 일반위상수학 - 스콧 위상
스콧 위상은 부분 순서 집합 위에 정의되는 위상으로, 하향 집합과 directed set의 상한에 대해 닫혀있는 집합을 닫힌 집합으로 정의하며, 컴퓨터 과학, 특히 프로그램 의미론에서 연속 함수의 개념을 일반화하고 프로그램의 계산 과정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된다.
제1 범주 집합 | |
---|---|
수학적 정의 | |
정의 | 위상 공간에서, 그 공간의 희소 집합들의 가산 합집합인 부분집합 |
다른 이름 | 제1 범주 집합, 마른 집합 |
반대 개념 | 비-희소 집합 (nonmeager set), 제2 범주 집합 |
관련 개념 | 무시 가능 집합 |
성질 | |
성질 | 희소 집합들의 가산 합집합은 희소 집합이다. |
성질 | 위상 공간의 모든 희소 집합들의 모임은 σ-아이디얼을 이룬다. |
성질 | 완비 거리 공간은 비-희소 집합이다. |
예시 | 실수선에서, 유리수 집합은 희소 집합이다. |
2. 정의
위상 공간 의 부분 집합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집합 를 의 '''제1 범주 집합'''이라고 한다.
- 는 가산 개의 조밀한 곳이 없는 집합들의 합집합이다. [19][17][20]
- 바나흐-마주르 게임에서 을(乙)이 필승 전략을 갖는 집합족이 존재한다.
- 임의의 집합족에 대한 바나흐-마주르 게임에서 을(乙)이 필승 전략을 갖는다.
위상 공간 의 '''제2 범주 집합'''(第二範疇集合, subset of the second category영어, nonmeager set영어)은 제1 범주 집합이 아닌 부분집합이다.[17][20]
"제1 범주"와 "제2 범주"라는 용어는 앙리 베르가 1899년 논문에서 사용한 원래 용어이다.[2] "빈약한" 용어는 부르바키가 1948년에 도입했다.[3]
2. 1. 조밀한 곳이 없는 집합
위상 공간 의 부분 집합 가 조밀한 곳이 없는 집합(nowhere dense set)이라는 것은, 의 폐포의 내부가 공집합인 것과 동치이다. 의 부분 집합은 의 어디에도 조밀하지 않은 집합의 가산 합집합인 경우 에서 '''제1 범주'''라고 불린다.2. 2. 제1 범주 집합과 제2 범주 집합
위상 공간 의 부분 집합 가 '''제1 범주 집합'''(第一範疇集合, meagre set영어, first category set영어)이라는 것은, 가 가산 개의 조밀한 곳이 없는 집합(nowhere dense set)들의 합집합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19][17][20] 즉, 가 되는, 가산 개의 조밀한 곳이 없는 집합들의 족 , 이 존재한다.제1 범주 집합이 아닌 집합을 '''제2 범주 집합'''(第二範疇集合, nonmeagre set영어, second category set영어)이라고 한다.[17][20]
2. 3. 베르 공간
베어 범주 정리에 의해 모든 비어있지 않은 완비 거리 공간과 모든 비어있지 않은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은 베어 공간이다.[1]2. 4. 바나흐-마주르 게임
바나흐-마주르 게임()은 두 선수 갑(甲)과 을(乙)이 참여하는 게임이다.[18][17] 주어진 집합 와 그 부분집합 , 그리고 의 부분집합들의 집합족 에 대해, 갑과 을은 번갈아 가며 의 원소 를 선택한다. 갑이 먼저 시작하며, 선택된 원소들은 감소 수열 을 이루어야 한다. 만약 이면 갑이 이기고, 그렇지 않으면 을이 이긴다.[18][17]가 다음 성질 (∗)를 만족시킨다고 하자.
- (∗): 임의의 에 대하여, 이며, 임의의 열린집합 에 대하여, 인 가 존재한다.
이때, 가 제1 범주 집합인 것은 바나흐-마주르 게임 에서 을이 필승 전략을 갖는 것과 동치이다.[18][17]
3. 성질
모든 비어있지 않은 베어 공간은 비희소 집합이다. 특히, 베어 범주 정리에 의해 모든 비어있지 않은 완비 거리 공간과 모든 비어있지 않은 국소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은 비희소 집합이다.[8] 완비 거리 공간과 하우스도르프 국소 콤팩트 공간은 베어 공간이므로 비희소 집합이기도 하다.[8] (베어 공간이 아닌 비희소 공간도 존재한다.)
희소 집합의 모든 부분 집합은 희소 집합이며, 가산 개의 희소 집합의 합집합도 희소 집합이다.[9] 만약 가 위상 동형 사상이라면, 부분 집합 가 희소 집합일 필요충분 조건은 가 희소 집합인 것이다.[9]
모든 nowhere dense 집합은 희소 집합이다.[9] 결과적으로, 내부가 에서 비어있는 의 모든 닫힌 부분 집합은 의 제1 범주 (즉, 의 희소 부분 집합)에 속한다. 바나흐 범주 정리는 모든 공간 에서, 제1 범주의 열린 집합들의 모든 집합의 합집합은 제1 범주에 속한다고 명시한다.[10]
고정된 공간의 희소 부분 집합은 부분 집합의 σ-아이디얼을 형성하며, 이는 무시 가능한 집합의 적절한 개념이다. 쌍대적으로, 모든 상위 집합과 모든 가산 교집합의 비희소 집합은 비희소 집합이다. 비희소 집합의 모든 상위 집합은 비희소 집합이다.
이고 는 에서 유도된 부분 공간 위상을 갖는다고 가정하자. 집합 는 에서 희소 집합일 수 있지만, 에서는 희소 집합이 아닐 수 있다. 그러나 다음 결과가 성립한다.[11]
- 만약 가 에서 희소 집합이라면, 는 에서 희소 집합이다.
- 만약 가 에서 열린 집합이라면, 가 에서 희소 집합일 필요충분 조건은 가 에서 희소 집합인 것이다.
- 만약 가 에서 조밀하다면, 가 에서 희소 집합일 필요충분 조건은 가 에서 희소 집합인 것이다.
그리고 비희소 집합의 경우에도 유사하게 성립한다.
- 만약 가 에서 비희소 집합이라면, 는 에서 비희소 집합이다.
- 만약 가 에서 열린 집합이라면, 가 에서 비희소 집합일 필요충분 조건은 가 에서 비희소 집합인 것이다.
- 만약 가 에서 조밀하다면, 가 에서 비희소 집합일 필요충분 조건은 가 에서 비희소 집합인 것이다.
특히, 에서 자신에게 희소한 의 모든 부분 집합은 에서 희소 집합이다. 에서 비희소 집합인 의 모든 부분 집합은 자신에게 비희소 집합이다. 그리고 에서 열린 집합 또는 조밀한 집합의 경우, 에서 희소한 것은 자신에게 희소한 것과 동등하며, 비희소 속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위상 공간 가 비희소 집합일 필요충분 조건은 에서 조밀한 열린 집합의 모든 가산 교집합이 비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12]
의 모든 곳에서 조밀하지 않은 부분 집합은 빈약하다. 결과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모든 닫힌 부분 집합은 빈약하다. 따라서 에서 제2 범주인 의 닫힌 부분 집합은 에서 비어 있지 않은 내부를 가져야 한다[9] (그렇지 않으면 곳곳에서 조밀하지 않아 제1 범주가 되기 때문이다).
만약 가 에서 제2 범주이고, 가 인 의 부분 집합이라면, 적어도 하나의 은 에서 제2 범주이다.
의 모든 소 부분 집합은 희소하다. 따라서 내부가 비어있는 닫힌 집합도 희소하다. 즉, 의 닫힌 비희소 집합은 비어있지 않은 내부를 가진다.
3. 1. 함의 관계
topological space영어(위상 공간)의 부분 집합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함의 관계가 성립한다.colspan=2 | | 정칙 열린집합 ⇒ 열린집합 | ||||
⇗ | ⇘ | ||||
열린닫힌집합 | colspan=3| | 보렐 집합 | |||
⇘ | ⇗ | ⇘ | |||
colspan=2 | | 정칙 닫힌집합 ⇒ 닫힌집합 | colspan=3 | | 준열린집합 ⇒ 부분 집합 | ||
colspan=5 | | ⇗ | ||||
조밀 열린집합의 여집합 ⇒ 조밀한 곳이 없는 집합 ⇒ 제1 범주 집합 |
3. 2. 연산에 대한 닫힘
다음이 성립한다.집합의 종류 | 부분 집합에 대하여 닫힘? | 유한 합집합에 대하여 닫힘? | 가산 합집합에 대하여 닫힘? | 비가산 합집합에 대하여 닫힘? |
---|---|---|---|---|
조밀한 곳이 없는 집합 | ⭕ | ⭕ | ❌ | ❌ |
제1 범주 집합 | ⭕ | ⭕ | ⭕ | ❌ |
즉, 조밀한 곳이 없는 집합들은 순서 아이디얼을 이루며, 제1 범주 집합들은 시그마 아이디얼을 이룬다.
3. 3. 측도와 제1 범주성의 관계
측도와 범주 사이에는 유사성이 있지만, 서로 잘 호환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20]- 유클리드 공간 및 임의의 양의 실수 에 대하여, 인, 르베그 가측 조밀한 곳이 없는 열린집합 가 존재한다. (여기서 은 르베그 측도이다.)
- 가 르베그 영집합인 Gδ 제1 범주 집합 가 존재한다.
따라서, 측도가 0인 것과 제1 범주 집합인 것은 둘 다 매우 ‘작은’ 집합임을 의미하지만, 이들은 매우 다른 개념인 것을 알 수 있다.
'''에르되시-시에르핀스키 정리'''(Erdős–Sierpiński theorem영어)에 따르면, 만약 연속체 가설이 성립한다면 다음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키는 전단사 함수 가 존재한다.[20]
즉, 연속체 가설이 성립한다면 영집합과 제1 범주 집합 사이의 아날로지가 완벽히 성립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슈필라인 불가능성 정리'''에 따르면,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전단사 함수 는 존재할 수 없다.[20]
연속체 가설이 성립한다면, 실수의 영집합의 상이 빈약 집합이고 그 반대도 성립하는 실수에서 실수로의 대합이 존재한다.[8]
3. 4. 보렐 위계와의 관계
위상 공간의 부분 집합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함의 관계가 존재한다.colspan=2 | | 정칙 열린집합 ⇒ 열린집합 | ||||
⇗ | ⇘ | ||||
열린닫힌집합 | colspan=3| | 보렐 집합 | |||
⇘ | ⇗ | ⇘ | |||
colspan=2 | | 정칙 닫힌집합 ⇒ 닫힌집합 | colspan=3 | | 준열린집합 ⇒ 부분 집합 | ||
colspan=5 | | ⇗ | ||||
조밀 열린집합의 여집합 ⇒ 조밀한 곳이 없는 집합 ⇒ 제1 범주 집합 |
- 조밀한 곳이 없는 집합의 폐포는 조밀한 곳이 없는 집합이다.
- 임의의 위상 공간 의 임의의 제1 범주 집합 에 대하여, 인 제1 범주 집합 이 존재한다. 여기서 는 Fσ 집합들의 족이다.
- '''증명:'''
- 정의에 따라, 은 가산 개의 조밀한 곳이 없는 집합 들의 합집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 :
- 조밀한 곳이 없는 집합의 폐포는 (자명하게) 조밀한 곳이 없는 집합이므로,
- :
- 로 놓으면 자명하게 이다.
- 제1 범주 집합(meager set)은 집합 (닫힌 집합의 가산 합집합)일 필요는 없지만, 항상 어느 곳에서도 조밀하지 않은 집합으로 만들어진 집합에 포함된다(각 집합의 폐포를 취함으로써).
4. 예
5. 역사
르네루이 베르가 1899년 박사 학위 논문에서 제1 범주 집합의 개념을 도입하였다.[23][24]
에르되시-시에르핀스키 정리는 1934년에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가 대합 조건을 제외하고 증명하였으며,[25] 이후 1943년에 에르되시 팔이 대합 조건을 추가하여 증명하였다.[21] 슈필라인 불가능성 정리는 1934년에 에드바르트 마르체프스키(Edward Marczewskipl|에드바르트 마르체프스키}}, 1907~1976)가 증명하였다.[22] (마르체프스키의 본명은 에드바르트 슈필라인(Edward Szpilrajnpl)이었지만, 1940년에 나치 독일의 유대인 박해를 피하여 ‘마르체프스키’로 개명하였다.)
바나흐-마주르 게임은 스타니스와프 마주르가 1935년에 도입하였다. 당시 리비우에 살던 수학자들은 슈코츠카 카페(Kawiarnia Szkocka|카비아르니아 슈코츠카pl, szkocka|슈코츠카pl는 Szkocja|슈코치아pl(스코틀랜드)의 형용사형)에 모여서 수학 문제들을 토론하였으며, 토론에 의하여 얻은 결과들을 "슈코츠카 책"(Księga Szkocka|크시엥가 슈코츠카pl)이라는 노트에 기록하였다. 마주르의 게임의 필승 전략과 제1 범주성 사이의 관계는 슈코츠카 책의 43번 문제로 수록되었으며, 같은 책에서 스테판 바나흐가 1935년 8월 4일 증명하였다고 기록되었다.[26] 그러나 바나흐는 이 증명을 기록하지 않았다.
이후 1957년에 존 옥스토비((John C. Oxtoby영어|존 옥스토비}}, 1910~1991)가 마주르의 추측의 증명을 출판하였다.[27]
참조
[1]
웹사이트
Topological Vector Spaces
https://books.google[...]
Macmillan
1966
[2]
논문
Sur les fonctions de variables réelles
https://archive.org/[...]
1899
[3]
논문
Cartesian products of Baire spaces
http://matwbn.icm.ed[...]
1961
[4]
논문
Über die Baire'sche Kategorie gewisser Funktionenmengen
https://eudml.org/do[...]
[5]
웹사이트
https://mathoverflow[...]
[6]
웹사이트
https://www.ams.org/[...]
[7]
웹사이트
Is there a measure zero set which isn't meagre?
https://mathoverflow[...]
[8]
간행물
The real numbers in inner models of set theory
2022
[9]
문서
The Erdos-Sierpinski Duality Theorem
https://www.artsci.k[...]
2023-01-18
[10]
웹사이트
Topological Vector Spaces
https://books.google[...]
Macmillan
1966
[11]
논문
Sur les fonctions de variables réelles
https://archive.org/[...]
1899
[12]
논문
Cartesian products of Baire spaces
http://matwbn.icm.ed[...]
1961
[13]
웹사이트
Is there a measure zero set which isn't meagre?
https://mathoverflow[...]
[14]
논문
Über die Baire'sche Kategorie gewisser Funktionenmengen
https://eudml.org/do[...]
[15]
간행물
The real numbers in inner models of set theory
https://arxiv.org/ab[...]
2022
[16]
문서
The Erdos-Sierpinski Duality Theorem
https://www.artsci.k[...]
2023-01-18
[17]
서적
[18]
저널
[19]
서적
http://www.pearsonhi[...]
[20]
서적
[21]
저널
https://www.renyi.hu[...]
[22]
저널
http://matwbn.icm.ed[...]
[23]
저널
[24]
저널
http://projecteuclid[...]
[25]
저널
http://matwbn.icm.ed[...]
[26]
서적
The Scottish Book: mathematics from the Scottish Café with selected problems from the New Scottish Book
Birkhäuser
[27]
서적
http://press.princ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