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명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명전은 대한제국 시기 덕수궁(당시 경운궁)에 건립된 서양식 건물로, 황실 도서관 수옥헌으로 시작되었다. 1901년 2층 건물로 재건축된 후 고종 황제의 편전으로 사용되었으며, 을사늑약이 체결되고 헤이그 특사 파견이 이루어진 역사적 장소이다. 일제강점기에는 궁궐에서 제외되어 경성구락부로 사용되었고,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복원되었다. 현재는 전시관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사적 제124호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9년 완공된 건축물 - 파크 로 빌딩
뉴욕 맨해튼에 위치한 파크 로 빌딩은 1899년 완공 당시 세계 최고 높이의 사무용 건물이었으며, 바로크 양식의 돔형 타워가 특징이고 현재는 상업 및 주거 복합 공간으로 사용되며 뉴욕시 랜드마크 및 국가 사적지로 지정되었다. - 1899년 완공된 건축물 - 청송 망미정
망미정은 조선 중기 문신 장승원이 건립하여 용전천의 경관을 조망하고 그의 의병 정신을 기리는 경상북도 청송군의 정자로, 한국 전통 건축 양식을 보여주며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하여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 덕수궁 - 대한문
대한문은 덕수궁의 정문으로, 원래는 경운궁의 동문이었던 대안문이었으나 1906년 고종의 칙서에 따라 하늘을 의미하는 '한(漢)'자를 사용하여 개명되었으며, 3·1 운동 당시 민중 시위의 거점이었고 현재 건물은 1970년에 원래 위치에서 옮겨진 것이다. - 덕수궁 - 궁능유적본부
궁능유적본부는 문화재청 소속 책임운영기관으로서 궁궐, 능, 원, 묘 등의 문화재와 시설물, 수목을 보존·관리하고 활용하며, 경복궁, 창덕궁, 덕수궁, 창경궁, 종묘 등 주요 궁궐과 유적지, 세종대왕유적관리소를 관할하고 궁능서비스기획과와 복원정비과의 2개 과와 9개 관리소로 구성되어 있다. - 1901년 완공된 건축물 - 하노이 오페라 하우스
하노이 오페라 하우스는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파리의 가르니에 궁전을 모델로 건설된 신고전주의 양식의 건축물로, 현재 베트남 국립 오페라 발레단의 주요 공연장이자 하노이의 랜드마크이다. - 1901년 완공된 건축물 - 타이베이 빈관
타이베이 빈관은 1899년에 기공하여 1901년에 준공된 바로크 양식의 건물로, 대만총독 관저와 영빈관으로 사용되었으며 2006년부터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
중명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덕수궁 (德壽宮) |
유형 | 사적, 유형문화재 |
지정 번호 | 사적 제124호, 유형문화재 제53호 |
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길 41-11 (정동) |
시대 | 대한제국 |
소유 | 국유 |
지정 날짜 | 사적: 1963년 1월 18일, 유형문화재: 1983년 11월 11일 |
해지 날짜 | 유형문화재: 2007년 2월 7일 |
2. 연혁
1897년 대한제국 선포 이후 덕수궁(당시 경운궁) 확장 과정에서 황실 도서관인 수옥헌(漱玉軒)으로 건립되었다. 1901년 화재로 소실된 후 재건되어 중명전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1904년 경운궁 대화재 이후 고종 황제가 편전으로 사용하였다.
1905년 을사늑약이 강제로 체결된 장소이며,[7] 1907년 고종이 헤이그 특사를 파견한 곳이기도 하다.[8] 같은 해 일제는 헤이그 특사 파견을 빌미로 고종을 강제 퇴위시켰다.[9] 순종은 창덕궁으로 옮겨갈 때까지 중명전을 집무실로 사용하였다.[8]
1909년 덕수궁 석조전이 완공되면서 고종은 석조전으로 거처를 옮겼고, 1910년 일제는 한국을 강점하였다.
2. 1. 수옥헌 시기 (1897년 - 1901년)
1897년 대한제국 선포 이후 덕수궁(당시 경운궁) 확장 과정에서 황실 도서관인 수옥헌(漱玉軒)으로 건립되었다. 원래 궁궐에 포함되지 않은 땅으로 1890년대까지 주로 서양에서 온 선교사들이 거주하던 곳이었으나, 1897년 궁궐을 확대하면서 궁지로 편입되었다.[1]고종은 흥선대원군이 대대적으로 복원한 경복궁을 비우고 경운궁으로 환궁하였는데, 당시 경운궁의 북측 지역은 각국의 공사관과 인접하여 일본의 간섭을 견제할 목적이었다.[2] 1899년 준공된 옛 전각은 서양식 1층 건물이었으며 한성부 건축기사로 초빙된 미국인 다이(J.H. Dye)가 설계하였다. 그는 당시 미국 군사고문으로 서울에 와 있던 윌리엄 다이(William McEntyre Dye)의 아들이었다.[1]
경운궁 북쪽 지역을 매입하고 궁궐에 편입한 뒤 중명전 외에도 만희당, 흠문각, 장기당, 양복당, 경효전, 환벽정 등 각종 전각을 지었다. 제일 북쪽에 위치한 환벽정은 러시아 공사관과 바로 맞닿아 있었다.[2] 고종은 확장된 덕수궁 북쪽 지역에서 경희궁 새문안길로 넘어가는 구름다리를 건설하기도 하였다. 이 구름다리는 1908년 헐렸다.[3]
2. 2. 중명전으로의 재건과 대한제국의 주요 사건 (1901년 - 1910년)
1901년 화재로 수옥헌이 전소되자 독립문, 정관헌 등을 설계한 러시아 건축가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A. I. Sabatin)이 2층 벽돌 건물로 재건하였다.[4] 1904년 경운궁 대화재로[5][6] 고종 황제는 수옥헌을 중명전으로 개칭하고 편전으로 사용하였다.[1]1905년 이토 히로부미는 중명전 건너편 손탁호텔을 거점으로 삼아 정동 일대를 일본군으로 장악한 뒤 〈을사늑약〉을 강요, 중명전에서 강제로 체결하였다.[7] 1907년 고종은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국제 사회에 알리고자 헤이그 특사로 이준 등을 중명전에서 파견하였으나,[8] 같은 해 7월 일제는 이를 빌미로 고종을 강제 퇴위시켰다.[9] 이후 즉위한 순종은 창덕궁으로 이어할 때까지 중명전을 집무실로 사용하였다.[8]
1909년 덕수궁 석조전 완공 후 고종은 석조전으로 거처를 옮겼다. 1910년 일제는 한국을 강점하였다.
3.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중명전 소개
https://www.deoksugu[...]
2017-05-18
[2]
서적
우리 궁궐 이야기
청년사
[3]
서적
우리 궁궐 이야기
청년사
[4]
뉴스
대한제국의 비운의 장소 덕수궁 중명전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5-07-30
[5]
서적
한국의 전통 조경
동국대학교출판부
2001
[6]
서적
마음으로 읽는 궁궐이야기
이비락
2004
[7]
서적
한양이야기
가람기획
2003
[8]
서적
오궁과 도성
세계문예
2009
[9]
서적
다시찾는 우리역사
경세원
[10]
웹사이트
Seoul Club History
http://www.seoulclub[...]
2012-04-26
[11]
웹사이트
수옥헌(중명전)
https://www.culturec[...]
[12]
뉴스
덕수궁 중명전 - 그날 중명전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
http://art.khan.kr/e[...]
경향신문
2010-10-31
[13]
뉴스
‘을사늑약’ 비운 깃든 중명전 복원 잘못됐다
http://www.hani.co.k[...]
한겨레
2016-07-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