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미 밀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미 밀러는 196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활동한 영국의 음반 프로듀서로, 스펜서 데이비스 그룹의 "Gimme Some Lovin'" 리믹스를 통해 이름을 알렸다. 그는 트래픽, 블라인드 페이스, 롤링 스톤스 등 유명 밴드들의 앨범 제작에 참여했으며, 모터헤드, 프라이멀 스크림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과 협업했다. 밀러는 1994년 5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간 질환으로 죽은 사람 - 오윤 (화가)
    오윤은 소설가 오영수의 아들이자 1980년대 민중미술 운동의 대표 작가로, 흑백 목판화를 통해 사회적 약자의 삶과 고통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며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고, 한국 전통 예술과 서구 미술을 결합한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하여 한국 현대 판화의 선구자로 인정받았다.
  • 간 질환으로 죽은 사람 - 잭 브루스
    스코틀랜드 출신의 베이시스트이자 보컬리스트, 작곡가인 잭 브루스는 재즈 빅밴드 활동을 시작으로 블루스 인코퍼레이티드와 그레이엄 본드 오가니제이션을 거쳐 에릭 클랩튼, 진저 베이커와 함께 슈퍼그룹 크림을 결성하여 록 음악 역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으며, 이후 솔로 활동과 다양한 협업을 통해 폭넓은 음악적 경력을 쌓았다.
  • 벨라루스 유대계 미국인 - 재러드 쿠슈너
    재러드 쿠슈너는 미국의 사업가, 투자자, 부동산 개발업자, 신문 발행인이자 도널드 트럼프의 사위이며 전 미국 대통령 수석 고문으로, 쿠슈너 컴퍼니즈 CEO로서 부동산 사업을 확장하고 트럼프 행정부에서 다양한 정책 분야에 관여했으며, 현재는 투자 회사 애피니티 파트너스를 설립하여 투자 활동을 하고 있다.
  • 벨라루스 유대계 미국인 - 노엄 촘스키
    노엄 촘스키는 변형생성문법 이론으로 언어학에 혁명을 일으키고 인지 과학 등 여러 학문에 영향을 미쳤으며, 미국 외교 정책과 자본주의를 비판하는 저명한 지식인이자 사회운동가이다.
  • 미국의 작사가 - 마빈 게이
    마빈 게이는 소울, R&B, 펑크 등 다양한 장르를 소화하고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음악으로 흑인 음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가수이자 작곡가, 배우이다.
  • 미국의 작사가 - 니콜 키드먼
    니콜 키드먼은 호주 영화로 데뷔하여 할리우드에서 성공을 거둔 호주계 미국인 배우이자 제작자로, 《디 아워스》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수상하고 에미상과 골든 글로브상을 수상하는 등 연기력과 영향력을 인정받으며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지미 밀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69년 키스 리처즈, 믹 재거와 함께 있는 밀러 (가운데)
이름지미 밀러
출생일1942년 3월 23일
출생지미국 뉴욕
사망일1994년 10월 22일
사망지미국 콜로라도주 덴버
배우자게일 셰퍼드 (이혼)
제리 밀러 (1970년–1991년)
자녀2명
직업음악 프로듀서
음악가
어머니앤 윙게이트
아버지빌 밀러 (공연 기획자)
가족주디스 밀러 (이복 자매)
음악 활동
장르
활동 시기1960년대 - 1990년대
관련 활동음악 프로듀서
사운드 엔지니어
추가 정보
디스코그래피Jimmy Miller Discography at Discogs
참고 자료Sunday Morning Playlist: Top Twenty Record Producers of All Time - Page 5

2. 초기 생애

밀러는 뉴욕브루클린에서 Ann Wingate|앤 윙게이트eng와 Bill Miller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빌 밀러는 라스베이거스의 공연 기획자로, 1969년 Elvis Presley의 라이브 공연 복귀를 인터내셔널 호텔에서 성사시킨 인물이다.[3]

밀러의 음악 경력은 어린 시절부터 시작되었다. 그의 이복동생인 작가 Judith Miller는 "지미의 음악적 삶은 8살 때 드럼을 치고, 음악을 쓰고, 노래를 부르면서 시작되었다"고 회상했다.[4] 1950년대에는 훗날 P-펑크를 창시하는 George Clinton과 친구였으며, 클린턴이 속했던 두왑 그룹 The Parliaments|더 파라먼츠eng의 싱글을 제작하기도 했다.

196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음반 프로듀서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The Spencer Davis Group의 히트곡 "Gimme Some Lovin'|애정을 갖고eng"(1966년)를 프로듀싱했으며, 이어 "I'm a Man|아이엠 어 맨eng"(1967년)을 공동 작곡하고 프로듀싱하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3. 경력

지미 밀러는 196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초까지 활동한 미국의 음반 프로듀서이자 음악가이다.[9] 그는 스탠리 보든 밑에서 경력을 시작했으며, 아일랜드 레코드의 크리스 블랙웰에게 발탁되어 영국에서 활동하게 되었다.

밀러는 스펜서 데이비스 그룹의 "기브 미 섬 러빙" 리믹스를 통해 영국과 미국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이후 "아이엠 어 맨"을 공동 작곡 및 프로듀싱했다. 그는 스티브 윈우드가 결성한 트래픽과 슈퍼그룹 블라인드 페이스의 앨범을 프로듀싱했으며, 더 무브, 스푸키 투스, 딜러니 앤 보니 등과도 작업했다.

특히 1968년부터 5년간[10] 롤링 스톤스와의 협업은 그의 경력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꼽힌다. 싱글 "점핑 잭 플래시"를 시작으로 『베거스 뱅킷』(1968년), 『렛 잇 블리드』(1969년), 『스티키 핑거스』(1971년), 『메인 스트리트의 악동』(1972년), 『염소의 머리 수프』(1973년) 등 밴드의 황금기를 대표하는 앨범들을 제작하며 비평적,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밀러는 프로듀싱 외에도 "혼키 통크 우먼"의 카우벨 연주나 "유 캔트 올웨이스 겟 왓 유 원트", "텀블링 다이스" 등 여러 곡에서 직접 드럼을 연주하기도 했다.

1970년대 후반에는 모터헤드의 ''오버킬''과 ''봄버'' 앨범을 제작했으며, 1980년대에는 조니 선더스, 1990년대에는 프라이멀 스크림의 ''스크리마델리카'', 웨딩 프레젠트 등 다양한 아티스트와 작업하며 꾸준히 활동했다.[6][9] 그의 프로듀싱은 다양한 타악기를 활용한 폴리리듬이 특징으로 알려져 있다.

3. 1. 초기 경력 (1960년대 중반 ~ 1960년대 후반)

1950년대에는 이후 P-펑크를 창시하는 조지 클린턴과 친구였으며, 클린턴의 두왑 그룹 "파라먼츠"의 싱글을 제작하기도 했다고 전해진다. 본격적인 경력은 스탠리 보든(RKO, 아르티아, 애프터 아워즈 유니크) 밑에서 훈련받고 일하면서 시작되었다. 아일랜드 레코드의 초기 후원자였던 보든은 밀러를 크리스 블랙웰에게 추천했고, 블랙웰은 그를 영국으로 데려왔다.

영국에서 밀러의 첫 작업은 스펜서 데이비스 그룹의 싱글 "기브 미 섬 러빙"(1966년) 리믹스였다. 이 곡은 영국 차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5] 블랙웰은 밀러가 "일종의 야생의 마법"을 부려 "열기를 높이고, 일종의 혼란을 야기"했으며, 그 결과 "새로운 사운드"가 탄생했다고 회상했다. 밀러의 리믹스 버전은 미국 톱 10에 진입하며 밴드의 미국 성공을 이끌었다. 이후 밀러는 밴드의 보컬 겸 키보디스트인 스티브 윈우드와 함께 후속 싱글 "아이엠 어 맨"(1967년)을 공동 작곡하고 프로듀싱했다.

1967년 윈우드가 스펜서 데이비스 그룹을 떠난 후에도 밀러는 윈우드와 계속 협력했다. 그는 윈우드가 결성한 밴드 트래픽의 초기 앨범들과, 에릭 클랩턴과 윈우드가 결성한 슈퍼그룹 블라인드 페이스의 유일한 앨범(1969년)을 프로듀싱했다. 이 시기 밀러는 더 무브의 영국 1위 싱글 "블랙베리 웨이"(1968년)와 스푸키 투스의 첫 두 앨범을 프로듀싱했으며, 딜러니 브램렛과 함께 딜러니 앤 보니의 1969년 라이브 앨범 ''온 투어 위드 에릭 클랩턴''을 공동 프로듀싱했다.

1968년부터는 롤링 스톤스와의 중요한 협업을 시작했다.[10] 싱글 "점핑 잭 플래시"(1968년)를 시작으로, 정규 음반 『베거스 뱅킷』(1968년)과 『렛 잇 블리드』(1969년)를 프로듀싱하며 밴드의 사운드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밀러는 프로듀싱 외에도 롤링 스톤스의 여러 곡에 악기를 연주하기도 했는데, 대표적으로 "혼키 통크 우먼"(1969년)의 인상적인 오프닝 카우벨과 "유 캔트 올웨이스 겟 왓 유 원트"의 드럼 연주가 있다. 그의 프로듀싱은 다양한 타악기를 활용한 폴리리듬이 특징으로 꼽힌다.

3. 2. 롤링 스톤스와의 협업 (1968년 ~ 1973년)

1968년부터 5년간[10] 롤링 스톤스와 협업하여 음악 프로듀서로서 전성기를 맞이했다. 이 협업은 1968년 싱글 "점핑 잭 플래시" 제작을 시작으로 이루어졌다.

이 기간 동안 밀러는 롤링 스톤스의 정규 음반 『베거스 뱅킷』(1968년), 『렛 잇 블리드』(1969년), 『스티키 핑거스』(1971년), 『메인 스트리트의 악동』(1972년), 『염소의 머리 수프』(1973년) 등 총 다섯 장의 앨범을 제작했다. 이 앨범들은 비평적으로나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며 롤링 스톤스의 황금기를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밀러는 단순히 프로듀싱에만 머무르지 않고, 롤링 스톤스의 여러 곡에 직접 악기 연주자로 참여하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히트 싱글 "혼키 톤크 우먼"의 인상적인 오프닝 카우벨 연주가 그의 작품이다. 또한, "유 캔트 올웨이스 겟 왓 유 원트", "텀블링 다이스", "해피", "샤인 어 라이트" 등의 곡에서는 직접 드럼을 연주하며 곡의 리듬 파트에 기여했다.

그의 프로듀싱 스타일은 다양한 타악기를 활용한 폴리리듬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롤링 스톤스와의 작업에서도 잘 드러나 밴드의 사운드를 더욱 풍성하게 만드는 데 기여했다.

3. 3. 1970년대 이후 활동

1968년부터 5년간[10] 이어온 롤링 스톤스와의 협업은 1970년대 초반까지 계속되었다. 이 시기 밀러는 롤링 스톤스의 정규 음반 『스티키 핑거스』(1971년), 『메인 스트리트의 악동』(1972년), 『염소의 머리 수프』(1973년)를 제작하여 비평적,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또한, "텀블링 다이스", "해피", "샤인 어 라이트" 등의 곡에서 직접 드럼을 연주하기도 했다.

70년대 후반, 밀러는 모터헤드와 협력하여 그들의 두 앨범인 ''오버킬''과 ''봄버''를 제작했다. 1983년 밀러는 조니 선더스의 ''인 콜드 블러드''를 제작했다.[6]

1991년 밀러는 프라이멀 스크림의 성공적인 앨범 ''스크리마델리카'' 제작을 도왔다. 밀러는 또한 웨딩 프레젠트의 1992년 컴필레이션 ''히트 퍼레이드 2''에 세 곡을 제작했다. 이 외에도 1970년대 이후 플라즈마틱스, The World Bank 등 다양한 아티스트의 음반 제작에 참여했다.[9]

4. 프로듀싱 스타일

196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초까지 많은 음반을 제작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블라인드 페이스, 트래픽, 플라즈마틱스, 모터헤드, The World Bank, 프라이멀 스크림의 작품이 있다.[9]

스펜서 데이비스 그룹의 대히트곡 "애정을 갖고"(1966년)를 프로듀싱했고, 이어 "아이엠 어 맨"(1967년)을 공동 작곡 및 프로듀싱했다.

1968년부터 5년간[10] 롤링 스톤스와 함께 작업하며 역사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점핑 잭 플래시"(1968년) 싱글을 시작으로, 정규 음반 『베거스 뱅킷』(1968년), 『렛 잇 블리드』(1969년), 『스티키 핑거스』(1971년), 『메인 스트리트의 악동』(1972년), 『염소의 머리 수프』(1973년)를 제작하여 비평적,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의 프로듀싱은 다양한 타악기를 사용한 폴리리듬이 특징이다. 『레코드 컬렉터스』지의 지미 밀러 특집(2010년 6월호)에 따르면, 1950년대에는 이후 P-펑크를 창시하는 조지 클린턴과 친구였으며, 클린턴의 두왑 그룹 "파라먼츠"의 싱글을 제작하기도 했다.

5. 개인사

밀러는 뉴욕시 브루클린에서 앤 윙게이트와 빌 밀러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빌 밀러는 라스베이거스의 공연 기획자로, 1969년 엘비스 프레슬리의 라이브 공연 복귀를 인터내셔널 호텔에서 성사시킨 인물이다.[3]

그의 이복동생 주디스 밀러는 "지미의 음악적 삶은 8살 때 드럼을 치고, 음악을 쓰고, 노래를 부르면서 시작되었다"고 회상했다.[4] 밀러는 가수 그룹 셰퍼드 시스터즈(The Shepherd Sisters)의 멤버였던 게일 셰퍼드와 결혼하여 딸 디나 밀러를 두었다.

이후 두 번째 부인 제럴딘과 결혼하여 아들 마이클을 두었으나, 마이클은 3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제럴딘과의 사이에서 의붓아들 스티븐 밀러를 두었는데, 스티븐 밀러는 뉴스 사진 기자로 25년 동안 ''뉴욕 타임스''에서 활동했다. 제럴딘은 1991년 유방암으로 사망했으며, 지미 밀러 본인도 3년 뒤인 1994년 덴버에서 52세의 나이로 간부전으로 사망했다.[3]

그의 이복 여동생은 ''뉴욕 타임스''의 퓰리처상 수상 경력이 있는 언론인 주디스 밀러이다. 그녀는 플레임-윌슨 CIA 사건 당시 정보원의 신원을 밝히기를 거부하여 투옥되기도 했다.[7]

6. 사망

지미 밀러는 두 번째 부인 제럴딘이 1991년 유방암으로 사망한 지 3년 후인 1994년, 콜로라도주 덴버(Denver, Colorado)에서 52세의 나이로 간부전으로 사망했다.[3]

7. 음반 목록

지미 밀러는 196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초까지 여러 아티스트의 음반을 제작했다. 그는 스펜서 데이비스 그룹의 히트 싱글 "기브 미 섬 러빙" 리믹스를 시작으로 영국에서 경력을 쌓았으며[5], 스티브 윈우드와 함께 "아이엠 어 맨"을 공동 작곡하고 프로듀싱했다. 이후 윈우드가 결성한 밴드 트래픽과 슈퍼그룹 블라인드 페이스의 앨범 제작에 참여했다. 또한 더 무브의 영국 1위 싱글 "블랙베리 웨이", 스푸키 투스의 첫 두 앨범, 딜러니 앤 보니의 ''온 투어 위드 에릭 클랩턴'' (1969) 등을 제작했다.

특히 1968년부터 5년간[10] 롤링 스톤스와 함께 작업하며 '''거지들의 향연''' (1968), '''렛 잇 블리드''' (1969), '''스티키 핑거스''' (1971), '''메인 스트릿 망명''' (1972), '''고츠 헤드 수프''' (1973) 등 역사적인 성공을 거둔 앨범들을 제작했다. 이 시기 밀러는 롤링 스톤스의 여러 곡에 직접 악기 연주자로 참여하기도 했는데, "혼키 톤크 우먼"의 카우벨 연주와 "유 캔트 올웨이스 겟 왓 유 원트", "텀블링 다이스", "해피", "샤인 어 라이트"의 드럼 연주가 대표적이다.

1970년대 후반에는 모터헤드의 '''오버킬'''과 '''봄버''' 앨범을 제작했으며, 1980년대에는 조니 선더스의 '''인 콜드 블러드''' (1983)[6], 1990년대에는 프라이멀 스크림의 '''스크리마델리카''' (1991) 앨범 제작에 참여했다.[9] 또한 웨딩 프레젠트의 1992년 컴필레이션 ''히트 퍼레이드 2''에도 세 곡을 제작했다. 그의 프로듀싱은 다양한 타악기를 활용한 폴리리듬이 특징으로 알려져 있다.

년도아티스트앨범 정보
1967트래픽미스터 판타지
1968스푸키 투스잇츠 올 어바웃
1968트래픽트래픽
1968롤링 스톤스거지들의 향연
1969스푸키 투스스푸키 투
1969트래픽마지막 출구
1969롤링 스톤스렛 잇 블리드
1969블라인드 페이스블라인드 페이스
1970딜러니 앤 보니 앤 프렌즈온 투어 위드 에릭 클랩튼
1970진저 베이커스 에어 포스진저 베이커스 에어 포스
1970스카이돈트 홀드 백[8]
1970스카이세일러스 딜라이트[8]
1971롤링 스톤스스티키 핑거스
1972롤링 스톤스메인 스트릿 망명
1972크래커라 파밀리아
1972바비 휘틀록로우 벨벳
1973롤링 스톤스고츠 헤드 수프
1973크래커크래커 브랜드
1974로코모티브 GT로코모티브 GT
1979트라페즈홀드 온
1979모터헤드오버킬
1979모터헤드봄버
1980플라스매틱스뉴 홉 포 더 레치드
1983조니 선더스인 콜드 블러드[6]
1991프라이멀 스크림스크리마델리카


참조

[1] 웹사이트 Sunday Morning Playlist: Top Twenty Record Producers of the Rock Era – Page 5 http://blogcritics.o[...] 2012-06-08
[2] 웹사이트 Jimmy Miller Discography at Discogs http://www.discogs.c[...] Discogs.com 2013-01-04
[3] 뉴스 Jimmy Miller, 52, Recording Producer https://www.nytimes.[...] 1994-10-24
[4] 논문 Mr Jimmy https://www.tabletma[...] 2019-10-23
[5] 서적 The Islander: My Life in Music and Beyond Hodder
[6] 웹사이트 Credits https://www.allmusic[...] 2023-09-02
[7] 웹사이트 Mr. Jimmy https://www.tabletma[...] 2019-10-23
[8] 웹사이트 Sky: A look back at Doug Fieger before The Knack - National Rock Review http://www.nationalr[...]
[9] 웹사이트 Jimmy Miller Discography at Discogs http://www.discogs.c[...] Discogs.com 2013-01-04
[10] 웹사이트 Sunday Morning Playlist: Top Twenty Record Producers of the Rock Era - Page 5 http://blogcritics.o[...]
[11] 웹인용 Jimmy Miller Discography at Discogs http://www.discogs.c[...] Discogs.com 2013-01-04
[12] 웹사이트 Sunday Morning Playlist: Top Twenty Record Producers of the Rock Era – Page 5 http://blogcritics.o[...] 2012-06-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