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 목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 목공은 춘추 시대 진나라의 군주로, 형제 상속을 통해 즉위했다. 그는 진(晉)나라와의 복잡한 관계 속에서, 혜공을 지원하고 문공을 옹립하는 등 정치적 행보를 보였다. 혜공과의 갈등으로 한원 전투에서 승리하여 혜공을 포로로 잡기도 했다. 서융을 정벌하여 패자로 인정받았으며, 춘추 오패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기원전 621년 사망 시 177명의 가신이 순장되었고, 이로 인해 진나라의 국력이 쇠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나라의 군주 - 진 효공
진 효공은 상앙의 변법을 통해 국력을 신장시키고 함양으로 천도하여 진나라가 전국 시대 강대국으로 성장하는 기틀을 마련한 군주이다. - 진나라의 군주 - 공백 (영진)
- 주나라 - 오왕
오왕은 주나라 시대 오나라 군주에서 유래하여 춘추시대 오나라 군주, 한나라 초기 제후왕, 삼국시대 오나라 손권, 당나라 왕족, 오대십국시대 남오 지배자, 명나라 초 주원장 등이 사용하거나 책봉받은 칭호이다. - 주나라 - 종횡가
종횡가는 전국 시대에 외교와 정치 전략을 통해 국가 간의 관계를 조율하고 권력을 쟁취하려 한 사상가 집단이다. - 기원전 7세기 중국의 군주 - 제 희공
제 희공은 제나라의 제후로서 주변국과 우호 관계를 맺고, 송나라와 위나라 사이의 분쟁을 중재하며 북융의 침입을 격퇴하는 등 활발한 대외 활동을 펼쳤으나, 말년에 후계 구도에 혼란을 야기하다가 재위 33년 만에 사망했다. - 기원전 7세기 중국의 군주 - 제 환공
제 환공은 춘추 시대 제나라의 제후이자 춘추오패의 첫 번째 패자로, 관중을 등용하여 제나라를 강성하게 만들고 초나라의 남진을 저지하는 등 춘추 시대 초반 질서 확립에 기여했으나, 관중 사후 정치적 혼란과 후계자 다툼으로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여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
진 목공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영임호 (嬴任好) |
성씨 | 영 (嬴) |
존칭 | 공 (公) |
시호 | 목공 (穆公) 또는 뮤공 (繆公) |
통치 | |
작위 | 진의 군주 |
재위 기간 | 기원전 659년 – 기원전 621년 |
이전 | 성공 |
이후 | 강공 |
도읍 | 옹성 |
가문 | |
가문 | 영 (嬴) |
왕조 | 진 |
부친 | 덕공 |
배우자 | 목희 (헌공의 딸) |
자녀 | 강공 공자 홍 (公子弘) 간벽 문영 (文嬴) 회영 (懷嬴) 농옥 (弄玉) |
생몰 | |
사망 | 기원전 621년 |
매장지 | 옹 (雍) |
2. 생애
덕공의 아들이자 성공의 동생으로, 형제 상속을 통해 진나라의 공이 되었다. 진나라(晉) 헌공의 딸을 부인으로 맞이하였는데, 이때 백리해가 사신으로 따라왔다. 목공은 백리해를 신임하여 그에게 국정을 맡겼다.
기원전 651년, 진(晉) 헌공이 사망하자, 후계자 다툼으로 진나라는 혼란에 빠졌다. 진나라 공자 이오는 진나라 공위에 오르기 위해 목공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목공은 이오의 형 중이를 인격적으로 더 좋게 평가했지만, 이오를 진나라 공으로 세우면 자신에게 유리할 것이라고 판단하여, 이오를 진나라로 보내 진 혜공으로 즉위시켰다. 이때 이오는 목공에게 영토 할양을 약속했지만, 진나라에 들어온 혜공은 약속을 어기고 악정을 펼쳤다.
기원전 647년, 진(晉)나라가 흉년으로 식량 지원을 요청했을 때, 목공은 "백성은 죄가 없다"며 지원했지만, 반대로 진(秦)나라가 흉년일 때 혜공은 지원을 거부하고 공격해 왔다. 이에 목공은 한원 전투에서 혜공을 사로잡았으나, 부인의 만류로 풀어주었다.
기원전 638년, 혜공이 중병에 걸리자 그의 아들 어가 진(秦)나라에서 도망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목공은 초에 있던 중이를 지원하여 진 문공으로 즉위시켰다.
기원전 624년, 문공 사후 진(晉)나라를 공격하여 대승을 거두고, 서융을 정벌하여 서융의 패자로 인정받았다.
기원전 621년에 사망하였으며, 가신 177명이 순장되었다. 주요 가신들이 많이 순장되어 진나라의 국력은 크게 저하되었고, 국제 정치 무대에서 멀어지게 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즉위
덕공의 아들이자 성공의 동생으로, 형제 상속을 통해 진나라의 공이 되었다. 진나라(晉) 헌공의 딸을 부인으로 맞이하였는데, 이때 백리해가 사신으로 따라왔다. 목공은 백리해를 신임하여 그에게 국정을 맡겼다.[2]기원전 651년, 진(晉) 헌공이 사망하자, 후계자 다툼으로 진나라는 혼란에 빠졌다. 진나라 공자 이오는 진나라 공위에 오르기 위해 목공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목공은 이오의 형 중이를 인격적으로 더 좋게 평가했지만, 이오를 진나라 공으로 세우면 자신에게 유리할 것이라고 판단하여, 이오를 진나라로 보내 진 혜공으로 즉위시켰다. 이때 이오는 목공에게 영토 할양을 약속했지만, 진나라에 들어온 혜공은 약속을 어기고 악정을 펼쳤다.[2]
2. 2. 진(晉)과의 관계
덕공의 아들이자 성공의 동생으로, 형제 상속을 통해 진나라의 공이 되었다. 진나라(晉) 헌공의 딸을 부인으로 맞이하였는데, 이때 백리해가 사신으로 따라왔다. 목공은 백리해를 신임하여 국정을 맡겼다.[2]진(晉)나라와의 관계는 복잡하게 얽혀 있었다. 진 헌공 사후 진나라에 내분이 일어나자, 목공은 공자 이오와 중이 사이에서 갈등했다. 처음에는 이오를 지원하여 혜공으로 즉위시켰으나, 혜공이 약속을 어기고 악정을 펼치자 관계가 악화되었다.
진(晉)나라가 흉년으로 식량 지원을 요청했을 때, 목공은 "백성은 죄가 없다"며 지원했지만, 반대로 진(秦)나라가 흉년일 때 혜공은 지원을 거부하고 공격해 왔다. 이에 목공은 한원 전투에서 혜공을 사로잡았으나, 부인의 만류로 풀어주었다.
이후 혜공의 아들 어가 도망치자, 목공은 중이를 지원하여 진 문공으로 즉위시켰다. 문공 사후에는 진(晉)나라를 공격하여 대승을 거두기도 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진(秦)나라와 진(晉)나라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보여준다.
진 목공과 진 문공의 관계로 "진과 진의 우호"(秦晉之好)라는 말이 생겨났는데, 이는 정략 결혼과 결혼 동맹을 의미한다.[2]
진 양공(진 문공의 아들)과의 전투에서 대패하여 진나라 장군 세 명이 포로로 잡혔는데, 이들을 처형하려는 양공에게 그의 어머니이자 목공의 딸이 목숨을 구걸하였고, "목공의 원한이 골수에 사무쳤으니, 세 사람을 진나라로 보내 마음껏 삶아 죽이게 하라"는 말을 듣고 양공은 이들을 진나라로 돌려보냈다. 목공은 이들을 용서하고 "노신들의 충고를 듣지 않은 내 잘못"이라며 사과했다. 이 고사에서 '원한이 골수에 사무치다'라는 말이 유래했다.[6]
2. 2. 1. 진 혜공과의 갈등
기원전 651년, 진(晉)의 헌공이 죽자 후계자 다툼으로 진나라는 혼란에 빠졌다. 진나라 공자 이오는 진나라 공의 자리에 오르기 위해 목공에게 원조를 요청했다. 목공은 이오의 형 중이에게 인격적으로 호감이 있었지만, 이오가 진나라 공으로 즉위하면 자신에게 유리할 것이라고 판단하여 이오를 지원했다. 이오를 진나라로 보내 혜공으로 즉위시켰는데, 이때 이오는 목공에게 영토 할양을 약속했다. 그러나 진나라에 들어온 혜공은 약속을 어기고 악정을 펼쳤다.[2]기원전 647년, 진나라(晉)는 흉작으로 식량이 부족해 진나라(秦)에 원조를 요청했다. 신하들은 혜공의 배신을 이유로 반대했지만, 목공은 "혜공은 미워도 백성에게는 죄가 없다"라며 진나라(晉)에 대량의 식량을 지원했다. 이듬해에는 진나라(秦)가 흉작이 들자, 목공은 진나라(晉)에 원조를 요청했다. 그러나 혜공은 식량 지원을 거부하고, 오히려 진나라(秦)를 공격했다. 크게 분노한 목공은 다음 해에 출병하여 한원 전투에서 진나라(晉) 군대를 대파하고 혜공을 포로로 잡았다. 혜공을 죽이려 했으나, 아내(혜공의 누나)의 만류로 혜공의 태자 어를 인질로 삼고 혜공을 풀어주었다.[2]
2. 2. 2. 진 문공과의 협력
기원전 651년, 진(晉)의 헌공이 죽자 후계자 다툼으로 진나라는 혼란에 빠졌다. 진나라 공자 이오는 진나라 공의 자리에 오르기 위해 목공에게 원조를 요청했다. 목공은 이오의 형 중이에게 인격적으로 더 호감을 가졌지만, 이오가 진나라 공으로 즉위하면 자신에게 유리하게 되리라 판단하고 이오를 진나라로 보내 혜공으로 즉위시켰다. 이때 이오는 목공에게 영토 할양을 약속했지만, 진나라에 들어온 혜공은 약속을 어기고 악정을 펼쳤다.[2]기원전 647년, 진나라(晉)는 흉작으로 식량이 부족해 진나라(秦)에 원조를 요청했다. 가신들은 혜공에게 식량을 보낼 필요가 없다고 반대했지만, 목공은 "혜공은 미워도 백성에게 죄는 없다"라며 진나라에 대량의 식량을 보냈다. 다음 해에는 진나라(秦)가 흉작이 들자, 목공은 진나라(晉)에 원조를 요청했으나 혜공은 거절하고 오히려 진나라(秦)를 공격했다. 이에 분노한 목공은 다음 해에 출병하여 한원에서 진나라 군대를 대파하고 혜공을 포로로 잡았다. 혜공을 죽이려 했지만, 아내(혜공의 누나)의 제지로 혜공의 태자 어를 인질로 삼고 혜공을 풀어주었다.[2]
기원전 638년, 진 혜공이 중병에 걸리자 태자 어는 진나라(秦)에서 도망쳤다. 이에 분노한 목공은 초에 있던 중이를 맞이하여 군사를 내어 중이를 진나라 공(진 문공)으로 세웠다.[2]
기원전 624년, 진 문공(晉文公) 사후 진나라(晉)를 토벌하여 대파하고, 서융을 토벌하여 서융의 패자로 인정되었다.[2]
2. 3. 서융 정벌 및 패업
진 헌공의 딸을 맏이하였고, 그때 사신으로 백리해가 따라왔다. 목공은 백리해를 신임하고, 이후 백리해에게 국정을 맡겼다.[2]기원전 651년, 진나라(晉)의 헌공이 죽으면서 후계 다툼으로 진나라는 혼란 상태가 되었다. 진나라 공자 이오는 진나라 공의 자리에 오르기 위해 목공에게 원조를 요청했다. 목공은 이오의 형 중이에 대해 인격적으로 호감이 있었지만, 이오가 진나라 공으로 즉위하면 자신에게 유리하게 될 것이라고 판단하고 이오를 진나라로 보내 진 혜공(晉惠公)으로 즉위시켰다. 이때 이오는 목공에게 영토 할양을 약속했지만, 진나라에 들어온 혜공은 약속을 어기고 악정을 행하였다.[2]
기원전 647년, 진나라(晉)는 흉작으로 식량이 부족해 진나라(秦)에 원조를 요청했다. 가신들은 은혜를 저버린 혜공에게 식량을 보낼 필요가 없다고 반대했지만, 목공은 "혜공은 밉지만 백성에게는 죄가 없다"라며 진나라에 대량으로 식량을 보냈다. 다음 해에는 진나라(秦)가 흉작이 들었다. 목공은 진(晉)나라에 원조를 요청했으나, 혜공은 식량을 보내지 않고, 오히려 진나라(秦)의 국력이 약해졌을 것이라 보고 진나라를 공격했다. 이에 분노한 목공은 다음 해에 출병하여 진나라 군과 한원(韓原)에서 격돌하여 대승하고 혜공을 포로로 잡았다. 개선하여 돌아온 목공은 혜공을 죽이려 했지만, 아내(혜공의 누나)의 제지로 혜공의 태자 어(圉)를 인질로 삼고 혜공의 귀국을 허락했다.[2]
기원전 638년 진 혜공이 중병에 걸려 태자 어는 진나라에서 도망쳤다. 태자 어가 도망간 것에 분노한 목공은 초나라에 있던 중이를 맞아들이고, 군사를 내어 중이를 진나라 공으로 삼았다.[2]
기원전 624년 진 문공 사후 진나라(晉)를 토벌하여 대파하고, 서융(西戎)을 토벌하여 서융의 패자로 인정받았다.[2]
이때 진나라와 진나라는 중국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였다. 진 문공은 적을 몰아내 그들을 운강과 낙수 사이의 황하 서쪽 지역으로 몰아냈다. 그곳에서 그들은 붉은 적과 흰 적으로 알려졌다. 얼마 지나지 않아 진 목공은 유유를 얻어 서쪽의 8개 야만 부족을 복종시켰다.[2]
롱 서쪽 지역에는 면주, 훈융, 디위안 부족이, 기산과 량산 북쪽, 징강과 치강에는 의거, 달이, 우지, 취위안 부족이 살았다. 진나라 북쪽에는 숲 야만족과 루판이 있었고, 연나라 북쪽에는 동호와 산 야만족이 있었다. 그들은 각자 작은 계곡에 흩어져 살았으며, 각자 고유의 추장을 가지고 있었다. 때때로 그들은 백 명 정도의 사람들을 모았지만, 어떤 부족도 다른 부족을 하나의 규칙 아래 통일할 수 없었다.[2]
3. 사망과 순장
기원전 621년 진 목공이 사망하였다. 그의 사후 가신 177명이 순장되었는데, 여기에는 중심이 된 가신들이 많이 포함되었다. 이로 인해 진나라의 국력은 크게 저하되었고, 이후 진나라는 국제 정치의 정식 무대로부터 멀어지게 되었다.[2]
4. 평가
춘추 오패 중 한 명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또한, 백리해, 由余|유여중국어, 蹇叔|건숙중국어, 비표, 公孫枝|공손지중국어 등 다른 나라의 뛰어난 인재를 등용하여 국력을 강화한 것은, 훨씬 후대의 상앙이나 장의, 범저 등 다른 나라 출신의 뛰어난 인재들에 의한 진나라의 천하 통일로 가는 길의 선구자 역할을 했다.
5. 가족 관계
6. 기타
진 목공(秦穆公)이라는 칭호는 '진나라의 장엄한 공작'이라는 뜻으로, 중국의 조상 숭배 풍습에 따라 후계자들이 부여한 시호이다.[1] 이는 설명적인 칭호임에도 영어에서는 흔히 일반적인 이름처럼 취급된다.[1] '진 목공'에 사용된 한자의 현대 표준 중국어 발음은 이러하며, 언어학적 재구축된 상고 한어 발음은 이와 다르다.[1]
하라 야스히사의 만화 및 애니메이션 시리즈 킹덤과 원샷에서는 진 목공이 자신의 말을 산 부족에게 잡아먹힌 것을 보고 그들과 동맹을 맺었으며, 심지어 그 야만인들에게 술을 주기도 한 내용이 나온다. 이후 진 목공은 진나라와 싸웠지만, 같은 야만인들에게 구조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Annals of Qin
http://www.guoxue.co[...]
guoxue.com
2012-05-01
[2]
서적
1993
[3]
웹사이트
《説苑》復恩
https://ctext.org/sh[...]
2020-05-11
[4]
문서
風俗通義
[5]
문서
王利器《風俗通義校注》
[6]
서적
史記
ちくま学芸文庫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