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상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앙은 위나라 출신의 법가 사상가이자 정치가로, 변방의 진나라를 강력한 국가로 만드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법률을 개혁하고, 능력주의를 강조하며, 중앙집권화를 추진하여 진나라의 부국강병을 이끌었다. 상앙의 변법은 농업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군사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지만, 엄격한 법치주의와 개인의 감정을 억압하는 통치 방식으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했다. 그는 효공 사후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여 거열형에 처해졌지만, 그의 법은 진나라를 통일의 기반을 다지는 데 크게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395년 출생 - 신도 (사상가)
    신도는 중국 전국시대 법가 사상가로, 법의 중요성과 통치자의 권위 확립을 주장하며 능력주의 인재 등용을 강조했고, 그의 사상은 《신자》에 담겨 후대 법가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 기원전 338년 사망 - 이소크라테스
    이소크라테스는 기원전 4세기 아테네에서 수사학 학교를 설립하여 영향력을 행사한 고대 그리스의 수사학자이자 교육자, 작가로, 실용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중시하는 수사학 교육을 통해 많은 제자를 배출했으며, 수사학을 철학적 사고와 윤리적 책임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능력으로 보았다.
  • 기원전 338년 사망 -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페르시아 왕으로, 강력한 왕권 확립을 위해 노력했으며 이집트 원정에서 승리했으나 환관 바고아스에 의해 암살당했다.
  • 거열형된 사람 - 투팍 아마루 2세
    투팍 아마루 2세는 페루 부왕령의 카시케로서 스페인 식민 지배에 저항하여 대규모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했고, 그의 반란은 페루 독립 운동에 영향을 미치며 페루 사회와 문화에 깊은 흔적을 남겼다.
  • 거열형된 사람 - 김자점
    김자점은 인조반정 공신으로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까지 지냈으나, 권력을 남용하고 소현세자 부부를 모함했다는 의혹을 받아 유배 후 역모 혐의로 처형되어 가문이 몰락한 조선 중기의 무신이자 정치인이다.
상앙
기본 정보
주요 업적
국가
정치
법가
기타
평가

2. 생애

상앙은 위(衛)나라 지배 가문 출신 첩의 아들로 태어났다. 성은 공손(公孫), 이름은 양(楊)으로, 위(魏) 가문 일원이었기에 위양(魏楊)으로도 알려졌다.[15]

어린 시절 법률을 공부한 상앙은 위(魏)나라 승상 숙좌 밑에서 관직을 얻었다. 이후 진 효공의 지원으로 진(秦)나라 최고 고문이 되어, 변방의 진나라를 군사 강국이자 중앙집권 국가로 변모시켰다. 리규의 법전을 기반으로 한 국가 법률 제도 변화는 진나라 번영을 가져왔고, 능력주의 행정 강화로 제후들의 권력을 약화시켰다.[15]

기원전 341년, 진나라는 위나라를 공격, 상앙은 진나라 군대를 이끌고 위나라를 패퇴시켰다. 위나라는 황하 서쪽 땅을 진나라에 할양했고, 상앙은 그 공로로 15개 도시를 식읍으로 받아 상군(商君) 또는 상앙으로 불리게 되었다.[4] 사마천사기에 따르면, 상앙은 위나라 궁중 인맥을 이용, 위나라 장군 공자앙을 초청해 평화 조약을 맺으려 했다. 그러나 앙이 도착하자마자 포로로 잡았고, 진나라 군대는 적을 성공적으로 물리쳤다.[15]

상앙은 함양 건설을 감독했다.[5] 마크 에드워드 루이스는 중국 북부 전역 도로와 들판의 질서정연한 계획에 군사 개편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제시했는데, 이는 과장일 수 있지만 상앙은 법률 개혁가이자 군사 개혁가였다.[6]

상앙 사상은 한무제가 선호했고,[7] 존 키는 당나라 인물 두유가 상앙에게 매료되었다고 언급한다.[8]

2. 1. 출생과 초기 생애

기원전 395년 위나라에서 태어났다. 출생 연도는 불확실하여 기원전 396년생 설과 기원전 390년생 설도 있다. 상앙의 가계는 주나라 왕족과 위나라 공족의 후예였다.[15] 상앙은 소국 위(衛)의 지배 가문 출신의 첩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성은 공손(公孫)이고 이름은 양(楊)이었다. 위(魏) 가문의 일원이었기에 위양(魏楊)으로도 알려져 있다.[15]

어린 시절 법률을 공부한 상앙은 위(魏, 그의 출생 국가와는 다름)의 승상 공숙좌 밑에서 관직을 얻었다. 이후 진 효공의 지원을 받아 위(魏)를 떠나[3] 진(秦)의 최고 고문이 되었다.

공손양은 젊은 시절 위 혜왕(재위: 기원전 370년 - 기원전 335년)의 재상인 한의 공족 출신[19]식객이 되어 중서자[20]에 임명되었다.

공숙좌는 죽기 직전 혜왕에게 공손양을 후임 재상으로 추천했다. 그러나 혜왕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공숙좌는 "공손양을 등용하지 않으시겠다면, (양이 다른 나라로 가면 강적이 될 것이므로) 그를 죽이십시오."라고 말했지만, 공손양은 "왕께서 당신의 공손양 등용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으신다면, 그를 죽이라는 말 또한 받아들이지 않으실 것입니다."라고 말하며 도망치지 않았다. 혜왕은 공숙좌가 늙어서 헛소리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여, 공손양을 등용하지도 주살하지도 않았다.

공손양은 위를 떠나 진에 입국하여 환관 경감을 통해 효공을 만났다. 공손양은 효공에게 자신의 주장을 펼쳤는데, 처음에는 제(帝)의 도를 설명했으나 효공은 지루해하며 잠이 들었다. 두 번째 만남에서는 왕(王)의 도를 설명했으나 효공의 반응은 마찬가지였다. 세 번째 만남에서 패(覇)의 도를 설명하자 효공은 মনোযোগ을 보이며 경청했다.

효공의 신임을 얻은 공손양은 국법 개정을 추진하려 했지만, 효공은 비판을 두려워하여 주저했다. 이에 공손양은 '''"의행은 명이 없고, 의사는 공이 없다"'''라고 말하며 효공을 설득했고, 이는 후세에 고사성어가 되었다. 그러나 감룡(甘龍)(감룡), 두지(杜摯) 등은 "법은 관습이 되어 백성과 관리들도 익숙해져 있으며, 법을 바꾸지 않더라도 신민을 따르게 하는 것은 덕으로 해야 합니다."라며 반대했지만, 공손양은 "하, 은, 주는 모두 다른 법으로 왕이 되었고, 오패의 법도 다릅니다."라고 반박했고, 효공도 이에 동의했다.

2. 2. 진나라 등용과 변법 추진

商鞅중국어(상앙)은 법치주의를 신봉하여 국가에 대한 충성을 가족에 대한 충성보다 우선시하고, 진(秦)나라에서 두 차례의 개혁을 추진했다.

기원전 356년의 첫 번째 개혁은 다음과 같다:

  • 리꾸이의 『법경』을 시행하면서 범죄를 알고도 신고하지 않으면 범인과 동일하게 처벌하는 규정을 추가했다. 그는 개혁을 시행 가능한 법으로 성문화했고, 법은 엄격하고 다수였으며, 처벌 또한 엄격했다.[9]
  • 군사적 성공에 따라 병사들에게 토지를 할당하고, 싸우기를 거부하는 귀족들의 토지 권리를 박탈했다. 군대는 전장에서의 공적에 따라 20개의 군 계급으로 나뉘었다. 군사 개혁은 진나라 백성들이 군에 입대하게 하고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하는 데 필요한 군사력을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10]
  • 진나라의 인력이 부족했기 때문에 개간되지 않은 땅과 황무지의 경작과 이주를 장려하고, 상업보다 농업을 우선시했다.


기원전 350년, 商鞅중국어은 두 번째 개혁을 도입했는데, 여기에는 새로운 표준화된 토지 배분 시스템과 조세 개혁이 포함되었다.

商鞅중국어의 개혁은 초나라의 오기 등 다른 곳에서 시행된 정책에서 가져온 것이었지만, 商鞅중국어의 개혁은 다른 국가의 개혁보다 더 철저하고 극단적이었으며, 통치자의 손에 정책을 독점했다.[11]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진나라는 다른 국가의 개혁을 따라잡고 능가했다.

젊은 시절 공손앙(公孫鞅)은 위나라 혜왕의 재상인 한나라 공족 출신 인물의[19] 식객이 되어 중서자[20]에 임명되었다. 공숙좌는 죽기 직전 혜왕에게 공손앙을 후임 재상으로 추천했지만, 혜왕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공손앙은 위나라를 떠나 진나라에 입국하여 환관 경감을 통해 효공을 만났다. 공손앙은 효공에게 자신의 변론을 펼쳤는데, 처음에는 제(帝)의 도, 두 번째에는 왕(王)의 도를 설파했지만 효공은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세 번째 만남에서 패(覇)의 도를 설파하자 효공은 열심히 경청하며 공손양에게 다가갈 정도로 마음에 들어 했다.

효공의 신임을 얻은 공손앙은 국법을 바꾸려 했지만, 효공은 비판을 두려워하여 주저했다. 이에 공손앙은 "'''의행은 명이 없고, 의사는 공이 없다'''" (고사성어)라고 말하며 효공을 격려했다. 그러나 감룡(甘龍), 두지(杜摯) 등은 법을 바꾸지 않고 덕으로 신민을 따르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공손앙은 "하, 은, 주는 모두 다른 법으로 왕이 되었고, 오패의 법도 다릅니다. ... 법이란 관습을 따르기 때문에 좋은 것이지, 반하기 때문에 나쁜 것이 아닙니다."라고 논박했고, 효공도 공손앙의 말을 따랐다.

2. 3. 변법의 내용

상앙이 추진한 변법은 당시 법가 사상을 바탕으로 강력한 부국강병을 목표로 하였으며, 강력한 부국강병을 원했던 진 효공과 뜻이 맞아 이를 실행할 수 있었다.

변법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계획 경제''': 정부가 직접 철광과 관개수로 개발을 주도하여 다방면에서 생산력을 비약적으로 증가시켰으며, 상평제도를 통한 농축산물의 가격 안정을 꾀하였다.
  • '''군공수작제''': 누구든지 전쟁터나 국가를 위해서 공을 세웠다면, 그에 마땅한 작위를 내렸다.
  • '''노동력 증대''': 한 집에 둘 이상의 노동하지 않는 남자가 있으면, 세금을 두 배로 거둬들였다. 때문에 국가의 건강한 장정들은 모두 노동을 해야 했으며, 이로 인해 생산력이 대폭 증가하였다.
  • '''노비 해방''': 지주들의 노예에게 신분 상승의 기회를 대폭적으로 주어 귀족들의 힘을 약화함과 동시에 양인을 확충하여 재정을 확충하였다. 그러나, 범죄를 저지르면 관노(官奴)로 삼았으며, 노비제 자체는 폐지하지 않았다.
  • '''도시 개발''': 낙후된 지역에도 정부가 직접 인력과 자금을 투자하여 도시·요새화하였다.
  • '''상벌론''': 공을 세웠거나 노동력을 제공한 사람에게는 그에 적당한 대가를 지급하였으며, 이에 반해, 실책 및 잘못을 저지른 자에게는 그에 맞는 형벌을 적재적소에 내렸다. 이는 지위고하와 관계없이 공평하게 적용되었다.
  • '''상업 억제''': 초기에 상업을 농업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보았고 농업 생산 증대에 전념하기 위해 상업을 강력히 탄압했으나, 진나라가 어느 정도 국력이 상승하자 농업과 상업의 균형 있는 성장을 꾀하였다.
  • '''소득 분배''': 진나라의 토지 귀족을 해체시키고 부유층에게 중한 세금을 물었으며, 빈농에게 토지 및 농업 자금을 분배하여 자급자족 가능한 중산층·자영농으로 성장시켜 농업 생산량을 증대하였다.
  • '''악습 및 구습 타파''': 진나라에 내려오는 (戎)[30]의 문란한 습속과 시대에 뒤처진 오랜 전통, 미신 숭배를 타파하고자 하였다.
  • '''십오제(什伍制)''': 다섯 집을 하나로 묶어 하나의 단위로 만들었으며, 납세와 징병의 단위가 되었다.
  • '''이십등작제''': 기존의 봉건적 신분제를 폐지하고 공과 과에 따라 승급과 강등이 유동적으로 가능한 20등급 체계의 계급 제도를 신설하였다.
  • '''중앙집권화''': 번잡한 제도를 과감히 없애고, 군사·생산·징세 등 기타 행정에 관련된 법을 일원화하고 그에 따른 관료제인 군현제(郡縣制)를 정비함으로써 통치 체계에 효율성을 더하였다.
  • '''토지국유화''': 전국 토지를 모두 국가에 귀속시키는 토지국유제를 단행하였다. 또한, 구획법을 새로이 정한 후 한 가구당 100(畝, 현대 기준으로 약 3,000 평)에 해당하는 땅을 공평하게 분배하였다.


한비자(韓非子)는 중국 법가(法家)의 가장 대표적인 인물로 여겨지는데, 상앙이 두 가지 이론을 창시했다고 평가한다.

  • "법을 확립하다"(定法)
  • "법 앞에 평등하다"(一民)


상앙은 법치주의를 믿고 국가에 대한 충성을 가족에 대한 충성보다 우선시하여 진(秦)나라에 두 차례의 개혁을 도입했다.

기원전 359년, 개간령(墾草の令).

기원전 356년, 효공은 공손앙을 좌서장[21]에 임명하고, 변법(변법)이라 불리는 국정개혁을 단행한다. 이는 제1차 변법이라 불린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호적을 설치하고, 민중을 5호(오호) 또는 10호(십호)로 한 조로 나눈다.[22] 이 안에서 서로 감시하고 고발하는 것을 의무화하여, 만약 죄를 지은 자가 있어서 고발하지 않으면 십오 모두가 연좌하여 벌을 받는다.[23] 반대로 고발하면 전쟁에서 적의 목을 벤 것과 같은 공적이 된다.
  • 한 집에 두 명 이상의 성인 남자가 있으면서 분가하지 않으면, 세금이 배가된다.
  • 전쟁에서의 공적에는 작위로 보상한다. 사투를 하는 자는 그 정도에 따라 형벌을 받는다.
  • 남자는 농업에, 여자는 방직 등의 가내 수공업에 힘쓰고, 성적이 좋은 자는 세금이 면제된다. 상업을 하는 자, 게을러서 가난해진 자는 노예의 신분으로 떨어뜨린다.
  • 원연의 종실이나 귀족이라 해도, 전공이 없는 자는 그 작위를 강등한다.
  • 법령을 사회규범의 요점으로 한다.


기원전 350년, 진은 에서 함양으로 천도하였다.

이 해에 공손앙은 다시 변법을 실시하여 법가 사상에 기반한 군주 독재권 확립을 목표로 하였다. 이번 변법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부자형제가 한 집에 사는 것을 금지한다.
  • 전국의 마을을 으로 나누고[25], 각각에 영(장관), 승(보좌)을 두어 중앙집권화를 철저히 한다.
  • 정전제를 폐지하고 토지의 구획 정리를 실시한다.
  • 도량형의 통일.[26]

2. 4. 변법의 반대와 갈등

상앙의 변법은 진나라의 유력 부족들과 귀족 세력의 반발에 직면했다. 특히 맹, 서, 백씨 부족과 당시 태사였던 감룡, 두지의 반대는 변법 추진에 큰 어려움을 야기했다.[31] 상앙은 변법에 반대하는 자들을 엄벌로 다스렸으며, 태자 영사가 변법을 어기자 그의 스승인 공자 건의 코를 베는 형벌을 내렸다.[31] 이 사건으로 공자 건은 은둔 생활을 하게 되었고, 태자는 상앙에 대한 증오를 품게 되었다.

상앙은 재상이 된 지 10년 후 조량이라는 선비를 만났다. 조량은 상앙의 정치 방식에 대해 비판적인 견해를 제시하며, 백리해의 예를 들어 덕으로 백성을 다스려야 한다고 조언했다. 조량은 상앙이 백성을 위한 정치를 하지 않고, 권위를 내세우기 위해 법을 남용하며, 왕족들을 핍박한다고 비판했다.[32] 또한 조량은 상앙에게 재산을 백성들에게 나누어주고, 은퇴하여 어진 인재를 천거하고 노인과 고아를 돌보는 등 덕을 베풀 것을 권고했다.[32] 그러나 상앙은 조량의 충고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기원전 356년, 효공은 공손앙을 좌서장에 임명하고, 변법(變法)이라 불리는 국정 개혁을 단행하였다. 이는 제1차 변법이라 불리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주요 내용
호적을 설치하고, 민중을 5호(五戶) 또는 10호(十戶)로 한 조로 나눈 뒤 서로 감시하고 고발하는 것을 의무화했다. 죄를 지은 자를 고발하지 않으면 모두가 연좌하여 벌을 받았다.[22][23]
한 집에 두 명 이상의 성인 남자가 있으면서 분가하지 않으면 세금이 배가되었다.
전쟁에서의 공적에는 작위로 보상했다. 사투를 하는 자는 그 정도에 따라 형벌을 받았다.
남자는 농업에, 여자는 방직 등의 가내 수공업에 힘쓰고, 성적이 좋은 자는 세금이 면제되었다. 상업을 하는 자, 게을러서 가난해진 자는 노예 신분으로 떨어졌다.
종실이나 귀족이라 해도 전공이 없는 자는 그 작위를 강등했다.
법령을 사회규범의 요점으로 했다.



변법 시행 초기에는 민중의 불만이 높았으나, 공손앙은 태자 영사(훗날의 혜문왕)의 스승인 공자건이 법을 어기자 코를 베는 형벌을 내리고, 공손가에게는 문신을 새기는 형벌을, 축환은 사형에 처하는 등 엄격하게 법을 집행했다. 이로 인해 모든 사람이 법을 지키게 되었고, 10년이 지나자 밭은 훌륭하게 개간되고, 병사는 정강해지고, 인민의 생활은 풍요로워지는 등 법의 효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2. 5. 최후

상앙은 조량의 충고를 듣지 않았고, 5개월 후 효공이 죽자 태자 영사가 즉위했다.[32]

혜문왕은 상앙의 변법에 반대하는 세력들을 모아 상앙을 탄핵했다. 상앙은 상(商) 땅에서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전투 중 사망했다. 그의 시체는 혜문왕의 명에 의해 거열형에 처해졌다.[12][13][14][15]

상앙은 진나라 귀족들에게 미움을 받았고, 효공 사후 입지가 약해졌다. 혜문왕은 상앙의 모반을 이유로 멸족을 명했다. 『전국책』에 따르면, 상앙은 도피 중 자신이 만든 법 때문에 신분증 없이는 여관에 투숙할 수 없었다고 한다.

상앙은 거열(車裂)형을 당했고, 그의 온 가족도 처형되었다.[13][14][15] 혜문왕은 상앙의 개혁은 유지했다.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상앙은 위나라로 도망쳤으나 과거 공자앙을 배신한 일로 추방되었다. 이후 봉토에서 반란을 일으켰으나 전투 중 사망했다. 진혜왕은 상앙의 시체를 거열형에 처해 본보기로 삼았다.[15]

상앙의 처형 후, 혜문왕은 사천 (촉과 바)을 정복하여 진나라 통일의 기반을 다졌다.[16]

기원전 338년, 효공이 죽고 태자 사(駟)가 즉위하여 회문왕(惠文王)이 되었다. 공자건(公子虔)·공손가(公孫賈) 등 반(反) 상앙파는 상앙을 모반죄로 고발했다. 회문왕 역시 상앙을 원망하여 상앙은 도망쳤다. 여관 주인은 “상앙 대인의 엄명으로 여권이 없는 자는 투숙할 수 없습니다.”라며 거절했다. 상앙은 “법을 행하는 폐단이 이 지경에 이르다니!”라며 한탄하고 위나라로 도망쳤으나, 위나라는 군대를 파견하여 추방했다. 상앙은 자신의 봉지 상(商)에서 군대를 모았지만, 진나라 토벌군에 의해 전사했다. 회문왕의 엄명에 따라 그의 시체는 맹지에서 거열형에 처해졌다.

3. 사상

『상군서』에 따르면, 상앙은 인간의 의식과 인식 전반에 대한 유물론적 견해를 갖고 있었다. 그는 신농과 같이 추앙받는 성인조차도 모두 과거 생산력과 인력에 국한되는 한정된 정치성을 갖고 있기에 이들의 정치를 본받아서는 안 되며, 현재(당시 전국시대 초기)의 정치는 현재의 인력과 생산력의 규모에 초점을 맞춰 발전해나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현재의 정치도 미래에는 충분히 낙후된 것일 수 있기에, 새로운 법과 제도를 적극적으로 창조하고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비자는 중국 법가의 가장 대표적인 인물로 여겨지는데, 상앙이 두 가지 이론을 창시했다고 평가한다.


  • "법을 확립하다"(定法)
  • "법 앞에 평등하다"(一民)


상앙은 법치주의를 믿고 국가에 대한 충성을 가족에 대한 충성보다 우선시하여 진(秦)나라에 두 차례의 개혁을 도입했다. 첫 번째 개혁은 기원전 356년에 이루어졌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리꾸이의 『법경(法經)』을 시행하면서 범죄를 알고도 정부에 신고하지 않은 자에게 범인과 동일한 처벌을 내리는 규정을 중요하게 추가하였다. 그는 개혁을 시행 가능한 법으로 성문화했다. 법은 엄격하고 다수였으며, 상앙에 의해 개정되었고 처벌 또한 엄격했다.[9]
  • 군사적 성공에 따라 병사들에게 토지를 할당하고 싸우기를 거부하는 귀족들의 토지 권리를 박탈했다. 군대는 전장에서의 공적에 따라 20개의 군 계급으로 나뉘었다. 군사 개혁은 진나라 백성들이 기꺼이 군에 입대하게 만들었고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하는 데 필요한 군사력을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10]
  • 진나라의 인력이 부족했기 때문에 상앙은 개간되지 않은 땅과 황무지의 경작과 이주를 장려하고 사치스러운 상업보다 농업을 우선시했다 (하지만 특히 성공한 상인들에게는 더 많은 인정을 했다).


상앙은 기원전 350년에 두 번째 개혁을 도입했는데, 여기에는 새로운 표준화된 토지 배분 시스템과 조세 개혁이 포함되었다.

상앙의 개혁 대부분은 초나라의 오기 등 다른 곳에서 시행된 정책에서 가져온 것이었지만, 상앙의 개혁은 다른 국가의 개혁보다 더 철저하고 극단적이었으며, 통치자의 손에 정책을 독점했다.[11]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진나라는 다른 국가의 개혁을 따라잡고 능가했다.

4. 평가

상앙은 변방의 소국이었던 진나라를 강국으로 만드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지만, 엄격한 전체주의적 통치를 구축하고 개인의 감정을 극도로 억압하는 정치사상을 주장했다는 비판도 받는다.[9]

한비자는 상앙이 "법을 확립하다"(定法)와 "법 앞에 평등하다"(一民)라는 두 가지 이론을 창시했다고 평가했다. 상앙은 법치주의를 신봉하고 국가에 대한 충성을 가족에 대한 충성보다 우선시했다. A. F. P. 헐슈웨(A. F. P. Hulsewé)는 상앙을 법가의 창시자로 여겼으며, 그의 가장 중요한 업적 중 하나로 형벌의 통일을 꼽았다. 즉, 왕의 명령을 어긴 모든 계급의 사람들에게 사형을 선고하는 것이다.

상앙은 자신의 가르침에 따라 행동한 것으로 보이며,[17] 번역가 두벤닥(Duvendak, 1928)은 그를 "활을 똑바로 유지하는 대나무틀과 같아서, 비록 일부 근대 이전의 중국인들이 진(秦)나라의 몰락과 관련하여 그를 좋지 않게 평가했더라도 그의 곧은 성품을 바꿀 수 없었다"고 언급했다.

사마천은 그의 정책의 즉각적인 효과에 대해 "법령이 시행된 지 10년 후, 진나라 백성들은 기뻐했고, 길에 잃어버린 물건을 주워가는 사람이 없었으며, 산에 도적이나 강도가 없었고, 가정은 잘 먹고 살았으며, 백성들은 부유했다."라고 기록했다.[18]

혜문왕 이후 진나라의 역대 군주들은 상앙이 죽은 후에도 상앙의 법을 유지했다. 오기는 상앙과 같이 엄격한 법을 초나라에 남겼지만, 오기의 사후에 폐지되었다.

순자(荀子)는 『순자(荀子)』 「의병편(議兵篇)」에서 전단(田單) 등과 함께 상앙(원문에서는 위앙(衛鞅))을 전국 시대의 명장으로 언급하고 있다.[27]

전설에 따르면, 소진(蘇秦)은 합종(合縱) 연맹을 만들기 전에 혜문왕에게 군사 훈련 강화를 통해 제(帝)가 될 수 있다고 설득했지만, 왕은 상앙 처형 후 웅변가를 싫어하여 거절했다고 한다.

4. 1. 긍정적 평가

상앙은 오랑캐의 인습과 봉건적인 구습에 얽매여 있던 변방의 소국이었던 진나라를 강국으로 만드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또한, 정치 일선에서 현실적인 자세를 취하였으며, 지주와 왕족을 억제하고 소농을 중산 자영농으로 성장시켜 국가의 경제력을 끌어올렸다.[9]

한비자는 법가(法家)의 대표적인 인물로, 상앙이 "법을 확립하다"(定法)와 "법 앞에 평등하다"(一民)라는 두 가지 이론을 창시했다고 평가한다. 상앙은 법치주의를 믿고 국가에 대한 충성을 가족에 대한 충성보다 우선시하여 진나라에 두 차례의 개혁을 도입했다. 첫 번째 개혁은 기원전 356년에 이루어졌는데, 리꾸이의 『법경(法經)』을 시행하면서 범죄를 알고도 정부에 신고하지 않은 자에게 범인과 동일한 처벌을 내리는 규정을 중요하게 추가하였다. 그는 개혁을 시행 가능한 법으로 성문화했고, 법은 엄격하고 다수였으며, 상앙에 의해 개정되었고 처벌 또한 엄격했다.[9]

또한 군사적 성공에 따라 병사들에게 토지를 할당하고 싸우기를 거부하는 귀족들의 토지 권리를 박탈했다. 군대는 전장에서의 공적에 따라 20개의 군 계급으로 나뉘었다. 군사 개혁은 진나라 백성들이 기꺼이 군에 입대하게 만들었고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하는 데 필요한 군사력을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10] 진나라의 인력이 부족했기 때문에 상앙은 개간되지 않은 땅과 황무지의 경작과 이주를 장려하고 사치스러운 상업보다 농업을 우선시했다 (하지만 특히 성공한 상인들에게는 더 많은 인정을 했다). 상앙은 기원전 350년에 두 번째 개혁을 도입했는데, 여기에는 새로운 표준화된 토지 배분 시스템과 조세 개혁이 포함되었다.

상앙의 개혁은 초나라의 오기 등 다른 곳에서 시행된 정책에서 가져온 것이었지만, 상앙의 개혁은 다른 국가의 개혁보다 더 철저하고 극단적이었으며, 통치자의 손에 정책을 독점했다.[11]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진나라는 다른 국가의 개혁을 따라잡고 능가했다.

A. F. P. 헐슈웨(A. F. P. Hulsewé)는 상앙을 "법가의 창시자"로 여겼으며, 그의 가장 중요한 업적 중 하나로 형벌의 통일을 꼽았다. 즉, 왕의 명령을 어긴 모든 계급의 사람들에게 사형을 선고하는 것이다. 상앙은 법의 근원(법을 허가하는 자)인 왕조차도 법을 따라야 한다고 기대했다. 이러한 견해는 주례(Rites of Zhou)에서 보이는 것처럼 사회의 계층에 따라 다른 형벌을 부과하는 고대 사회의 전형적인 사상과는 대조적이다.

헐슈웨는 사마담(Sima Tan)이 균등한 대우를 "법가"의 가장 중요한 특징으로 간주했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들은 친척이 가깝든 멀든 구별하지 않고, 귀족이든 천민이든 차별하지 않고, 법에 따라 균일하게 판결한다."[17] 한나라는 집단적인 삼족의 벌(collective punishment of the three sets of relatives)을 제외하고 상앙이 진(Qin)나라를 위해 제정한 죄의 종류와 평등 개념을 본질적으로 채택했다.[17]

상앙은 자신의 가르침에 따라 행동한 것으로 보인다.[17] 번역가 두벤닥(Duvendak, 1928)은 그를 "활을 똑바로 유지하는 대나무틀과 같아서, 비록 일부 근대 이전의 중국인들이 진(秦)나라의 몰락과 관련하여 그를 좋지 않게 평가했더라도 그의 곧은 성품을 바꿀 수 없었다"고 언급한다. 두벤닥은 상앙이 중국학자(Sinologists)에게만 관심 있는 인물이 아니라 서구 법률가들에게도 관심 있는 인물이라고 생각했다.

사마천(Sima Qian)은 그의 정책의 즉각적인 효과를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법령이 시행된 지 10년 후, 진나라 백성들은 기뻐했고, 길에 잃어버린 물건을 주워가는 사람이 없었으며, 산에 도적이나 강도가 없었고, 가정은 잘 먹고 살았으며, 백성들은 부유했다. 백성들은 군주의 전투에서는 용감했지만 사적인 싸움에서는 비겁했고, 향촌과 도시는 질서가 잘 잡혀 있었다."[18]

진(秦)은 그때까지는 내륙 심산에 기원을 가지고 중국 중앙과는 다소 다른 풍습을 가지고 있어 야만국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상앙에 의해 그러한 면이 개혁되었고, 위(魏)를 이김으로써 강국으로서 주목받게 되었다.

혜문왕 이후 진나라의 역대 군주들은 상앙이 죽은 후에도 상앙의 법을 남겼다. 상앙보다 반세기 전, 초(楚)의 오기(吳起)도 상앙과 같이 엄격한 법을 남겼지만, 그것은 오기의 사후에 폐지되었다. 이 때문에 왕과 법 아래 하나로 뭉친 진(秦)은 문벌의 영향이 강하고 질서정연하지 못했던 초(楚) 등을 착실히 무너뜨려 나갔다. 최종적으로 진(秦)이 전국시대의 혼란을 통일할 수 있었던 것은 상앙의 법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상앙의 말대로 "옛 관습을 따르지 않고 왕이 되었고, 바꾸지 않은 자는 멸망했다"는 것이다.

현대에는 정치가 및 법률가(법가)로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지만, 전국 시대에는 뛰어난 장군이자 군사 사상가(병가)로서도 존경받았다. 『순자(荀子)』 「의병편(議兵篇)」에서 순자(荀子)는 전국 시대의 명장으로 상앙(원문에서는 위앙(衛鞅))을 전단(田單) 등 다른 두 사람과 함께 언급하고 있다(단, 순자 자신은 상앙 등 네 사람을 작은 계략에 능한 자로 비판하며, 춘추 시대의 패자나 고대의 왕들보다 낮게 평가하고 있다).[27] 상앙의 군사 사상을 기록한 것으로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는 『공손앙(公孫鞅)』 27편을 기록하고 있지만,[28] 후에 유실되었다.

4. 2. 부정적 평가

상앙은 진나라를 강국으로 만들었지만, 엄격한 전체주의적 통치와 개인의 감정을 억압하는 정치사상을 주장했다는 비판을 받는다.[9]

한비자는 상앙이 "법을 확립하다"(定法)와 "법 앞에 평등하다"(一民)라는 두 가지 이론을 창시했다고 평가한다. 상앙은 법치주의를 신봉하고 국가에 대한 충성을 가족에 대한 충성보다 우선시했다. 그는 리꾸이의 『법경(法經)』을 시행하면서 범죄를 알고도 신고하지 않은 자에게 범인과 동일한 처벌을 내리는 규정을 추가했다.[9]

헐슈웨(A. F. P. Hulsewé)는 상앙을 "법가의 창시자"로 여겼으며, 그의 가장 중요한 업적 중 하나로 형벌의 통일을 꼽았다. 즉, 왕의 명령을 어긴 모든 계급의 사람들에게 사형을 선고하는 것이다. 헐슈웨는 사마담(Sima Tan)이 균등한 대우를 "법가"의 가장 중요한 특징으로 간주했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들은 친척이 가깝든 멀든 구별하지 않고, 귀족이든 천민이든 차별하지 않고, 법에 따라 균일하게 판결한다."[17]

상앙은 자신의 가르침에 따라 행동한 것으로 보이며,[17] 번역가 두벤닥(Duvendak, 1928)은 그를 "활을 똑바로 유지하는 대나무틀과 같아서, 비록 일부 근대 이전의 중국인들이 진(秦)나라의 몰락과 관련하여 그를 좋지 않게 평가했더라도 그의 곧은 성품을 바꿀 수 없었다"고 언급한다.

사마천은 그의 정책의 즉각적인 효과에 대해 "법령이 시행된 지 10년 후, 진나라 백성들은 기뻐했고, 길에 잃어버린 물건을 주워가는 사람이 없었으며, 산에 도적이나 강도가 없었고, 가정은 잘 먹고 살았으며, 백성들은 부유했다."라고 기록했다.[18]

초(楚)의 오기(吳起)도 상앙과 같이 엄격한 법을 남겼지만, 오기의 사후에 폐지되었다. 이 때문에 왕과 법 아래 하나로 뭉친 진(秦)은 문벌의 영향이 강하고 질서정연하지 못했던 초(楚) 등을 착실히 무너뜨려 나갔다.

순자(荀子)』 「의병편(議兵篇)」에서 순자(荀子)는 전국 시대의 명장으로 상앙(원문에서는 위앙(衛鞅))을 전단(田單) 등 다른 두 사람과 함께 언급하고 있다.[27]

4. 3. 현대적 의의

한비자는 법가(法家)의 대표적인 인물로, 상앙(商鞅)이 "법을 확립하다"(定法)와 "법 앞에 평등하다"(一民)라는 두 가지 이론을 창시했다고 평가한다. 상앙은 법치주의를 믿고 국가에 대한 충성을 가족에 대한 충성보다 우선시하여 진(秦)나라에 두 차례의 개혁을 도입했다. 이러한 개혁은 초나라의 오기 등 다른 곳에서 시행된 정책을 참고했지만, 상앙의 개혁은 더 철저하고 극단적이었으며 통치자의 권한을 강화했다.[11]

상앙의 개혁은 진나라를 낙후된 국가에서 강력한 국가로 변모시켰다. 상앙 사후에도 진나라 군주들은 상앙의 법을 유지했으며, 이는 진나라가 전국시대를 통일하는 기반이 되었다. 상앙의 말처럼 "옛 관습을 따르지 않고 왕이 되었고, 바꾸지 않은 자는 멸망했다"는 것이다.

현대에 상앙은 정치가 및 법률가로서 높이 평가받고 있으며, 전국 시대에는 뛰어난 장군이자 군사 사상가로도 존경받았다. 순자(荀子)는 전단(田單) 등과 함께 상앙을 전국 시대의 명장으로 언급했다.[27] 상앙의 군사 사상을 담은 『공손앙(公孫鞅)』 27편은[28] 유실되었지만, 그의 군사적 업적은 높이 평가받고 있다.

5. 저서

상앙은 병서(兵書)인 《공손앙(公孫鞅) 27편을 지었으며, 전국시대 역사를 기술한 《상군(商君) 29편을 지었다.[1]

제목분량내용
상군(商君)》29편전국시대 역사 기술
《공손앙(公孫鞅)》27편병서(兵書)


6. 기타


  • 2015년 드라마 《미월전》에서 시징밍(Shi Jingming)이 상앙의 사형 장면을 연기하는 특별출연을 했다.[33]
  • 드라마 《사기》에서 왕지페이(Wang Zhifei)가 상앙을 주요 등장인물로 연기했다.[33]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Chinese Philosophy https://books.google[...] (Unspecified) 2003
[2] 웹사이트 Legalism in Chinese Philosophy http://plato.stanfor[...] 2014
[3] 서적 Classical China
[4] 고대 문서 Bamboo Annals
[5] 서적 Terra Cotta Army 2008
[6] 서적 Persistent Misconceptions about Chinese Legalism https://www.academia[...] SUNY Press 1990
[7] 서적 What Is Taoism? 1970
[8] 서적 The Confucian Persuasion https://books.google[...] 1960
[9] 학술지 Shang Yang Was a Cooperator: Applying Axelrod's Analysis of Cooperation in Early China http://muse.jhu.edu/[...] 2014
[10] 학술지 Shang Yang Was a Cooperator: Applying Axelrod's Analysis of Cooperation in Early China 2014
[11] 서적 What Is Taoism?: And Other Studies in Chinese Cul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2-09-15
[12] 서적 Classical China Oxford University Press 1970
[13] 고대 문서 和氏
[14] 서적 東周列国志
[15] 고대 문서 商君列传 (vol. 68)
[16] 서적 Ancient Sichuan and the Unification of China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2-01-01
[17] 서적 remnants of han law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1955
[18] 서적 The Book of Lord Shang: A Classic of the Chinese School of Law https://books.google[...] The Lawbook Exchange, Ltd. 2003
[19] 문서 公叔痤
[20] 문서 주례, 예기
[21] 문서 20등작제, 상군열전, 秦本紀
[22] 문서 什伍
[23] 문서 告座
[24] 문서 丈, 尺, 상앙의 도량형
[25] 문서 현제
[26] 문서 상앙승, 상앙량
[27] 문서 荀子, 의병편
[28] 문서 한서, 예문지
[29] 웹사이트 상앙 https://terms.naver.[...]
[30] 문서 진나라 서쪽 이민족
[31] 문서 태자 영사의 백부
[32] 문서 사기(史記),상군열전(商君列傳)
[33] 백과사전 상앙 http://www.encyber.c[...] 2008-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