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주 창렬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주 창렬사는 임진왜란 당시 진주성 전투에서 순국한 인물들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1747년 영조에 의해 건립되었으며, 김시민 장군을 비롯한 여러 인물들이 배향되었다. 현재 유중문, 전파문 등의 건축물이 있으며, 쇠락한 상태이나 대아고등학교의 지원으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07년 설립 - 안동 병산서원
    조선 시대 문신 류성룡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안동 병산서원은 풍악서당에서 시작하여 1614년 개칭되었고, 서원철폐령에도 보존되어 류성룡과 그의 아들이 배향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하회탈 및 병산탈 등 다수의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다.
  • 경상남도의 사당 - 진주 의기사
    진주 의기사는 임진왜란 당시 진주성에서 순국한 의기 논개를 기리기 위해 세워진 사당으로, 논개의 영정이 봉안되어 있으며 의로운 기생 산홍의 시가 함께 걸려 있어 그 의미를 더한다.
  • 경상남도의 사당 - 통영 충렬사
    죄송합니다. 위키 페이지 본문이 제공되지 않아 요청하신 작업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 진주시의 문화유산 - 진주 남악서원
    진주 남악서원은 김유신, 최치원 등의 영정과 위패를 모시고 있으며, 1919년에 재건되어 경주 서악서원의 이름을 본떠 남악서원이라 이름 지었다.
  • 진주시의 문화유산 - 한량무
    한량무는 조선 후기 남사당패에서 유래하여 진주 교방에서 전승되는 7인의 춤으로, 한량, 별감, 승려, 색시 등의 등장인물을 통해 당시 사회상을 풍자하며, 북, 장구 등 악기 반주에 맞춰 춤사위를 펼친다.
진주 창렬사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임진왜란 전몰자를 모신 창렬사
임진왜란 전몰자를 모신 창렬사
명칭진주 창렬사
종류문화재자료
지정 번호5
지정 국가대한민국
지정 구역경상남도
주소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 진주성
시대조선 1607년
지정일1983년 7월 20일

2. 역사

2. 1. 건립과 사액

2. 2. 흥선대원군 서원 철폐와 김시민 장군 신위 봉안

2. 3. 최경회의 도장

1747년 영조 23년 1월 26일 경상우병영에서 조정으로 진주 사람이 남강 가에서 주웠다고 하는 도장 한 개를 올렸다. 이것은 당시로부터 154년 전인 1593년 최경회가 소지하고 있다가 남강에 몸을 던질 때 가지고 있었던 것이었다.[2] 영조는 이것을 창열사에 두고 제를 올리라고 명하고, 도장갑을 만들고 그 위에 글을 지어 새기도록 하였다.[2]

영조가 지은 글은 다음과 같다.[2]

: 追憶往事 지난 일을 돌이켜 생각하니,

: 百有餘年 1년여 년이 지났네.

: 幸得南江 다행히 남강에서 주웠던 도장에

: 印篆宛然 새겨진 전자가 완연하니,

: 矗石閫義烈 촉석루에서의 뛰어난 의열

: 想像愴先 상상하니 먼저 서글퍼지네.

: 命留嶺閫 영남의 병영애 보관토록 하여

: 以竪忠焉 충절을 기리게 하노라”

2. 4. 현대

3. 건축물

건축물로는 외삼문인 유중문과 내삼문인 전파문이 있고, 내부에는 위패가 모셔진 창열사가 있다. 좌우측에 각각 한 채씩의 건물이 있고, 선인들의 비석과 함께 박정희 전 대통령이 세운 제장군졸지위라는 비석이 뒷 뜰에 세워져 있다.

창열사는 특별히 관리를 하는 문중이 없어 관리가 잘 되지 않아 쇠락하기 쉽고, 제사도 잘 지내지 않아 조선왕조실록에도 쇠락하여 안타깝기 그지 없다는 내용이 나온다. 현재 내부에서 상주를 하며 관리를 하고, 항일독립운동으로 옥고를 치른 인근의 대아고등학교 전 교장 박종한 선생의 의지에 따라 정기적으로 대아고등학교에서 관리를 돕고 청소를 하여, 학교 깃발이 위패 옆에 놓여 있다.

4. 배향 인물

충무공 김시민은 증영의정 상락부원군 수경상우도병마절도사이며, 문열공 김천일은 증영의정 행창의사이다. 무민공 황진은 증좌찬성 행충청병마절도사이며, 충의공 최경회는 증좌찬성 행경상우도충병마절도사이다. 충의공 장윤은 증좌찬성 행진주목사이며, 효열공 고종후는 증이조판서 행임피현감 복수의병장이다. 진주목사 서예원은 선무 원종 1등 공신(宣武原從功臣) 병조 참의(贈兵曹參議) 추증을 받았으며, 고종 때 창열사(彰烈祠)에 제향되었다. 유복립은 증이조참판 종부시주부이다.

동사(東祠)에는 15위가 모셔져 있다.


  • 양산숙, 증승지 창의사 종사관
  • 김상건, 증참의 (김천일의 아들)
  • 김준민, 증병조참판 행거제부사
  • 강희열, 증병조참의 분의의병장
  • 조경형, 증병조참의 행진해현감
  • 최기필, 증병조참의 행판관
  • 유함, 증주부 의병장
  • 이욱, 증호조좌랑 성균생원
  • 강희복, 증호조좌랑 의병장
  • 장윤현, 증호조좌랑 행수문장
  • 박승남, 증병조참의 행판관
  • 하계선, 증호조좌랑
  • 최언량, 증호조좌랑
  • 주몽룡, 증형조판서 금산군수 증시 무열
  • 주대청 ,증도총관 가배량권관


서사(西祠)에는 17위가 모셔져 있다.

  • 이잠, 증병조참의 적개의병장
  • 성영달, 증병조참의 행우병마우후
  • 이종인, 증병조참판 행김해부사
  • 윤사복, 증병조참의 행첨정
  • 이인민, 증호조좌랑 증시무용
  • 손승선, 증호조좌랑 의병장
  • 정유경, 증군자감정 행주부
  • 김태백, 증좌승지행 수문장
  • 양제, 증호조좌랑 행선무랑
  • 박안도, 증호조좌랑
  • 이의정, 증병조참의 행보령현감
  • 김개, 증도총관 행부장
  • 송건도, 증사복
  • 정재보, 증예조정랑
  • 박세항, 선무원종공신 수문장
  • 송제, 증호조참의 군수
  • 김덕련, 김개의 손자
  • 칠만민관군 신위(神位)

4. 1. 정사(正祠)

충무공 김시민은 증영의정 상락부원군 수경상우도병마절도사이며, 문열공 김천일은 증영의정 행창의사이다. 무민공 황진은 증좌찬성 행충청병마절도사이며, 충의공 최경회는 증좌찬성 행경상우도충병마절도사이다. 충의공 장윤은 증좌찬성 행진주목사이며, 효열공 고종후는 증이조판서 행임피현감 복수의병장이다. 진주목사 서예원은 선무 원종 1등 공신(宣武原從功臣) 병조 참의(贈兵曹參議) 추증을 받았으며, 고종 때 창열사(彰烈祠)에 제향되었다. 유복립은 증이조참판 종부시주부이다.

4. 2. 동사(東祠)

동사(東祠)에는 15위가 모셔져 있다.

  • 양산숙, 증승지 창의사 종사관
  • 김상건, 증참의 (김천일의 아들)
  • 김준민, 증병조참판 행거제부사
  • 강희열, 증병조참의 분의의병장
  • 조경형, 증병조참의 행진해현감
  • 최기필, 증병조참의 행판관
  • 유함, 증주부 의병장
  • 이욱, 증호조좌랑 성균생원
  • 강희복, 증호조좌랑 의병장
  • 장윤현, 증호조좌랑 행수문장
  • 박승남, 증병조참의 행판관
  • 하계선, 증호조좌랑
  • 최언량, 증호조좌랑
  • 주몽룡, 증형조판서 금산군수 증시 무열
  • 주대청 ,증도총관 가배량권관

4. 3. 서사(西祠)

충무공 김시민, 문열공 김천일, 무민공 황진, 충의공 최경회, 충의공 장윤, 효열공 고종후, 진주목사 서예원, 유복립 등 8위는 정사(창열사)에 모셔져 있다.

이잠, 성영달, 이종인, 윤사복, 이인민, 손승선, 정유경, 김태백, 양제, 박안도, 이의정, 김개, 송건도, 정재보, 박세항, 송제, 김덕련, 칠만민관군 신위(神位)를 포함하여 17위는 서사(西祠)에 모셔져 있다.

4. 4. 칠만 민관군 신위

정사(창렬사)에는 충무공 김시민, 문열공 김천일, 무민공 황진, 충의공 최경회, 충의공 장윤, 효열공 고종후, 진주목사 서예원, 유복립을 포함한 7위의 신위가 모셔져 있다. 동사(東祠)에는 양산숙, 김상건, 김준민, 강희열, 조경형, 최기필, 유함, 이욱, 강희복, 장윤현, 박승남, 하계선, 최언량, 주몽룡, 주대청을 포함한 15위가 모셔져 있다. 서사(西祠)에는 이잠, 성영달, 이종인, 윤사복, 이인민, 손승선, 정유경, 김태백, 양제, 박안도, 이의정, 김개, 송건도, 정재보, 박세항, 송제, 김덕련을 포함한 17위가 모셔져 있다. 그리고 칠만 민관군 신위(神位)가 있다.

5. 갤러리



내부의 비각과 장군묘시석


내부의 위패


창렬사의 위패와 관리를 하는 대아고등학교의 오민기

참조

[1] 간행물 경상남도 지정문화재(문화재자료) 명칭변경 고시 http://210.104.249.3[...] 경상남도지사 2018-12-20
[2] 웹인용 영조실록 23년 http://sillok.histor[...] 조선왕조실록 2008-1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