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해 해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해 해전은 1885년 청불 전쟁 중 프랑스 극동 함대와 청나라 남양 함대 사이에 벌어진 해전이다. 프랑스는 청나라의 쌀 수송을 막기 위해 진해만을 봉쇄하려 했고, 1885년 3월 1일 정찰을 시작으로 포격전이 벌어졌다. 프랑스는 청나라 해안 포대와 군함을 공격했지만, 청나라의 방어에 막혀 공격을 중단하고 봉쇄 작전을 지속했다. 청나라 측은 자국 영해 방어에 성공했다고 선전하며 기념비를 세웠으나, 당시 남양 함대에서 활동한 미국 해군 장교의 증언에 따르면 청나라 측의 주장은 과장된 측면이 있다. 진해 해전은 청나라의 해상 수송로를 차단하여 프랑스가 전략적 이점을 얻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현재 중국에서는 이 전투를 기념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불 전쟁의 해전 - 석포만 해전
    석포만 해전은 1885년 청불전쟁 중 프랑스 해군이 어뢰정을 사용하여 중국 남양함대를 공격하여 승리한 해전이다.
  • 청불 전쟁의 해전 - 마강해전
    마강해전은 1884년 프랑스 극동 함대가 청나라 복건 함대를 공격하여 프랑스의 승리로 끝난 해전으로, 청나라 해군의 근대화 노력에 큰 타격을 입혔다.
  • 1885년 3월 - 풀럼타오 전투
    풀럼타오 전투는 1885년 프랑스가 통킹 지역 점령을 위해 청나라와 벌인 전투로, 프랑스군이 패배하여 사기가 저하되고 쥘 페리 내각 붕괴 및 청불 전쟁 조기 종결에 영향을 미쳤다.
  • 1885년 3월 - 호아목 전투
    호아목 전투는 1885년 청불 전쟁 중 프랑스군이 뚜옌꽝 포위 청나라군과 흑기군을 격파하기 위해 유옥 협곡의 청군 방어선을 공격, 점령하여 뚜옌꽝으로 향하는 길을 열고 포위전을 푸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전투이다.
  • 1885년 전투 - 동당 전투
    동당 전투는 1885년 청불 전쟁 중 프랑스군이 청나라군의 방어선을 뚫고 동당을 점령한 전투로, 프랑스군의 승리였으나 3주 후 진남관 전투 패배로 청불 전쟁 종결을 앞당기는 계기가 되었으며, 당시 동아시아 국제 정세의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 1885년 전투 - 풀럼타오 전투
    풀럼타오 전투는 1885년 프랑스가 통킹 지역 점령을 위해 청나라와 벌인 전투로, 프랑스군이 패배하여 사기가 저하되고 쥘 페리 내각 붕괴 및 청불 전쟁 조기 종결에 영향을 미쳤다.
진해 해전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전투명진해 해전
전체청불전쟁의 일부
전해의 안원 요새 01
전해의 안원 요새
날짜1885년 3월 1일
장소저장성 전하이
결과청나라의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프랑스
교전국 2청나라
군대 1프랑스 극동 전대
군대 2남양수사
지휘관 및 지도자
프랑스아메데 쿠르베
청나라절강제독(浙江提督, 종1품) 오우양 리젠(歐陽利見)
절강순무(浙江巡撫, 정2품) 류빙장(劉秉章)
총병(總兵, 정2품) 우안캉(吳安康)
영소태병비도(寧紹台兵備道, 정4품) 쉬에 푸청(薛福成)
수비(守備, 정5품) 우지에(吳傑)
병력 규모
프랑스철갑함 2척
순양함 1척
수송선 1척
청나라순양함 3척
슬루프 1척
수송선 1척
포함 2척
해안포
사상자 및 피해
프랑스최소
청나라최소
지리 정보
관련 전투

2. 배경

1885년 2월 초, 아메데 쿠르베 제독이 이끄는 프랑스 극동 함대의 일부가 지룽을 떠나자, 청나라 남양함대는 타이완에 대한 프랑스의 해상 봉쇄를 풀려고 시도했다. 2월 11일, 쿠르베의 특전대는 시푸만 근처에서 프리깃 ''어원''(馭遠)과 복합 슬루프 ''징경''(澄慶)과 더불어 청나라 함대 중 가장 현대적인 3척의 순양함 ''개제''(開濟), ''남침''(南琛) 및 ''남서''(南瑞)를 함께 만났다. 오안강(吳安康)이 지휘한 청나라 함대는 프랑스군이 접근함에 따라 흩어졌고, 3척의 순양함은 성공적으로 탈출했다. 반면, 프랑스군은 시푸 해전에서 ''어원''과 ''징경''을 격침시켰다.[14][1]

1885년 2월 25일, 쿠르베 제독은 상하이에서 청나라 북부로 상품이 운송되는 것을 막기 위해 ‘미곡 봉쇄’를 시행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2월 28일, 그는 철갑함 Bayard|바야르프랑스어와 Triomphante|트리옹팡트프랑스어, 순양함 Nielly|니엘리프랑스어와 운송선 Saône|손프랑스어을 이끌고 상해로 가던 도중에 진해만 근처에 도착했다. 쿠르베는 ''개제'', ''남침'', ''남서''가 진해만으로 피신했을 것으로 의심하여 3월 1일 새벽 만 입구를 정찰했다. 정찰 결과 3척의 청나라 순양함 외에도 복합 슬루프 ''초무''(超武), 목재 운송선 ''원개''(元凱)와 2척의 포함까지 총 4척의 다른 청나라 군함도 발견되었다. 만으로 들어가는 입구는 청나라 당국이 가라앉힌 정크선으로 인해 막혀있었으며, 최근에 지어진 두 요새가 접근을 통제하고 있었다.[15][2]

2. 1. 청불 전쟁의 발발과 동아시아 정세

1884년부터 1885년까지 벌어진 청불 전쟁은 인도차이나 반도를 식민지화하려는 프랑스베트남의 종주권을 주장하던 청나라 사이의 갈등으로 인해 발발했다. 당시 청나라는 아편 전쟁 이후 서구 열강의 침략으로 인해 쇠퇴하고 있었으며, 조선을 둘러싼 일본러시아 등 열강들의 각축전이 벌어지고 있었다.[14]

1885년 2월 초, 쿠르베 제독이 이끄는 프랑스 극동 전대의 일부가 기륭을 떠나자, 청나라 남양함대는 대만에 대한 프랑스의 봉쇄를 풀려고 시도했다. 2월 11일, 쿠르베의 특전대는 석포만(石浦灣) 근처에서 청나라 함대 소속의 순양함 '개제'(開濟), '남침'(南琛), '남서'(南瑞), 프리깃 '어원'(馭遠), 복합 슬루프 '징경'(澄慶)과 마주쳤다. 청나라 함대는 총병(總兵) 오안강(吳安康)의 지휘 아래 프랑스군이 접근하자 흩어졌고, 세 척의 순양함은 탈출에 성공했다. 그러나 프랑스군은 석포만으로 피신한 '어원'과 '징경'을 격침시켰다. 2월 14일 밤, 프랑스군의 어뢰 공격으로 '어원'이 피격되었고, 청나라 해안포대의 포탄이 '징경'을 타격했다.[14]

1885년 2월 25일, 쿠르베 제독은 상해(上海)에서 청나라 북부로 상품이 운송되는 것을 막기 위해 '미곡 봉쇄'를 시행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2월 28일, 그는 철갑함 바야르(''Bayard'')와 트리옹팡트(''Triomphante''), 순양함 니엘리(''Nielly'')와 운송선 사온느(''Saône'')를 이끌고 상해로 향하던 중 진해만 근처에 도착했다. 쿠르베는 '개제', '남침', '남서'가 진해만으로 피신했을 것으로 의심하여 3월 1일 새벽 만 입구를 정찰했다. 그 결과 세 척의 청나라 순양함뿐만 아니라 복합 슬루프 초무(超武), 목재 운송선 원개(元凱)와 2척의 포함 등 다른 4척의 청나라 군함도 발견했다. 만으로 들어가는 입구는 청나라 당국이 가라앉힌 쓰레기로 막혀 있었고, 최근에 건설된 두 요새가 접근을 통제하고 있었다.[15]

2. 2. 프랑스 극동 함대의 구성과 전략

1885년 2월 초, 아메데 쿠르베 제독이 이끄는 프랑스 극동 함대의 일부가 지룽을 떠났다. 이들은 청나라 남양함대가 타이완에 대한 프랑스의 해상 봉쇄를 풀려는 시도를 저지하기 위해 이동했다. 2월 11일, 쿠르베의 함대는 시푸만 근처에서 청나라 함대의 순양함 ''카이지''(開濟), ''난첸''(南琛), ''난루이''(南瑞)와 프리깃 ''어원''(馭遠), 복합 슬루프 ''징경''(澄慶)을 만났다. 오안강(吳安康) 제독의 지휘 하에 있던 청나라 함대는 프랑스군이 접근하자 흩어졌고, 세 척의 순양함은 탈출에 성공했지만, 프랑스군은 ''어원''과 ''징경''을 시푸만에 가두는 데 성공했다. 2월 14일 밤, 시푸 해전에서 프랑스군의 어뢰 공격으로 ''어원''은 프랑스 스파 어뢰에, ''징경''은 함포 포탄에 맞아 손상되었다.[1]

1885년 2월 25일, 쿠르베 제독은 상하이에서 중국 북부로 쌀이 수송되는 것을 막기 위해 ‘쌀 봉쇄’를 시행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2월 28일, 쿠르베는 철갑함 Bayard|바야르프랑스어와 Triomphante|트리옹팡트프랑스어, 순양함 Nielly|니엘리프랑스어 및 수송선 Saône|손프랑스어을 이끌고 상하이로 가던 중 진해만에 도착했다. 쿠르베는 ''카이지'', ''난첸'', ''난루이''가 진해만에 피신했을 것으로 의심하여 3월 1일 새벽 만 입구를 정찰했다. 그는 세 척의 청나라 순양함 외에도 복합 슬루프 ''초무''(超武), 목재 운송선 ''원개''(元凱), 그리고 두 척의 포함을 발견했다. 만 입구는 청나라 당국이 침몰시킨 정크선으로 막혀 있었고, 새로 건설된 두 요새가 접근을 방어하고 있었다.[2]

2. 3. 청나라 남양 함대의 상황과 대응

1885년 2월 초, 아메데 쿠르베 제독이 이끄는 프랑스 극동 전대 일부가 기륭을 떠나자, 오안강(吳安康) 제독이 지휘하는 청나라 남양함대는 대만에 대한 프랑스의 봉쇄를 풀고자 하였다. 2월 11일, 쿠르베의 함대는 석포만(石浦灣) 근처에서 프리깃 ''어원''(馭遠)과 복합 슬루프 ''징경''(澄慶), 그리고 청나라 함대에서 가장 현대적인 순양함 3척인 ''개제''(開濟), ''남침''(南琛), ''남서''(南瑞)를 만났다.[14][1]

청나라 함대는 프랑스군이 접근하자 흩어졌고, 3척의 순양함은 탈출에 성공했다. 그러나 프랑스군은 ''어원''과 ''징경''을 석포만에 고립시키는 데 성공했고, 2월 14일 밤 석포만 해전에서 어뢰 공격으로 두 함선을 무력화시켰다. 프랑스군의 어뢰는 ''어원''을, 청나라 해안포대의 포탄은 ''징경''을 타격했다.[14][1]

이후 1885년 2월 25일, 쿠르베 제독은 상하이에서 중국 북부로 쌀이 운송되는 것을 막기 위한 ‘미곡 봉쇄’를 시행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2월 28일, 쿠르베는 철갑함 ''바야르''(Bayard)와 ''트리옹팡트''(Triomphante), 순양함 ''니엘리''(Nielly), 수송선 ''사온느''(Saône)를 이끌고 상하이로 향하던 중 진해만에 도착했다. 쿠르베는 ''개제'', ''남침'', ''남서''가 진해만에 피신했을 것으로 판단하여 3월 1일 새벽 만 입구를 정찰했다.[15][2]

정찰 결과, 세 척의 순양함 외에도 복합 슬루프 ''초무''(超武), 목재 운송선 ''원개''(元凱), 그리고 2척의 포함까지 총 4척의 다른 청나라 군함이 진해만에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만으로 들어가는 입구는 청나라 측에서 가라앉힌 폐선들로 막혀 있었고, 최근 건설된 두 요새가 접근을 통제하고 있었다.[15][2]

3. 진해만 전투의 전개

1885년 3월 1일, 프랑스 순양함 ''니엘리''(Nielly)가 진해만을 정찰하면서 청나라 해안 포대 및 군함과 교전을 벌였다. 양측은 포격을 주고받았으나, 프랑스 측은 청나라군에 비해 더 큰 피해를 입혔다고 주장했다.[16][3]

쿠르베 제독은 다음 날 공격을 계획했으나, 청나라군의 방어 태세와 예상되는 피해를 고려하여 공격을 취소하고 진해만을 봉쇄하는 작전으로 전환했다.[17][4]

프랑스군은 진해만 입구를 봉쇄하고 24시간 감시하며, 접근하는 정크선이나 삼판에 대해 포격을 가했다. 그러나 이는 청나라군의 오인 사격과 불꽃놀이로 이어지는 해프닝을 낳았다. 청나라군은 프랑스군의 어뢰 공격을 우려하여 밤마다 허공에 포격을 가했고, 프랑스군은 이를 지켜보며 봉쇄의 지루함을 달랬다.[18][5]

3. 1. 프랑스 함대의 진해만 진입과 정찰

진해에서 작전 중인 ''니엘리''의 대포, 1885년 3월 1일


1885년 3월 1일 이른 오후, 쿠르베 제독은 순양함 ''니엘리''(Nielly)를 보내 진해만을 정찰하도록 명령했다. ''니엘리''가 접근하자 청나라 해안 포대와 인근에 있던 군함들에서 격렬한 포격이 쏟아졌다. 매우 먼 거리였음에도 불구하고, 청나라 군함이 쏜 포탄 중 일부는 프랑스 순양함에서 100m 이내에 떨어지기도 했다.[16][3]

''니엘리''는 포격 속에서도 피해를 입지 않고 반격하며 천천히 프랑스 함대로 복귀했다. 30분 남짓 이어진 교전에서 ''니엘리''의 포격이 청나라 군의 포격보다 더 효과적이었는지는 불분명하다. 그럼에도 프랑스군은 해안에서 청나라군 다수를 사살하고, 해안 포대 중 하나에 경미한 피해를 입혔다고 주장했다.[16][3]

3월 1일 저녁, 쿠르베는 다음 날 공격 명령을 내렸으나, 공격 당일 아침 작전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공격을 취소했다. 청나라 포대를 제압하는 것은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이었고, 프랑스 장갑함이 해안 방어선과 교전하는 동안 청나라 순양함 3척의 공격에 노출될 위험이 있었다. 또한 프랑스 군함이 청나라 방어선을 제압하더라도, 청나라 순양함은 닝보 방향으로 강을 거슬러 올라가 피할 수 있었다. 쿠르베는 불필요한 피해를 피하고자 공격을 취소했다.[17][4]

3. 2. 3월 1일의 포격전



1885년 3월 1일 이른 오후, 쿠르베는 순양함 니엘리(''Nielly'')에게 좀 더 가까이 접근하여 정찰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로 인해 청나라 해안 포대와 인근 군함들은 ''니엘리''를 향해 격렬하게 포격을 퍼부었다. 매우 먼 거리였음에도 불구하고, 청나라 군함이 쏜 포탄 중 일부는 프랑스 순양함으로부터 100m 이내에 떨어졌다.[16][3]

피해를 입지 않은 ''니엘리''는 반격을 가했고, 천천히 프랑스 함대에 합류했다. 30분 남짓 이어진 이 교전에서 ''니엘리''의 포격이 청나라 군의 포격보다 더 효과적이었는지는 불분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랑스군은 해안에서 다수의 청나라 병사를 사살하고 해안 포대 중 하나에 경미한 피해를 입혔다고 주장했다.[16][3]

3월 1일 저녁, 쿠르베는 다음 날 공격을 명령했지만, 공격 당일 아침 작전의 위험성이 분명해졌다. 청나라 포대를 침묵시키는 것은 길고 느린 과정이 될 것이며, 프랑스 장갑함이 요새와 교전하는 동안 세 척의 청나라 순양함으로부터 포격을 받을 위험이 있었다. 프랑스 군함이 청나라 방어를 제압하는 데 성공하더라도, 청나라 순양함은 닝보 방향으로 강을 거슬러 올라가며 여전히 프랑스 군함을 따돌릴 수 있었다. 결국 쿠르베는 불필요한 사상자를 내지 않기로 결정하고, 계획된 공격을 취소했다.[17][4]

3. 3. 프랑스군의 진해만 봉쇄

3월 2일, 프랑스 함정은 휴식을 취했다. 그리고 다음 날 쿠르베 제독은 만 입구 주변의 여러 지점을 선택해 측량조사를 했다. 프랑스 철갑함들이 청나라 포대의 공격을 벗어날 수 있고, 청나라 순양함들의 사정거리에도 들지 않는 지점을 찾으려 했으나 그런 곳은 없었다. 결국 쿠르베는 진해만을 봉쇄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만 입구에 24시간 내내 감시망을 쳐두고, 혹시 있을지 모를 청나라 어뢰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 프랑스 배 주변에 그물망을 쳐두었다. 프랑스 선박에 너무 가까이 접근하는 정크선이나 삼판에게는 사격을 퍼부었다.[18][5]

이러한 예방 조치는 불필요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청나라 지휘관들은 최근 프랑스 어뢰정 한 척이 석포만 전투에서 승리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들은 프랑스 전대에 대한 공격 계획을 세우는 대신, 프랑스군이 그런 승리를 되풀이하기 위해 영파강을 거슬러 올라올까 봐 전전긍긍했다. 3월 2일 밤, 프랑스 전대가 정박해 있을 때, 갑자기 탐조등이 청나라 진영을 휩쓸었고, 몇 개의 섬광탄이 공중으로 치솟았으며, 대포와 소총 소리가 만에서 들렸다. 긴장한 청나라 초병들이 실수로 무고한 어선을 프랑스 어뢰정으로 오인하여 즉각 경보를 발령했다. 프랑스군은 청나라군이 새벽까지 가상의 적을 향해 맹렬한 공격을 퍼부어대는 것을 황당하게 지켜봤다.[19][6]

이런 소동은 거의 한 달 내내 밤마다 계속되었다. 극동 전대에서 최소 2척의 프랑스 전함이 3월 내내 진해만 입구에 정박해 있었다. 명백히 프랑스 군함을 공격할 능력이 없거나, 공격하고 싶어하지 않는 청나라군은 대신 값비싼 불꽃놀이 쇼를 펼쳤다. 이는 청나라 지휘관들이 야간 어뢰 공격을 두려워했기 때문이거나, 군대의 사기를 높이기 위한 시도였던 것이다. 적장들이 허가한 엄청난 탄약 낭비에 대해 좀 더 전문적인 생각을 가진 프랑스 장교들 중 한두 명이 불만을 토로했다. 그러나 대부분은 봉쇄 상태의 지루함에서 벗어나 환영의 휴식이라고 생각하고, 진해만 상공에서 펼쳐지는 야간 불꽃놀이를 즐겼다.[20][7]

4. 전투의 결과와 영향

프랑스는 진해 해전에서 청나라 남양함대 소속 7척의 군함을 진해만에 묶어두는 데 성공했다. 비록 쿠르베 제독이 직접적인 공격을 감행하지는 않았지만, 이는 석포만 해전에서 청나라 군함 2척을 격침시킨 것에 버금가는 전략적 성과로 평가받았다.[21] 그러나 청나라 측은 이를 방어적 승리로 간주했다. 3월 1일의 짧은 교전은 프랑스 함선이 큰 피해를 입고 쿠르베 제독이 중상을 입은 6시간의 전투로, 이후 3일간 프랑스군이 반복적으로 공격했다가 격퇴된 것으로 묘사되었다.[21]

진해만 포대에서 포격을 받는 ''바야르'', ''트리옹팡트'', ''니엘리''


전쟁 직후인 1889년, 절강제독(浙江提督) 구양리견(歐陽利見)은 전투가 벌어졌던 곳 근처에 기념비를 세웠다. 기념비에는 절강순무(浙江巡撫) 유병장(劉秉章), 영소태병비도(寧紹台兵備道) 설복성(薛福成) 등의 지휘 아래 포병 장교 오걸(吳杰)이 프랑스군에 발포하지 말라는 명령을 어기고 포격을 개시하여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오걸의 포격은 프랑스 함선에 큰 피해를 입혔고, 쿠르베 제독에게 중상을 입혔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오걸은 명령 불복종으로 처벌받았다.[22]

청불 전쟁 때 남양함대에서 근무한 미국 해군 장교 L. C. 앨링튼


당시 남양함대에서 '외국인 고문'으로 활동했던 미국 해군 장교 L. C. 앨링튼은 다른 증언을 했다. 앨링튼에 따르면, 진해 당국은 청나라 함선의 피난을 꺼렸으며, 프랑스군이 나타나자 오히려 청나라 함대에게 공격을 재촉했다. 또한 3월 1일의 포격전은 독일 포수 제킨스의 명령 불복종으로 시작되었으며, 프랑스 함선 ''니엘리''의 포격으로 청나라군에 상당한 사상자가 발생했다고 증언했다. 앨링튼은 3월 3일에도 교전이 있었다고 언급했지만, 이는 프랑스 측 자료에는 나타나지 않는다.[22],[23],[24]

아드리앙 바르텔레미 루이 리외니에 제독 (1833–1918)


청불전쟁은 1885년 4월 4일 예비 평화 협정 체결과 6월 9일 톈진 협약 체결로 종결되었지만, 프랑스는 그 때까지 진해와 장강에 대한 봉쇄를 유지했다. 1885년 6월 11일, 쿠르베 제독은 마궁항에서 이질로 사망했다. 이후 리외니에 제독은 쿠르베의 사망 소식을 청나라 당국에 알렸고, 청나라는 국제 관례에 따라 진해 해안 포대에 조기를 게양했다.[25] 리외니에 제독은 나중에 프랑스군이 진해 방어진을 더 강하게 공격했다면 청나라 함대를 항복시킬 수 있었을 것이라는 정보를 들었지만, 영국의 중립 유지 정책 때문에 이 정보가 프랑스 측에 전달되지 못했다.[12]

4. 1. 프랑스 측의 전략적 이점

프랑스 해군은 1885년 3월 2일부터 진해만 봉쇄 명령을 받았다. 쿠르베 제독은 중국 순양함의 사정거리에는 들어오면서도 중국 요새의 공격을 받지 않는 위치를 찾기 위해 노력했지만, 그런 위치는 없었다. 프랑스 함선 주변에는 중국 어뢰 공격에 대비하여 그물을 쳤고, 만 입구를 24시간 감시했다. 프랑스 함선에 너무 가까이 접근하는 정크선이나 삼판선에는 포격을 가했다.[5]

하지만 이러한 예방 조치는 불필요했다. 중국 지휘관들은 프랑스 어뢰정이 닝보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것을 두려워했다. 3월 2일 밤, 프랑스 함대가 정박해 있는 동안 탐조등이 중국 진지를 비추자 중국 초병들은 프랑스 어뢰정으로 오인하여 경고를 울렸다. 프랑스군은 중국군이 새벽까지 가상의 적을 향해 맹렬하게 사격하는 것을 지켜보았다.[6]

이러한 상황은 한 달 동안 거의 매일 밤 계속되었다. 프랑스 함대는 진해만 입구에 정박해 있었고, 중국군은 프랑스 함대를 공격하는 대신 야간 섬광과 폭발 쇼를 펼쳤다. 이는 중국 지휘관들이 야간 어뢰 공격을 두려워했거나 병사들의 사기를 높이기 위한 시도로 보인다. 대부분의 프랑스군은 이러한 쇼를 봉쇄 근무의 지루함에서 벗어나는 휴식으로 즐겼다. 봉쇄 기간 동안 유일하게 중요한 사건은 3월 말 프랑스 함선이 손상된 요새를 수리하려는 중국군을 막기 위해 벌인 포격전이었다.[7]

4. 2. 청나라 측의 방어 성공 주장

청나라 측은 진해 해전을 자국 영해를 성공적으로 방어한 사례로 주장했다. 프랑스 함대가 진해만 내 청나라 함선을 묶어두는 데는 성공했지만, 청나라 측은 이를 오히려 방어의 성공으로 해석했다. 3월 1일 벌어진 짧은 교전을 청나라 측은 프랑스군에게 큰 피해를 입힌 대승으로 묘사했다.[21]

전쟁 직후인 1889년, 절강제독 구양리견은 전투가 벌어진 곳 근처에 기념비를 세웠다. 기념비에는 절강순무 유병장, 영소태병비도 설복성 등의 지휘 아래 포병 장교 오걸이 프랑스군에 발포하지 말라는 명령을 어기고 포격을 개시하여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오걸의 포격은 프랑스 함선에 큰 피해를 입혔고, 쿠르베 제독에게 중상을 입혔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오걸은 명령 불복종으로 처벌받았다.[22]

당시 남양함대에서 '외국인 고문'으로 활동했던 미국 해군 장교 L. C. 앨링튼은 청나라 측 주장에 의문을 제기하는 증언을 했다. 앨링튼에 따르면, 진해 당국은 청나라 함선의 피난을 꺼렸으며, 프랑스군이 나타나자 오히려 청나라 함대에게 공격을 재촉했다. 또한 3월 1일의 포격전은 독일 포수 제킨스의 명령 불복종으로 시작되었으며, 프랑스 함선 ''니엘리''의 포격으로 청나라군에 상당한 사상자가 발생했다고 증언했다. 앨링튼은 3월 3일에도 교전이 있었다고 언급했지만, 이는 프랑스 측 자료에는 나타나지 않는다.[22],[23],[24]

4. 3. 전투 이후의 상황과 평화 협정

3월 2일, 프랑스 함정은 휴식을 취했다. 그리고 다음 날 쿠르베는 만 입구 주변의 여러 지점을 선택해 측량조사를 했다. 프랑스 철갑함들이 청나라 포대의 공격을 벗어날 수 있고, 청나라 순양함들의 사정거리에도 들지 않는 지점을 찾으려 했으나 그런 곳은 없었다. 결국 쿠르베는 진해만을 봉쇄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만 입구에 24시간 내내 감시망을 쳐두고, 혹시 있을지 모를 청나라 어뢰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 프랑스 배 주변에 그물망을 쳐두었다. 프랑스 선박에 너무 가까이 접근하는 정크선이나 삼판에게는 사격을 퍼부었다.[18]

이러한 예방 조치는 불필요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청나라 지휘관들도 최근 프랑스 어뢰정 한 척이 석포만 전투에서 승리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들은 프랑스 전대에 대한 공격 계획을 세우는 대신, 프랑스군이 그런 승리를 되풀이하기 위해 영파강을 거슬러 올라 올까봐 전전긍긍했다. 3월 2일 밤, 프랑스 전대가 정박해 있을 때, 갑자기 탐조등이 청나라의 진중을 휩쓸었고, 몇 개의 섬광탄이 공중으로 치솟았으며, 대포와 소총 소리가 만에서 들렸다. 긴장한 청나라 초병들이 실수로 무고한 어선을 프랑스 어뢰로 오인하여 즉각 경보를 발령했다. 프랑스군은 청나라군이 새벽까지 가상의 적을 향해 맹렬한 공격을 퍼부어대는 것을 황당하게 지켜봤다.[19]

이런 소동이 거의 한 달 내내 밤마다 계속되었다. 극동 전대에서 최소 2척의 프랑스 전함이 3월 내내 진해만 입구에 정박해 있었다. 명백히 프랑스 군함을 공격할 능력이 없거나, 공격하고 싶어하지 않는 청나라군은 대신 값비싼 불꽃놀이 쇼를 펼쳤다. 이는 청나라 지휘관들이 야간 어뢰 공격을 두려워했기 때문이거나, 군대의 사기를 높이기 위한 시도였던 것이다. 적장들이 허가한 엄청난 탄약 낭비에 대해 좀 더 전문적인 생각을 가진 프랑스 장교들 중 한두 명이 불만을 토로했다. 그러나, 대부분은 봉쇄 상태의 지루함에서 벗어나 환영의 휴식이라고 생각하고, 진해만 상공에서 펼쳐지는 야간 불꽃쇼를 즐겼다. 봉쇄를 하는 기간 동안 유일하게 중요한 사건은 프랑스 전함들이 파손된 포대를 수리하려고 하는 것을 막기 위해, 3월 말경에 발사한 짧은 함포 사격이었다.[20]

프랑스와 청나라는 1885년 4월 4일에 예비 평화 협정에 서명했지만, 프랑스는 6월 9일 청불 전쟁을 종식시킨 실질적인 평화 조약(톈진 협약)이 체결될 때까지 진해와 장강에 대한 봉쇄를 유지했다. 1885년 3월 말, 페스카도르 원정이 끝난 후, 1885년 6월 11일, 쿠르베 제독은 극동 전대 대부분이 주둔한 마궁항에 있는 그의 기함 ''바야르''에서 이질로 사망했다. 그후 철갑함 ''투렌느''(''Turenne'')와 함께 상하이에서 머물렀고, 상하이의 청나라 당국에 쿠르베의 사망 사실을 공식적으로 알렸다. 그는 또한 진해의 군위원인 구양리견에게도 편지를 보냈다. 프랑스와 청나라가 평화롭게 지내면서 청나라는 국제 규약에 따라 진해 해안 포대에서 조기를 게양했다. 불과 3개월 전만 해도 이 포대는 프랑스 제독을 죽이려고 혈안이 되어 있었다.[25]

리외니에 제독은 이후 1885년 3월 2일에 진해 방어진을 공격했을 때, 프랑스군이 7척의 청나라 함선을 모두 잃지 않고도 점령시킬 수 있었을 것이라는 말을 들었다. 프랑스군이 진해 방어진을 좀 더 거세게 공격했다면 청나라 함대는 항복할 준비가 되어 있었던 것이다. 영국은 중립을 지키길 바라면서도, 영사는 이 귀중한 정보가 프랑스로 전달되는 것을 철두철미하게 막았다.[12]

5. 한국의 관점과 영향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 정보가 제공되어야 '진해 해전' 문서의 '한국의 관점과 영향' 섹션을 작성하고, 그 결과물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6. 기념 및 평가

프랑스는 진해 해전에서 청나라 전함 7척을 진해만에 묶어두는 전략적 성공을 거두었다고 평가했다. 프랑스 해군 제독 쿠르베는 이틀 전 청나라 전함 '어원'과 '징경'을 파괴한 것에 필적하는 성과라고 자평했다. 그러나 청나라는 쿠르베가 진해만을 방어하지 않기로 한 결정을 자신들의 승리로 해석했다. 청나라는 3월 1일 프랑스 순양함 ''니엘리''와 청나라 해안 포대 사이에 벌어진 30분간의 교전을 6시간 동안의 전투로, 3일간 프랑스군이 공격과 후퇴를 반복한 전투로 과장했다.[21]

1889년 절강제독 구양리견이 세운 기념비에는 청나라 측 기록이 잘 나타나 있다. 구양리견은 영파와 진해의 방어가 절강순무 유병장, 영소태병비도 설복성의 지휘 아래 이루어졌다고 주장했다. 특히 포병 장교 오걸은 프랑스군에 발포하지 말라는 명령을 어기고 포격을 개시하여 ''바야르''와 ''니엘리''에 큰 피해를 입혔으며, '끔찍한 구바'(쿠르베)에게 중상을 입혔다고 묘사했다. 그러나 오걸은 명령 불복종으로 처벌받았다.

6. 1. 중국의 진해 전투 기념 사업

진해 전투는 여전히 중국에서 청나라의 자부심으로 기억된다. 전투 중에 사용된 청나라 요새와 대포는 중·불 전쟁 진해 전투 승리 기념비(中法戰爭鎮海之役勝利紀念碑)라는 글귀가 있는 기념비와 함께 진해에 보존되어 있다.[1]

청나라 승전기념비

6. 2. 다양한 관점에서의 전투 평가

프랑스는 진해 해전에서 청나라 전함 7척을 진해만에 묶어두는 전략적 성공을 거두었다고 평가했다. 프랑스 해군 제독 쿠르베는 이틀 전 청나라 전함 '어원'과 '징경'을 파괴한 것에 필적하는 성과라고 자평했다. 그러나 청나라는 쿠르베가 진해만을 방어하지 않기로 한 결정을 자신들의 승리로 해석했다. 청나라는 3월 1일 프랑스 순양함 ''니엘리''와 청나라 해안 포대 사이에 벌어진 30분간의 교전을 6시간 동안의 전투로, 3일간 프랑스군이 공격과 후퇴를 반복한 전투로 과장했다.[21]

청나라 측 기록은 1889년 절강제독 구양리견이 세운 기념비에 잘 나타나 있다. 구양리견은 영파와 진해의 방어가 절강순무 유병장, 영소태병비도 설복성의 지휘 아래 이루어졌다고 주장했다. 특히 포병 장교 오걸은 프랑스군에 발포하지 말라는 명령을 어기고 포격을 개시하여 ''바야르''와 ''니엘리''에 큰 피해를 입혔으며, '끔찍한 구바'(쿠르베)에게 중상을 입혔다고 묘사했다. 그러나 오걸은 명령 불복종으로 처벌받았다.

반면, 진해에서 남양 함대 '외국 고문'으로 복무한 미국 해군 장교 L. C. 알링턴은 다른 증언을 제시했다. 알링턴에 따르면, 진해 당국은 프랑스의 공격을 우려하여 우안캉 제독의 순양함 3척이 진해만에 피난하는 것을 꺼렸고, 프랑스군이 나타나자 우 제독에게 7척의 함선으로 프랑스를 공격하라고 촉구했다. 그러나 우 제독은 이를 거부했다. 알링턴은 3월 1일 중국 포병들이 프랑스군에게 발포하는 것을 꺼렸으며, 독일인 포수 제르킨스가 명령 없이 프랑스 함선에 발포하여 포격전이 시작되었다고 증언했다. ''니엘리''에서 발사된 포탄이 중국군 포대에 명중하여 26명이 사망하고 30명 이상이 부상당하는 등 피해가 컸다.[9][10] 알링턴은 또한 3월 3일에 프랑스 군함이 손상된 두 번째 교전이 있었다고 언급했지만, 이는 프랑스 측 자료에는 나타나지 않는다.[11]

참조

[1] 인용 Loir, 245–64
[2] 인용 Loir, 271–7
[3] 인용 Loir, 277–9
[4] 인용 Huard, 591–4; Loir, 279–81
[5] 인용 Loir, 281–2 and 283–4
[6] 인용 Loir, 282–3
[7] 인용 Duboc, 294; Loir, 284
[8] 인용 Lung Chang, 328
[9] 인용 Arlington, 50–52
[10] 인용 Arlington, 70–73
[11] 인용 Arlington, 74–5
[12] 인용 Garnot, 214–23
[13] 인용 Loir, 281; Thomazi, 227
[14] 인용 Loir, 245–64
[15] 인용 Loir, 271–7
[16] 인용 Loir, 277–9
[17] 인용 Huard, 591–4; Loir, 279–81
[18] 인용 Loir, 281–2 and 283–4
[19] 인용 Loir, 282–3
[20] 인용 Duboc, 294; Loir, 284
[21] 인용 Lung Chang, 328
[22] 인용 Arlington, 50–52
[23] 인용 Arlington, 70–73
[24] 인용 Arlington, 74–5
[25] 인용 Garnot, 214–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