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찍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찍개는 망치돌로 돌의 한 면을 깎아 날카로운 가장자리를 만들어 물체를 자르고 쪼개는 데 사용되는 석기이다. 초기에는 석영, 규암, 현무암, 흑요석으로 제작되었으며, 올도완 시대 후기에는 부싯돌과 처트가 추가로 사용되었다. 찍개는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며, 아프리카, 북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등에서 발견된다. 찍개는 사냥한 동물의 고기 가공, 목재 가공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아슐리안 문화의 주먹도끼 등장과 함께 기술적으로 발전했다. 초기에는 사냥 도구로 여겨졌으나, 이후 청소동물 활동의 증거가 제시되면서 사용 목적에 대한 이론이 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석기 - 르발루아 기법
    르발루아 기법은 구석기 시대에 등장하여 석재의 부피를 활용하여 석기를 제작하는 기술로, 아프리카, 아시아 등 다양한 지역에서 발견되며, 네안데르탈인과 관련이 깊다.
  • 석기 - 화살
    화살은 활과 함께 사용되는 발사체로, 살대, 살촉, 깃, 오늬 등으로 구성되며 전쟁, 사냥, 스포츠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문화적 상징성을 지니기도 한다.
  • 구석기 시대 - 르발루아 기법
    르발루아 기법은 구석기 시대에 등장하여 석재의 부피를 활용하여 석기를 제작하는 기술로, 아프리카, 아시아 등 다양한 지역에서 발견되며, 네안데르탈인과 관련이 깊다.
  • 구석기 시대 - 제벨 사하바
    제벨 사하바는 수단 지역에서 발견된 후기 구석기 시대 묘지 유적으로, 1만 년 전 나일 계곡 사회 집단 간 폭력적인 분쟁의 흔적을 보여주는 유골들이 발굴되어 초기 인류의 폭력성과 사회 구조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 유물 - 투탕카멘의 가면
    투탕카멘의 가면은 하워드 카터 발굴팀이 발견한, 금과 보석으로 장식된 투탕카멘 파라오의 미라 마스크로, 복원 과정에서의 논란이 있었으며 현재 카이로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고 이전이 계획 중이다.
  • 유물 - 부장품
    부장품은 고인과 함께 매장되는 물건으로, 장례 의식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사회적 지위, 신앙, 사후 세계관을 반영하는 지표로서 고고학 연구에 활용되고 현대 장례 문화에도 남아있다.
찍개
개요
다양한 암석 재료로 만든 찍개
다양한 암석 재료로 만든 찍개
종류돌칼
용도자르기
쪼개기
다듬기
연대 및 분포
시대구석기 시대
문화올도완 석기
발견 장소전 세계

2. 제작

찍개는 단순한 기술로 만들어졌지만 다양한 상황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 사용되었으며, 오늘날 발견되는 돌 덩어리 중 마모된 가장자리가 있는 것은 찍개로 분류될 수 있다.[2]

2. 1. 제작 방식

찍개를 만들려면 망치돌을 사용하여 돌의 한 면을 깎아 날카로운 가장자리를 가진 면을 만들어 물체를 자르고 쪼갤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것은 석기 제작의 독특한 유형으로, 돌의 절단면을 만들기 위해 돌의 한 면만 손질한다. 절단 작업을 하지 않는 면은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는데, 이는 드문 관행이다.[2]

찍개는 처음에는 석영, 규암, 현무암, 또는 흑요석으로 구성되었다. 올도와이 시대 후기에는 부싯돌차트라는 두 가지 재료가 더 사용되었다. 이러한 재료는 가장자리를 유지하면서 원하는 형태로 만드는 것이 비교적 쉬웠다. 이 도구는 손바닥에 들어맞도록 설계되었으며,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마운트에는 부착되지 않았다. 가장 초기의 도구 중 하나(또는 가장 초기의 도구)로 알려진 이 도구의 디자인은 매우 단순한 기술이지만, 많은 시나리오에서 매우 성공적인 성능을 보였다.[2]

2. 2. 재료

찍개는 망치돌을 사용하여 돌의 한 면을 깎아 날카로운 가장자리를 만들어 제작한다. 이렇게 하면 물체를 자르고 쪼갤 수 있다. 이는 석기 제작의 독특한 유형으로, 돌의 절단면을 만들기 위해 돌의 한 면만 손질하며, 절단 작업을 하지 않는 면은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는 드문 방식이다.[2]

찍개는 특정 재료로 만들어졌는데, 처음에는 석영, 규암, 현무암, 또는 흑요석으로 구성되었다. 올도와이 시대 후기에는 부싯돌차트라는 두 가지 재료가 더 사용되었다. 이러한 재료들은 가장자리를 유지하면서 원하는 형태로 만들기 비교적 쉬웠다. 찍개는 손바닥에 들어맞도록 설계되었으며, 다른 곳에 부착되지 않았다.[2]

3. 분포

찍개는 특정 지역에만 국한되지 않고 아프리카, 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등 여러 대륙에서 발견되었다.

각 지역에서 발견된 찍개들은 모양, 길이, 사용된 재료 등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이는 당시 고대 문화의 다양성과 각 공동체의 특정 요구 사항에 석기가 어떻게 부합했는지를 보여준다.

3. 1. 아프리카

보츠와나의 찍개, 덴마크 국립 박물관에 전시됨


아프리카는 가장 초기의 찍개, 특히 올도완으로 알려진 찍개의 공급지로 알려져 있다. 이 석기 도구들을 다수 포함하는 유적지는 이집트, 에티오피아, 케냐, 탄자니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여러 국가에서 발견되었다.[3][4]

3. 2. 아메리카

북아메리카에서는 오클라호마 등 남부 및 남서부 주에서 찍개와 유사한 석기 도구가 발견되었다.[3]

3. 3. 유럽

유럽 또한 찍개의 고향이며, 유럽에서 석기 도구 묶음이 발견되었다. 스웨덴, 포르투갈, 조지아, 불가리아, 러시아, 스페인,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헝가리, 체코, 영국을 포함한 많은 국가에서 올도완 도구가 발견되었다.

3. 4. 아시아

아시아에서는 166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찍개를 포함한 석기 도구가 발견되었다. 여기에는 중국, 파키스탄, 이스라엘, 이란이 포함된다.[3][4]

태국 북부 사오 딘 발굴 현장에서는 대규모 석기 유물이 발견되었다. 회수된 139개의 유물 중 다수가 찍개였다. 이러한 발견은 동남아시아의 석기 기술을 고전적인 유럽 아슐리안 유물과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5]

4. 용도

찍개의 사용 예시


찍개는 지구에 거주했던 고대인들이 목공, 짐승 뼈의 창 날카롭게 하기, 육류 가공 등 다양한 활동을 위해 사용한 석기이다.[6] 찍개는 베고, 자르고, 다지는 데 사용되었으며, 초기 인류가 특히 고기와 나무와 같은 부드러운 재료를 절단하는 데 유용했다.[6]

4. 1. 사냥과 육류 가공



고대 인류는 목공, 짐승 뼈의 창 날카롭게 하기, 육류 가공 등 다양한 활동에 찍개를 사용했다.[6] 찍개는 베고, 자르고, 다지는 데 사용되었으며, 고기와 나무 같은 부드러운 재료를 절단하는 데 유용했다.[6] 특히 사냥한 동물의 고기와 가죽을 잘라 음식, 가죽, 털을 얻는 데 사용되었고, 뼈에 있는 능선과 절단 자국은 이를 증명한다.[6] 또한, 뿌리를 파고 나무를 깎고 다듬는 등 식물에도 사용되었다.[6]

4. 2. 목재 가공



찍개는 나무를 베고, 자르고, 다듬는 데 사용되었으며, 초기 인류가 고기와 나무와 같은 부드러운 재료를 절단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뿌리를 파고 나무를 깎고 다듬는 등 식물 가공에도 사용되었다.[6]

4. 3. 기타 용도



찍개는 목공, 짐승 뼈의 창 날카롭게 하기, 육류 가공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6] 찍개는 베고, 자르고, 다지는 데 사용되었으며, 초기 인류가 특히 고기와 나무와 같은 부드러운 재료를 절단할 수 있게 했다.[6] 주요 용도 중 하나는 사냥한 동물의 고기와 가죽을 잘라 음식, 가죽, 털을 얻는 것이었으며, 도구의 날카로움은 전체 과정을 향상시켰다.[6] 뼈에 있는 능선과 절단 자국은 이 작업에 찍개가 사용되었음을 증명한다.[6] 또한, 이 도구는 뿌리를 파고 나무를 깎고 다듬는 것과 같은 식물에도 사용되었다.[6]

5. 기술 발전

약 160만 년 전부터 아슐리안 문화로 알려진 새로운 기술의 발전이 시작되면서, 찍개는 점차 구식이 되어갔다. 긁고 자르는 데 사용되던 손으로 쥐는 도구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었고, 손에 맞는 모양의 도구가 새로운 트렌드가 되었다. 이 범주에 속하는 도구는 주먹도끼 사용의 가장 초창기 지표로 알려져 있으며, 찍개와 달리 양쪽 면에서 조각이 떨어져 나갔다는 특징을 가진다.

5. 1. 아슐리안 주먹도끼

아슐리안 문화는 약 160만 년 전부터 시작된 새로운 기술의 발전으로, 주먹도끼 사용의 가장 초창기 지표로 알려져 있다. 초기 올도완 도구인 찍개와 가장 큰 차이점은 찍개는 한쪽 면에서만 조각이 떨어져 나갔지만, 아슐리안 주먹도끼는 양쪽 면에서 조각이 떨어져 나갔다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볼 때, 찍개는 새로운 기술에 의해 구식이 되어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긁고 자르는 데 사용되는 손으로 쥐는 도구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었고, 손에 맞는 모양의 도구가 새로운 트렌드가 되었다.

6. 초기 이론과 반박

G. 아이작(1970년대)은 찍개가 사냥과 도축에 사용되었다는 초기 이론을 제시했다. 하지만 찍개의 크기로는 하마와 같은 동물을 실제로 죽일 만큼 강력하다고 보기 어려웠다. 이후 L. 빈포드는 동물을 육식 동물이 죽였고, ''호모''는 단순히 청소동물이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이 이론은 P. 쉽먼과 R. 포츠에 의해 검증되었다. 절단된 뼈에 이빨 자국이 있고, 남은 시체나 분리된 잔해가 없었기 때문에, 증거는 ''호모''가 청소동물이라는 생각을 뒷받침했다.

6. 1. 초기 이론

G. 아이작(1970년대)은 초기 이론에서 찍개가 사냥과 도축에 사용되었다고 제시했다. 하지만 찍개의 크기로는 하마와 같은 동물을 실제로 죽일 만큼 강력하다고 보기 어려웠다. 이후 L. 빈포드는 동물을 육식 동물이 죽였고, ''호모''는 단순히 청소동물이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P. 쉽먼과 R. 포츠는 이 이론을 검증했다. 절단된 뼈에 이빨 자국이 있고, 남은 시체나 분리된 잔해가 없었기 때문에, ''호모''가 청소동물이라는 생각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되었다.

6. 2. 반박

G. 아이작(1970년대)은 찍개가 사냥과 도축에 사용되었다는 초기 이론을 제시했다. 하지만 찍개의 크기로는 하마와 같은 동물을 실제로 죽일 만큼 강력하다고 보기 어려웠다. 이후 L. 빈포드는 동물을 육식 동물이 죽였고, ''호모''는 단순히 청소동물이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P. 쉽먼과 R. 포츠는 이 이론을 검증했다. 절단된 뼈에 이빨 자국이 있고, 남은 시체나 분리된 잔해가 없었기 때문에, ''호모''가 청소동물이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Oldowan and Acheulean Stone Tools 2013-11-19
[2] 웹사이트 Choppers 2013-11-19
[3] 뉴스 Chopper 2013-11-19
[4] 논문 New Evidence on the Earliest Human Presence at High Northern Latitudes in Northeast Asia ProQuest 2004
[5] 간행물 Discovery of a prehistoric site at Sao Din (Nanoi, Nan province, Northern Thailand): Stone tools and new geological insights 2012
[6] 웹사이트 Early Human Evolution: Early Human Culture 2013-11-18
[7] 웹사이트 Oldowan and Acheulean Stone Tools 2013-1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