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착륙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착륙선은 천체 표면에 연착륙하도록 설계된 우주선이다. 1959년 소련의 루나 2호는 달 표면에 도달한 최초의 우주선이었지만 충돌체였으며, 1966년 루나 9호가 달에 무사히 착륙하여 사진 데이터를 전송한 최초의 우주선이 되었다. 이후 미국은 아폴로 계획을 위한 착륙 장소 탐색을 위해 서베이어 계획을 수행했으며, 아폴로 달 착륙선을 통해 1969년부터 1972년까지 우주 비행사와 달 탐사차를 달에 착륙시켰다. 소련은 루노호트 계획을 통해 달 탐사차를 무인 착륙시켰고, 샘플 반환 임무도 수행했다. 이후 중국, 인도, 일본, 미국 등의 국가 및 민간 기업이 달 착륙에 성공했으며, 화성, 금성, 타이탄, 소행성, 혜성 등 다양한 천체에 착륙선을 보냈다. 또한, 딥 임팩트, LCROSS와 같은 충돌체를 통해 천체의 구성 성분을 분석하고, 소행성의 궤도를 변경하는 실험도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주 탐사선 - 주룽호
    주룽호는 중국의 화성 탐사 로버로, 톈원 1호 임무의 일환으로 화성 표면에 착륙하여 지질 구조, 토양, 대기 등을 분석하고 데이터를 지구로 전송하며 화성 연구에 기여했으나 현재는 동면 모드에 있다.
  • 우주 탐사선 - 톈원 1호
    톈원 1호는 2020년 중국이 발사하여 2021년 화성 착륙에 성공한 탐사선으로, 궤도선, 착륙선, 로버로 구성되어 화성의 지질 구조 등을 연구하며 2030년 지구 귀환을 목표로 한다.
  • 우주 비행 개념 - 발사 및 초기 궤도 단계
    우주선의 발사 및 초기 궤도 단계는 발사 후 초기 궤도 진입까지의 과정으로, 일부 우주선은 이 단계에서 초기 작동 점검을 위한 자율 시운전을 수행한다.
  • 우주 비행 개념 - 카운트다운
    카운트다운은 특정 시점까지 남은 시간을 역순으로 세는 행위로, 로켓 발사, 새해맞이, 영화, 스포츠, 방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는 데 활용된다.
  • 착륙선 - 화성 탐사차
    화성 탐사차는 화성 표면을 탐사하는 로봇 차량으로, 현재까지 미국의 소저너, 스피릿, 오퍼튜니티, 큐리오시티, 퍼서비어런스, 중국의 주룽 등 총 8대가 보내져 과학 장비를 탑재하고 화성의 지질, 기후, 생명체 흔적을 탐색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 착륙선 - 바이킹 1호
    바이킹 1호는 1975년에 발사되어 1976년 화성 궤도에 진입한 미국의 무인 탐사선으로, 궤도선과 착륙선으로 구성되어 화성의 표면 사진 촬영, 대기 및 토양 분석, 생명체 존재 가능성 탐색 등의 임무를 수행했으며, 특히 착륙선은 크리세 평원에 착륙하여 화성 표면 이미지를 처음으로 지구로 전송하고 과학 실험을 통해 화성 이해에 기여했다.
착륙선

2. 달 착륙

달은 인류가 가장 먼저 탐사한 천체 중 하나로, 여러 나라에서 착륙선을 보내 탐사를 진행해 왔다.

2. 1. 초기 달 탐사

1959년 소련루나 2호(Luna 2)는 최초로 달 표면에 도달한 우주선이지만, 착륙선이 아닌 충돌체였다. 1966년 소련의 루나 9호(Luna 9)가 최초로 달 연착륙에 성공하여 사진 데이터를 지구로 전송했다. 미국의 서베이어 계획(Surveyor program)(1966~1968)은 유인 달 착륙을 위한 사전 탐사 임무로, 무인 착륙선을 통해 달 토양을 채취하고 먼지층의 두께를 조사했다.

2. 2. 유인 달 착륙

1969년부터 1972년까지 미국의 아폴로 계획을 통해 우주 비행사가 달에 착륙했다. 아폴로 달 착륙선은 우주 비행사와 달 탐사차를 달 표면에 착륙시켰다. 소련은 루노호트 계획(1970–1973)을 통해 달 탐사차를 달에 착륙시켰다.[3]

2. 3. 현대의 달 탐사

2013년 12월 14일, 중국의 창어 3호(Chang'e 3)와 ''위투''(옥토끼) 탐사차가 달에 착륙했다.[3] 2019년에는 창어 4호(Chang'e 4)와 ''위투-2(Yutu-2)'' 탐사차가 인류 최초로 달의 뒷면에 성공적으로 착륙했다.[3] 2020년[5]과 2024년[4]에는 창어 5호(Chang'e 5)와 창어 6호(Chang'e 6)가 각각 달 샘플 채취 및 지구 귀환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4] 창어 5호(Chang'e 5)는 2020년 12월 1일에 달에 착륙하여 약 2kg의 달 샘플을 채취했고, 2020년 12월 16일에 지구로 귀환했다.

2019년 9월 6일, 찬드라얀 2호(Chandrayaan-2)의 착륙선 ''비크람''(Vikram)이 달 남극 지역 착륙을 시도했지만, 소프트웨어 결함으로 추락했다.[6][7] 2023년 8월 23일, 찬드라얀 3호(Chandrayaan-3)의 ''비크람''(Vikram)은 Manzinus U 운석구 근처 달 남극에 성공적으로 착륙하여, 달 남극에 착륙한 최초의 착륙선이 되었다.[8][9]

2024년 1월 19일, 일본은 SLIM 착륙선을 달에 성공적으로 착륙시켜, 달 탐사선을 착륙시킨 다섯 번째 국가가 되었다.

2024년 2월 22일, 미국의 민간 기업 인튜이티브 머신의 ''오디세우스''가 스페이스X 팰컨 9(Falcon 9)에 탑재되어 달에 성공적으로 착륙했다. 이는 민간 우주비행(Private spaceflight)으로 달에 착륙한 최초의 사례였다.[10][11]

2024년 5월 3일, 중국은 창어 6호(Chang'e 6)를 발사하여 아폴로 분지에서 달의 뒷면 샘플을 채취하여 지구로 귀환시키는 데 성공했다.[12] 이는 2020년 창어 5호(Chang'e 5)에 이은 중국의 두 번째 달 샘플 귀환 임무였다.[13] 창어 6호(Chang'e 6)는 ''진찬'' 탐사차를 탑재하여 달 표면 흡수 분광법(Absorption spectroscopy)을 수행하고, 창어 6호 착륙선을 촬영했다.[14] 착륙선-상승선-탐사차 조합은 2024년 6월 1일 22:23(UTC)에 궤도선 및 귀환선과 분리되었고, 2024년 6월 1일에 달 표면에 착륙했다.[15][16] 상승선은 2024년 6월 3일 23:38(UTC)에 달 궤도로 발사되어 로봇 랑데부 및 도킹을 완료했고, 샘플 컨테이너는 귀환선으로 옮겨져 2024년 6월 25일 내몽골 자치구에 착륙했다.

3. 화성 착륙

화성은 생명체 존재 가능성 때문에 많은 관심을 받는 행성이며, 여러 국가에서 착륙선 및 탐사 로버를 보내 탐사를 진행하고 있다.

소련은 1962년 마르스 1962B를 시작으로 화성 착륙을 시도했다. 1971년 마르스 3호 착륙선이 최초로 화성에 연착륙했지만, 곧 통신이 두절되었다. 이후 마르스 2호, 마르스 5호, 마르스 6호 등도 착륙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소련은 1970년대에 마르소호트와 화성 표본 반환 임무를 계획했지만, 기술적 문제로 취소되었다.

유럽 우주국비글 2호는 2003년 마스 익스프레스에서 분리되었으나 착륙 신호가 수신되지 않아 실패했다.

3. 1. 초기 화성 탐사

바이킹 1호 착륙선 근처의 암석을 보여주는 화성 표면에서 처음으로 전송된 "선명한" 이미지 (1976년 7월 20일)


1971년 소련의 마르스 3호 탐사선의 착륙선은 화성에 최초로 연착륙했지만, 착륙 후 1분 만에 통신이 두절되었다.[17] 이는 붉은 행성을 망원경으로 관측한 이래 최악의 전 지구적 먼지 폭풍 중 하나였다.

NASA의 바이킹 1호바이킹 2호는 각각 1975년 8월과 9월에 발사되었으며, 각각 궤도선과 착륙선으로 구성되었다. 바이킹 1호는 1976년 7월에, 바이킹 2호는 1976년 9월에 착륙했다. 바이킹 계획 로버는 최초의 성공적이고 기능하는 화성 착륙선이었다. 두 착륙선 모두 작동을 멈춘 후, 1983년 5월에 임무가 종료되었다.

3. 2. 현대의 화성 탐사

1997년 미국의 마스 패스파인더가 최초의 화성 로버 소저너를 화성 표면에 착륙시켰다. 2004년 미국의 화성 탐사 로버 스피릿과 오퍼튜니티가 화성에 착륙하여 장기간 탐사 임무를 수행했다. ''스피릿''은 설계 수명을 5년 이상 초과한 2010년에 작동을 멈췄고,[17] ''오퍼튜니티''는 3개월의 설계 수명을 10년 이상 초과하여 2019년 2월 13일에 사실상 수명이 다한 것으로 선언되었다.[18] 2008년 미국의 피닉스가 화성 북극 지역에 착륙하여 물의 존재를 확인했다. 2012년 미국의 화성 과학 연구소의 로버 큐리오시티가 화성에 착륙하여 현재까지 탐사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2021년 중국톈원 1호가 화성 착륙에 성공했으며, 로버 주룽을 통해 화성 표면을 탐사하고 있다.

4. 금성 착륙

소련의 베네라 계획은 여러 금성 착륙선을 포함했는데, 일부는 하강하는 동안 파괴되었고, 다른 일부는 성공적으로 착륙했다. 1966년 베네라 3호는 금성에 최초로 충돌한 탐사선이며, 1970년 베네라 7호는 최초로 금성 연착륙에 성공한 탐사선이다. 1985년 소련의 베가 계획은 금성 대기 중에 두 개의 기구를 띄웠는데, 이는 다른 행성에서 최초로 사용된 공중 도구였다.

5. 기타 천체 착륙

소련은 유럽 국가들과 협력하여 1991년부터 1994년까지 다목적 임무인 ''베스타''(Vesta)를 개발했지만, 소련 해체로 인해 취소되었다. ''베스타''는 화성 근접 비행을 포함하여, 에어로스타 (풍선 또는 비행선)와 소형 착륙선 또는 관통자를 투하하고, 세레스 또는 4 베스타 및 몇몇 다른 소행성을 근접 비행하면서 그 중 하나에 대형 관통자를 충돌시키는 임무였다.

중국 우주국은 2020년대에 세레스에서 샘플 회수 임무를 수행할 계획이다.

5. 1. 타이탄 착륙

2005년 착륙 후 ''호이겐스'' 탐사선이 촬영한 토성의 위성 타이탄 표면


''카시니''에 의해 토성위성 타이탄으로 운반된 ''호이겐스'' 탐사선은 육지 또는 액체에 착륙하여 생존할 수 있도록 특별히 설계되었다. 충격을 견디고 최소 3분 동안 계속 작동할 수 있도록 철저한 낙하 테스트를 거쳤다. 그러나 저속 충돌로 인해 착륙 후 2시간 이상 데이터를 계속 제공했다. 2005년 타이탄 착륙은 지구의 달을 제외하고는 행성의 위성에 대한 최초이자 유일한 착륙이었다.

2005년 1월 14일, ESA의 호이겐스 탐사선이 토성위성타이탄에 착륙했다. 호이겐스 탐사선은 대기권 진입 후 3개의 낙하산을 펼쳐 착륙 지점이 육지든 해상이든 문제없이 작동하도록 설계되었다. 착륙 후 관측 시간은 30분 정도로 예상되었으나, 실제로는 2시간에 걸쳐 관측을 수행했다.[1]

5. 2. 소행성 및 혜성 착륙

NEAR 슈메이커는 원래 착륙 기능이 없었으나 2001년에 433 에로스 소행성에 착륙하여 작은 태양계 천체에 최초로 착륙했다.

일본의 하야부사 탐사선은 2005년 25143 이토카와에 착륙을 시도했으나, 로버 배치에는 실패했다. 하야부사는 저중력 천체에 접근하여 착륙하도록 설계되어 소행성에 착륙한 두 번째 우주선이 되었으며, 2010년에는 소행성에서 최초로 샘플을 회수했다.[1]

2004년 3월 2일에 발사된 로제타 탐사선은 2014년 11월 12일에 최초의 로봇 착륙선 필레를 추류모프-게라시멘코 혜성에 착륙시켰다. 혜성은 극도로 중력이 낮아 착륙 시스템에는 혜성 표면에 케이블을 고정하고 착륙선을 끌어당기기 위한 작살 발사기가 포함되었다.[2]

JAXA는 2014년 하야부사2 소행성 탐사선을 발사하여 2018년에서 2019년 사이에 여러 착륙 장치 (미네르바 II와 독일 이동식 소행성 표면 정찰기(MASCOT) 착륙선, 소형 휴대형 충격기(SCI) 관통자 포함)를 투하하고 2020년까지 지구로 샘플을 회수했다. 하야부사 2는 류구에 착륙 및 이륙에 성공했고, 이 외에 4대의 로버 (MASCOT, 미네르바-Ⅱ1(올, 이부), 미네르바-Ⅱ2)를 탑재했다. 이 중 3대는 무사히 착륙했고, 메인 컴퓨터가 작동하지 않았던 미네르바-Ⅱ2에 관해서도 소행성을 선회시킨 후 착륙에 성공했다.[3] [4]

6. 충돌체 (임팩터)

충돌체는 의도적으로 천체 표면에 충돌시켜 그 영향을 연구하는 탐사선이다.

1973년, 소련의 마르스 2호는 화성 표면에 도달한 최초의 탐사선이 되었지만, 시스템 오작동으로 인해 낙하산이 펴지지 않아 충돌했다. 이후 마르스 3호, 마르스 5호 역시 화성에 충돌하거나 대기권 진입 전에 고장났다. 이 탐사선들은 루나 9호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에어로쉘과 유사한 열 차폐를 사용했다.

1997년 7월, 마스 패스파인더는 최초의 화성 로버인 소저너를 전개했지만, 소저너는 저온으로 인한 전기 장애로 인해 같은 해 9월에 고장났다. 1999년 12월 3일, 마스 폴라 랜더는 화성 표면 도착 전에 통신이 두절되었다.

2003년 12월 25일, 유럽의 비글 2호는 착륙 예정이었으나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고, 2004년 2월 6일 공식적으로 손실 처리되었다.

2004년 1월, 마스 익스플로레이션 로버 계획의 일환으로 스피릿과 오퍼튜니티 로버가 화성에 도착했다. 이들은 에어백과 낙하산을 이용해 착륙했으며, 설계 수명은 3개월이었지만[38] 스피릿은 2010년까지, 오퍼튜니티는 2019년까지 운용되었다.

2008년 5월 25일, 피닉스는 낙하산과 로켓 엔진을 사용하여 화성에 연착륙했다.

2021년 2월 10일, 중국의 톈원 1호는 화성 궤도에 진입했고, 5월 15일 화성 연착륙에 성공하여 탐사차 '주룽'을 통해 화성 표면을 조사할 예정이다.

6. 1. 딥 임팩트

템펠 1 혜성은 2005년 7월 4일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딥 임팩트'' 탐사선에 의해 방문되었다. 충돌로 인해 생긴 충돌구는 폭이 약 200m, 깊이가 30m~50m였으며, 과학자들은 규산염, 탄산염, 스멕타이트, 무정형 탄소,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의 존재를 감지했다.[25][26]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딥 임팩트는 2005년 7월 3일 템펠 1 혜성에 880000km 지점까지 접근하여 약 370kg의 임팩터를 발사했다. 임팩터는 다음 날 혜성과 충돌했으며, 규산염, 탄산염, 점토 광물, 비정질 탄소,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6. 2. 달 충돌 탐사선

달 충돌 탐사선(MIP)은 인도 우주 연구 기구(ISRO)가 개발한 탐사선이다. 2008년 10월 22일에 발사된 찬드라얀 1호의 원격 감지 궤도선에서 2008년 11월 14일에 발사되었다.[27][28] 이 탐사선은 달 표면의 물의 존재를 발견하는 데 기여했다.

6. 3. LCROSS

NASA가 운용한 로봇 우주선인 달 분화구 관측 및 감지 위성(LCROSS)은 의 극지방에서 감지된 수소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제작되었다.[29] LCROSS의 주요 임무 목표는 달 극지방 근처의 영구 음영 분화구에 있는 물 얼음의 존재를 탐사하는 것이었다.[30]

LCROSS는 2009년 6월 18일, 달 선행 로봇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달 정찰 궤도선 (LRO)과 함께 발사되었다. LCROSS는 발사체의 켄타우루스 상단 로켓이 달 남극 근처의 카베우스 분화구를 타격하여 발생하는 충돌 및 파편 기둥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중계하도록 설계되었다. 켄타우루스는 2009년 10월 9일 11시 31분 UTC에 성공적으로 충돌했다. "보호 우주선"(LCROSS 임무 탑재체 탑재)[31]은 켄타우루스의 파편 기둥을 통과하여 하강했으며, 6분 후인 11시 37분 UTC에 충돌하기 전에 데이터를 수집하고 중계했다. 이 프로젝트는 카베우스에서 물을 발견하는 데 성공했다.[32]

6. 4. 기타 충돌체

딥 스페이스 2 충돌 탐사선은 다른 행성의 표면 아래로 침투하는 최초의 우주선이 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1999년 12월 3일 화성 대기권 진입 중 지구와의 통신이 두절된 모선인 화성 극지 탐사선의 손실로 임무가 실패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수성 탐사선 MESSENGER(메신저)는 2004년 8월 3일에 발사되어 2011년 3월 18일에 수성 궤도에 진입했다. 지도 제작 임무를 수행한 후, 2015년 4월 30일 수성 표면에 충돌하도록 지시받았으며, 충돌은 2015년 4월 30일 오후 3시 26분(동부 표준시)경에 발생했다. 이 충돌로 직경 16m로 추정되는 충돌구가 생성되었다.[34][35]

유럽 우주국(ESA)의 AIDA 미션은 우주선을 소행성에 충돌시켜 충격의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DART 우주선은 2022년 소행성 65803 디디모스의 달 디모르포스에 충돌했으며, 헤라 우주선은 2027년에 도착하여 충격의 효과를 조사할 예정이다.[36]

참조

[1] 서적 Planetary Landers and Entry Probes https://ui.adsabs.h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05-01
[2] 웹사이트 Technology – Impactor – The Plan http://solarsystem.n[...] NASA/JPL 2009-04-22
[3] 웹사이트 China lands Chang'e-4 mission on the far side of the Moon https://www.nasaspac[...] 2020-08-18
[4] 웹사이트 Future Chinese Lunar Missions https://nssdc.gsfc.n[...] NASA Goddard Space Flight Center 2019-12-12
[5] 보도자료 State visit of President Macron to China – In 2023, Chang'e 6 will deploy the French DORN instrument on the Moon to study the lunar exosphere https://presse.cnes.[...] CNES 2020-08-18
[6] 웹사이트 India has found its Vikram lander after it crashed into the moon's surface https://www.technolo[...] 2023-08-22
[7] 뉴스 Vikram lander located on lunar surface, wasn't a soft landing: Isro https://timesofindia[...] 2023-08-22
[8] 웹사이트 Chandrayaan-3: India becomes fourth country to land on the moon https://spacenews.co[...] 2023-08-23
[9] 뉴스 India First to Land Near Moon South Pole After Russia Fails https://www.bloomber[...] 2023-08-23
[10] 웹사이트 SpaceX gearing up to launch Intuitive Machines private moon lander in February https://www.space.co[...] 2024-02-05
[11] 웹사이트 Odysseus achieves the first US Moon landing since 1972 https://www.theverge[...] 2024-02-23
[12] 트윗 China's Chang'e-6 sample return mission (a first ever lunar far side sample-return) is scheduled to launch in May 2024, and expected to take 53 days from launch to return module touchdown. Targeting southern area of Apollo basin (~43º S, 154º W) 2023-04-25
[13] 웹사이트 China's Chang'e-6 probe arrives at spaceport for first-ever lunar far side sample mission https://spacenews.co[...] 2024-01-10
[14] 웹사이트 China's Chang'e-6 is carrying a surprise rover to the moon https://spacenews.co[...] 2024-05-08
[15] 웹사이트 Chang'e-6 lands on far side of the moon to collect unique lunar samples https://spacenews.co[...] 2024-06-01
[16] 트윗 落月时刻 2024-06-02 06:23:15.861
[17] 뉴스 Meteorite Found on Mars Yields Clues About Planet's Past http://marsrovers.na[...] NASA 2009-09-08
[18] 웹사이트 Opportunity Status http://marsrovers.jp[...] NASA 2014-08-19
[19] 웹사이트 NASA confirms contribution to Japanese-led Mars mission https://spaceflightn[...] 2017-11-20
[20] 보도자료 Joint Statement with Centre National d'Etudes Spatiales (CNES) and German Aerospace Center (DLR) regarding Martian Moons eXploration http://global.jaxa.j[...] JAXA 2018-10-30
[21] 웹사이트 JAXA's exploration of the two moons of Mars, with sample return from Phobos http://www.lpi.usra.[...] Lunar and Planetary Institute 2017-03-23
[22] 웹사이트 China's Deep-space Exploration to 2030 http://english.nssc.[...] Chinese Academy of Sciences
[23] 웹사이트 N° 75–2003: Critical decisions on Cosmic Vision http://www.esa.int/F[...] European Space Agency 2003-11-07
[24] 학술지 Without a champion, Europa lander falls to NASA's back burner https://www.science.[...] 2019-05-29
[25] 웹사이트 Deep Impact: A Smashing Success http://www.nasa.gov/[...] Deep Impact homepage 2009-05-11
[26] 뉴스 Deep Impact Launches Projectile to Blow Hole in Comet (Update1)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09-05-11
[27] 뉴스 MIP detected water on Moon way back in June: ISRO Chairman http://www.thehindu.[...] 2013-06-09
[28] 뉴스 Chandrayaan first discovered water on moon, but... http://www.dnaindia.[...] 2013-06-09
[29] 학회 Flight Operations for the LCROSS Lunar Impactor Mission 2010-04-25
[30] 웹사이트 NASA – LCROSS: Mission Overview http://www.nasa.gov/[...] NASA 2009-11-14
[31] 보고서 LRO/LCROSS Press Kit v2 http://www.nasa.gov/[...] NASA 2009-06-01
[32] 뉴스 LCROSS Impact Data Indicates Water on Moon http://www.nasa.gov/[...] NASA 2009-11-14
[33] 보도자료 MESSENGER NASA's Mission to Mercury Launch Press Kit http://www.nasa.gov/[...] NASA / JHUAPL 2011-02-19
[34] 뉴스 Farewell, MESSENGER! NASA Probe Crashes Into Mercury http://www.space.com[...] 2015-05-02
[35] 웹사이트 Press Release: NASA Completes MESSENGER Mission with Expected Impact on Mercury's Surface http://www.nasa.gov/[...] NASA 2015-05-02
[36] 뉴스 Hera adds objectives to planetary defense test mission https://www.nasaspac[...] 2019-01-11
[37] 웹사이트 Deep Impact Legacy Site: Technology - Impactor http://solarsystem.n[...] NASA / JPL 2009-01-23
[38] 뉴스 Meteorite Found on Mars Yields Clues About Planet's Past http://marsrovers.na[...] NASA 2009-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