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부용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용정은 창덕궁 후원에 있는 정자로, 연못인 부용지에 인접해 있다. 조선 숙종 33년(1707)에 택수재로 지어졌으며, 정조 때 부용정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부용정은 열 십(十)자 모양의 독특한 평면과 다양한 형태의 난간 및 창호를 갖춘 누각으로, 역사적, 예술적, 건축적 가치를 인정받아 보존 가치가 높다. 정조는 이곳에서 과거 급제자들에게 연회를 베풀고 신하들과 낚시를 즐기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덕궁 - 낙선재
낙선재는 창덕궁과 창경궁 경계에 있는 건물로, 1847년 헌종이 왕실의 권위를 확립하고 개혁 의지를 실천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이후 왕족들의 거처로 사용되었다. - 창덕궁 - 돈화문
돈화문은 창덕궁의 정문으로, 1405년에 창건되지 못하고 1412년에 건립되었으며, 임진왜란 이후 1608년에 중건되어 현재까지 정문으로 사용되고, 조선 초기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다포집 구조의 건물이다. - 대한민국의 못 - 경회루
경회루는 경복궁 안에 있는 2층 누각 건물로, 여러 차례 증축과 소실을 거쳐 현재는 정면 7칸, 측면 5칸 규모로 재건되었으며, 천원지방 사상과 유교적 상징성이 반영되어 국보로 지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못 - 수성못
수성못은 일제강점기에 홍수와 가뭄 방지를 위해 축조된 대구 수성구의 인공 호수로, 현재는 시민들의 휴식 공간이자 관광 명소이며, 록히드 L-1011 트라이스타를 개조한 시설이 있고 영화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 조선의 건축 - 석파정
석파정은 철종 때 영의정 김흥근의 별서였으나 흥선대원군이 소유하게 되면서 그의 호를 따 석파정이라 이름 붙여졌고, 현재는 서울미술관의 부대시설로 운영되며 중국풍 정자와 한국전쟁 이후 고아원으로 사용된 역사를 지니고 있다. - 조선의 건축 - 자경전
자경전은 경복궁 내 대비의 침전으로, 욱실, 자경전, 청연루, 협경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침전의 기본 형식을 따르면서도 십장생 무늬 굴뚝과 길상문자 벽돌담이 특징이다.
창덕궁 부용정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창덕궁 부용정 (昌德宮 芙蓉亭) |
영문 명칭 | Buyongjeong Pavilion of Changdeokgung Palace |
유형 | 보물 |
지정 번호 | 1763 |
지정일 | 2012년 3월 2일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2-71번지 창덕궁 |
소유자 | 국유 |
수량 | 1동 (서측면 4칸, 남측면 5칸, 북측면 3칸) |
시대 | 조선시대 |
문화재청 ID | 12,17630000,11 |
2. 입지 현황 및 역사문화환경
창덕궁에서 후원으로 가는 길은 현재는 내의원으로 불리는 건물군을 왼쪽으로 끼고 담으로 좌우를 막은 통로를 이용하게 된다. 이 통로는 약간 오르막길로 되어 있으며 길은 좌측으로 꺾이면서 내리막길로 변하는데 그 지점에서 부용지 일대의 모습이 내려다 보인다. 3면이 경사지이며 경사가 모이는 한가운데에 방형(方形)의 연못인 부용지가 있다. '부용(芙蓉)'은 '연꽃'을 뜻하는데,창덕궁 후원의 대표적인 방지(方池)이다. 동서 길이가 34.5m, 남북 길이가 29.4m에 이르는 방형의 연못이다.
부용지의 네모난 연못과 둥근 섬은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는 천원지방(天圓地方)사상을 반영한 것이다. 연못은 장대석으로 쌓아올렸고, 남쪽 모서리에는 물고기 조각이 하나 있다. 잉어 한 마리가 물 위로 뛰어오르는 모습을 새겼는데, 이것은 왕과 신하의 관계를 물과 물고기에 빗댄 것이다.
이 연못의 남쪽 변에 부용정이 자리 잡고 있는데, 부용정의 남쪽은 낮은 언덕에 면하고 있다. 현판이 걸려 있는 동쪽이 건물의 정면인데, 이는 이곳의 지형이 남·북·서 삼면이 낮은 언덕으로 둘려 있고, 동쪽만이 훤하게 트여 있기 때문이다.
건물주변을 보면 남쪽 언덕에는 3단의 화계(花階)를 설치하고 꽃을 심고 수석을 배치하여 정원을 꾸며 놓았으며, 북쪽 연못에는 가운데에 섬 하나를 쌓고 그 뒤로 높은 언덕에 어수문(魚水門)과 주합루(宙合樓) 일곽이 보이도록 하였다.
주합루의 왼쪽으로는 서향각(書香閣)이 있으며 주합루의 뒤 2단의 석대 위에 제월광풍관(霽月光風觀)이라는 편액의 작은 건물이 있다. 서향각의 뒤 높은 곳에 희우정이 있다. 연못의 서측에는 서정기비각(西井記碑閣)이 있다.
2. 1. 부용지와 주변 지형
창덕궁에서 후원으로 가는 길은 내의원으로 불리는 건물군을 왼쪽으로 끼고 담으로 좌우를 막은 통로를 이용한다. 이 통로는 오르막길로 이어지다가 좌측으로 꺾이면서 내리막길로 변하는데, 그 지점에서 부용지 일대의 모습이 내려다 보인다. 3면이 경사지이며 경사가 모이는 한가운데에 네모난 연못인 부용지가 있다. '부용(芙蓉)'은 '연꽃'을 뜻하는데, 창덕궁 후원의 대표적인 방지(方池)이다. 동서 길이가 34.5m, 남북 길이가 29.4m에 이르는 네모난 연못이다.부용지의 네모난 연못과 둥근 섬은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는 천원지방(天圓地方)사상을 반영한 것이다. 연못은 장대석으로 쌓아올렸고, 남쪽 모서리에는 물고기 조각이 하나 있다. 잉어 한 마리가 물 위로 뛰어오르는 모습을 새겼는데, 이것은 왕과 신하의 관계를 물과 물고기에 빗댄 것이다.
이 연못의 남쪽 변에 부용정이 자리 잡고 있는데, 부용정의 남쪽은 낮은 언덕에 면하고 있다. 현판이 걸려 있는 동쪽이 건물의 정면인데, 이는 이곳의 지형이 남·북·서 삼면이 낮은 언덕으로 둘려 있고, 동쪽만이 훤하게 트여 있기 때문이다.
건물주변을 보면 남쪽 언덕에는 3단의 화계(花階)를 설치하고 꽃을 심고 수석을 배치하여 정원을 꾸며 놓았으며, 북쪽 연못에는 가운데에 섬 하나를 쌓고 그 뒤로 높은 언덕에 어수문(魚水門)과 주합루(宙合樓) 일곽이 보이도록 하였다.
주합루의 왼쪽으로는 서향각(書香閣)이 있으며 주합루의 뒤 2단의 석대 위에 제월광풍관(霽月光風觀)이라는 편액의 작은 건물이 있다. 서향각의 뒤 높은 곳에 희우정이 있다. 연못의 서측에는 서정기비각(西井記碑閣)이 있다.
2. 2. 주변 건물
부용정 주변 남쪽에는 3단의 화계(花階)를 조성하고 꽃과 수석을 배치하여 정원을 꾸몄다. 북쪽으로는 어수문(魚水門)과 주합루(宙合樓) 일곽이 보인다. 주합루 왼쪽에는 서향각(書香閣)이, 뒤쪽 높은 곳에는 제월광풍관(霽月光風觀)과 희우정이 위치한다. 연못 서쪽에는 서정기비각(西井記碑閣)이 있다.3. 연혁 및 건축적 특징
부용정은 궁궐지에 따르면 조선 숙종 33년(1707)에 이곳에 택수재(澤水齋)를 지었는데, 정조 때에 이를 고쳐 짓고 이름을 '부용정(芙蓉亭)'이라 바꾸었다. 《동국여지비고》에는 "주합루 남쪽 연못가에 있다. 연못 안에 채색하고 비단 돛을 단 배가 있어, 정조 임금께서 꽃을 감상하고 고기를 낚던 곳이다"라고 하여 이곳에서 왕이 과거에 급제한 이들에게 주연을 베풀고 축하해 주기도 했으며, 신하들과 어울려 꽃을 즐기고 시를 읊기도 하였는데, 1795년 수원 화성을 다녀온 정조가 신하들과 낚시를 즐겼다고 전한다. 기둥에는 이곳의 풍광을 읊은 시를 적은 주련(柱聯) 10개가 걸려 있다.
부용정의 평면은 정면 5칸, 측면 4칸, 배면 3칸의 누각으로 연못 남쪽 위에서 봤을 때 열 십(十)자 모양을 기본으로 구성되었으며, 남동과 남서쪽에 반칸을 덧대서 소통을 원활히 하였다. 남북 중심축을 기준으로 할 때 동쪽과 서쪽이 좌우대칭이다. 연못 안에 2개의 팔각 석주를 세운 다음 그 위에 가느다란 원기둥을 세우고 건물의 비례에 맞게 앙증맞은 2익공(二翼工)공포를 짜 올렸다. 정자 안은 네 개의 방을 배치했는데, 배면의 방이 다른 방들보다 한 단계 높다. 지붕은 겹처마 팔작지붕의 단층이다.
외관을 보면 북쪽은 간결하고 남쪽은 화려한 형식을 취하고 있어 보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나타나며, 풍부한 형태미를 강조하기 위해서 난간과 창호도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식을 취하고 있다.
난간은 평난간과 계자난간(鷄子欄干)을 두었는데, 특히 북쪽 연못 부분의 난간은 다른 곳보다 한 단 높게 하여 변화를 주었다.
창호를 보면 외부 창은 연못으로 내민 부분에만 亞자살문을 달고, 그 밖의 다른 곳은 모두 띠살문으로 하였으며, 들쇠에 매달면 사방으로 트이게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내부에는 정자살문과 팔각형 교살창을 낸 불발기창을 두어 안팎 공간의 구분을 분명하게 하였다.
3. 1. 역사적 사건
부용정은 조선 숙종 33년(1707)에 지어진 택수재를 정조 때 고쳐 지은 건물이다. 《동국여지비고》에 따르면 정조는 이곳에서 과거 급제자들에게 연회를 베풀고, 신하들과 꽃구경과 낚시를 즐겼다. 특히 1795년 수원 화성을 다녀온 후 부용정에서 낚시를 즐겼다는 기록이 있다. 부용정 기둥에는 풍광을 노래한 시를 적은 주련 10개가 걸려 있다.3. 2. 평면 및 구조
부용정은 조선 숙종 33년(1707)에 택수재(澤水齋)를 지었는데, 정조 때에 이를 고쳐 짓고 이름을 '부용정(芙蓉亭)'이라 바꾸었다. 《동국여지비고》에는 주합루 남쪽 연못가에 있으며, 연못 안에 채색하고 비단 돛을 단 배가 있어, 정조 임금이 꽃을 감상하고 고기를 낚던 곳이라고 전한다. 이곳에서 왕이 과거에 급제한 이들에게 주연을 베풀고 축하해 주기도 했으며, 신하들과 어울려 꽃을 즐기고 시를 읊기도 하였다. 1795년 수원 화성을 다녀온 정조가 신하들과 낚시를 즐겼다고 한다. 기둥에는 이곳의 풍광을 읊은 시를 적은 주련(柱聯) 10개가 걸려 있다.평면은 정면 5칸, 측면 4칸, 배면 3칸의 누각으로 연못 남쪽 위에서 봤을 때 열 십(十)자 모양을 기본으로 구성되었으며, 남동과 남서쪽에 반 칸을 덧대서 소통을 원활히 하였다. 남북 중심축을 기준으로 할 때 동쪽과 서쪽이 좌우대칭이다. 연못 안에 2개의 팔각 석주를 세운 다음 그 위에 가느다란 원기둥을 세우고 건물의 비례에 맞게 앙증맞은 2익공(二翼工) 공포를 짜 올렸다. 정자 안은 네 개의 방을 배치했는데, 배면의 방이 다른 방들보다 한 단계 높다. 지붕은 겹처마 팔작지붕의 단층이다.
외관을 보면 북쪽은 간결하고 남쪽은 화려한 형식을 취하고 있어 보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나타나며, 풍부한 형태미를 강조하기 위해서 난간과 창호도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식을 취하고 있다. 난간은 평난간과 계자난간(鷄子欄干)을 두었는데, 특히 북쪽 연못 부분의 난간은 다른 곳보다 한 단 높게 하여 변화를 주었다. 창호를 보면 외부 창은 연못으로 내민 부분에만 亞자살문을 달고, 그 밖의 다른 곳은 모두 띠살문으로 하였으며, 들쇠에 매달면 사방으로 트이게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내부에는 정자살문과 팔각형 교살창을 낸 불발기창을 두어 안팎 공간의 구분을 분명하게 하였다.
3. 3. 외관 및 장식
부용정의 외관은 북쪽은 간결하고 남쪽은 화려한 형식을 취하고 있어 보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나타나며, 풍부한 형태미를 강조하기 위해서 난간과 창호도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식을 취하고 있다. 난간은 평난간과 계자난간(鷄子欄干)을 두었는데, 특히 북쪽 연못 부분의 난간은 다른 곳보다 한 단 높게 하여 변화를 주었다.창호를 보면 외부 창은 연못으로 내민 부분에만 亞자살문을 달고, 그 밖의 다른 곳은 모두 띠살문으로 하였으며, 들쇠에 매달면 사방으로 트이게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내부에는 정자살문과 팔각형 교살창을 낸 불발기창을 두어 안팎 공간의 구분을 분명하게 하였다.
4. 지정 가치
부용정은 창덕궁 후원 초입에 천원지방의 조형원리에 따라 조성한 대표적 연못인 부용지에 지은 마루식 정자로 연못에 인접하여 자연의 선경을 인공적으로 만들어, 풍류를 통해 수양을 하는 한국 정자건축의 대표적 작품이다.
열십(十)자 모양의 독특한 평면 형태, 공간구성, 건물의 장식 등이 뛰어난 비례와 대비로 건물의 아름다움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는 건물로 역사적, 예술적, 건축적으로 보존가치가 높다.
4. 1. 건축적 가치
부용정은 창덕궁 후원 초입에 있는 연못인 부용지에 지은 마루식 정자이다. 천원지방의 조형 원리에 따라 조성되었으며, 연못에 인접하여 자연의 선경을 인공적으로 만들어 풍류를 통해 수양을 하는 한국 정자 건축의 대표적인 작품이다.열십(十)자 모양의 독특한 평면 형태와 공간 구성, 건물의 장식 등이 뛰어난 비례와 대비를 이루어 건물의 아름다움을 극대화한다. 역사적, 예술적, 건축적 가치가 높아 보존 가치가 크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