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파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석파정은 조선 철종 때 영의정을 지낸 김흥근의 별서로, 흥선대원군이 소유하게 된 후 그의 호를 따 석파정으로 불리게 되었다. 김흥근이 삼계동정사로 불렀으며, 안채, 사랑채, 별채를 갖춘 흥선대원군의 별서는 현재 서울미술관 부대시설로 활용되고 있다. 석파정은 중국풍 정자이며,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3호 석파정 별당이 있다. 2006년 유니온약품그룹 안병광 회장이 낙찰받아 서울미술관을 개관하여 관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우 - 한국인 원폭 희생자 위령비
한국인 원폭 희생자 위령비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히로시마 원폭 투하로 희생된 한국인들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으며, 민단의 주도로 아이오이 교 부근에 세워졌다가 히로시마시의 반대 끝에 평화기념공원으로 이전되었고, 2023년에는 윤석열 대통령이 헌화 및 묵념하였다. - 흥선대원군 - 쇄국정책
쇄국정책은 에도 시대 일본이 시행한 외국과의 교류 및 무역 제한 정책을 지칭하는 용어로, 제도로서의 쇄국은 없었다는 견해가 주류를 이루지만, 정치, 종교, 경제적 요인을 배경으로 네 개의 창구를 통해 제한적인 무역을 유지하다 미일 화친 조약 체결로 종식되었다. - 흥선대원군 - 이재완
이재완은 선조의 후손으로 흥완군의 양자였으며, 갑신정변 당시 병조 판서를 지냈고, 대한제국 시기에는 궁내부대신과 한성은행 은행장을 역임했으며,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체결 후 후작에 봉해졌고, 친일 행위로 인해 친일 관련 명단에 등재되었다. - 조선의 건축 - 자경전
자경전은 경복궁 내 대비의 침전으로, 욱실, 자경전, 청연루, 협경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침전의 기본 형식을 따르면서도 십장생 무늬 굴뚝과 길상문자 벽돌담이 특징이다. - 조선의 건축 - 안동 임청각
안동 임청각은 조선 시대 이명이 지은 99칸 규모의 고택으로, 독립운동가를 다수 배출한 역사적인 장소이며, 현재 복원 중인 한국 전통 건축의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석파정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석파정 (石坡亭) |
유형 | 유형문화재 |
지정 번호 | 26 |
지정일 | 1974년 1월 15일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의문로11길 4-1 |
소유자 | (주)석파문화원 |
시대 | 조선 시대 |
문화재청 ID | 21,00260000,11 |
2. 역사
철종 때 영의정을 지낸 세도가인 김흥근의 별서였다.[4] 별서는 별장의 일종인데 잠깐 쉬었다 가는 별장과 달리 비교적 오랫동안 집 대신 거주하는 공간을 뜻한다.[5]
김홍근이 별서를 만들기 전부터 이 일대는 경치가 좋기로 유명한 곳이다. 인근에 안평대군 이용 집터인 무계정사(武溪精舍)가 있고, 윤치호의 별장인 부암정도 멀지 않다.[6] 개울 옆 바위에 소수운련암(巢水雲簾岩 - 물 속에 깃들어 구름으로 발을 건 바위)이라는 글씨를 권상하가 새겼다.[7] 김홍근은 여기에 별서를 세우고 삼계동정사(三溪洞精舍)라는 이름을 붙였다.[8] 지금도 집 옆 바위에 삼계동이라는 각자가 새겨져 있다.
흥선대원군 이하응은 이 집을 오랫동안 탐내어 김흥근에게 팔라고 요청하였지만 거절 당하였다가 임금이자 자신의 아들인 고종과 함께 방문하여 하룻밤을 묶었다. 성리학 예법에 임금이 묵은 곳을 신하가 계속하여 살 수는 없었기에 결국 김흥근이 이하응에게 집을 넘겼다고 한다.[4] 이하응은 이 별서를 무척 마음에 들어하였다. 주변 풍경이 온통 바위산이라 자신의 호 마저 석파(石坡 - 돌고개)로 바꾸었고 집 앞 개울의 정자를 석파정이라고 하였다.[5] 황현의 《매천야록》에는 김흥근이 흥선대원군의 정치개입을 막으려 하였으나 실패하였기 때문에 둘 사이에 정치적 알력이 있었다고 전한다.[7]
흥선대원군이 죽은 뒤 별서는 그의 후손인 이희, 이준, 이우의 별장으로 세습되며 사용되어오다가 한국전쟁 후에는 천주교가 경영하는 코롬바고아원으로 사용되었다.[7] 그 이후 병원으로 쓰이거나 개인 소유가 되는 등 자주 소유권이 이전되었고, 경매에도 여러 차례 등장하였다. 2004년 12월 개인 소유자가 부채 10억원을 감당하지 못하게 되자 감정가 75억4천600만원으로 경매에 나왔으나 두차례 유찰되어 감정가의 64%인 48억2천900만원까지 떨어졌다. 경매에 나온 곳은 1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지정돼 있는 1천여평을 제외한 나머지 약 88.9%의 부지가 개발제한구역과 문화재보호구역, 군사시설보호구역 등으로 묶여 있어 낙찰이 쉽지 않았다.[9]
2006년 1월 13일 의약품 유통업체인 유니온약품그룹의 안병광 회장[8]이 익명으로 응찰하여 감정가의 83%인 63억1천만원에 낙찰하였다.[10] 안병광은 석파정 입구에 사설 서울미술관을 개관하고 그가 평소 수집하던 이중섭의 그림들을 전시하면서 미술관이 석파정을 관리하도록 하였다.[4]
2. 1. 조선시대
석파정은 원래 철종 때 영의정을 지낸 김흥근의 별서로, '삼계동정사'로 불렸다.[4] 별서는 별장의 일종으로, 비교적 오랫동안 거주하는 공간을 의미한다.[5] 김흥근이 별서를 짓기 전부터 이 일대는 안평대군 이용 집터인 무계정사, 윤치호의 별장인 부암정과 인접하여 경치가 빼어나기로 유명했다.[6] 권상하는 개울 옆 바위에 소수운련암(巢水雲簾岩)이라는 글씨를 새겼고,[7] 김홍근은 이곳에 별서를 세우고 삼계동정사(三溪洞精舍)라는 이름을 붙였다.[8] 지금도 집 옆 바위에는 삼계동이라는 각자가 새겨져 있다.흥선대원군 이하응은 이 집을 탐내어 김흥근에게 팔 것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이후 임금이자 자신의 아들인 고종과 함께 방문하여 하룻밤을 묵게 되면서, 성리학 예법에 따라 김흥근은 이하응에게 집을 넘길 수밖에 없었다.[4] 이하응은 주변 풍경이 온통 바위산인 것에 착안하여 자신의 호를 석파(石坡)로 바꾸고, 집 앞 개울의 정자를 석파정이라 불렀다.[5] 황현의 《매천야록》에는 김흥근이 흥선대원군의 정치 개입을 막으려다 실패하여 둘 사이에 정치적 알력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7] 이는 당시 보수 세력과의 갈등으로 해석될 수 있다.
2. 2.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흥선대원군 사후 석파정은 그의 후손인 이희, 이준, 이우의 별장으로 세습되어 사용되었다.[7]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후손들에 의해 관리되다가, 한국전쟁 이후에는 천주교가 경영하는 코롬바고아원으로 사용되었다.[7] 그 이후 병원으로 쓰이거나 개인 소유가 되는 등 자주 소유권이 이전되었고, 경매에도 여러 차례 등장하였다. 2004년 12월 개인 소유자의 부채로 인해 감정가 75억 4천 600만 원으로 경매에 나왔으나 두 차례 유찰되어 48억 2천 900만 원까지 떨어졌다. 경매에 나온 부지의 약 88.9%가 개발제한구역, 문화재보호구역, 군사시설보호구역 등으로 묶여 있어 낙찰이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9]2006년 1월 13일 유니온약품그룹의 안병광 회장이[8] 익명으로 응찰하여 감정가의 83%인 63억 1천만 원에 낙찰하였다.[10] 안병광은 석파정 입구에 사설 서울미술관을 개관하고 그가 평소 수집하던 이중섭의 그림들을 전시하면서 미술관이 석파정을 관리하도록 하였다.[4]
3. 건축 및 특징
흥선대원군 별서는 안채와 사랑채, 별채와 같은 살림채로 이루어져 있고 석파정은 중국풍으로 지은 정자이다.[2]
별서의 사랑채는 담으로 둘러쌓인 안채와 떨어져 담 밖에 따로 지었다. ㄱ 자로 꺽어 지은 사랑채의 앞에는 서울특별시 지정 보호수 60호인 오래된 소나무가 있다.[11]
안채는 중부지방의 전형적인 ㅁ 자 구조의 살림채이다. 사랑채와 안채의 담 사이로 누대로 올라가는 홍예문이 있다. 홍예문을 지나 높은 곳에 마련된 누대에는 유수성중관풍루/流水聲中觀楓樓중국어(흐르는 물소리 속에서 단풍을 구경하는 누대)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12]
별서와 조금 떨어져 중국풍으로 지은 정자인 석파정이 있다. 이 정자는 김흥근이 삼계동정사를 지을 당시에 지었다는 설도 있지만 아무런 기록이 없어 언제 지어졌는 지 불명확하다. 대원군이 직접 정자를 짓도록 하고 이름을 붙였을 수도 있고, 원래 있던 정자의 이름만 석파정이라 바꾸었을 수도 있다. 전통적인 한국의 정자와 달리 바닥을 화강암으로 마감하고 기둥에 꾸밈벽을 달고 지붕 역시 청나라 풍으로 꾸몄다.[13]
석파정 앞에는 원래 중국식으로 지은 별서가 한 채 더 있었다고 한다.[12] 석파정에 있던 중국식 별서는 현재 한식 요리집 한 켠으로 옮겨져 있으며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23호 석파정 별당으로 등록되어 있다.[14]
3. 1. 별서
흥선대원군 별서는 안채와 사랑채, 별채와 같은 살림채로 이루어져 있다.[2] 사랑채는 ㄱ 자로 꺽어 지은 형태로, 앞에는 서울특별시 지정 보호수 60호인 오래된 소나무가 있다.[11] 안채는 중부지방의 전형적인 ㅁ 자 구조의 살림채이다.[12] 사랑채와 안채의 담 사이로 누대로 올라가는 홍예문이 있으며, 누대에는 유수성중관풍루(流水聲中觀楓樓, 흐르는 물소리 속에서 단풍을 구경하는 누대)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12]3. 2. 석파정 (정자)
석파정은 중국풍으로 지은 정자이다.[2] 김흥근이 삼계동정사를 지을 당시에 지었다는 설도 있지만, 아무런 기록이 없어 언제 지어졌는 지 불명확하다. 흥선대원군이 직접 정자를 짓도록 하고 이름을 붙였을 수도 있고, 원래 있던 정자의 이름만 석파정이라 바꾸었을 수도 있다.[13] 전통적인 한국의 정자와 달리 바닥을 화강암으로 마감하고 기둥에 꾸밈벽을 달고 지붕 역시 청나라 풍으로 꾸몄다.[13]3. 3. 석파정 별당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3호)
흥선대원군 별서는 안채와 사랑채, 별채와 같은 살림채로 이루어져 있고 석파정은 중국풍으로 지은 정자이다.[2] 별서와 조금 떨어져 중국풍으로 지은 정자인 석파정이 있는데, 이 정자는 김흥근이 삼계동정사를 지을 당시에 지었다는 설도 있지만 아무런 기록이 없어 언제 지어졌는 지 불명확하다.[13]석파정 앞에는 원래 중국식으로 지은 별서가 한 채 더 있었다고 한다.[12] 현재 이 건물은 한식 요리집 켠으로 옮겨져 있으며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23호 석파정 별당으로 등록되어 있다.[14]
4. 현대적 이용
석파정은 현재 서울미술관 부대시설로 운영되며, 미술관 관람객에게 공개된다. 미술관 3층을 통해서 입장할 수 있다. 자가용 이용 시에는 서울미술관 지하 1, 2층을 이용할 수 있으며, 미술관 관람 시 주차는 무료이다.
운영 시간은 12:00~17:00이며, 입장 마감은 폐장 1시간 전까지이다. 휴관일은 매주 월요일이다. 운영 시간, 휴관일, 입장료 등 상세 정보는 서울미술관 홈페이지를 참고해야 한다.
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석파정
http://www.heritage.[...]
문화재청
[2]
웹사이트
흥선대원군 별서
http://www.seoulmuse[...]
서울미술관
2018-07-10
[3]
문서
서울특별시립미술관과 혼동하기 쉬우나 개인이 재원을 마련하여 운영하는 사설 미술관이다.
[4]
뉴스
대원군 별장 석파원 미술관 옷을 입다
http://www.hani.co.k[...]
한겨레
2012-08-22
[5]
뉴스
윤희철의 건축스케치 - 대원군을 유혹한 석파정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6-11-23
[6]
뉴스
물속에 울을 치고 구름으로 발을 친 집, 창의문 밖 도심의 별장형 별서 석파정(石波亭)
https://www.lafent.c[...]
조경신문
2014-05-16
[7]
뉴스
흥선 대원군 숨결 남아있는'석파정(石坡亭)'
https://www.ngonews.[...]
한국NGO신문
2015-12-26
[8]
뉴스
사설 - 대원군 별장을 미술관으로 꾸민 기업인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12-08-24
[9]
뉴스
흥선대원군 별장 석파정 경매에
http://www.hani.co.k[...]
한겨레
2006-01-10
[10]
뉴스
흥선대원군 별장, 석파정 경매 낙찰
http://www.hani.co.k[...]
한겨레
2006-01-13
[11]
웹사이트
서울에서 시간이 가장 느리게 가는 곳, 석파정
http://webzine.etri.[...]
ETRI 웹진
2018-07-10
[12]
뉴스
서울 한복판 양반들의 별장, 석파정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4-10-25
[13]
뉴스
서울투어 - 흥선대원군 별서 석파정을 거닐다.
http://www.sculturei[...]
서울문화IN
2017-04-08
[14]
뉴스
서울통신 - 석파정 별당, 진달래와 개나리의 향연
http://www.hansangne[...]
한인경제
2016-04-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