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록색난쟁이도마뱀붙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록색난쟁이도마뱀붙이는 탄자니아 동부의 킴보자숲 등 8km²의 좁은 지역에서만 발견되는 도마뱀붙이의 일종이다. 이들은 해발 170-480m 고도에 위치한 지역에서 멸종 위기종인 판다누스 라바이엔시스에서만 서식하며, 잎에 고인 물, 작은 곤충, 꽃꿀 등을 먹는다. 수컷은 밝은 파란색 몸통을, 암컷은 갈색 또는 녹색을 띠며, 기분과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한다. 이 종은 농경지 개간, 불법 벌목, 광물 채굴 등으로 인해 서식지가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으며, 애완동물 거래를 위한 밀렵도 주요 위협 요인으로 작용한다. 종명 'williamsi'는 미국의 파충류학자 어니스트 에드워드 윌리엄스를 기려 지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청록색난쟁이도마뱀붙이 | |
---|---|
기본 정보 | |
![]() | |
![]() | |
학명 | Lygodactylus williamsi |
명명자 | 러브릿지, 1952 |
![]() | |
멸종 위기 등급 (IUCN) | CR |
CITES 부속서 | CITES_A1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 |
강 | 파충류 |
목 | 뱀목 |
하목 | 도마뱀붙이하목 |
과 | 도마뱀붙이과 |
아과 | 도마뱀붙이아과 |
속 | 난쟁이도마뱀붙이속 |
종 | 청록색난쟁이도마뱀붙이 |
기타 | |
참고 자료 | http://www.reptile-care.de/species/Gekkota/Gekkonidae/Lygodactylus-williamsi.html https://www.livingartbyfrankpayne.com/_files/ugd/2b35ad_d4d3462b6ff24be9adbee93bc7a467d1.pdf https://www.livingartbyfrankpayne.com/product-page/lygodactylus-williamsi http://terrarianer.blogspot.de/2015/01/neuer-schutzstatus-fur-den-himmelblauen.html http://eur-lex.europa.eu/legal-content/EN/TXT/?uri=uriserv:OJ.L_.2017.027.01.0001.01.DEU&toc=OJ:L:2017:027:TOC http://ec.europa.eu/environment/cites/events_en.htm#cop17 https://cites.org/sites/default/files/eng/cop/17/CITES_CoP17_DECISIONS.pdf http://eur-lex.europa.eu/legal-content/EN/TXT/?qid=1484753629149&uri=CELEX:02012R0792-20150205 |
2. 분포
탄자니아 동부 울루구루산(:en:Uluguru Mountains) 기슭의 작은 언덕들에 위치한 킴보자숲(:en:Kimboza forest), 루부삼림보호구역, 음바갈랄라, 무할라마의 8 km² 에 불과한 영역에서만 발견된다.[27][11] 이 지역은 해발 170-480m 고도에 위치한다.[27][11]
킴보자숲삼림보호구역의 하위 개체군은 2009년에 성체 150,000 마리 정도로 추정되었다.[19][1] 다른 개체군들의 규모는 알 수 없지만, 전체 개체수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여겨지지는 않는다.[19][1] 보호구역 바깥에 아주 작은 두 서식지가 존재하는데, 하나는 바나나 플랜테이션(:en:Banana plantation)을 위한 개간에서 살아남은 14그루의 판단나무(:en:Pandanus)이며, 다른 하나도 소멸하기 일보직전이다.[28][12]
2. 1. 지리학적 범위
청록색난쟁이는 탄자니아 동부 울루구루산(:en:Uluguru Mountains) 기슭의 작은 언덕들에 위치한 킴보자숲(:en:Kimboza forest), 루부삼림보호구역, 음바갈랄라, 무할라마의 8 km² 에 불과한 영역에서만 발견된다.[27][11] 이 지역은 해발 170-480m 고도에 위치한다.[27][11]킴보자숲삼림보호구역의 하위 개체군은 2009년에 성체 150,000 마리 정도로 추정되었다.[19][1] 다른 개체군들의 규모는 알 수 없지만, 전체 개체수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여겨지지는 않는다.[19][1] 보호구역 바깥에 아주 작은 두 서식지가 존재하는데, 하나는 바나나 플랜테이션(:en:Banana plantation)을 위한 개간에서 살아남은 14그루의 판단나무(:en:Pandanus)이며, 다른 하나도 소멸하기 일보직전이다.[28][12]
3. 서식
청록색난쟁이는 야생에서는 오직 멸종위기종 목록에 올라가 있는[29] Pandanus rabaiensis[26]에서만 서식하며 주로 잎무리 속에서 지낸다. 이 녀석들은 잎무리의 크기가 1m가 넘어가는 큰 나무에서만 산다.[30] 대개 잎무리 하나에 성체 하나, 또는 성체 암수 한 쌍, 또는 유체들이 서식하며[30] 이파리에 고인 물, 작은 곤충이나 꽃꿀을 먹는다. 야생에서, 청록색난쟁이도마뱀붙이는 (적색 목록에 등재된 고유종)[13] Pandanus rabaiensis[10], 특히 잎의 왕관 부분에서만 서식한다. 이 도마뱀붙이는 길이가 1m 이상인 큰 나무에서만 산다.[14] 하나의 잎 왕관에는 일반적으로 한 개체, 또는 성체 수컷, 성체 암컷, 그리고 어린 개체가 산다.[14] 작은 곤충과 과일을 먹고 잎에서 물을 마신다. 또한 넥타를 즐겨 먹는다.
3. 1. 서식지 감소
청록색난쟁이도마뱀붙이의 서식지는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31][19][30] 애완동물 거래를 위한 밀렵은 서식지 파괴보다도 치명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26][10] 밀렵꾼들은 도마뱀붙이를 잡기 위해 판단나무를 베어내는데, 이는 서식지 파괴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26][10] 또한, 배를 통해 시장으로 운송되는 과정에서 많은 도마뱀붙이가 죽는 것으로 추정된다.[26][10]농경지를 확장하기 위한 개간, 불법 벌목, 잦아지는 산불도 서식지 감소의 주요 원인이다.[19][1] 루비, 토르말린, 로돌라이트, 금, 석회암과 같은 광물 채굴 역시 서식지를 파괴하고 있다.[30][19][14] 참죽나무속과 같은 침입종 나무도 서식지를 위협하는 요소 중 하나이다.[30][14] 이러한 요소들의 영향을 받지 않은 구역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31][15]
4. 외양
수컷은 밝은 파란색 몸통에 검은색 목주름, 항문 앞 구멍, 한 쌍의 반음경이 툭 튀어나와있다.[32] 암컷은 갈색에서 밝은 초록색을 띠며, 목에 검은색 무늬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32] 푸른빛이 도는 암컷도 존재하여 아성체나 서열이 낮은 수컷과 헷갈릴 수 있다. 암수 모두 배는 주황색 또는 노란색이며,[32] 개체의 기분과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한다. 수컷은 검은색이나 회색에서 밝은 하늘색까지, 암컷은 짙은 갈색에서 군데군데 하늘색을 띄는 밝은 녹색까지 색상을 띌 수 있다.[32] 성체의 주둥이-항문 길이는 5-8cm에 달한다.
CITES가 난쟁이도마뱀붙이류 식별 가이드를 주로 세관원을 위해 온라인으로 배포했다.[32] 이 녀석들을 불법으로 선적할 때는 대개 의도적으로 잘못된 꼬리표를 붙이는데, 세관원들이 쉽게 속아넘어가기 때문에 조치를 취한 것이다.[30]
4. 1. CITES 식별 가이드
5. 습성
청록색난쟁이도마뱀붙이는 난쟁이도마뱀붙이속, 낮도마뱀붙이속에 속한 모든 도마뱀붙이처럼 주행성이다.[30][14] 용감하고, 활동적이고, 사회성이 높다. 수컷은 영역을 지키는 성향이 있으며, 대개 자기 영역에 다른 수컷이 존재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30] 옆구리 납작하게 하기, 목주름 부풀리기, 머리 흔들기, 머리 까딱거리기, 꼬리 흔들기 등의 사회적인 몸짓이 있다.[30][14]
6. 번식
수컷은 옆구리를 납작하게 하고, 인두낭을 부풀리고, 머리를 끄덕이는 행동으로 암컷에게 구애한다. 교미 후 2~3주 후에 암컷은 1~2개의 완두콩 크기의 흰색, 단단한 껍질을 가진 알을 낳으며, 안전하고 숨겨진 장소의 표면에 붙인다. 알은 60~90일 후에 부화한다.
7. 어원
종명 ''williamsi''는 영국의 동물학자 아서 러브릿지[33]가 미국의 파충류학자 어니스트 에드워드 윌리엄스(:en:Ernest Edward Williams)를 기려 지은 것이다.[34][17][18]
참조
[1]
간행물
"''Lygodactylus williamsi''"
2012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웹사이트
Lygodactylus williamsi
http://www.reptile-c[...]
[4]
웹사이트
Lygodactylus williamsi Care Sheet
2015-09
[5]
웹사이트
Electric Blue Gecko (Lygodactylus williamsi)
2017
[6]
저널
"''Neuer Schutzstatus für den Himmelblauen Zwergtaggecko'' (Lygodactylus williamsi)"
http://terrarianer.b[...]
[7]
웹사이트
EU Appendix A inclusion
http://eur-lex.europ[...]
2017-02-01
[8]
웹사이트
Seventeen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 Johannesburg (South Africa), 24 September - 5 October 2016
http://ec.europa.eu/[...]
2016-04-26
[9]
웹사이트
CITES Appendix 1 inclusion
https://cites.org/si[...]
2016-12-16
[10]
웹사이트
EU documentation requirements for listed species
http://eur-lex.europ[...]
[11]
저널
"Watching extinction happen: the dramatic population decline of the critically endangered Tanzanian Turquoise Dwarf Gecko, ''Lygodactylus williamsi ''"
http://www.salamandr[...]
[12]
문서
Review of Lygodactylus williamsi.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World Conservation Monitoring Centre
2013-11
[13]
문서
Reasons to feel blue
Zooquaria
2013
[14]
간행물
"''Pandanus rabaiensis''"
2009
[15]
문서
CITES Proposal for inclusion
https://cites.org/si[...]
[16]
저널
The Uluguru Mountains of eastern Tanzania: the effect of forest loss on biodiversity
[17]
문서
"How to Identify ''Lygodactylus williamsi'': A photographic Guide to the Turquoise Dwarf Gecko"
2011
[18]
문서
A startlingly turquoise-blue gecko from Tanganyika
"Journal of the East African Natural History Society'' '''20"
1952
[19]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1
[20]
간행물
"''Lygodactylus williamsi''"
http://www.iucnredli[...]
IUCN
2012
[21]
URL
http://www.reptile-care.de/species/Gekkota/Gekkonidae/Lygodactylus-williamsi.html
[22]
저널
"''Neuer Schutzstatus für den Himmelblauen Zwergtaggecko'' (Lygodactylus williamsi)"
http://terrarianer.b[...]
2018-10-24
[23]
웹인용
EU Appendix A inclusion
http://eur-lex.europ[...]
2017-02-01
[24]
웹인용
Seventeen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 Johannesburg (South Africa), 24 September - 5 October 2016
http://ec.europa.eu/[...]
2016-04-26
[25]
웹인용
CITES Appendix 1 inclusion
https://cites.org/si[...]
2016-12-16
[26]
웹인용
EU documentation requirements for listed species
http://eur-lex.europ[...]
[27]
저널
"Watching extinction happen: the dramatic population decline of the critically endangered Tanzanian Turquoise Dwarf Gecko, ''Lygodactylus williamsi''"
http://www.salamandr[...]
2018-10-24
[28]
문서
Review of Lygodactylus williamsi.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World Conservation Monitoring Centre
2013-11
[29]
문서
Reasons to feel blue
Zooquaria
2013
[30]
URL
IUCN Redlist entry for ''Pandanus rabaiensis''
http://www.iucnredli[...]
[31]
문서
CITES Proposal for inclusion
https://cites.org/si[...]
[32]
저널
The Uluguru Mountains of eastern Tanzania: the effect of forest loss on biodiversity
[33]
문서
"TRAFFIC 2011. How to identify ''Lygodactylus williamsi'': A photographic guide to the turquoise dwarf gecko"
[34]
문서
A startlingly turquoise-blue gecko from Tanganyika.
"Journal of the East African Natural History Society'' '''20"
1952
[35]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