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마뱀붙이하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마뱀붙이하목은 인룡상목에 속하는 파충류 분류군으로, 7개의 과에 약 120속 1600종이 속한다. 대한민국에서는 명칭과 관련하여 '도마뱀부치'와 '도마뱀붙이'가 혼용되어 사용되다가 '도마뱀붙이'가 표준어로 등록되었다. 도마뱀붙이하목은 뱀붙이도마뱀군과 도마뱀붙이군으로 나뉘며, 중생대 화석은 아시아에서, 신생대 화석은 유럽에서 주로 발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르주 퀴비에가 명명한 분류군 - 망둑어과
    망둑어과는 전 세계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좌우 배지느러미가 합쳐진 흡반과 독특한 번식 전략이 특징인 농어목의 저서어류로, 식용이나 관상어로 이용되기도 하며 일부 종은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조르주 퀴비에가 명명한 분류군 - 놀래기과
    놀래기과는 베라과에 속하는 어류로,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돌출 가능한 입과 턱니, 두꺼운 입술이 특징이고 육식성이며, 한국에서는 식용, 낚시 대상, 청소 물고기로 이용되기도 한다.
도마뱀붙이하목 - [생물]에 관한 문서
야모리하목
토케이도마뱀붙이
화석 범위
동물계
척삭동물문
파충강
뱀목
하목도마뱀붙이하목

2. 명칭 혼선 (대한민국)

도마뱀붙이류는 처음에 '도마뱀부치'라는 이름으로 소개되었으나, 이후 '도마뱀붙이'로 변경되었다. 2011년 환경부의 자연환경조사를 토대로 공공부처와 환경부에서는 '도마뱀부치'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지만,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도마뱀붙이'가 표준어로 등록되어 있다. '-붙이'는 '어떤 물건에 딸린 같은 종류'라는 뜻을 더하는 접미사인데, 하늘소붙이과, 뱀잠자리붙이과 등과 같이 '-붙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굳이 '-부치' 형태를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7] 국립생물자원관 웹페이지에는 도마뱀붙이의 정식 명칭은 '도마뱀붙이'로, '도마뱀부치'는 이명으로 등록되어 있다.[8]

2. 1. '도마뱀붙이'와 '도마뱀부치' 논란

도마뱀붙이류는 처음에는 '도마뱀부치'라는 이름으로 소개되었지만, 이후 '도마뱀붙이'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2011년 환경부의 자연환경조사를 토대로 공공부처와 환경부에서는 '도마뱀부치'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도마뱀붙이'가 표준어로 등록되어 있다. 한편 '붙이다'는 '봉투에 우표를 붙이다'와 같이, '부치다'는 '편지나 물건 따위를 일정한 수단이나 방법을 써서 상대에게로 보내다'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붙이'는 '어떤 물건에 딸린 같은 종류'라는 뜻을 더하는 접미사이며, '-부치'는 16세기에 쓰인 '-붙이'의 원형이자 이표기로 인정된다.[7] 하늘소붙이과, 뱀잠자리붙이과, 방아벌레붙이과, 사마귀붙이과 등 대부분 '붙이'를 사용하고 있어, 굳이 '-부치' 형태를 써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국립생물자원관 웹페이지에는 도마뱀붙이가 정식 명칭으로, '도마뱀부치'는 이명으로 등록되어 있다.[8]

2. 2. 국립생물자원관의 입장

국립생물자원관 웹페이지에는 도마뱀붙이의 정식 명칭은 '도마뱀붙이'로, '도마뱀부치'는 이명으로 등록되어 있다.[8]

3. 하위 분류

도마뱀붙이하목은 7개 과로 이루어져 있으며,[9][10][11][12][13] 2개의 상과, 약 120속 1600종을 포함한다.[1][2]

3. 1. 과 목록

도마뱀붙이하목에는 7개 과가 있다.[9][10][11][12][13]

상과
Pygopodoidea돌도마뱀붙이과 (Diplodactylidae)25130
뱀붙이도마뱀과 (Pygopodidae)744
눈그늘도마뱀붙이과 (Carphodactylidae)730
Gekkonoidea표범도마뱀붙이과 (Eublepharidae)630
땅딸이도마뱀붙이과 (Sphaerodactylidae)약 12210
잎가락도마뱀붙이과 (Phyllodactylidae)10134
도마뱀붙이과 (Gekkonidae)약 551000



2개의 상과 7개의 과[1][2]에 약 120속 1600종이 속한다.

3. 2. 종 수 (일본어 위키백과 참고)

2개의 상과 7개의 과[1][2]에 약 120속 1,600종이 속한다.

  • Pygopodoidea
  • * 이시야마과(Diplodactylidae) - 25속 130종
  • * 다리도마뱀과(Pygopodidae) - 7속 44종
  • * 카르포다일루스과(Carphodactylidae) - 7속 30종
  • Gekkonoidea
  • * 눈꺼풀도마뱀과(Eublepharidae) - 6속 30종
  • * 난쟁이도마뱀붙이과(Sphaerodactylidae) - 약 12속 210종
  • * 부채발도마뱀붙이과(Phyllodactylidae) - 10속 134종
  • * 도마뱀붙이과(Gekkonidae) - 약 55속 1,000종

4. 계통 분류

2013년 피론(Pyron, R.A.) 등의 연구[14]와 다른 연구[3]에 기초한 계통 분류에 따르면, 도마뱀붙이하목은 두발도마뱀과를 제외한 다른 유린목의 자매군이다.

4. 1. 계통도

다음은 2013년 피론(Pyron, R.A.)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14]
뱀붙이도마뱀군
* 돌도마뱀붙이과
* 뱀붙이도마뱀과
* 눈그늘도마뱀붙이과
도마뱀붙이군
* 표범도마뱀붙이과
* 도마뱀붙이상과
** 땅딸이도마뱀붙이과
** 잎가락도마뱀붙이과
** 도마뱀붙이과
밤도마뱀과
장갑도마뱀과
갑옷도마뱀과
도마뱀과
채찍꼬리도마뱀과
안경도마뱀과
지렁이도마뱀류
* 플로리다지렁이도마뱀과
* 멕시코지렁이도마뱀
* 지중해지렁이도마뱀
* 쿠바지렁이도마뱀
* 트로고노피스과
* 지렁이도마뱀과
장지뱀과

  • ** Toxicofera

무족도마뱀류
이구아나류
뱀아목

다음과 같은 계통수가 얻어졌다.[3]

도마뱀붙이하목 자체는 두발도마뱀과를 제외한 다른 유린목의 자매군이 된다.

5. 화석 기록 (일본어 위키백과 참고)

중생대 화석은 주로 아시아에서, 신생대 화석은 주로 유럽에서 산출된다. 현생 과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지는 화석 속은 다음과 같다.[1]

5. 1. 화석 분포

중생대 화석은 주로 아시아에서, 신생대 화석은 주로 유럽에서 산출된다. 현생 과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지는 화석 속은 다음과 같다.[1]

산출지지질 시대
Cretaceogekko미얀마백악기 전기
Hoburogekko고비 사막백악기 전기
Gobekko고비 사막백악기 후기
Laonogekko프랑스시신세
Rhodanogekko프랑스시신세
Cadurcogekko프랑스시신세 ~ 점신세


5. 2. 주요 화석 속

중생대 화석은 주로 아시아에서, 신생대 화석은 주로 유럽에서 산출된다. 현생 과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지는 화석 속은 다음과 같다.[1]

속(屬) 이름발견 지역지질 시대
Cretaceogekko|크레타케오게코la미얀마백악기 전기
Hoburogekko|호부로게코la고비 사막백악기 전기
Gobekko|고베코la고비 사막백악기 후기
Laonogekko|라오노게코la프랑스시신세
Rhodanogekko|로다노게코la프랑스시신세
Cadurcogekko|카두르코게코la프랑스시신세 ~ 점신세


참조

[1] 논문 On the fossil record of the Gekkota
[2] 웹사이트 次世代ミトコンドリアゲノミクスによるヤモリ類の系統解析 https://kaken.nii.ac[...]
[3] 논문 A phylogeny and revised classification of Squamata, including 4161 species of lizards and snakes
[4] 웹인용 Infraorder GekkotaInfraorder Gekkota (blind lizards, geckos, and legless lizards) http://animaldiversi[...] The Animal Diversity Web (online) 2009-04-04
[5] 문서 Molecular phylogenetics of Squamata: The position of snakes, amphisbaenians, and dibamids, and the root of the squamate tree.
[6] 문서 The phylogeny of squamate reptiles (lizards, snakes, and amphisbaenians) inferred from nine nuclear protein-coding genes.
[7] 웹인용 https://ko.dict.nave[...] 2020-01-20
[8] 웹인용 한국의 멸종위기종 https://species.nibr[...] 2020-01-20
[9] 문서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gekkotan lizards inferred from c-mos nuclear DNA sequences and a new classification of the Gekkota.
[10] 문서 Out of the blue: A novel, trans-Atlantic clade of geckos (Gekkota, Squamata).
[11] 문서 Evidence for Gondwanan vicariance in an ancient clade of gecko lizards.
[12] 문서 Coming to America: Multiple Origins of New World Geckos.
[13] 문서 Repeated origin and loss of adhesive toepads in geckos. http://www.plosone.o[...]
[14] 저널 http://www.biomedc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