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단은 고려 말, 조선 초의 인물로, 1380년 요동 정세를 정탐하는 데 참여했고, 위화도 회군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다. 그는 안동도원수겸 부사, 한양윤, 판자혜부사 등을 역임했으며, 조선 개국 후 개국원종공신과 회군공신에 책록되었다. 최단은 경주 최씨 광정공파의 파조이며, 그의 가계와 관련된 기록은 《영가지》, 《우락재실기》, 《경주최씨족보》 등에 남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주 최씨 - 최교일
최교일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으로, 검사로 임관하여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장, 법무부 검찰국장 등을 거쳐 변호사로 개업 후 제20대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법률 관련 주요 직책을 맡았으나, 성추문 은폐 및 스트립바 방문 강요 논란, 세비 반납 공약 파기 논란 등에 휩싸였다. - 경주 최씨 - 효정
최효정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이며 걸그룹 오마이걸의 리더로, 오마이걸 데뷔 후 다양한 음반 활동, 유닛 활동, OST 참여, 예능 프로그램 출연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고 있다. - 고려의 무신 - 태조 (조선)
고려 말 무신으로서 위화도 회군을 통해 정권을 장악하고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는 뛰어난 리더십으로 국가의 기틀을 다졌으나, 왕위 계승 갈등으로 인해 상왕으로 물러났다. - 고려의 무신 - 완풍대군
완풍대군 이원계는 고려 말 무신이자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위화도 회군에 반대하다 사망 후 대군으로 추봉되었으며 홍건적과 왜구 격퇴에 공을 세워 완산군에 봉해졌고 조선 개국 후 완산백에 추봉, 여러 사당에 배향되었다. - 조선의 공신 - 정기원 (1559년)
정기원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1585년 문과 급제 후 임진왜란 때 사은사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정유재란 남원성 전투에서 순절하여 예조판서에 추증되고 충렬사에 배향, 시호는 충의이며 저서로 《현산집》, 《현산실기》가 있다. - 조선의 공신 - 윤곤
윤곤은 고려 말 문과에 급제하여 조선 건국 후 완산부윤, 대장군 등을 지냈고, 제2차 왕자의 난에 이방원을 도와 공신이 되었으며, 명나라 사신, 의정부 참찬, 이조판서를 역임한 문신, 무신, 정치인, 외교관이다.
최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최단 |
원어 이름 | 崔鄲 |
작위 | 고려의 판사 |
재임 기간 | 1380년 ~ ? |
군주 | 고려 우왕 |
군주 칭호 | 국왕 |
작위2 | 고려의 밀직부사 |
재임 기간2 | ? ~ 1384년 |
군주2 | 고려 우왕 |
군주 칭호2 | 국왕 |
작위3 | 고려의 안동도원수 겸 부사 |
군주3 | 고려 우왕 |
군주 칭호3 | 국왕 |
재임 기간3 | 1387년 ~ 1388년 |
작위4 | 고려의 한양윤 |
재임 기간4 | 1390년 ~ ? |
군주4 | 고려 공양왕 |
군주 칭호4 | 국왕 |
성별 | 남성 |
국적 | 고려 → 조선 |
가문 | 경주 최씨 |
호 | 명암(明菴) |
아버지 | 최호(崔澔) |
자녀 | 최재전(崔在田), 최재원(崔在源) |
시호 | 광정(匡靖) |
군사 경력 | |
복무 | 고려군 |
계급 | 안동원수 |
참전 | 위화도회군(개경 전투) |
서훈 | 회군공신, 개국원종공신 |
2. 생애
《고려사》에 따르면 최단은 1380년(우왕 6년) 판사(判事)로서 부정 안천길(安天吉)과 함께 서북면에 파견되어 요동의 정세를 정탐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밀직부사로 재직하던 1384년에는 최영의 요청으로 당시 우왕의 미움을 받아 파직당한 문달한(文達漢)의 죄를 용서해 줄 것을 건의하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 최영과 함께 순군옥(巡軍獄)에 갇히기도 하였다.
1387년에는 광정대부(匡靖大夫)로서 안동도원수 겸 부사(府使)로 임명되었다. 1608년 서애 유성룡의 지시로 한강 정구 등이 편찬한 안동 지역 사료인 《영가지(永嘉誌)》에는 崔鄲 安東道元帥兼府事. 匡靖洪武丁卯赴戊辰遞.zho라고 기록되어 있다.[2] 여기서 광정은 광정대부, 홍무는 명 태조 주원장의 연호이며, 정묘(1387년)부터 무진(1388년)까지 재임했음을 의미한다.
1388년 요동정벌이 단행될 때 안동원수(安東元帥)로서 좌군도통수 조민수(曺敏修)의 휘하로 출정하였으며, 이후 이성계 등이 주도한 위화도회군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다. 같은 해 5월 회군 후에는 다시 안동도원수 겸 부사로 부임하여 경상도순문사 박위(朴葳)와 함께 상주 중모현에서 왜구를 소탕하였다.
1390년(공양왕 2년)에는 한양윤(漢陽尹)을 거쳐 판자혜부사(判慈惠府事)가 되었으며, 무진년에 있었던 위화도 회군의 공을 인정받아 회군공신에 녹훈되었다고 《고려사》는 기록하고 있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1392년 조선이 건국되자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책록되었다. 이듬해인 1393년(태조 2년)에는 태조가 위화도회군에 공을 세운 이들을 다시 포상했을 때 회군공신 3등(10명 중 한 명)에 책록되었다.
3. 가계
자부 : 해안백씨(解顔白氏), 선무랑 장흥고부사 백호(白湖)의 딸
* 손자 : 최맹연(崔孟淵)[3], 맹산현감
** 손부 : 숙인(淑人) 응천박씨, 평창백씨
*** 증손자 : 최한(崔澣), 한성참군
*** 증손자 : 최식(崔湜), 호 한계(寒溪), 사직
*** 증손자 : 최유(崔洧), 창신교위
*** 증손자 : 최징(崔澄), 호 월호(月湖), 진사(1513년 식년시), 증 예조판서
* 손자 : 최중연(崔仲淵), 감찰
* 손자 : 최계연(崔季淵)
손자 : 최일(崔鎰)
4. 관련 기록
최단은 경주최씨 광정공파의 파조이다.
최단에 대한 기록은 여러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다. 가장 이른 시기의 기록 중 하나는 정몽주(鄭夢州)가 1380년 밀직사제학 벼슬을 받은 후 둔촌 이집(遁村 李集)에게 보낸 답장인 《포은집(圃隱集)》에 나온다. 글 말미에는 "崔鄲之女之母族 亦眞兩班也 余聞之三寸李敬之判書."[6] (최단의 딸의 모족 또한 진정한 양반이다. 내가 삼촌 이경지 판서에게 들었다.)라는 구절이 있어, 최단의 존재와 당시 사회적 위치를 짐작하게 한다. 이 글은 정몽주의 유필이자 양반을 언급한 역사적 기록으로도 인용된다.
17세기 초 기록으로는 우락재(憂樂齋) 최동보(崔東輔, 1560~1625)의 <우락재실기(憂樂齋實記)>가 있다. 임진왜란 때 공산관군장을 지낸 최동보는 이 책에 자신의 아버지 신와공(愼窩公) 최겸(崔謙, 1539~?)의 유사(遺事)를 남겼는데, 여기서 최겸을 "옛 병조판서 휘 단(鄲)의 7세손"이라고 명확히 밝히고 있다.[4]
17세기 후반의 보학자 조종운(趙從耘, 1607~1683)이 편찬한 《씨족원류》에도 경주최씨 최단의 계보가 기록되어 있다. 《씨족원류》 부전(附箋) 867쪽 경주최씨 편에는 최단(崔鄲)의 방주에 [광정(匡靖), 판자혜부사(判慈惠府事) 겸 판한남윤(判漢南尹), 개국원종공신(開國元從功臣), 회군공신(回軍功臣), 판사(判事)] 등이 적혀 있으며, 아들 재전(在田)부터 고손자 연수, 담수, 창수, 영수(延壽, 潭壽, 昌壽, 永壽)까지 5대에 걸친 계보가 실려 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경주최씨족보》인 정유보(丁酉譜, 1777년)[5]는 《씨족원류》의 기록과 대체로 일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정유보에는 최단(崔鄲)이 <개국일등공신(開國一等功臣), 자헌대부 병조판서(資憲大夫 兵曺判書)>로 기록되어 있다.
또한 정유보에 따르면 최단은 청하후(淸河侯) 최승로(崔承老)의 7세손이자 합문지후 수운파(閤門祗侯 峀雲派)의 후손이며, 조부는 최수운(崔峀雲)이다. 정유보에는 고려사 기록과 연결되는 최은함(崔殷含)-최승로(崔承老)-최숙(崔肅)-최제안(崔齊顔)-최계훈(崔繼勳)의 상계(上系)와 더불어, 최수운(崔峀雲)-최호(崔澔)-최단(崔鄲)-최재전(崔在田)-최맹연(崔孟淵)-최유(崔洧) 및 그 후손들의 파보가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안동선생안(安東先生案)
https://db.history.g[...]
[2]
서적
영가지(永嘉誌)
http://yoksa.aks.ac.[...]
1608
[3]
문헌
사가집(四佳集)
https://db.itkc.or.k[...]
[4]
서적
내가 겪은 임진왜란(憂樂齋實記 원본 역문)
중문출판사
[5]
문서
소장자 최호철(崔浩鐵)
[6]
문헌
포은집
https://db.itkc.or.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