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추필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춘추필법은 칭찬이나 비판의 의도를 담아 단어 선택을 신중하게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특히 '죽이다'와 같은 단어의 미묘한 차이를 통해 사건에 대한 평가를 드러내는 것이 특징이다. 맹자의 예를 통해 춘추필법이 군주의 행위에 대한 도덕적 판단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국 역사 서술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객관성 문제와 역사가의 주관 개입에 대한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완곡어법 - 위안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에 의해 성적 노예로 강제 동원된 여성들을 일컫는 '위안부'는 일본군 공식 문서에도 사용된 용어이나, 국제적으로는 "일본군 성노예"로 불리며, 한국과 중국 출신 여성들이 주로 피해를 입었고, 성병 감소 및 군 기강 유지 목적에도 불구하고 극심한 성적 학대와 비인간적인 대우가 자행되었으며, 한일 관계의 주요 쟁점으로 남아 국제적인 비판을 받고 있다. - 완곡어법 - 깊은 잠
《깊은 잠》은 레이먼드 챈들러의 하드보일드 탐정 소설로, 사립 탐정 필립 말로가 부유한 가문의 사건들을 해결하며 부패한 사회를 드러내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 사학사 - 역사학
역사학은 과거의 사건과 기록을 연구하며 역사 서술의 변화하는 해석을 탐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법론과 관점을 통해 발전해 왔다. - 사학사 - 존더베크
존더베크 이론은 독일 근대화가 다른 유럽 국가들과 달리 늦은 산업화, 반민주적 엘리트, 바이마르 공화국 불안정, 나치즘 등장 등의 특수성을 보이며 전개되었다는 이론으로, 초기에는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나 나치즘 이후 부정적 의미를 갖게 되었고, 현재는 독일 역사 복잡성을 단순화한다는 비판과 유럽 근대화 과정에서 독일 경험의 특수성에 대한 반박이 제기되고 있다. - 유교 - 사대부
사대부는 중국에서 유래하여 학자적 관료 또는 관료적 학자를 의미하며 한국에서는 현직 또는 퇴직 관리와 그들의 혈연 관계에 있는 계층을 지칭하며 고려 말부터 조선 시대에 걸쳐 성리학을 바탕으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한 학자 관료 계층이다. - 유교 - 이여빈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의병장, 학자인 이여빈은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켰고, 광해군 때 이이첨과 김개시를 탄핵하고 인목대비 폐모론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리는 등 강직한 성품을 드러냈으며, 관직에서 물러난 후에는 후학 양성과 《영주지》 편찬에 힘썼다.
춘추필법 | |
---|---|
춘추필법 | |
정의 | 공자가 춘추를 지으면서 사용한 특유의 서술 방식으로, 역사적 사실을 주관적으로 해석하고 윤리적 판단을 담아 표현하는 방식 |
특징 | |
목적 | 난신적자에게 두려움을 알게 하는 것 |
서술 방식 | 간결한 문장 은미한 비판 칭찬과 비난을 명확히 드러내지 않음 |
예시 | 주천자가 종후의 화살에 상했음 노나라의 은공·소공 등이 살해당하고 쫓겨났음 |
영향 | |
역사 서술 | 공구의 편견이 역사가의 버릇이 됨 |
사가 | 신채호는 사마천을 공자 춘추의 존화양이, 상내략외, 위국휘치 등의 주의를 견수하던 완유라고 비판 |
평가 | |
긍정적 평가 | 춘추필법은 난신적자에게 두려움을 알게 함 |
부정적 평가 | 포미(褒美)하고 미워하는 말이 같아서 후인이 그 뜻을 측량할 수 없게 함 높은 이와 친한 이의 욕됨을 꺼려 숨김 |
2. 춘추필법의 정의와 특징
2. 1. 용어 선택의 중요성
2. 1. 1. 예시: "죽이다"의 다양한 표현
"춘추필법" 사용의 잘 알려진 예는 칭찬 또는 비판을 암시하기 위해 단일 문자에 내포된 미묘한 함축이다. 예를 들어, "죽이다"를 나타내는 세 가지 동사—sha/杀중국어, '''shi/弑중국어''', '''zhu/诛중국어'''—는 각각 더 깊은 의미를 지닌다. sha/杀중국어는 무고한 사람을 죽이는 것을 의미하고, shi/弑중국어는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죽이거나 신하가 임금을 죽이는 패륜적인 행위를, zhu/诛중국어는 죄가 있는 사람을 정당하게 처벌하는 것을 의미한다.맹자의 "양혜왕 하" 제8장에서는 제나라 선왕이 주나라 무왕의 상나라 주왕 정벌에 대해 "신하가 임금을 죽이는 것이 가한 일입니까?"라고 묻는다. 여기서 선왕은 무왕의 반란과 그에 따른 주왕의 죽음을 언급한다. 맹자는 "인간성을 해치는 사악한 자는 한낱 고독한 개인일 뿐입니다. 저는 주라는 이름의 범죄자를 처벌했다는 말은 들었지만, 역린이라는 말은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라고 대답한다. 이는 주왕의 행위가 그를 정당한 군주로 간주할 자격이 없게 만들었고, 따라서 무왕의 행동을 "shi/弑중국어" (역린)가 아닌 "zhu/诛중국어" (유죄자를 처벌)로 정당화한다.
2. 2. 미묘한 의미 차이 활용
2. 2. 1. 맹자의 예시
맹자의 "양혜왕 하" 제8장에서 제나라 선왕이 주나라 무왕의 주왕 정벌에 대해 "신하가 임금을 죽이는 것이 가한 일입니까?"라고 묻는다. 여기서 선왕은 무왕의 반란과 그에 따른 주왕의 죽음을 언급한다. 맹자는 "인간성을 해치는 사악한 자는 한낱 고독한 개인일 뿐입니다. 저는 주라는 이름의 범죄자를 처벌했다는 말은 들었지만, 역린이라는 말은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라고 대답한다. 이는 주왕의 행위가 그를 정당한 군주로 간주할 자격이 없게 만들었고, 따라서 무왕의 행동을 "弑"(시, 역린/弑중국어)가 아닌 "诛"(주, 유죄자를 처벌/誅중국어)로 정당화한다. 이는 단어 선택을 통해 역사적 사건에 대한 평가를 내리는 춘추필법의 전형적인 예시를 보여준다.3. 춘추필법의 영향과 한국사에서의 의의
3. 1. 한국 역사 서술에서의 춘추필법
4. 춘추필법에 대한 비판적 시각
4. 1. 객관성 문제
4. 2. 역사가의 주관 개입
4. 3. 현대 역사학의 관점
참조
[1]
서적
《這才是真實的滿洲史——中日滿糾纏不已的「東北」如何左右近代中國》
Eight Banners culture
[2]
서적
《现代汉语词典》第7版
[3]
서적
《漢書·藝文志》
[4]
서적
《朱子五经语类·统论经义》
[5]
서적
홍재전서 권122
http://db.itkc.or.kr[...]
[6]
서적
조선사연구초
https://ko.wikisourc[...]
[7]
서적
조선상고사
https://ko.wikisourc[...]
[8]
서적
동사강목
http://db.itkc.or.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