츠베탄 토도로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츠베탄 토도로프는 불가리아에서 태어나 프랑스에서 활동한 기호학자, 문학 평론가, 철학자이다. 소피아 대학교에서 문헌학 석사 학위를 받고, 파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러시아 형식주의와 구조주의를 프랑스에 소개했으며, 문학 이론과 철학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진행했다. 주요 저서로는 《환상문학서설》, 《미하일 바흐친: 대화 원리》, 《아메리카 정복: 타자의 문제》 등이 있으며, 1991년에는 《역사의 도덕》으로 루소상을 수상했다. 2017년 7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가리아의 기호학자 - 쥘리아 크리스테바
쥘리아 크리스테바는 불가리아 출신의 프랑스 철학자, 기호학자, 정신분석학자, 소설가로, 기호계, 상징계, 혐오 등의 개념을 제시하고 포스트구조주의 비평에 정신분석적 접근 방식을 적용했으며, 프랑스 페미니즘의 주요 이론가로 평가받는다.
츠베탄 토도로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Цветан Тодоров (불가리아어) |
출생 | 1939년 3월 1일 |
출생지 | 소피아, 불가리아 왕국 |
사망 | 2017년 2월 7일 (향년 77세) |
국적 | 프랑스, 불가리아 |
학력 | |
모교 | 소피아 대학교, 파리 대학교 |
가족 | |
배우자 | 마르틴 반 부르켄스 (결혼 ??, 이혼 ??) 낸시 휴스턴 (결혼 1981년, 이혼 2014년) |
자녀 | 3명 (딸 레아 토도로프 포함) |
수상 | |
수상 내역 | CNRS 동메달 도덕 및 정치 과학 아카데미의 샤를 레베크 상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모주앙 상 아스투리아스 공상 사회 과학 부문 예술 문화 훈장 오피시에 |
철학적 배경 | |
시대 | 현대 철학 |
지역 | 서양 철학 |
학파/전통 | 대륙 철학, 구조주의 |
주요 관심사 | 문학 비평 |
주요 사상 | 환상 |
영향 | 막스 베버 레오 스트라우스 칼 포퍼 레몽 아롱 한나 아렌트 아이제이아 벌린 루이 뒤몽 위르겐 하버마스 뤼크 페리 |
2. 생애
1939년 소피아에서 태어나, 소피아 대학교 졸업 후 1963년부터 프랑스에서 활동하며 롤랑 바르트에게 기호학을 배웠다.[1][2]
1965년 『문학 이론 - 러시아 형식주의 논집』을 편역하여 러시아 형식주의를 프랑스에 소개했고, 1967년 『소설의 기호학 - 문학과 의미 작용』을 발표하여 구조주의 문학 연구의 선구자가 되었다. 1973년 프랑스로 귀화했으며, 제라르 쥐네트 등과 국제 시학 연구지 『포에티크』의 편집 위원을 맡았다.
파리 제7대학교를 거쳐 프랑스 국립 과학 연구 센터 예술·언어 연구 센터에 소속되었고, 1991년 『역사의 도덕』으로 루소상을 수상했다.
2017년 사망했다.[1]
2. 1. 초기 생애
츠베탄 토도로프는 1939년 3월 1일 불가리아 소피아에서 태어났다.[1][2] 1963년 소피아 대학교에서 문헌학 석사 학위를 받았고, 1966년 파리 대학교에서 3단계 박사 학위(Ph.D.에 해당)를, 1970년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2. 2. 학문 활동
토도로프는 1968년 프랑스 국립 과학 연구 센터(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의 연구 책임자로 임명되었다.[2] 1970년에는 저널 ''Poétique'' 창간을 도왔고, 1979년까지 편집장을 역임했다. 구조주의 문학 평론가 제라르 제네트와 함께 1987년까지 에디시옹 드 세유에서 출판한 문학 이론에 관한 책 시리즈인 ''Collection Poétique''를 편집했다. 그는 하버드, 예일, 컬럼비아 및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를 포함한 여러 미국 대학에서 객원 교수를 역임했다.1965년에 편역한 『문학 이론 - 러시아 형식주의 논집』으로 러시아 형식주의를 프랑스에 본격적으로 소개했다. 1967년에는 『소설의 기호학 - 문학과 의미 작용』을 발표하여 구조주의적 문학 연구의 선구적 존재가 되었다. 제라르 쥐네트 등과 함께 국제 시학 연구지 『포에티크』의 편집 위원을 맡았다. 파리 제7대학교를 거쳐, 프랑스 국립 과학 연구 센터의 예술·언어 연구 센터에 소속되었다. 1991년, 『역사의 도덕』으로 루소상을 수상했다.
토도로프는 ''환상 문학 입문''(1970)에서 환상적인 것, 환상적인 초자연성, 그리고 환상적인 경이로움을 정의했다. 그는 환상적인 것을 우리 세계에서 초자연적으로 보이는 모든 사건으로 정의하고, 사건이 발생하면, 우리는 그 사건이 환상인지 아니면 실제로 일어난 일인지 결정해야 한다고 보았다. 문학 이론에 대한 연구 외에도, 장 자크 루소의 저작에 대해 ''연약한 행복''을 쓰는 등 철학 연구를 출판했다. 그의 주요 작품 중 하나인 ''극단의 직면''에서 토도로프는 나치 강제 수용소와 소련 굴라크가 극한 상황에서 "모든 도덕적 삶의 흔적이 사라지고 인간은 생존을 위한 무자비한 투쟁에 갇힌 짐승이 된다"는 것을 드러냈는지 묻는다.
토도로프의 수상 경력에는 CNRS 동메달, 아카데미 데 과학 모랄 에 폴리틱의 샤를 레베크 상, 프랑스 학술원의 첫 번째 모겐 상, 사회 과학 부문의 아스투리아스 공작상이 포함되었으며, 그는 예술 문학 훈장의 장교이기도 했다. 그는 미국 철학 학회[3]와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4]의 선출된 회원이었다. 또한 사회 과학 부문에서 아스투리아스 공작상을 받았다. 2015년에는 국제 서사 연구 학회(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Narrative)에서 서사 연구 분야의 평생 공로를 인정받아 [웨인 C. 부스] 상을 수상했다.
2. 3. 주요 연구 분야 및 업적
토도로프는 《산문 시학》(1971), 《시학 입문》(1981), 《아메리카 정복: 타자의 문제》(1982), 《미하일 바흐친: 대화적 원리》(1984), 《극단의 직면: 강제 수용소의 도덕적 삶》(1991), 《인간 다양성에 관하여》(1993) 등 총 39권의 책을 출판했다.[2] 그의 역사적 관심사는 아메리카 대륙 정복과 독일 나치 강제 수용소와 같은 중요한 문제에 집중되었다.토도로프가 문학 이론에 기여한 가장 큰 부분은 《환상 문학 입문》(1970)에서 환상적인 것, 환상적인 초자연성, 그리고 환상적인 경이로움을 정의한 것이다. 그는 환상적인 것을 우리 세계에서 초자연적으로 보이는 모든 사건으로 정의하며, 사건이 발생하면 그 사건이 환상인지 아니면 실제로 일어난 일인지 결정해야 한다고 보았다. 환상적인 초자연성에서는 발생한 사건이 실제로 어떤 종류의 환상이며, "현실의 법칙"은 그대로 유지된다. 반면 환상적인 경이로움에서는 발생하는 초자연적인 사건이 실제로 발생했으며, 따라서 "현실의 법칙"을 사건을 설명하기 위해 변경해야 한다.
문학 이론 외에도, 토도로프는 장 자크 루소의 저작에 대해 《연약한 행복》을 쓰는 등 철학 연구도 출판했다. 그는 인간의 행복을 얻는 루소의 생각과 우리가 '현대' 시대에 어떻게 살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췄다.
《극단의 직면》에서 토도로프는 나치 강제 수용소와 소련 굴라크가 극한 상황에서 인간이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탐구한다. 프리모 레비를 인용하며 수용소 생활이 "모두가 서로를 향한 끊임없는 전쟁"이라고 묘사했지만, 실제 생존자 증언을 통해 비인간적인 조건 속에서도 서로 돕고 인간적인 관계에서 연민을 보이는 예가 많다는 점을 강조한다.
토도로프는 CNRS 동메달, 아카데미 데 과학 모랄 에 폴리틱의 샤를 레베크 상, 프랑스 학술원의 첫 번째 모겐 상, 사회 과학 부문의 아스투리아스 공작상을 수상했으며, 예술 문학 훈장의 장교이기도 했다. 그는 미국 철학 학회[3]와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4]의 회원이었다. 2015년에는 국제 서사 연구 학회(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Narrative)에서 [웨인 C. 부스] 상을 수상했다.
2. 4. 말년과 죽음
토도로프는 2014년에 낸시 휴스턴과 이혼했다.[2] 그는 2017년 2월 7일, 7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3. 주요 저서
제목 | 원제 | 출판 연도 | 한국어판 번역 |
---|---|---|---|
《데카메론 문법》 | Grammaire du Décaméron | 1967년 | |
《환상문학서설》 | Introduction à la littérature fantastique | 1970년 | 1975년, 아사히출판사 |
《산문의 시학》 | The Poetics of Prose | 1971년 | |
《시학 입문》 | Introduction to Poetics | 1981년 | |
《기호의 이론》 | Theories of the Symbol | 1982년 | 1987년, 호세이 대학 출판국 |
《상징주의와 해석》 | Symbolism and Interpretation | 1982년 | 1989년, 호세이 대학 출판국 |
《미국의 정복: 타자의 문제》 | Conquest of America: The Question of the Other | 1984년 | |
《미하일 바흐친: 대화 원리》 | Mikhail Bakhtin: the dialogical principle | 1984년 | 2001년, 호세이 대학 출판국 |
《문학과 그 이론가들: 20세기 비평에 대한 개인적 관점》 | Literature and its Theorists: A Personal View of Twentieth-Century Criticism | 1987년 | |
《담론 속의 장르》 | Genres in Discourse | 1990년 | 2002년, 호세이 대학 출판국 |
《인간 다양성에 대하여: 프랑스 사상 속의 민족주의, 인종주의, 이국주의》 | On human diversity: nationalism, racism, and exoticism in French thought | 1993년 | |
《프랑스 비극: 1944년 여름 내전의 장면들》 | French tragedy: scenes of civil war, summer 1944 | 1996년 | 1998년, 호세이 대학 출판국 |
《굴라그의 목소리: 공산 불가리아에서의 삶과 죽음》 | Voices from the Gulag: Life and Death in Communist Bulgaria | 1999년 | |
《민주주의에 대한 열정: 벤자민 콩스탕》 | A Passion for Democracy: Benjamin Constant | 1999년 | |
《극단에 직면하다: 강제 수용소에서의 도덕적 삶》 | Facing the extreme: moral life in the concentration camps | 2000년 | |
《선의 연약함: 불가리아 유대인이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이유》 | 'Fragility of goodness: why Bulgarias Jews survived the Holocaust'' | 2001년 | |
《공동의 삶: 일반 인류학 에세이》 | Life in common: an essay in general anthropology | 2001년 | 1999년, 호세이 대학 출판국 |
《연약한 행복: 루소에 대한 에세이》 | Frail Happiness: An Essay on Rousseau | 2001년 | |
《불완전한 정원: 휴머니즘의 유산》 | Imperfect garden: the legacy of humanism | 2002년 | |
《희망과 기억: 20세기의 교훈》 | Hope and memory: lessons from the twentieth century | 2003년 | |
《새로운 세계 질서: 유럽인의 성찰》 | New world disorder: reflections of a European | 2005년 | |
《고문과 테러와의 전쟁》 | Torture and the War on Terror | 2009년 | |
《계몽주의를 옹호하며》 | In Defence of the Enlightenment | 2009년 | |
《야만인에 대한 두려움: 문명 충돌을 넘어》 | The fear of barbarians: beyond the clash of civilizations | 2010년 | |
《악을 위한 치료제로서의 기억》 | Memory as a Remedy for Evil | 2010년 | |
《무너진 벽, 세워진 벽》 | Muros caídos, muros erigidos | 2011년 | |
《전체주의 경험》 | The Totalitarian Experience | 2011년 | |
《민주주의의 내부 적》 | The Inner Enemies of Democracy | 2014년 | 2016년, 미스즈서방 |
《복종하지 않는 자: 에세이》 | Insoumis: essai | 2015년 | 2018년, 신평론 |
《문학 이론 - 러시아 형식주의 논집》 | 1965년 | 1971년, 이상이념사 | |
(오스왈드 뒤크로) 《언어 이론 소사전》 | 1975년 | 1975년, 아사히 출판사 | |
(조르주 보도) 《아즈텍 제국 멸망기 - 인디오에 의한 이야기》 | 1983년 | 1994년, 호세이 대학 출판국 | |
《제르멘 티옹 레지스탕스·강제 수용소·알제리 전쟁을 살다》 | 2009년 | 2012년, 호세이 대학 출판국 | |
『타자의 기호학 - 아메리카 대륙의 정복』 | 1982년 | 1986년, 호세이 대학 출판국 | |
『덧없는 행복 - 루소』 | 1985년 | 1988년, 호세이 대학 출판국 | |
『비평의 비평 - 연마의 로망』 | 1985년 | 1991년, 호세이 대학 출판국 | |
『극한에 직면하여 - 강제 수용소 고찰』 | 1991년 | 1992년, 호세이 대학 출판국 | |
『역사의 도덕』 | 1991년 | 1993년, 호세이 대학 출판국 | |
『공동 생활 - 일반 인류학적 고찰』 | 1995년 | 1999년, 호세이 대학 출판국 | |
『미하일 바흐친 대화의 원리 - 부록 바흐친 서클의 저작』 | 1981년 | 2001년, 호세이 대학 출판국 | |
『우리와 타자 - 프랑스 사상에서의 타자상』 | 1989년 | 2001년, 호세이 대학 출판국 | |
『개인의 찬미 - 르네상스기 플랑드르의 초상화』 | 2000년 | 2002년, 백수사 | |
『일상 찬미 - 베르메르 시대의 네덜란드 풍속화』 | 1993년 | 2002년, 백수사 | |
『미완의 채원 - 프랑스에서의 휴머니즘 사상』 | 1998년 | 2002년, 호세이 대학 출판국 | |
『벤자맹 콩스탕 - 민주주의에 대한 열정』 | 1999년 | 2003년, 호세이 대학 출판국 | |
『이라크 전쟁과 내일의 세계』 | 2003년 | 2004년, 호세이 대학 출판국 | |
『경계인의 사상 - 토도로프, 자신을 말하다』 | 2002년 | 2006년, 호세이 대학 출판국 | |
『악의 기억・선의 유혹 - 20세기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 2000년 | 2006년, 호세이 대학 출판국 | |
『이향에 사는 자』 | 1996년 | 2008년, 호세이 대학 출판국 | |
『절대의 모험가들 - 내일을 위한 유산』 | 2005년 | 2008년, 호세이 대학 출판국 | |
『계몽의 정신 - 내일을 위한 유산』 | 2007년 | 2008년, 이시카와 코이치 역 | |
『예술인가 인생인가! - 렘브란트의 경우』 | 2008년 | 2009년, 미스즈서방 | |
『문학이 위협받고 있다』 | 2007년 | 2009년, 호세이 대학 출판국 | |
『고야 계몽의 빛의 그림자에서』 | 2011년 | 2014년, 호세이 대학 출판국 |
참조
[1]
뉴스
Tzvetan Todorov, essayiste et historien des idées, est mort
http://www.lemonde.f[...]
2017-02-07
[2]
잡지
Le philosophe et historien Tzvetan Todorov est mort
http://www.lexpress.[...]
2017-02-07
[3]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1-12-03
[4]
웹사이트
Tzvetan Todorov
https://www.amacad.o[...]
2021-12-03
[5]
웹사이트
Frail Happiness : An Essay on Rousseau, Tzvetan Todorov, Translated by John T. Scott, and Robert Zaretsky
http://www.psupress.[...]
Psupress.psu.edu
2004-12-14
[6]
서적
われわれと他者―フランス思想における他者像
法政大学出版局
2015
[7]
웹인용
토도로프, 츠베탄
http://korean.go.kr/[...]
2017-03-06
[8]
뉴스
[삶과 추억] ‘환상문학’ 이론 정립한 인문주의 선구자 토도로프
http://www.joongang.[...]
2017-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