쥘리아 크리스테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쥘리아 크리스테바는 불가리아 출신의 프랑스 철학자, 기호학자, 정신분석학자, 소설가이다. 그는 1941년 불가리아 슬리벤에서 태어나 소피아 대학교에서 공부했으며, 1965년 프랑스로 이주하여 뤼시앙 골드만, 롤랑 바르트 등에게서 배웠다. 크리스테바는 텔 켈 그룹에 합류하여 언어의 정치에 집중했으며, 정신분석학 학위를 취득하고 포스트구조주의 비평에 정신분석적 접근 방식을 적용했다. 주요 저서로는 《기호학: 언어분석 연구》, 《시적 언어 혁명》, 《공포의 권력》 등이 있으며, 소설 《늙은 남자와 늑대들》, 《비잔틴 살인》 등을 집필했다. 그는 기호계와 상징계, 혐오, 상호텍스트성 등의 개념을 제시하며, 프랑스 페미니즘의 주요 이론가로도 평가받지만, 자민족 중심주의와 초기 저작에서의 수학 사용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쥘리아 크리스테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출생 이름 | Юлия Стоянова Кръстева (Yuliya Stoyanova Krasteva) |
| 출생일 | 1941년 6월 24일 |
| 출생지 | 슬리벤, 불가리아 |
| 국적 | 불가리아, 프랑스 |
| 배우자 | 필리프 솔레르 |
| 웹사이트 | kristeva.fr |
| 학문적 배경 | |
| 모교 | 소피아 대학교 |
| 박사 지도 교수 | 뤼시앵 골드만 |
| 연구 분야 | 언어 철학 기호학 문학 비평 문학 철학 정신분석학 페미니즘 |
| 학파 | 대륙 철학 정신분석학 구조주의 포스트 구조주의 프랑스 페미니즘 |
| 주요 관심사 | 언어 철학 기호학 문학 비평 문학 철학 정신분석학 페미니즘 |
| 영향을 준 인물 | 지그문트 프로이트 멜라니 클라인 도널드 위니컷 자크 라캉 앙드레 그린 미하일 바흐친 롤랑 바르트 자크 데리다 뤼시앵 골드만 한나 아렌트 조르주 바타유 |
| 영향을 받은 인물 | 장 보드리야르 |
| 주요 사상 | 전(前) 거울 단계의 "기호학적(semiotic)" 아브젝시옹의 본질 상호 텍스트성 '초한 (the transfinite)' |
| 경력 | |
| 직업 | 문학 이론가 저술가 철학자 |
| 소속 | 파리 제7대학교 교수 |
| 수상 | |
| 수상 내역 | 홀베르그 국제 기념상 한나 아렌트 정치 사상상 VIZE 97상 |
| 주요 저서 | |
| 주요 작품 | 『여성의 시간』 『세메이오티케』 『시적 언어의 혁명』 |
| 참고 | |
| 참고 문헌 | 『세계문학대사전』 편집위원회, 1996, 930쪽. |
2. 생애
1941년 불가리아 슬리벤에서 기독교인 부모에게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교회 회계사였으며, 어머니 쪽으로 유대인 조상이 있었다.[7] 크리스테바는 여동생과 함께 도미니카 수녀들이 운영하는 프랑스어 학교에 다녔으며, 이 시기에 미하일 바흐친의 저작을 처음 접했다. 이후 소피아 대학교에서 학업을 이어갔다.
대학원생 시절 연구 펠로우십을 받아 1965년 12월, 24세의 나이로 프랑스로 이주했다.[8] 파리에서 뤼시앙 골드만과 롤랑 바르트 등 당대 주요 지식인들에게서 가르침을 받았다.[9][10] 1967년 8월 2일에는 소설가 필립 솔레르스(본명 필립 조요)와 결혼했다.[11]
1970년대 초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강의했으며, 현재도 객원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12] 1973년부터 파리 제7대학교(드니 디드로) 교수를 역임했고, 현재는 명예 교수이다. 결혼 후에는 '줄리아 조요'라는 이름으로도 저작을 발표했다.[13][14][15]
크리스테바는 문학 이론 잡지 『텔 켈(Tel Quel)』의 공동 편집자로 활동하며 언어학, 언어, 간텍스트성에 관한 연구를 통해 포스트 구조주의 논의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녀의 사상은 프로이트와 라캉의 정신분석, 러시아 형식주의(특히 미하일 바흐친을 프랑스 지성계에 소개하는 역할을 했다), 그리고 헤겔주의 등 다양한 학문적 흐름의 영향을 받았다. 연구 활동과 더불어 여러 편의 소설을 발표하기도 했다.
1970년대 초부터 가부장제 사회 내 여성의 정체성 문제를 탐구했으며, 이는 젠더 연구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정신분석 이론과의 연관성 때문에 일부 페미니스트 문예 이론가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으며, 스스로 '페미니스트'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것은 거부했다. 시몬 드 보부아르 상 설립에 참여하여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심사위원장을 역임했다.
한편, 앨런 소칼 등 일부 학자들로부터 수학 및 과학 용어를 부적절하게 사용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소칼 사건 참조).
2. 1. 불가리아 공산 정권과의 관계
2018년, 불가리아 국가 기록 위원회는 크리스테바가 "사비나"라는 암호명으로 국가 보안 위원회의 요원이었다고 발표했다. 그녀는 1971년 6월에 포섭된 것으로 추정된다.[40][41] 이는 그녀가 프랑스 유학을 위해 불가리아를 떠난 지 5년 뒤의 일이다. 당시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에서는 해외로 여행하려는 모든 국민이 출국 비자를 신청하고 내무부의 승인을 받아야 했다. 서방으로 건너간 사람이 정치적 망명을 선택할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에 이 과정은 길고 까다로웠다.[42] 크리스테바는 이 의혹을 "터무니없고 거짓"이라고 일축했다.[43] 2018년 3월 30일, 국가 기록 위원회는 전 국가 보안 위원회의 정보원으로서 크리스테바의 활동을 보여주는 전체 문서 세트를 온라인에 공개하기 시작했다.[44][45][46][47][48][49] 그녀는 이 혐의를 강력히 부인하고 있다.[50]작가 닐 애셔슨은 이 사건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최근 쥘리아 크리스테바에 대한 소동은 별 내용이 없지만, 일부 사람들은 이를 무시무시한 스캔들로 부풀리는 데 만족했다... 그러나 그녀의 파일에 나타난 현실은 사소하다. 1965년 파리에 정착한 후, 그녀는 조국에 취약한 가족이 있다는 것을 지적한 불가리아 스파이들에게 궁지에 몰렸다. 그래서 그녀는 여러 해 동안 정기적인 만남에 동의했고, 그 과정에서 그녀는 담당자에게 아라공, 바타유 등 라탱 구역 카페에서 나온 가십 이상의 이야기를 한 적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그들이 ''르 카나르 앙셰네''에서 읽을 수 있었을 내용들이다... 그녀가 제공한 정보의 가치는 거의 0에 가까웠다. 불가리아 보안 요원들은 자신들이 이용당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던 것 같다. 하지만 상관없었다. 그들은 자신들의 장부에 국제적인 유명 인사가 있다는 사실을 상부에 보고함으로써 점수를 딸 수 있었다..."[51]
3. 사상
1965년 국비 유학생으로 파리로 이주하여 뤼시앙 골드만, 롤랑 바르트 등의 지도를 받았다. 이후 아방가르드 문학 및 이론 그룹인 텔 켈(필리프 솔레르 창립)에 합류하여 활발히 활동하며 언어의 정치 문제에 주목했다. 정신분석을 공부하여 1979년 학위를 받았으며, 1973년부터 파리 제7대학교(드니 디드로) 교수를 역임했고 현재는 명예 교수이다.
크리스테바의 사상은 정신분석적 접근을 포스트구조주의 비평과 결합하려는 시도로 특징지어진다. 그녀는 프로이트와 라캉의 영향을 받았지만, 구조주의적인 고정된 주체 개념을 거부하고 항상 변화하고 형성되는 과정에 있는, 즉 "과정 중에 있는" 주체를 강조했다.[16] 이는 정신분석의 통찰을 유지하면서도 본질화된 구조에 대한 포스트구조주의적 비판을 가능하게 했다. 그녀의 주요 개념으로는 언어 이전의 충동과 리듬의 영역인 기호계와 사회적 질서 및 언어의 영역인 상징계, 그리고 주체 형성과정에서 어머니적인 것을 밀어내는 혐오(abjection) 등이 있으며, 이는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루어진다. 또한 미하일 바흐친의 영향을 받아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 개념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그녀의 사상은 러시아 형식주의(특히 바흐친을 프랑스 지성계에 소개하는 역할을 했다)와 헤겔주의의 영향도 받았다.
1970년대 초부터 가부장제 사회 속 여성의 정체성 문제를 탐구했으며, 이는 페미니즘 이론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정신분석과의 친밀성, 그리고 특정 페미니즘 조류에 대한 비판적 입장 때문에 일부 페미니스트 이론가들과는 긴장 관계를 형성하기도 했으며, 스스로 '페미니스트'로 불리기를 거부하기도 했다. (자세한 내용은 페미니즘과의 관계 섹션 참조)
연구 활동 외에도 여러 편의 소설을 발표했으며, 1970년대 중국을 방문한 경험을 바탕으로 『중국 여성에 관하여』(1977)를 저술하기도 했다.[17][18][19][20][21][22] 한편, 앨런 소칼 등으로부터 수학 및 과학 용어를 부적절하게 사용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소칼 사건 참조). 그녀의 파트너는 작가 필립 솔레르스이다.
3. 1. 기호계와 상징계
크리스테바의 중요한 기여 중 하나는 의미 작용이 기호계(the semiotic|더 세미오틱eng)와 상징계(the symbolic|더 심볼릭eng)라는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고 본 점이다. 여기서 기호계는 페르디낭 드 소쉬르가 창시한 기호학 분야와는 구별되는 개념이다.[23]기호계는 언어를 배우기 이전, 전-오이디푸스 단계의 유아가 경험하는 세계와 관련 깊다. 이는 지그문트 프로이트, 오토 랭크, 멜라니 클라인, 영국의 대상 관계 정신분석가들, 그리고 자크 라캉의 거울 단계 이전 시기 연구에서 언급된 영역이다. 기호계는 본능적 욕동과 신체적 충동, 감정이 뒤섞인 상태로, 아직 논리적 질서나 명확한 의미(지시적 의미)가 형성되지 않았다. 대신 언어의 리듬, 운율, 음조와 같은 비언어적이고 신체적인 표현 방식으로 나타난다.[23] 비르기트 시퍼스(Birgit Schippers)에 따르면, 기호계는 음악적이고 시적이며 리듬감이 있지만, 구조와 의미가 없는 영역과 관련된다. 이는 전통적으로 "여성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특성과 연결되며, 아이가 자신과 외부 세계를 명확히 구분하지 못하는 미분화된 상태를 나타낸다.[24]
아이가 성장하여 거울 단계를 거치면서 자신과 타자를 구별하게 되면, 사회적으로 공유되는 문화적 의미 체계인 상징계로 진입한다. 크리스테바는 상징계를 아이가 언어를 습득하여 "말하는 주체"가 되고, 어머니로부터 심리적으로 분리되어 독립된 정체성을 형성하는 공간으로 보았다. 이 분리 과정은 혐오(abjection|아브젝시옹fra)라고 불리는데, 아이는 사회의 언어, 문화, 법, 질서의 세계(상징계)로 들어가기 위해 필연적으로 어머니와의 원초적 유대 및 기호계적 충동을 부정하고 밀어내야 한다.[24] 상징계는 언어 규칙, 사회 규범, 논리적 사고 등 구조화된 질서를 특징으로 하며, 이는 기호계와 대조적으로 "남성적", 법적, 이성적인 것과 연관된다.
그러나 크리스테바는 자크 라캉과 달리, 주체가 상징계에 들어선 이후에도 기호계의 영향력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두 영역 사이를 끊임없이 오간다고 주장했다. 즉, 주체는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항상 변화하고 형성되는 "과정 중에 있는" 존재이다.[16] 특히 여성은 사회문화적으로 어머니와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경향이 있어, 기호계와의 연결성을 더 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고 분석된다. 하지만 상징계의 질서 속에서 어머니적인 것을 부정해야 하는 동시에 어머니와 동일시하려는 이중적인 상황은 내적 갈등을 유발하며, 크리스테바는 이것이 우울증 (주요 우울 장애)의 한 원인이 될 수 있다고 『검은 태양』(1989)에서 설명한다.[24]
'혐오'의 개념은 대중문화 현상을 분석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적용된다. 예를 들어 바버라 크리드(Barbara Creed)와 같은 학자들은 슬래셔 영화를 비롯한 일부 공포 영화에서 여성의 신체가 끔찍하게 훼손되는 장면이 반복되는 이유를 혐오 이론으로 설명한다. 이는 관객(주체)이 자신의 정체성을 위협하는 원초적인 어머니상, 즉 자아와 타자의 구분이 모호했던 기호계 상태를 떠올리게 하는 것에 대한 무의식적인 공포와 반감을 투사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주체는 한편으로 어머니적인 것(기호계)과의 합일을 갈망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그로 인한 자기 정체성의 소멸을 두려워한다. 이런 맥락에서 슬래셔 영화는 관객이 영화 속 폭력을 통해 상징적으로 어머니적인 것을 제거하고 파괴하는 과정을 안전하게 대리 경험함으로써, 혐오와 관련된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하는 창구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크리스테바는 또한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의 코라(χώρα|코라grc) 개념을 독창적으로 재해석하여 자신의 이론에 접목했다. 크리스테바에게 코라는 상징계 질서가 확립되기 이전의 원초적이고 유동적인 공간, 비르기트 시퍼스의 표현을 빌리자면 "양육하는 모성적 공간"을 의미한다. 이는 자궁, 어머니와 아이의 분리 이전 관계, 혹은 거울 단계 이전의 시공간 등 다층적인 함의를 지닌다. 크리스테바는 코라를 "운동성 속에서 욕동과 그 정지에 의해 형성된 비표현적 총체성"으로 정의하며, 어머니의 신체가 바로 이 코라(기호계적 충동)와 상징계 사이를 연결하고 매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어머니는 상징계의 언어와 문화를 사용하는 존재이면서 동시에 아이와 신체적, 정서적 유대(기호계적 연결)를 맺고 있기 때문이다.
3. 2. 혐오(Abjection)

크리스테바는 인류학과 심리학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보았다. 사회와 개인(주체)은 단순히 서로를 반영하는 관계가 아니라, 생존이라는 동일한 목표를 추구하는 논리를 따른다고 주장했다. 그녀는 오이디푸스 이론에서 설명하는 주체가 홀로 설 수 있는 완전한 존재가 아니며, 오히려 "불가능한 경계 때문에 좌초된 듯이 연약한 문턱에 서 있다"고 설명한다(''공포의 권력'', 85쪽). 이는 주체가 매우 불안정한 경계 위에 서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크리스테바는 개인이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과 사회가 구성되는 방식이 유사하다고 보았다. 개인이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혐오스러운 어머니'를 심리적으로 배제하고 분리되는 것처럼, 사회 역시 문화적으로 모성적인 것, 여성적인 것을 배제함으로써 형성되고 유지된다고 주장했다. 이는 개인이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겪는 심리적 과정이 사회적, 문화적 차원에서도 유사하게 작동함을 시사한다.
3. 3.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
(작성할 내용 없음)3. 4. 페미니즘과의 관계
시몬 드 보부아르, 엘렌 식수, 뤼스 이리가레와 함께 프랑스 페미니즘의 핵심적인 인물 가운데 한 명으로 꼽힌다.[25][26] 크리스테바의 이론은 미국과 영국 페미니즘 및 페미니즘 문학 연구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으며,[27][28] 현대 미술 해석에도 영향을 미쳤다.[29][30] 하지만 프랑스 내 페미니스트 단체 및 운동과의 관계는 상당히 논란이 많았다.크리스테바는 1993년 저서 《영혼의 새로운 질병》에서 "여성의 시간"이라는 개념을 통해 세 가지 유형의 페미니즘을 구분했다. 그녀는 시몬 드 보부아르의 페미니즘을 포함한 처음 두 가지 유형을 거부하면서, 이러한 입장은 때때로 페미니즘 자체를 거부하는 것으로 간주되기도 했다. 크리스테바는 "통일된 여성 언어"라는 결합된 코드에 반대하며, 다중적인 성적 정체성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크리스테바는 자신의 글이 미국의 페미니즘 학자들에게 오해받았다고 주장한다. 그녀의 관점에서, 숨겨진 의미를 찾기 위해 언어의 구조를 해체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언어는 역사, 개인의 심리적, 성적 경험의 프리즘을 통해서도 보아야 한다. 이러한 포스트구조주의적 접근 방식은 특정 사회 집단이 억압의 근원을 그들이 사용하는 바로 그 언어에서 찾도록 하는 데 기여했지만, 크리스테바는 집단 정체성을 개인 정체성보다 우선시하는 것은 해로우며, 성적, 민족적, 종교적 정체성을 정치적으로 주장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전체주의적이라고 믿는다.[31]
이미 1970년대 초부터 크리스테바는 가부장제 사회 속 여성의 정체성 문제를 제기해 왔다. 그러나 정신분석과의 사상적 친근성 때문에 일부 페미니스트 문예 이론가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 과거 그녀의 저작이 젠더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던 시기에도, 당시 크리스테바 자신은 '페미니스트'라는 호칭을 완강히 거부했다. 한편, 그녀는 시몬 드 보부아르 상 설립에 참여했으며,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심사위원장을 역임했다.
4. 저작
쥘리아 크리스테바는 언어학, 문학 이론, 정신분석, 철학, 소설 등 폭넓은 분야에 걸쳐 다수의 중요한 저작을 남겼다. 그의 지적 여정은 구조주의의 영향 아래 시작되었으나, 곧 기호학과 언어 분석을 통해 자신만의 독창적인 이론적 지평을 열었다. 특히 시적 언어가 지닌 혁명적 잠재력과 주체 형성 과정에 대한 탐구는 그의 초기 작업을 대표한다.
이후 크리스테바는 정신분석 이론, 특히 자크 라캉의 사상을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발전시키면서 '코라(chora프랑스어)', '아브젝시옹(abjection프랑스어, 혐오)'과 같은 핵심 개념들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사랑, 우울증, 멜랑콜리, 타자성 등 인간 내면의 복잡한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문화 현상을 깊이 있게 분석하는 저작들을 발표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또한 그는 자신의 이론적 사유를 소설이라는 문학 양식을 통해 풀어내기도 했다. 그의 소설들은 종종 탐정 소설의 외피를 두르고 있으며, 서사적 긴장감 속에서 인간 심리의 심층과 사회적 문제를 탐구하는 지적인 깊이를 보여준다.
크리스테바의 저작들은 포스트구조주의와 페미니즘 이론, 문화 비평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 걸쳐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으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4. 1. 언어학 및 문학 이론
- 《기호학: 언어분석 연구》(Séméiôtiké: recherches pour une sémanalyse프랑스어), 1969. (영어 번역: ''Desire in Language: A Semiotic Approach to Literature and Art'', 1980)
- 《언어, 이 낯선 존재: 언어학 입문》(Le langage, cet inconnu: Une initiation à la linguistique프랑스어), 1969. (Julia Joyaux라는 이름으로 출판, 1981년 재판. 영어 번역: ''Language: The Unknown: An Initiation into Linguistics'', 1989)
- 《소설의 텍스트: 담론 구조 변환의 기호학적 접근》(Le Texte du roman: Approche sémiologique d’une structure discursive transformationnelle프랑스어), 1970.
- 《중국 여자들》(Des Chinoises프랑스어), 1974[52]; 2001년 재판.
- 《시적 언어 혁명: 19세기 말의 아방가르드: 로트레아몽과 말라르메》(La révolution du langage poétique: L'avant-garde à la fin du 19e siècle: Lautréamont et Mallarmé프랑스어), 1974. (영어 축약본: ''Revolution in Poetic Language'', 1984)
- 《기호의 횡단》(La Traversée des signes프랑스어) (공저), 1975.
- 《폴리로고》(Polylogue프랑스어), 1977. (일부 내용 영어 번역: ''Desire in Language: A Semiotic Approach to Literature and Art'', 1980)
- 《광기의 진실》(Folle Vérité프랑스어) (공저), 1979.
- 《공포의 권력: 혐오에 대한 에세이》(Pouvoirs de l'horreur: Essai sur l'abjection프랑스어), 1980.
- 《사랑 이야기》(Histoires d’amour프랑스어), 1983. (영어 번역: ''Tales of Love'', 1987)
- 《시작은 사랑이었다: 정신분석과 신앙》(Au commencement était l'amour: Psychanalyse et foi프랑스어), 1985.
- 《검은 태양: 우울증과 멜랑콜리》(Soleil noir: Dépression et mélancolie프랑스어), 1987.
- 《우리 안의 이방인》(Étrangers à nous-mêmes프랑스어), 1988.
- 《영혼의 새로운 질병》(Les Nouvelles Maladies de l’Âme프랑스어), 1993.
- 《감각적인 시간: 프루스트와 문학적 경험》(Le Temps sensible: Proust et l'expérience littéraire프랑스어), 1994. (영어 번역: ''Time and Sense: Proust and the Experience of Literature'', 1996)
- 《자본의 비전》(Visions capitales프랑스어), 1998.
- 《여성적 천재》(Le Génie féminin프랑스어), 1999-2002. (총 3권: 한나 아렌트, 멜라니 클라인, 콜레트)
- 《사고의 위험》(Au risque de la pensée프랑스어), 2001.
- 《믿고 싶은 이 놀라운 욕구》(Cet incroyable besoin de croire프랑스어), 2007.
- 《혼자, 한 여자》(Seule, une femme프랑스어), 2007.
- 《결혼을 미술의 한 형태로 간주》(Du mariage considéré comme un des beaux-arts프랑스어) (필립 솔레르스와 공저), 2015.
- 《나는 여행한다: 회고록》(Je me voyage: Mémoires프랑스어) (사무엘 독과의 대담), 2016.
- 《보부아르 소개》(Beauvoir présente프랑스어), 2016.
- 《도스토옙스키》(Dostoïevski프랑스어) (선집), 2020.
4. 2. 정신분석 및 철학
쥘리아 크리스테바는 정신분석, 철학, 기호학, 언어학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중요한 저작을 남겼다. 그의 사상은 특히 구조주의 이후 프랑스 철학 및 비평 이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주요 저서들은 다음과 같다.| 원제 | 영문 제목 | 한국어 제목 | 출판 연도 |
|---|---|---|---|
| Le Langage, cet inconnu. Une initiation à la linguistique | 언어, 이 미지의 것. 언어학 입문 | 1969 | |
| Semeiotikê. Recherches pour une sémanalyse | 세메이오티케. 세마분석을 위한 연구 | 1969 | |
| Le Texte du roman. Approche sémiologique d’une structure discursive transformationnelle | 소설의 텍스트. 담론 구조 변환의 기호학적 접근 | 1970 | |
| Des Chinoises[52] | About Chinese Women | 중국 여자들 | 1974 |
| La Traversée des signes (공저) | 기호의 횡단 | 1975 | |
| Polylogue | Polylogue | 폴리로고 | 1977 |
| Folle Vérité (공저) | 광기의 진실 | 1979 | |
| 'Pouvoirs de lhorreur. Essai sur lbjection | Powers of Horror: An Essay on Abjection | 공포의 권력. 혐오에 관한 에세이 | 1980 |
| 'Histoires damour'' | Tales of Love | 사랑의 이야기 | 1983 |
| 'Au commencement était lamour. Psychanalyse et foi'' | In the Beginning Was Love: Psychoanalysis and Faith | 처음에는 사랑이 있었다. 정신분석과 믿음 | 1985 |
| 'La Révolution du langage poétique. Lavant-garde à la fin du XIXe siècle, Lautréamont et Mallarmé'' | Revolution in Poetic Language | 시적 언어의 혁명. 19세기 말의 아방가르드, 로트레아몽과 말라르메 | 1985 |
| Soleil noir. Dépression et mélancolie | Black Sun: Depression and Melancholia | 검은 태양. 우울증과 멜랑콜리 | 1987 |
| Étrangers à nous-mêmes | Strangers to Ourselves | 우리에게 낯선 사람들 | 1988 |
| Lettre ouverte à Harlem Désir | Nations without Nationalism | 하렘 데지르에게 보내는 공개 서한 (민족주의 없는 국가) | 1990 |
| Les Nouvelles Maladies de l’Âme | New Maladies of the Soul | 영혼의 새로운 질병들 | 1993 |
| 'Le Temps sensible: Proust et lexpérience littéraire'' | Time and Sense: Proust and the Experience of Literature | 감각적인 시간: 프루스트와 문학적 경험 | 1994 |
| Sens et non-sens de la révolte | The Sense and Non-Sense of Revolt | 반란의 의미와 무의미 | 1996 |
| La Révolte intime | Intimate Revolt | 내밀한 반란 | 1997 |
| Visions capitales | The Severed Head: Capital Visions | 자본의 비전 | 1998 |
| Le Génie féminin: La vie, la folie, les mots (3 volumes) | Female Genius: Life, Madness, Words (3 volumes) | 여성적인 천재성: 삶, 광기, 말 (전 3권) | 1999–2002 |
| Hannah Arendt (Le Génie féminin, vol. 1) | Hannah Arendt: Life is a Narrative | 한나 아렌트 | 1999 |
| Melanie Klein (Le Génie féminin, vol. 2) | Melanie Klein: Her World and Her Work | 멜라니 클라인 | 2000 |
| Colette (Le Génie féminin, vol. 3) | Colette | 코레트 | 2002 |
| Au risque de la pensée | 사고의 위험 | 2001 | |
| Haine et Pardon | Hatred and Forgiveness | 증오와 용서 | 2005 |
| Cet incroyable besoin de croire | This Incredible Need to Believe | 믿고 싶은 이 놀라운 욕구 | 2007 |
| Seule, une femme | 혼자, 한 여자 | 2007 | |
| Pulsions du temps | The Impulse of Time | 시간의 충동 | 2013 |
| Du mariage considéré comme un des beaux-arts (avec Philippe Sollers) | Marriage as a Fine Art | 결혼을 미술의 한 형태로 간주 (필립 솔레르스와 공저) | 2015 |
| Je me voyage. Mémoires (Entretiens avec Samuel Dock) | I am Traveling Myself: Memoirs | 나는 여행한다. 회고록 (사무엘 독과의 대담) | 2016 |
| Beauvoir présente | Beauvoir Present | 보부아르 소개 | 2016 |
| Dostoïevski (선집) | Dostoevsky | 도스토옙스키 | 2020 |
4. 3. 소설
크리스테바는 탐정 소설과 유사한 여러 소설을 썼다. 이 소설들은 서스펜스를 유지하면서도 그녀의 이론적 아이디어를 독자에게 제시한다. 인물들은 주로 심리적 장치를 통해 묘사되며, 이는 도스토예프스키의 후기 작품과 유사한 면이 있다.대표작으로는 《늙은 남자와 늑대들》, 《비잔틴 살인》, 《소유》 등이 있다. 이 작품들은 종종 우화적이면서 자전적인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 특히 《소유》의 등장인물인 프랑스 저널리스트 스테파니 들라쿠르는 크리스테바 자신의 또 다른 모습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비잔틴 살인》은 정교회 기독교와 정치 문제를 다루며, 크리스테바 스스로 "일종의 반-다빈치 코드"라고 언급했다.[32]
주요 소설 작품은 다음과 같다.
| 원제 | 출판 연도 | 영어 번역 제목 (번역본 출판 연도) |
|---|---|---|
| Les Samouraïs | 1990 | The Samurai: A Novel (1992) |
| Le Vieil homme et les loups | 1991 | The Old Man and the Wolves (1994) |
| Possessions | 1996 | Possessions: A Novel (1998) |
| Meurtre à Byzance | 2004 | Murder in Byzantium (2006) |
| Thérèse mon amour : récit. Sainte Thérèse d’Avila | 2008 | Teresa, my love. An Imagined Life of the Saint of Avila (2015) |
| L’Horloge enchantée | 2015 | The Enchanted Clock (2017) |
5. 수상
| 연도 | 상훈명 | 비고 |
|---|---|---|
| 1999년 | 시부사와・클로델 상 | |
| 2004년 | 홀베르그 국제 기념상 | "언어, 문화, 문학의 교차점에 대한 혁신적인 탐구" 공로 |
| 2006년 | 한나 아렌트 상 | |
| (연도 미상) | 레지옹 도뇌르 훈장 | 사령관(Commandeur) 등급 |
| (연도 미상) | 공로 훈장 | 사령관(Commandeur) 등급 |
| (연도 미상) | 바츨라프 하벨 상[33] | |
| 2019년 | 포르투갈 가톨릭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 10월 10일 수여 |
6. 비판
물리학 교수 앨런 소칼과 장 브리몽은 그들의 저서 《지적 사기》(Impostures intellectuelles, 1997)에서 크리스테바가 초기 저작에서 수학을 사용한 방식에 대해 비판하는 내용을 한 장에 걸쳐 다루었다. 그들은 크리스테바가 자신이 논하는 수학적 개념이 언어학 및 다른 연구 분야와 어떻게 관련되는지 명확히 보여주지 못했으며, 실제로는 그러한 관련성이 없다고 주장했다.[39] 이는 소칼 사건과 관련된 비판과 맥락을 같이 한다.
이언 아몬드는 크리스테바의 저작에 나타나는 자민족 중심주의를 비판했다. 그는 크리스테바의 저서 《중국 여성에 대하여》(About Chinese Women)에 대해 가야트리 스피박이 "크리스테바가 경멸하는 바로 그 18세기에 속한다"고 평가한 점을 지적하며, 크리스테바가 익숙하지 않은 문화(중국)에 대해 "간결하고 광범위하며 종종 근거가 없는 방식"으로 서술했다고 비판했다.[36] 또한 아몬드는 크리스테바가 이슬람 세계를 다루는 방식이 세련되지 못하며, 해당 문화와 신자들을 폄하하는 용어를 사용한다고 지적했다.[37] 특히 크리스테바가 "삶이 여전히 비교적 쾌적한 민주주의"와 "이슬람 사회"를 대립시키는 것에 대해, 아몬드는 그녀가 이슬람 세계 여성 이론가들 사이에서 진행 중인 복잡하고 미묘한 논쟁을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며, 루슈디(Rushdie)의 파트와 외에는 거의 언급 없이 이슬람 신앙 전체를 "반동적이고 박해적"인 것으로 치부한다고 비판했다.[38]
정신분석과의 사상적 친밀성 때문에 일부 페미니스트 문예 이론가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
7. 영향
문학론 잡지 Tel Quel|텔 켈프랑스어의 공동 편집자로 활동하며 언어학, 언어, 간텍스트성에 관한 저작을 통해 포스트 구조주의 논의에 기여했다. 그녀는 프로이트와 라캉의 정신분석학, 러시아 형식주의, 그리고 헤겔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러시아 형식주의를 프랑스 지성계에 소개하는 중재자 역할을 했으며, 미하일 바흐친의 사상을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70년대 초부터 가부장제 사회 속 여성의 정체성 문제를 제기하며 젠더 연구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정신분석학과의 사상적 연관성 때문에 일부 페미니스트 문예 이론가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 크리스테바 자신은 '페미니스트'라는 호칭을 사용하는 것을 거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몬 드 보부아르 상 설립에 참여했으며,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심사위원장을 역임하며 여성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하는 데 기여했다.
한편, 앨런 소칼 등으로부터 수학 및 과학 용어를 부적절하게 사용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소칼 사건 참조).
참조
[1]
서적
Cixous, Irigaray, Kristeva: The Jouissance of French Feminism
Crescent Moon Publishing
2016
[2]
서적
Passions of Our Time
https://www.jstor.or[...]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2-11-01
[3]
웹사이트
Julia Kristeva's Bataille: reading as triumph,
https://www.jstor.or[...]
1975
[4]
간행물
Nihilism in Postmodernity: Lyotard, Baudrillard, Gianni Vattimo
The Davies Group, Publishers
2009
[5]
웹사이트
Raymond Tallis
https://physics.nyu.[...]
[6]
웹사이트
Simone de Beauvoir Prize 2009 goes to the One Million Signatures Campaign in Iran
http://www.campaign4[...]
[7]
웹사이트
Fieldnotes from Europe: Today's Fascists accuse Julia Kristeva
https://blogs.newsch[...]
2024-03-06
[8]
서적
Key thinkers in linguistics and the philosophy of languag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
2005
[9]
서적
Radicalism in French Culture: A Sociology of French Theory in the 1960s
Burlington, VT
2010
[10]
서적
Twentieth-century French Philosophy: Key Themes and Thinkers
Blackwell Publishing
[11]
서적
Derrida: A Biography
Cambridge: Polity Press
2013
[12]
뉴스
Correcting Her Idea of Politically Correc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1-06-14
[13]
웹사이트
Library of Congress authority record for Julia Kristeva
http://id.loc.gov/au[...]
Library of Congress
2014-08-24
[14]
웹사이트
BNF data page
http://data.bnf.fr/1[...]
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2014-08-24
[15]
웹사이트
Julia Kristeva: A Bibliography
http://hvolat.netai.[...]
2014-08-24
[16]
서적
Julia Kristeva
https://books.google[...]
Routledge
[17]
웹사이트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Stony Brook
http://ms.cc.sunysb.[...]
2004-11-23
[18]
웹사이트
Tate Britain Online Event: Julia Kristeva
http://www.tate.org.[...]
2014-07-31
[19]
웹사이트
Who's who in Les Samouraïs - Philippe Sollers/Pileface
http://www.pileface.[...]
2006-02-20
[20]
웹사이트
Julia Kristeva/Josefina Ayerza/Flash Art
https://www.lacan.co[...]
2020-07-14
[21]
웹사이트
The ideas interview: Julia Kristeva
http://www.theguardi[...]
2006-03-14
[22]
웹사이트
Julia Kristeva - site officiel
http://www.kristeva.[...]
2009-08-06
[23]
서적
The History of Women in Philosophy
[24]
서적
Julia Kristeva and Feminist Thought
2011
[25]
서적
Laughing with Medusa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26]
서적
Inscriptions in the feminine
MIT Press
1996
[27]
간행물
Parallax, n. 8
1998
[28]
서적
Modernist Women and Visual Cultures
Rutgers University Press
2003
[29]
서적
Encounters in the Virtual Feminist Museum
Routledge
2007
[30]
서적
Feminism and Film
Indiana University press
1997
[31]
뉴스
Correcting Her Idea of Politically Correct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01-06-14
[32]
뉴스
The ideas interview: Julia Kristeva; Why is a great critic ashamed of being fashionable?
https://www.theguard[...]
2014-11-23
[33]
웹사이트
http://www.holbergpr[...]
[34]
서적
Desire in Language: A Semiotic Approach to Literature and Art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0
[35]
서적
The Rustle of language
[36]
서적
The New Orientalists: Postmodern Representations of Islam from Foucault to Baudrillard
I.B.Tauris
2007
[37]
서적
The New Orientalists: Postmodern Representations of Islam from Foucault to Baudrillard
I.B.Tauris
2007
[38]
서적
The New Orientalists: Postmodern Representations of Islam from Foucault to Baudrillard
I.B.Tauris
2007
[39]
서적
Intellectual Impostures
Profile Books
1998
[40]
웹사이트
Julia Kristeva avait été recrutée par les services secrets communistes bulgares
https://bibliobs.nou[...]
2018-03-28
[41]
웹사이트
Julia Kristeva was communist secret agent, Bulgaria claims
2018-03-28
[42]
서적
The Red Riviera: Gender, tourism, and postsocialism on the Black Sea
https://archive.org/[...]
Duke University Press
2005-11
[43]
웹사이트
Julia Kristeva Denies Being Bulgarian Security Agent
https://balkaninsigh[...]
2018-03-29
[44]
뉴스
Bulgaria’s Dossier Commission posts Julia Kristeva files online
https://sofiaglobe.c[...]
The Sofia Globe
2018-03-30
[45]
뉴스
Unprecedented - The Dossier Commission Published the Dossier of Julia Kristeva AKA Agent "Sabina"
http://www.novinite.[...]
novinite.com
2018-03-30
[46]
문서
Documents on the Dossier Commission’s website (in Bulgarian)
https://www.comdos.b[...]
[47]
뉴스
Онлайн: Първите документи за Юлия Кръстева в Държавна сигурност
http://desebg.com/me[...]
desebg.com
2018-03-29
[48]
뉴스
Само на desebg.com: Цялото досие на Юлия Кръстева онлайн (лично и работно дело)
http://desebg.com/uc[...]
desebg.com
2018-03-30
[49]
뉴스
Bulgaria Says French Thinker Was a Secret Agent. She Calls It a ‘Barefaced Li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8-04-01
[50]
뉴스
Bulgaria Says French Thinker Was a Secret Agent. She Calls It a 'Barefaced Lie.'
https://www.nytimes.[...]
2018-04-01
[51]
뉴스
Don’t imagine you’re smarter
https://www.lrb.co.u[...]
London Review of Books
2018-07-19
[52]
웹사이트
Des Chinoises
https://www.desfemme[...]
null
[53]
URL
https://bibliobs.nou[...]
[54]
URL
https://www.theguard[...]
[55]
URL
https://books.google[...]
[56]
URL
http://www.balkanins[...]
[57]
뉴스
Bulgaria’s Dossier Commission posts Julia Kristeva files online
https://sofiaglobe.c[...]
The Sofia Globe
2018-03-30
[58]
뉴스
Unprecedented - The Dossier Commission Published the Dossier of Julia Kristeva AKA Agent "Sabina"
http://www.novinite.[...]
novinite.com
2018-03-30
[59]
문서
Documents on the Dossier Commission’s website (in Bulgarian)
https://www.comdos.b[...]
[60]
뉴스
Онлайн: Първите документи за Юлия Кръстева в Държавна сигурност
http://desebg.com/me[...]
desebg.com
2018-03-29
[61]
뉴스
Само на desebg.com: Цялото досие на Юлия Кръстева онлайн (лично и работно дело)
http://desebg.com/uc[...]
desebg.com
2018-03-30
[62]
뉴스
Bulgaria Says French Thinker Was a Secret Agent. She Calls It a ‘Barefaced Li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8-04-01
[63]
뉴스
Bulgaria Says French Thinker Was a Secret Agent. She Calls It a ‘Barefaced Lie.’
https://www.nytimes.[...]
2018-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