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시벨라우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시벨라우누스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기》에 등장하는 브리튼 연합 군단의 지휘관이다. 그는 카이사르의 제2차 브리타니아 침공에 맞서 저항했으며, 템스강 북쪽에 영토를 두고 있었다. 카이사르는 카시벨라우누스가 이웃 부족들과 갈등을 겪었으며, 게릴라 전술을 활용하여 로마군에 맞섰다고 기록했다. 결국 그는 항복했고, 이후 로마 군단은 97년 동안 브리타니아로 돌아오지 않았다. 카시벨라우누스는 몬머스의 제프리의 《브리타니아 열왕사》와 웨일스 문학에서도 언급된다.

2. 역사

카시벨라우누스는 역사상 이름이 알려진 최초의 브리튼인 중 한 명이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기』에 따르면, 카시벨라우누스는 카이사르의 제2차 브리타니아 원정에 대항하여 결집한 브리튼 군의 지휘를 맡았다.

카이사르에 따르면, 카시벨라우누스는 이전에 다른 브리타니아 종족과 끊임없이 전쟁을 벌였다. 당시 브리타니아에서 가장 세력이 컸던 트리노반테스족의 왕을 쓰러뜨리고, 그의 아들 만두브라키우스가 갈리아에 있던 카이사르에게 도망쳐 오기도 했다.

카이사르의 군대가 식량 조달에 나선 곳을 카시벨라우누스가 공격했지만, 역습을 받았다. 카이사르 일행이 템스강을 건넌 후, 카시벨라우누스는 대군을 해산시키고, 잘 알고 있는 땅에서 전차를 사용한 게릴라전을 펼쳤다.

케니마그니족, 세곤티아키족, 안칼리테스족, 비브로키족, 카시족 5부족이 카이사르에게 항복하고, 카시벨라우누스의 본거지를 가르쳐 주었다. 카이사르는 그곳을 포위하여 공격했다. 그 동안 카시벨라우누스는 켄트 지방의 4명의 왕들에게 사자를 보내 군세를 결집하여 해안에 있는 로마군의 야영지를 습격하도록 전했지만, 로마군은 이를 격퇴하고 루고토릭스라는 족장을 포로로 잡았다. 이 패배와 자신의 영토가 황폐화된 것을 알고 카시벨라우누스는 항복했다.

조정은 카이사르와 동맹을 맺은 벨가이계 아트레바테스족의 왕 콤미우스가 맡았다. 인질과 조세, 그리고 트리노반테스족의 왕으로 복위한 만두브라키우스를 카시벨라우누스가 공격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가 이루어졌다. 그 후 카이사르는 가뭄으로 인한 흉작으로 동요가 일어난 갈리아로 돌아갔다.[21][22][23]

2. 1.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기록

카시벨라우누스에 대한 언급은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기》에서 찾을 수 있는데, 카이사르의 제2차 영국 침략에 맞서 브리튼 연합 군단을 지휘했다고 전한다. 카이사르는 카시벨라우누스의 부족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지만, 그의 영토는 템즈강 북쪽에 있었으며, 훗날 클라우디우스 황제의 브리타니아 침공 당시 카투벨라우니 부족이 살았던 곳과 일치한다.

카이사르에 따르면 카시벨라우누스는 이전에 이웃 부족들과 갈등을 겪었는데, 이는 당시 브리타니아 부족들에게 흔한 일이었다. 그는 브리타니아에서 가장 강력한 부족이었던 트리노반테스의 왕을 몰아내기도 했다. 쫓겨난 왕의 아들 만두브라키우스는 카이사르에게 의지하여 갈리아로 도망쳐 왔다. 카시벨라우누스는 카이사르 군단의 식량 약탈을 막기 위해 공격했지만, 카이사르는 템즈강으로 진군했다. 군사들이 걸어서 건널 수 있는 유일한 지점은 굵고 뾰족한 말뚝으로 방어 요새화되어 있었지만, 로마군은 그곳을 통과했다. 카시벨라우누스는 대부분의 군대를 해산하고 자신의 영토와 전차의 속도를 활용한 게릴라 전술을 펼쳤다.

케니마그니, 세곤티아키, 안칼리테스, 비브로키, 카시 등 다섯 개의 브리타니아 부족은 카이사르에게 항복하고 카시벨라우누스의 요새 위치를 알려주었다.[41] 카이사르는 그 거점을 포위했고,[42] 카시벨라우누스는 켄트 지역의 네 왕, 즉 킨게토릭스, 카르빌리우스, 탁시마굴루스, 세고박스에게 전갈을 보내 군대를 모아 해안의 로마 진영을 공격하게 했지만, 로마군은 이를 막아내고 루고토릭스라는 인물을 포로로 잡았다. 패배와 영토 파괴 소식을 들은 카시벨라우누스는 항복했다. 중재는 카이사르의 갈리아 동맹이었던 콤미우스가 맡았다. 인질이 보내지고 조약이 성립되었으며, 만두브라키우스는 아버지의 왕위를 되찾았고, 카시벨라우누스는 그와 전쟁을 벌이지 않기로 약속했다.

수습을 마친 카이사르는 흉년으로 정세가 불안정해진 갈리아로 돌아갔다.[43] 카이사르의 귀환 이후 97년 동안 로마군은 브리타니아를 밟지 않았다.

그리스 작가 폴리아에누스는 그의 저서 《스트라타게마타》에서 카이사르가 카시벨라우누스의 템즈강 방어를 뚫는 데 성공한 요인은 무장한 전투 코끼리 군단을 진군시켰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44] 이는 훗날인 43년에 실제로 브리타니아 전선에 코끼리를 투입했던 클라우디우스 황제 휘하 군단의 로마 공격과 카이사르의 로마 공격을 혼동한 것이라는 지적이 있다.[45]

2. 2. 기타 기록

카시벨라우누스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기》에 등장하며, 카이사르의 제2차 브리타니아 원정에 맞서 연합된 브리튼 군대의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 카이사르는 카시벨라우누스의 부족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지만, 그의 영토는 템스강 북쪽에 위치해 있으며,[19] 이는 후에 카투벨라우니족(Catuvellauni)이 정착한 곳과 일치한다.

그리스의 작가 폴리아에누스(Polyaenus)는 그의 저서 《전략》에서 카이사르가 갑옷을 입은 전투 코끼리를 사용하여 카시벨라우누스가 강을 건너는 것을 방어하는 것을 극복했다고 일화를 전한다.[24] 이 주장은 43년 로마의 브리타니아 정복(로마의 정복)에서 황제 클라우디우스가 코끼리를 브리타니아로 데려간 것[25]과 혼동한 것으로 보인다.

3. 전설

카시벨라우누스는 몬머스의 제프리의 《브리타니아 열왕사》, 《웨일스 삼인조》, 《마비노기온》 등의 문헌에 등장한다.[46] 《브리타니아 열왕사》에는 카시벨라누스(Cassibelanus) 또는 카시벨라우누스(Cassibelaunus)로 표기되어 있으며,[46] 《웨일스 삼인조》와 《마비노기온》에서는 카스왈라온(Caswallawn)으로 등장한다.

헤르게스트의 붉은 책, 카시벨라우누스가 등장하는 웨일스 삼인조, 일부


두 마리의 용이 등장하는 ''브리타니아 열왕사''의 삽화. 이 책은 브리튼 왕들의 역사를 묘사하고 있다.

3. 1. 브리타니아 열왕사(Historia Regum Britanniae)

카시벨라우누스는 12세기 몬머스의 제프리가 쓴 《브리타니아 열왕사》(Historia Regum Britanniae)에 주로 카시벨라누스(Cassibelanus) 또는 카시벨라우누스(Cassibelaunus)로 언급된다.[46] 그는 선왕 헬리의 어린 아들로, 형 루드의 죽음으로 왕위에 올랐다. 루드에게는 안드로게우스와 텐반티우스 두 아들이 있었지만 왕위에 오르기에는 아직 어렸기 때문이었다. 대신 안드로게우스는 켄트 및 트리노바툼(Trinovantum, 오늘날의 런던)의 백작, 텐반티우스는 콘월의 백작이 되었다.

갈리아 정복을 완수한 카이사르는 다음으로 브리타니아를 그의 목표로 삼았고, 카시벨라누스에게 조공을 요구하는 서신을 보냈다. 카시벨라우누스는 이를 거절했고 브리타니아인과 로마인은 같은 트로이의 후손(브루투스 오브 브리튼 참조)임을 내세웠으며, 카이사르는 템스 강 하구로 쳐들어 왔다. 전투를 벌이는 동안 카시벨라우누스의 동생 넨니우스가 카이사르와 맞닥뜨려서 머리에 심한 상처를 입었다. 카이사르의 칼이 네니우스의 방패에 꽂히고 양측이 멜레(mêlée)에서 헤어질 때, 네니우스는 자신의 칼이 아닌 카이사르의 칼을 빼어 로마인을 공격, 호민관 라비에누스(Labienus)를 비롯한 무수한 로마 병사들을 죽였다.[47] 브리타니아인의 저항이 거세자 결국 카이사르는 밤중에 다시 갈리아로 돌아갔다. 카시벨라우누스의 승전 축하는 네니우스의 머리 상처로 인한 죽음으로 중지된다. 네니우스는 자신이 카이사르로부터 빼앗아 수많은 로마군을 죽이는 데 사용했던 그 칼과 함께 묻혔는데, 그 칼의 이름은 크로케아 모르스(Crocea Mors)로 '누런 색깔의 죽음'이라는 뜻이었다.

2년 뒤에 카이사르는 더욱 보강된 병력으로 브리타니아를 공격했다. 카시벨라우누스는 이미 예상하고서 템스강의 수심 아래에 말뚝을 박아 카이사르의 배가 그 끝에 걸려 부서지게 했다. 수천 명이 익사하고 로마군은 다시 한 번 서둘러 달아나야 했다.

브리타니아 지도자들은 트리노반툼에 모여 많은 희생제물을 올려 신들에게 승리를 감사하고 이를 기념하는 운동 경기도 열었다. 레슬링 시합 중에 카시벨라누스의 조카 히렐라글라스(Hirelglas)가 안드로게우스의 조카 쿠엘리누스(uelinus)에게 살해당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카시벨라우누스는 안드로게우스에게 그를 법정에 회부시킬 것을 명했지만 안드로게우스는 거절했고 재판은 자신의 영지인 트리노바툼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카시벨라우누스는 전쟁을 일으키겠다고 하였고 안드로게우스는 이때 카이사르에게 도움을 요청해, 그를 브리타니아의 군왕으로 인정하는 것과 카이사르에게 인질을 보낸다는 조건에 대해서도 수락하였다.

카이사르는 세 번째로 브리타니아 공격에 나섰고, 루토피에 항에 상륙했다. 카시벨라우누스의 군대가 카이사르의 군대와 맞닥뜨리고 교전하는 사이 안드로게우스는 5천 명의 병력으로 카시벨라우누스를 후방에서 공격했다. 카시벨라우누스의 방어선은 무너졌고, 그는 인근 언덕으로 올라가 농성하였다. 이틀간의 포위 공격 끝에 안드로게우스는 카이사르에게 항복 조건을 제시해 달라고 호소한다. 카시벨라누스는 약 1360.78kg의 은을 바치고 카이사르와 맹우(盟友)가 되는 것에 동의하였다.

6년 뒤 카시벨라우누스는 죽어서 요크에 묻혔고, 안드로게우스는 카이사르와 함께 로마로 갔기 때문에 텐반티우스가 브리타니아 왕위를 이었다.

3. 2. 프러데인 섬의 삼제시(Welsh literature)

카시벨라우누스는 웨일스 삼인조, 마비노기온, 그리고 제프리 몬머스의 《브리타니아 열왕사》의 웨일스어판인 《브뤼트 어 베르히네드》에 벨리 마우르의 아들 카스왈라온으로 등장한다. 마비노기온의 두 번째 갈래에서 그는 정당한 왕인 복된 브란이 아일랜드에서 전쟁을 벌이는 동안 브리튼의 왕위를 찬탈한 찬탈자로 나타난다. 그는 보이지 않게 해주는 마법 망토를 사용하여 브란이 남겨둔 일곱 명의 관리인 중 여섯 명을 죽이고, 일곱 번째 관리인이자 브란의 아들인 카라독은 형체 없는 칼이 자신의 부하들을 죽이는 것을 보고 절망하여 죽는다.[48][49] 그는 이후 세 번째 갈래에 등장하는데, 여기에서 브란의 추종자들은 싸움을 피하기 위해 그에게 복종을 제안한다.[50] 그는 또한 그의 두 형제 루드 라우 에라인트 (제프리의 루드)와 레벨리스가 등장하는 이야기인 《루드와 레펠리스》에서도 언급된다.

카스왈라온은 웨일스 삼인조에서 자주 언급된다. 삼인조 51은 제프리 몬머스에 묘사된 "아파르위"(만두브라키우스/안드로게우스)와의 갈등을 묘사하는 반면,[51] 삼인조 95는 《마비노기온》에 나오는 브란의 아들 카라다우그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언급한다.[52] 그러나 다른 삼인조(35, 36, 38, 59, 67, 71)는 로마나 기존의 중세 출처에서 가져온 것이 아닌 카스왈라온에 대한 전통을 언급한다.[53]

번호내용
38카스왈라온의 말을 메인라스("가느다란 회색")라고 부르며, 브리튼 섬의 세 마리 최고의 말 중 하나로 칭한다.[54]
59메인라스를 대가로 로마인들이 브리튼에 상륙하도록 허용한 결정은 브리튼 섬의 세 가지 불운한 조언 중 하나로 불린다.[55]
35카스왈라온이 21,000명의 군사를 이끌고 카이사르를 추격하기 위해 브리튼을 떠났고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다고 나타낸다.[56]
67, 71카스왈라온을 아름다운 플러를 두고 카이사르와 경쟁한 위대한 연인으로 묘사한다. 그는 그의 사랑을 찾아 로마로 여행하는 것과 관련하여 브리튼 섬의 세 명의 황금 구두 수선공 중 한 명으로 꼽히며, 문맥상 그는 구두 수선공으로 변장했다는 것을 시사한다.[57]



18세기 웨일스 골동품 수집가인 이올로 모건우그가 편집한 삼인조의 후기 컬렉션은 카스왈라온이 갈리아에서 플러를 카이사르에게서 납치하고 6,000명의 로마인을 죽였으며, 이에 대한 대응으로 카이사르가 브리튼을 침공했다는 세부 사항을 포함하여 이 전통의 확장된 버전을 제공한다.[58] 그러나 모건우그의 삼인조의 나머지 부분과 마찬가지로 이 출처의 출처는 의심스럽다. 하지만 12세기 시인 킨델레 브리디드 마우르는 플러에 대한 카이사르의 사랑이 대가를 치르게 했다고 쓴, 플러 이야기의 어떤 버전을 알고 있었다.[59]

웨일스 학자 레이첼 브롬위치는 삼인조에서 카스왈라온에 대한 단편적인 암시는 잃어버린 등장인물의 서사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53] 이는 왕의 모험을 자세히 설명하는 로맨스 형태였을 수 있지만, 고전적인 설명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을 것이다.

4. 이름

고대 브리튼어 인명 ''카시벨라우누스''는 '우두머리, 사령관'을 뜻하는 단어 ''uellaunos''에서 유래했다.[1] ''cassi-'' 접두사의 의미는 논쟁의 대상이지만, 아마도 '주석, 청동'을 의미했을 것이다. 따라서 카시벨라우누스는 '주석의 우두머리', 즉 '불굴의'로 번역될 수 있다. ''Ver-cassivellaunus'' ('진실된 주석의 우두머리') 인명은 이와 관련이 있다.[2]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Britain 2007
[2] 서적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https://penelope.uch[...] 2006-08-11
[3] 서적 Strategemata http://attalus.org/t[...]
[4] 서적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5] 서적 Historia Regum Britanniae
[6] 서적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7] 웹사이트 Branwen, daughter of Llyr http://www.sacred-te[...]
[8] 서적 The Mabinogion
[9] 서적 The Mabinogion
[10] 서적 Trioedd Ynys Prydein
[11] 서적 Trioedd Ynys Prydein
[12] 서적 Trioedd Ynys Prydein
[13] 서적 Trioedd Ynys Prydein
[14] 서적 Trioedd Ynys Prydein
[15] 서적 Trioedd Ynys Prydein
[16] 서적 Trioedd Ynys Prydein
[17] 서적 Triads of Britain
[18] 서적 Trioedd Ynys Prydein
[19] 서적 ガリア戦記
[20] 서적 A History of Britain 2007
[21] 서적 ガリア戦記
[22] 서적 ローマ史 https://penelope.uch[...]
[23] 서적 異教反駁史 http://www.thelatinl[...]
[24] 서적 Strategemata http://attalus.org/t[...]
[25] 서적 ローマ史 https://penelope.uch[...]
[26] 서적 ブリタニア列王史
[27] 서적 ガリア戦記
[28] 웹사이트 Branwen, daughter of Llyr http://www.sacred-te[...]
[29] 서적 The Mabinogion
[30] 서적 The Mabinogion
[31] 서적 Trioedd Ynys Prydein
[32] 서적 Trioedd Ynys Prydein
[33] 서적 Trioedd Ynys Prydein
[34] 서적 Trioedd Ynys Prydein
[35] 서적 Trioedd Ynys Prydein
[36] 서적 Trioedd Ynys Prydein
[37] 서적 Trioedd Ynys Prydein
[38] 서적 Triads of Britain
[39] 서적 Trioedd Ynys Prydein
[40] 서적 Dictionnaire de la langue gauloise Editions Errance 2003
[41] 문서 카시벨라우누스의 요새 위치
[42] 서적 A History of Britain 2007
[43] 서적 갈리아 전기
[44] 서적 스트라테게마타 http://attalus.org/t[...]
[45] 서적 로마사 http://penelope.uchi[...]
[46] 서적 Historia Regum Britanniae
[47] 서적 갈리아 전기
[48] 웹사이트 Branwen, daughter of Llyr http://www.sacred-te[...]
[49] 서적 The Mabinogion
[50] 서적 The Mabinogion
[51] 서적 Trioedd Ynys Prydein
[52] 서적 Trioedd Ynys Prydein
[53] 서적 Trioedd Ynys Prydein
[54] 서적 Trioedd Ynys Prydein
[55] 서적 Trioedd Ynys Prydein
[56] 서적 Trioedd Ynys Prydein
[57] 서적 Trioedd Ynys Prydein
[58] 서적 Triads of Britain
[59] 서적 Trioedd Ynys Pryde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