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트리부누스 밀리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리부누스 밀리툼은 고대 로마에서 사용된 군사 직위로, '트리부스'에서 유래된 용어이다. 로마 초창기에는 각 부족에서 군대가 소집될 때 지휘관 역할을 했으며, 공화정 시대에는 군단당 6명의 트리부누스가 배치되어 지휘권을 순환했다. 공화정 초기에는 집정관을 대신하여 로마 정부의 수반으로 선출되기도 했으며, 기원전 366년 이후에는 사라졌다. 마리우스 군제개혁 이후에는 군단 지휘관인 레가투스의 보좌관 역할을 했으며, 원로원 계급의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와 기사 계급의 트리부니 앙구스티클라비로 구분되었다. 아우구스투스 시대에는 기사 계급 트리부누스가 켄투리오 계급에서 승진하여 보조군 기병대나 친위대를 지휘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로마의 군사 계급 - 켄투리오
    켄투리오는 로마군의 백인대를 지휘하는 중·하급 장교로, 마리아누스 개혁 이후 약 80명의 병사를 지휘했으며, 경력에 따라 승진하여 높은 권위를 누리기도 했고, 신약성서에도 등장한다.
  • 고대 로마의 군사 계급 - 임페라토르
    임페라토르는 원래 로마에서 임페리움을 받은 공직자를 뜻하는 라틴어 단어로, 전쟁에서 승리한 군 사령관의 칭호로 쓰이다가 로마 황제의 이름으로, 이후에는 황제를 의미하는 단어로 변화하여 서구어에서 황제를 뜻하는 단어의 어원이 되었다.
트리부누스 밀리툼
개요
로마 군단병
로마 군대의 트리부누스 밀리툼은 기원전 4세기부터 존재했던 직위이다. 원래는 각 부족에서 병력을 지휘하기 위해 선출된 6명의 장교로 구성되었다. 이후에는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군사 간부 직위가 되었다.
어원라틴어 tribūnus mīlitum (군인들의 트리뷴)
역사
기원기원전 4세기, 각 부족에서 병력을 지휘하기 위해 선출된 6명의 장교
역할 변화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군사 간부 직위로 변화
임무
초기각 부족 병력 지휘
후기다양한 군사 임무 수행
트리부니 밀리툼의 종류
트리부니 밀리툼 콘술라리 포테스타테 (tribuni militum consulari potestate)집정관의 권한을 가진 트리뷴 (기원전 444년 ~ 367년)
트리부니 밀리툼 아 라티클라비오 (tribuni militum a laticlavio)원로원 계급 출신 트리뷴, 군단장 보좌
트리부니 밀리툼 아 앙구스티클라비오 (tribuni militum a angusticlavio)기사 계급 출신 트리뷴
트리부니 밀리툼 루푸스 (tribuni militum rufulus)평민 출신 트리뷴 (비공식)
계급
원로원 계급 트리뷴군단장 바로 아래
기사 계급 트리뷴원로원 계급 트리뷴 아래
평민 출신 트리뷴기사 계급 트리뷴 아래

2. 초기 로마

트리부누스(tribunus)는 라틴어로 부족을 뜻하는 tribus에서 유래했다.[2] 로마 초창기에는 정규군이 없었기 때문에 3개의 부족(Ramnes, Luceres, Tities)이 군대를 소집할 때 각 부족에서 사령관 한 명씩을 파견했다.[3] 호민관들은 원래 3,000명의 군대로 구성된 군단의 지휘관이었다. 그리스 역사가 폴리비우스(기원전 118년 사망) 시대에 이르러 호민관의 수는 6명으로 늘어났으며, 집정관이 이들을 임명했다.[4] 그러나 호민관을 선출하고 임명하는 과정은 복잡하며 시기에 따라 달랐다.

2. 1. 트리부누스의 기원

트리부누스(tribunus)라는 용어는 라틴어로 부족을 뜻하는 트리부스(tribus)에서 유래했다.[9] 로마 극초기에는 상비군이 없었기에, 세 개의 부족(Ramnes, Luceres, Tities)들은 군대가 소집될 경우 각자 지휘관(트리부누스) 한 명씩을 파견했다.[10] 트리부누스들은 본래 3,000명으로 구성된 군단 하나의 지휘관들이었다. 그리스 역사가 폴리비오스 시기쯤에 트리부누스들은 6명이었고, 집정관들이 임명하였다.[11] 그럼에도 트리부누스들이 선정되는 과정은 복잡하고 시대에 따라 달랐다.

2. 2. 트리부누스의 변화

"트리부누스(tribunus)"라는 용어는 라틴어로 부족을 뜻하는 "트리부스(tribus)"에서 유래했다.[9] 로마 극초기에는 상비군이 없었기에, 세 개의 부족(Ramnes, Luceres, Tities)들은 군대가 소집될 경우 각자 지휘관(트리부누스) 한 명씩을 파견했다.[10] 트리부누스들은 본래 3,000명으로 구성된 군단 하나의 지휘관들이었다. 그리스 역사가 폴리비오스 시기쯤에는 트리부누스들이 6명이었고, 집정관들이 임명하였다.[11] 그럼에도 트리부누스들이 선정되는 과정은 복잡하고 시대에 따라 달랐다.

3. 공화정 시기

공화정 시대에는 각 군단에 6명의 트리부누스 밀리툼이 임명되었다. 이들의 권한은 한 번에 두 명에게 주어졌고, 6명 사이에서 순환되었다. 트리부누스는 로마 원로원이 임명한 원로원 계급 출신으로, 이 직책을 얻으려면 지배 계급의 일원이어야 했다. 기원전 311년경 평민들은 16명의 군사 트리부누스를 선출할 권리를 얻었는데, 이는 로마군을 구성하는 4개 군단에 배정된 6명의 트리부누스 중 4명에 해당했다. 이전에는 이러한 자리가 대부분 집정관이나 독재관의 임명에 달려 있었다.[12]

초기 공화정 시대에는 로마 국가의 수장으로 매년 선출되는 집정관 대신 트리부니 밀리툼 콘술라리 포테스타테가 선출되기도 했다. 당시 귀족만이 집정관으로 선출될 수 있었지만, 귀족과 평민 모두 이 직위에 선출될 수 있었다. 일반적인 두 명의 집정관 대신 4명에서 6명의 군사 트리부누스가 그 해에 선출되었다. 리비우스는 이러한 선택의 이유가 당시의 계급 투쟁 때문이라고 넌지시 제시했으며, 귀족은 집정관을, 평민은 군사 트리부누스를 선호했다. 이 직위는 기원전 366년 이후 사라졌다.[5]

3. 1. 트리부누스 밀리툼

공화정 시대에는 각 군단당 6명의 트리부누스가 배치되었다. 통솔권은 한 번에 두 명에게 주어졌고, 지휘는 6명 사이에서 순환되었다. 트리부누스는 로마 원로원이 임명한 원로원 계급의 인물들이었다. 트리부누스 직책을 얻기 위해서는 지배 계급의 일원이어야 했다. 기원전 311년경 평민들은 로마군을 구성하는 4개 군단에 배정된 6명의 트리부누스 밀리툼 중 4명, 총 16명을 선출할 권리를 얻었다. 이전에는 이러한 자리가 대부분 집정관이나 독재관의 임명에 달려 있었다.[12]

초기 공화정 시대에는 로마 국가의 수장으로 매년 선출되는 집정관 대신 다른 유형의 군사 트리부누스가 선택되기도 했다. 이들은 "집정관 권위를 지닌 트리부누스 밀리툼"이라는 뜻의 트리부니 밀리툼 콘술라리 포테스타테라고 불렸다. 당시에는 귀족만이 집정관으로 선출될 수 있었지만, 귀족과 평민 모두 집정관 권한을 가진 트리부누스로 선출될 수 있었다. 일반적인 두 명의 집정관 대신 4명에서 6명의 군사 트리부누스가 그 해에 선출되었다. 이러한 선택의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리비우스는 이 시기에 고질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계급 투쟁에 따라 결정을 내리는 경우가 많았으며, 귀족은 일반적으로 집정관을 선호하고 평민은 군사 트리부누스를 선호했다고 넌지시 제시했다. "집정관 트리부누스" 직책은 기원전 366년 이후 결국 사라졌다.

3. 2. 트리부니 밀리툼 콘술라리 포테스타테

로마 공화정 초기, 매년 선출되는 집정관 대신 로마 정부의 수반으로 "집정관 권한을 지닌 트리부누스 밀리툼"이라는 뜻의 트리부니 밀리툼 콘술라리 포테스타테가 선출되기도 하였다. 당시 귀족 계급만 집정관으로 선출될 수 있었지만, 평민 계급과 귀족 계급 모두 이 직위에 선출될 수 있었다. 일반적인 두 명의 집정관 대신 4명에서 6명 사이의 인원이 매년 선출되었다. 리비우스는 이러한 선택의 이유가 당시의 계급 갈등 때문이라고 제시했지만, 귀족 계급은 일반적으로 집정관직을 선호했고 평민 계급은 트리부누스 밀리툼을 선호했다. 이 지위는 기원전 366년 이후 사용되지 않았다.[12]

4. 마리우스 군제개혁 이후

마리우스 군제개혁(클라우디우스 황제가 공식화) 이후 군단은 군단 지휘권자의 지휘를 받았다. 여섯 명의 트리부누스 밀리툼은 여전히 군단에 있었으나, 군 계급이라기보다는 정치적 지위가 되면서 이들의 임무 및 책임도 변화하였다. 레가투스의 제2서열자는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였고, 일반적으로 원로원 계급의 젊은이들이었다. 이들은 종종 레가투스가 부재시 부대를 지휘했고, 아우구스투스 법에 따라 원로원 계급이 이집트에 들어갈 수 없도록 하면서 이집트에 주둔한 군단처럼, 일부 군단들은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의 영구 지휘를 받았다.

나머지 다섯 명의 '좁은 띠' 트리부누스들은 트리부니 앙구스티클라비라 불렸고 하위 계급이었다. 이들은 군사 회의에 참석은 허락되었으나 전장에서는 권한이 없었다.

4. 1. 군제개혁과 트리부누스의 변화

기원전 107년의 마리우스 군제개혁(클라우디우스 황제가 공식화)으로 직업군 체계가 형성된 후, 군단은 군단 지휘관의 지휘를 받았다. 여섯 명의 트리부누스 밀리툼은 여전히 군단에 있었으나, 군사 계급보다는 정치적 지위가 되면서 이들의 임무 및 책임도 변화하였다. 레가투스의 제2서열자는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였고, 일반적으로 원로원 계급의 젊은이들이었다. 이 지위는 레가투스의 행동을 보고 배우기 위해 주어졌다. 이들은 종종 레가투스가 부재시 부대를 지휘했고, 아우구스투스 법에 따라 원로원 계급권자가 이집트에 들어갈 수 없도록 하면서 이집트에 주둔한 군단처럼, 일부 군단들은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의 영구 지휘를 받았다.[13]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와 대조적으로, 나머지 다섯 명의 '좁은 띠' 트리부누스들은 트리부니 앙구스티클라비라 불렸고 하위 계급이었다. 이들은 군경험을 지닌 기사 계급 인원이었으나, 권한은 없었다. 군사 회의에 참석은 허락되었으나 전장에서는 권한이 없었다. 대부분의 좁은 띠 트리부누스들은 레가투스를 보좌했지만, 소수의 운 좋은 이들은 (아그리콜라 같은 경우) 속주 총독의 고문으로 수행하도록 택해졌다.[13] 타키투스는 아그리콜라의 업무 사례를 다른 동료들의 업무 사례와 대조하며, 이들이 자신들의 지위를 항상 진지하게 여기지 않았다고 언급했다.[13]

4. 2.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와 트리부니 앙구스티클라비

기원전 107년의 마리우스 군제개혁(클라우디우스 황제가 공식화) 이후, 군단은 군단 지휘권자의 지휘를 받았다. 여섯 명의 트리부누스 밀리툼은 여전히 군단에 있었으나, 군 계급이라기보다는 정치적 지위가 되면서 이들의 임무 및 책임도 변화하였다. 레가투스의 제2서열자는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였고, 일반적으로 원로원 계급의 젊은이들이었다. 이 지위는 레가투스의 행동을 보고 배우기 위해 주어졌으며, 종종 레가투스가 부재시 부대를 지휘했다. 아우구스투스 법에서 어떠한 원로원 계급권자도 이집트에 들어갈 수 없도록 하면서 이집트에 주둔 군단처럼, 일부 군단들은 넓은 띠 트리부누스의 영구 지휘를 받았다.

넓은 띠 트리부누스와 대조적으로, 나머지 다섯 '좁은 띠' 트리부누스들은 하위 계급자들이었고, 트리부니 앙구스티클라비라 불렸다. 이들은 군사 경험을 지닌 기사 계급 인원들로 '사관후보생'들 이었으나, 권한은 아직 없었다. 군사 회의에 참석하는 것은 허락되었으나 전장에서는 권한이 없었다. 대부분의 좁은 띠 트리부누스들은 레가투스들을 보좌했지만, 소수의 운좋은 이들은 (아그리콜라 같은 경우) 속주의 총독의 고문으로 수행하도록 택해졌다.[13] 타키투스에 의하면, "[아그리콜라는] 군복무를 제멋대로의 취미 생활로 바꿔버린 많은 젊은이들과는 다르게 자신의 트리부누스 직위를 부도덕 또는 나태하게 사용하거나, 자신의 경험 부족을 즐거움과 임무 부재 속에서 시간을 보내는 데 쓰지 않았다"라고 언급함으로써, 아그리콜라의 업무 사례를 다른 동료들의 업무 사례와 대조하며, 이들이 자신들의 지위를 항상 진지하게 여기지 않았다고 한다.[13]

5. 원수정

아우구스투스 시기, 기사 계급 트리부누스 다섯 명은 가끔씩 켄투리오 계급에서 승진되었고, 보조군 기병대 또는 친위대의 지휘권자로 승진할 수 있었다.

참조

[1] 간행물 Dio, LXVII, 2
[2] 서적 Oxford Latin Dictionary Clarendon Press 1982
[3] 서적 De lingua latina
[4] 웹사이트 6.12.6 https://penelope.uch[...]
[5] 서적 Ab Urbe Condita Libri IX, 29
[6] 서적 Agricola
[7] 서적 로마 건국사 9.30.3-4
[8] 간행물 Dio, LXVII, 2
[9] 서적 옥스퍼드 라틴어 사전 Clarendon Press 1982
[10] 서적 De lingua latina
[11] 웹사이트 6.12.6 http://penelope.uchi[...]
[12] 서적 로마사 IX, 29
[13] 서적 아그리콜라 전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