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캄보디아의 국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코르 리치'는 캄보디아의 국가로, 고대 민속 시에서 유래되었으며 1941년에 작곡되고 가사가 완성되었다. 1970년 크메르 공화국 수립으로 폐지되었다가, 크메르 루주 정권 시기를 거쳐 1993년 총선 이후 다시 국가로 복원되었다. 1997년 한국과 캄보디아의 재수교는 '노코르 리치'에 상징적인 의미를 더했다. 이 국가는 크메르어로 된 가사를 가지고 있으며, 캄보디아의 역사와 문화를 찬양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캄보디아의 노래 -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국가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국가는 '우리 캄보디아'로도 알려진, 캄푸치아 인민공화국의 이상과 가치를 담은 사회주의 국가이며, 가사는 크메르어, 로마자, 베트남어, 영어로 번역되어 단결, 승리, 자유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 캄보디아의 노래 - 영광스러운 4월 17일
    영광스러운 4월 17일은 캄보디아의 혁명을 노래하며 민주적이고 평등한 사회 건설을 다짐하는 민주 캄푸치아의 국가였으며, 1979년 폐지되었다.
  • 캄보디아의 상징 - 캄보디아의 국기
    캄보디아의 국기는 푸른색, 붉은색, 흰색 삼색기로 중앙에 앙코르 와트가 있으며, 푸른색은 자유, 협력, 형제애, 붉은색은 용기, 흰색은 순수함을 상징하고 앙코르 와트는 크메르 문화와 부, 정직, 정의, 문화유산을 나타내며, 군주제 복고 이후 재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 캄보디아의 상징 -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국가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국가는 '우리 캄보디아'로도 알려진, 캄푸치아 인민공화국의 이상과 가치를 담은 사회주의 국가이며, 가사는 크메르어, 로마자, 베트남어, 영어로 번역되어 단결, 승리, 자유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 사단조 작품 - 악마의 트릴
    주세페 타르티니가 꿈에서 악마에게 영감을 받아 작곡했다는 전설이 있는 바이올린 소나타 악마의 트릴은 1740년대 후반에 작곡된 것으로 추정되며, 고음부의 지속적인 트릴 연주가 특징적인 3악장으로 구성되어 이후 다양한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사단조 작품 - 교향곡 40번 (모차르트)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가 1788년에 작곡한 교향곡 40번은 G단조의 조성과 격렬한 감정 표현, 그리고 4개의 악장으로 구성된 고전 시대 교향곡 형태를 띄며, 39번, 41번과 함께 그의 "3대 교향곡"으로 불린다.
캄보디아의 국가
기본 정보
캄보디아 왕실 문장
캄보디아 왕실 문장
국명캄보디아
로마자 표기Nokor Reach
직역왕국
영어 제목Majestic Kingdom
작사추온 나트
작곡노로돔 수라마리트, F. Perruchot, J. Jekyll
채택1941년
재채택1975년 4월 17일, 1993년 9월 21일
이전 국가크메르 공화국의 행진
캄푸치아 인민 공화국의 국가
이전 사용1970년 10월 9일, 1976년 1월 6일
이후 국가크메르 공화국의 행진
4월 17일의 위대한 승리

2. 역사

"노코르 리치"는 고대 자페이로 연주되던 민속 시에서 유래한 곡으로,[1][2] 캄보디아의 복잡하고 격동적인 근현대사를 반영하며 국가로서의 지위가 여러 차례 바뀌었다.

시소와트 모니봉 국왕 치세인 1938년에서 1939년 사이 노로돔 수라마리트 왕자가 곡을 만들고,[3][4] 촌 나트 스님이 가사를 완성하여[11] 1941년 노로돔 시아누크 국왕의 대관식 이후 국가로 처음 제정되었다.[5] 1947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하면서 독립국의 국가로 다시 채택되었다.[5]

그러나 1970년, 론 놀이 이끈 쿠데타군주제가 폐지되고 크메르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노코르 리치"는 국가 지위를 잃고 '크메르 공화국의 노래'로 대체되었다.[9] 1975년 크메르 루주가 프놈펜을 점령한 후 잠시 복원되었으나,[6] 이듬해인 1976년 크메르 루주 정권은 국가를 다시 '영광의 4월 17일'로 교체하였다.[6][12]

이후 평화 협정을 거쳐 1993년 총선에서 왕당파 정당인 푼신펙이 승리하면서 왕정 복고가 이루어졌고, "노코르 리치"는 다시 캄보디아의 국가로 지정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1][12] 이처럼 "노코르 리치"의 역사는 캄보디아 정치 체제의 변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2. 1. 초기 역사와 채택 (1941-1970)

"노코르 리치"는 고대부터 이야기를 전달하고 최근 사건을 알리기 위해 자페이로 연주되던 캄보디아 민요이자 민속 시에서 유래했다.[1][2]

곡은 시소와트 모니봉 국왕 치세인 1938년과 1939년 사이에 노로돔 수라마리트 왕자가 왕궁의 음악 강사였던 J. 제킬과 프랑수아 페루쇼의 도움을 받아 작곡했다.[3][4] 가사는 캄보디아 민요를 바탕으로 촌 나트 스님이 작성하여[11], 노로돔 시아누크 국왕의 대관식 몇 달 후인 1941년 7월 20일에 완성되었다.[5]

같은 해인 1941년에 국가로 채택되었으며, 1947년 캄보디아프랑스로부터 독립하면서 독립국의 국가로 공식 재확인되었다.[5]

그러나 1970년, 론 놀이 이끈 쿠데타로 노로돔 시아누크 국왕이 축출되고 크메르 공화국이 성립되면서 군주제가 폐지되었다. 이에 따라 "노코르 리치"는 국가 자격을 잃고 '크메르 공화국의 노래'(បទចំរៀងនៃសាធារណរដ្ឋខ្មែរ|봇쩜리응 너이 사티어러너루엇 크마에km)로 대체되었다.[9]

2. 2. 크메르 공화국과 크메르 루주 시대 (1970-1993)

1970년, 론 놀이 이끄는 쿠데타로 노로돔 시아누크 국왕이 축출되고 군주제가 폐지되면서 크메르 공화국이 수립되었다.[9] 이에 따라 기존의 국가였던 "노코르 리치"는 폐지되고, '크메르 공화국의 노래'가 새로운 국가로 지정되었다.[9]

1975년, 크메르 루주가 론 놀 정권을 무너뜨리고 프놈펜을 점령하자, "노코르 리치"를 포함한 이전 왕정 시대의 상징들이 잠시 복원되었다.[6][12] 하지만 이듬해인 1976년 1월, 시아누크가 국가 원수직에서 사임하면서 크메르 루주 정권은 국가를 다시 "영광의 4월 17일"로 교체하였다.[6][12]

이후 평화 협정을 거쳐 1993년에 실시된 총선거에서 왕당파 정당인 푼신펙이 구 공산주의 계열의 캄보디아 인민당을 누르고 승리하였다.[1][12] 그 결과, 왕정이 복고되면서 "노코르 리치" 역시 캄보디아의 국가로 다시 지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1][12]

2. 3. 왕정 복고와 현재 (1993-)

1970년, 론 놀쿠데타로 시아누크 국왕이 축출되고 크메르 공화국이 성립되면서 '노코르 리치'는 폐지되고 បទចំរៀងនៃសាធារណរដ្ឋខ្មែរ|크메르 공화국의 노래khm가 국가로 지정되었다.[9] 1975년, 크메르 루주가 론 놀 정권을 무너뜨리고 수도 프놈펜을 점령한 후, '노코르 리치'를 포함한 이전 왕정 시대의 상징들이 잠시 복원되었다. 그러나 이듬해인 1976년 1월, 크메르 루주 정권은 시아누크를 국가 원수직에서 물러나게 하고 국가를 다시 '영광의 4월 17일'(ដប់ប្រាំពីរមេសាមហាជោគជ័យ|돕 프람피 메사 마하 쪽체이khm)로 교체하였다.[6]

이후 평화 협정을 거쳐 유엔 캄보디아 잠정 통치기구(UNTAC)의 지원 아래 1993년 총선이 실시되었다. 이 선거에서 왕당파 정당인 푼신펙이 기존의 캄보디아 인민당 세력을 누르고 승리하였다. 이에 따라 '노코르 리치'는 다시 캄보디아의 공식 국가로 복원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1][12]

3. 가사

노코르 리치는 총 3절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절은 5행으로 구성되어 있다.[7]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주로 1절이 불린다. 각 절은 캄보디아의 역사, 문화, 종교적 내용을 담고 있다.

3. 1. 크메르어 가사 및 한국어 번역

캄보디아의 국가 "노코르 리치"는 총 3절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절은 5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주로 1절이 불린다.

'''노코르 리치''' 가사
크메르어 원문km한국어 번역
1절
2절
3절


  • 1절: 왕실의 권위와 번영을 기원하며, 현재의 왕이 크메르 제국의 영광스러운 역사를 계승했음을 강조한다.
  • 2절: 앙코르 와트와 같은 크메르 제국의 위대한 유산을 떠올리며, 크메르 민족의 영속성과 국가의 번영을 기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3절: 불교를 국교로 삼는 캄보디아의 종교적 전통과 신앙심을 나타내며, 조상들의 믿음을 따를 때 신의 가호가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표현한다.


프랑스 보호령 시기에는 크메르와 프랑스 간의 우호를 강조하는 내용의 4절이 존재했으나, 독립 이후 공식 국가에서는 제외되었다.[7]

'''프랑스 보호령 시기 4절'''
크메르어 원문km한국어 번역
ក្នុងគ្រាក្សេមក្សាន្ត ដូចគ្រាមានចម្បាំង
កម្ពុជានិងបារាំង ជាមិត្តរួមចិត្តមួយ
យោធាក្លាហាន បានបង្ហូរឈាមដោយក្តីទុក្ខព្រួយ
គង់មានថ្ងៃមួយ និងមានជុំនេះដូចដើមវិញពុំខាន
ពួកខ្មែរនិងបាន ជួបជុំគ្នាវិញkm
평화로울 때나 전쟁의 시기에도
캄보디아와 프랑스는 한마음의 친구였네
용감한 군인들이 흘린 피는 헛되지 않았으니
언젠가 승리의 날이 오리라
모든 크메르인이 다시 하나 될 그날처럼


3. 2. 가사 해석의 다양성



'''1절'''

សូមពួកទេព្តា រក្សាមហាក្សត្រយើងkhm
ឱ្យបានរុងរឿង ដោយជ័យមង្គលសិរីសួស្តីkhm
យើងខ្ញុំព្រះអង្គ សូមជ្រកក្រោមម្លប់ព្រះបារមីkhm
នៃព្រះនរបតីវង្ស ក្សត្រាដែលសាងប្រាសាទថ្មkhm
គ្រប់គ្រងដែនខ្មែរ បុរាណថ្កើងថ្កាន ។khm

'''2절'''

ប្រាសាទសិលា កំបាំងកណ្តាលព្រៃkhm
គួរឱ្យស្រមៃ នឹកដល់យសស័ក្តិមហានគរkhm
ជាតិខ្មែរដូចថ្ម គង់វង្សនៅល្អរឹងប៉ឹងជំហរkhm
យើងសង្ឃឹមពរ ភ័ព្វព្រេងសំណាងរបស់កម្ពុជាkhm
មហារដ្ឋកើតមាន យូរអង្វែងហើយ ។khm

'''3절'''

គ្រប់វត្តអារាម ឮតែសូរស័ព្ទធម៌khm
សូត្រដោយអំណរ រំឭកគុណពុទ្ធសាសនាkhm
ចូរយើងជាអ្នក ជឿជាក់ស្មោះស្ម័គ្រតាមបែបដូនតាkhm
គង់តែទេវតា នឹងជួយជ្រោមជ្រែងផ្គត់ផ្គង់ប្រយោជន៍ឱ្យkhm
ដល់ប្រទេសខ្មែរ ជាមហានគរ ។khm

'''한국어 번역'''

'''1절'''

신들이시여, 우리의 위대한 왕을
영광과 축복, 승리로 보호하소서
저희들은 이제 왕의 가호 아래 보호를 구합니다
석조 궁전을 세우신 왕조의 후예
고대 크메르의 영토를 다스리신이여

'''2절'''

깊은 숲속에 묻힌 석조 궁전들
위대한 제국의 영광을 떠올리게 하네
크메르 민족은 바위처럼 굳건하게 서있으니
우리는 기원하네, 캄보디아의 축복된 운명을
이 위대한 나라 영원히 이어지기를

'''3절'''

모든 사원에 울려 퍼지는 법문소리
기쁨으로 독경하며 부처님의 은덕을 기리네
조상들의 길을 충실히 따르는 우리가 되어
하늘의 신들이 우리를 돌보시어
크메르의 대지에 은혜를 내리시리

'''프랑스어 번역'''

'''1절'''

Que le ciel protège notre Roifra
Et lui dispense le bonheur et la gloire.fra
Qu'il règne sur nos cœurs et sur nos destinées,fra
Celui qui, héritier des Souverains bâtisseurs,fra
Gouverne le fier et vieux Royaume.fra

'''2절'''

Les temples dorment dans la forêt,fra
Rappelant la grandeur du Moha Nokor.fra
Comme le roc, la race khmère est éternelle,fra
Ayons confiance dans le sort du Kampuchéa,fra
L'Empire qui défie les années.fra

'''3절'''

Les chants montent dans les pagodesfra
A la gloire de la Sainte foi Bouddhique.fra
Soyons fidèles aux croyances de nos pères.fra
Ainsi le ciel prodiguera-t-il tous ses bienfaitsfra
Au vieux pays khmer, le Moha Nokor.fra

'''영어 번역'''

'''1절'''

Heavens protect Our Kingeng
And grant Him happiness and gloryeng
To reign over our souls and our destinies,eng
The Heir of the Sovereign builders,eng
Guiding the proud old Kingdom.eng

'''2절'''

Temples are asleep in the foresteng
Remembering the glory of the Grand Kingdomeng
Like a rock the Khmer race is eternal.eng
Let us trust in the fate of Kampucheaeng
The Empire which challenges the ages.eng

'''3절'''

Songs rise up from the pagodaseng
To the glory of the Holy Buddhist faith.eng
Let us be faithful to the beliefs of our ancestors.eng
So heavens will lavish its bountyeng
Towards the ancient Khmer country, The Grand Kingdom.eng

과거 프랑스 보호령 시기에는 크메르와 프랑스 간의 관계를 강조하는 4절이 추가로 불리기도 했다.[7]

'''4절 (프랑스 보호령 시기)'''

ក្នុងគ្រាក្សេមក្សាន្ត ដូចគ្រាមានចម្បាំងkhm
កម្ពុជានិងបារាំង ជាមិត្តរួមចិត្តមួយkhm
យោធាក្លាហាន បានបង្ហូរឈាមដោយក្តីទុក្ខព្រួយkhm
គង់មានថ្ងៃមួយ និងមានជុំនេះដូចដើមវិញពុំខានkhm
ពួកខ្មែរនិងបាន ជួបជុំគ្នាវិញkhm

(영어 번역)
In peace as in war,eng
Cambodia and France are friends with one heart.eng
Brave soldiers shed their blood with sorrow,eng
Surely one day victory will come,eng
As will the union of all Khmers.eng

이 외에도 다양한 영어 번역본과 비공식 프랑스어 번역본이 존재하며, 이는 가사 해석의 다양성을 보여준다.

4. 한국과의 관계

대한민국캄보디아는 1997년 외교 관계를 다시 수립한 이후, 정치,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긴밀한 협력 관계를 발전시켜 왔다. 특히 캄보디아는 대한민국공적개발원조(ODA) 중점 협력 대상국 중 하나로, 한국의 지원은 캄보디아의 국가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Art Therapy in Asia: To the Bone Or Wrapped in Silk https://books.google[...] Jessica Kingsley Publishers 2012
[2] 서적 The Concise Garland Encyclopedia of World Music: The Middle East, South Asia, East Asia,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8
[3] 웹사이트 Complete National Anthems of the World: 2013 Edition https://www.eclassic[...] 2012
[4] 서적 Cultures of Independence https://books.google[...] Reyum 2001
[5] 서적 Collier's Encyclopedia: With Bibliography and Index https://books.google[...] Crowell-Collier Publishing Company 1964
[6] 웹사이트 A nation built on the rule of song https://www.penopp.o[...] 2017-04-18
[7] 서적 Hymnes et Pavillons d'Indochine https://gallica.bnf.[...] Imprimerie d'Extrême Orient
[8] 웹사이트 The People's Republic of Kampuchea 1979 - 1989: A Draconian Savior? http://www.seas.ohio[...] Ohio University 2014-07-06
[9] 서적 国旗・国歌の世界地図 文春新書 21世紀研究会編
[10] 서적 カンボジアを知るための60章 明石書店 2006
[11] 문서
[12] 웹사이트 Cambodia "នគររាជ" "Nokoreach" (Royal Kingdom) http://www.nationala[...] nationalanthems.info 2011-10-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