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케레타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레타로는 멕시코 케레타로 주의 주도이자 최대 도시로, "위대한 사람들의 장소"를 의미하는 오토미어에서 유래되었다. 1531년에 스페인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멕시코 독립 전쟁과 멕시코 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현재는 멕시코 중부에 위치하며, 바히오 지역의 일부로, 멕시코에서 경제적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도시 중 하나이다. 반건조 기후를 보이며,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한다. 케레타로 광역권은 멕시코에서 8번째로 큰 광역권이며, 멕시코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5대 광역권 중 하나로 꼽힌다. 케레타로는 멕시코의 주요 교차로 역할을 하며, 케레타로 국제공항을 통해 교통이 발달했다. 또한 다수의 대학교와 연구 기관이 위치하여 교육 및 연구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멕시코의 세계유산 - 소치밀코
    소치밀코는 멕시코시티 남부에 위치한 자치구이자 도시로, 아즈텍 시대부터 멕시코시티에 식량을 공급하는 근교 농업 지역이었으며, 현재는 운하와 치남파 경관으로 198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멕시코의 세계유산 - 레비야히헤도 제도
    레비야히헤도 제도는 멕시코의 화산섬 군도로, 독특한 생태계를 이루어 다양한 고유종의 서식지이며 해양 보호 구역 및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멕시코의 주도 - 체투말
    체투말은 멕시코 킨타나로오 주의 주도로, 유카탄 반도 남동쪽 끝에 위치한 항구 도시이며, 고대 마야 문명 중심지였던 차크테말 자리에 설립되어 허리케인 피해 이후 재건, 현재는 국제공항과 박물관을 갖춘 도시로 벨리즈와의 국경으로 무역과 관광이 활발하다.
  • 멕시코의 주도 - 두랑고 (두랑고주)
    두랑고는 멕시코 북부 두랑고 주의 주도로, 선사 시대부터 통로 역할을 했으며, 1563년 스페인에 의해 설립되었고, 2010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으며, 반건조 기후를 보이는 도시이다.
  • 멕시코의 도시 - 시우다드후아레스
    시우다드후아레스는 멕시코 치와와주에 위치하며 미국 엘파소와 국경을 접하고, 1659년 건설되어 1888년 시우다드후아레스로 개칭되었으며, 마킬라도라 산업 성장으로 인구가 증가했으나 마약 카르텔 폭력으로 치안이 악화되었고, 수출 중심의 산업과 냉대 사막 기후를 보인다.
  • 멕시코의 도시 - 베라크루스
    베라크루스는 멕시코 동부 해안의 항구 도시이자 주로, 에르난 코르테스의 상륙을 기념하여 이름 붙여졌으며, 식민지 시대 주요 항구로서 번성했으나 여러 외세 침략과 역사적 사건을 겪었고, 풍부한 역사와 문화, 활기찬 항구, 독특한 문화적 특징을 지닌 도시이다.
케레타로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케레타로 스카이라인 및 [[케레타로 수도교|수도교]]
케레타로 스카이라인 및 수도교
[[테아트로 데 라 레푸블리카|공화국 극장]]
공화국 극장
[[:es:Templo y exconvento de San Francisco de Asís de Querétaro|성 프란치스코 데 아시스 교회]]
성 프란치스코 데 아시스 교회
[[:es:Templo de Santa Rosa de Viterbo|산타 로사 데 비테르보 교회]]
산타 로사 데 비테르보 교회
[[코닌]] 기념비
코닌 기념비
[[:es:Templo y exconvento de San Agustín de Querétaro|산 아구스틴 전 수도원]] (케레타로 미술관)
산 아구스틴 전 수도원 (케레타로 미술관)
[[막시밀리아노 황제 기념 예배당]], [[세로 데 라스 캄파나스|종의 언덕]]
막시밀리아노 황제 기념 예배당, 종의 언덕
공식 명칭산티아고 데 케레타로
토착어 명칭케레타로
도시 유형도시 및 자치체
행정 구역
국가멕시코
케레타로주
설립1531년 7월 25일
자치체 지위 획득1917년
시장루이스 나바
면적
총 면적363 km² (육지)
고도
해발 고도1,820 m
인구 통계
2020년 총 인구 (도시)626,495명
2020년 총 인구 (자치체)1,049,777명
2020년 광역 인구1,436,818명
인구 밀도 (km²당)10214명
경제
연도2023년
총 GDP385억 달러
1인당 GDP27,200 달러
시간대
시간대CST
UTC 오프셋-6
기타 정보
우편 번호76000
지역 번호442/446
웹사이트queretaro.gob.mx
세계 문화 유산 등재 정보
공식 명칭케레타로 역사 기념물 지역
유형문화
기준ii, iv
지정 번호792
지역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 해

2. 어원

케레타로는 오토미어로 "Maxei" 또는 "Ndamaxei"라고 불리며, 각각 공놀이와 웅대한 공놀이를 의미한다. 멘도치노 코덱스에는 이 도시가 공놀이를 뜻하는 나와틀어 단어에서 유래된 Tlaschco 또는 Tlaxco로 표기되어 있다. 하지만 케레타로는 "위대한 사람들의 장소"를 의미하는 k'eri ireta rho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8]

''케레타로''라는 단어는 세르반테스 연구소의 승인을 받기 전, 33,000명의 참가자들에 의해 "스페인어에서 가장 아름다운 단어"로 선정되었다.[10][11] 콜럼버스 이전 시대 용어로, 케레타로는 문자 그대로 "푸른 도롱뇽의 섬"을 의미한다.[12] 다른 학자들은 "파충류의 장소" 또는 "거대한 바위의 장소"를 의미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13]

3. 역사

오토미족 상인, 코닌 (일명 에르난도 데 타피아)의 동상, 도시의 설립자.


시내에 있는 전통 무용수의 동상.


=== 설립 이전 ===

기원후 200년경, 북쪽으로 이동한 메소아메리카 그룹이 이 지역에 정착했으며, 이곳의 고고학 유적지는 테오티우아칸의 영향을 보여준다. 고전 시대부터 이 지역에는 톨루킬라와 라스 라나스라는 두 개의 인구 중심지가 있었다. 현재 엘 세리토로 알려진 산은 의례 중심지였지만, 알 수 없는 이유로 나중에 버려졌다.[8]

후기 스페인 정복 이전 시대에는 오토미족이 이 지역에 거주했는데, 그들은 아즈텍 제국 시대에 정착된 도시 거주자가 되었고, 정치적으로도 세련되었다. 아즈텍 제국은 그들을 '''틀라세틸리 오토미''' 또는 "오토미 국가/국가"라고 불렀다. 이 지역은 1440년대에 쉴로테페크의 오토미 지배하에 있었고, 이는 다시 멕시코-테노치티틀란의 아즈텍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15세기 후반 아우이조틀의 통치하에, 아즈텍은 이 지역을 직접 관리했으며, 북쪽의 치치메카 영토에 대한 방어선으로 여겼다.[8] 쉴로테페크에서 오토미족은 가장 인구가 많은 민족이었지만, 주로 치치메카를 포함한 다른 집단도 있었다. 이 두 집단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이곳에서 발견된다. 오토미족은 정의된 영토를 가진 가족 씨족과 같은 집단으로 조직되었으며, 돌, 나무 또는 흙벽돌 가옥에 살았다. 그들은 정착 농부였으며, 아즈텍과는 달리 전쟁을 그들의 문화의 큰 부분으로 만들지 않았다.[8]

=== 설립 ===

스페인 도시 산티아고 데 케레타로는 1531년 7월 25일에 건설되었는데, 스페인인 에르난 페레스 보카네그라 이 코르도바가 오토미족의 지도자 코닌(세례명은 페르난도 데 타피아)과 함께 도착하면서 시작되었다.[5] 코닌은 당시 아스테카 지배 하의 오토미족의 행정 장관이었다.[53] 이날 스페인군과 나와족 동맹군은 상그레말(당시에는 인로토페케) 언덕에서 현지 반란군 오토미족 및 치치메카족과 전투를 벌였다. 프라이 이시드로 펠릭스 데 에스피노자의 기록에 따르면, 치치메카족이 승리할 찰나에 일식이 발생했고, 스페인군은 붉은 십자가를 단 흰 말을 탄 성 야고보를 보았다고 주장하여 치치메카족이 항복했다.[8][54] 이 사건으로 인해 이 도시의 이름은 산티아고(성 야고보) 데 케레타로라고 불리게 되었고,[5][14][53][55] 언덕에는 돌 십자가와 교회, 수도원이 세워졌다.[5][53]

라스 라나스의 아즈텍 공터


그러나 스페인의 지배는 점차적으로 성장했다. 1520년대에 케레타로 남부와 멕시코주 북부의 오토미족과 많은 치치메카족은 에르난 코르테스와 동맹을 맺었다.[54] 1526년과 1529년 사이에 에르난 페레스 데 보카네그라가 이끌고 온 첫 스페인군은[8][54] 비폭력적인 수단을 사용하려 했으나,[15][56] 초기 시도는 현지인들에 의해 격퇴되어 우밀판과 아캄바로 시를 건설하게 되었다.[8]

보카네그라는 실로테페케 영주 코닌과 협상하여 협력을 얻었고, 코닌은 스페인-치치메카/오토미족 분쟁을 종식시킨 공로로 이 지역의 스페인 총독이 되었다.[8][54] 코닌은 원주민과 스페인 거주자를 분리하여, 원주민은 상그레말 언덕과 그 주변에, 스페인 거주자는 현재 역사 중심지 주변에 거주하게 했다.[8][54] 도시의 스페인 구역은 D. 후안 산체스 데 알라니스가 설계했고,[5][53] 원주민 구역은 전통적인 오토미족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1535년에 첫 시의회가 소집되었고, 1537년에 푸에블로 데 인디오스(인디언 마을)로 명명되어 엔코미엔다가 종식되었다.[8][54] 이 기간 동안 프란체스코회가 선교 사업을 위해 도착했고,[15] 나중에는 예수회, 아우구스티누스회 등이 합류했다.[56] 케레타로는 처음에는 인디오의 푸에블로(Pueblo)로, 스페인인 이주 후 1606년에는 비야(Villa)로 지정되었다. 1665년에 산티아고는 도시(Ciudad)로 인정받았고, 현재도 사용되는 시 문장이 수여되었다.[54]

=== 식민지 시대 전성기 ===

1606년에 정착지는 마을로 선포되었고, 1655년까지 스페인인들만 도시에서 살고 있었다. 1656년에는 "무이 노블 이 레알 시우다드 데 산티아고 데 케레타로"(매우 고귀하고 충실한 산티아고 데 케레타로 시)로 선언되었다.[8] 이 명예는 케레타로의 성장, 농업 생산, 산업 및 교육 기관을 인정하여 부왕 루이스 데 벨라스코가 요청했다.[5] 18세기에는 비공식적으로 "바히오의 진주"와 "부왕령의 세 번째 도시"로 알려졌다.[8]

1796년 산티아고 데 케레타로의 시가지 지도


17세기에는 프란체스코 수도회에 디에기노 수도회가 합류하여 산 안토니오 수도원을 건설했고, 예수회는 산 이그나시오 및 산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단과 도미니코회, 카르멜회와 누에바에스파냐에서 가장 크고 부유했던 산타 클라라 데 아시스 왕립 수녀원을 건설했다. 케레타로는 또한 텍사스와 캘리포니아까지 북쪽으로 간 많은 선교사들의 훈련 장소였다. 이들 대부분은 1683년 산타 크루스 수도원에 설립된 콜레히오 데 프로파가시온 데 라 페(신앙 전파 대학)에서 교육을 받았다.[8] 일부 졸업생들은 남아메리카까지 가기도 했다.[8] 도시 초기 개발 과정에서 폭력으로 인해 16세기의 건물 중 온전하게 남아있는 것은 거의 없었으며, 17세기에 정점에 달했다. 결과적으로, 도시에서 가장 오래된 구조물은 대부분 바로크 건축 양식이다.[8]

=== 독립과 수도 지위 ===

케레타로는 멕시코 독립 전쟁의 요람 중 하나로 여겨지며, 그 공로는 대부분 호세파 오르티스 데 도밍게스에게 돌아간다.[16] 그녀는 도시의 시장('코레히도르')의 아내였으며, 자신의 지위를 이용하여 신생 반란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다.[16] 호세파 오르티스 데 도밍게스가 주최한 '테르툴리아스'라는 문학 서클은 크리오요와 스페인 출신 모두에게 열려 있었으나, 이그나시오 아옌데와 스페인인 사이의 논쟁 이후 크리오요만 참석했다. 이 모임은 1810년 음모로 절정에 달했고, 계획이 발각되기 전까지 진행되었다.[8]

도냐 호세파 오르티스 데 도밍게스와 돈 미겔 도밍게스의 집인 라 카사 데 라 코레히도라. 멕시코 독립 초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이 건물은 현재 주 정부의 행정부 청사이다.


1810년 9월, 반란을 위해 무기를 비축한 혐의로 에피그메니오 곤잘레스가 체포되었고, 시장 미겔 도밍게스와 호세파 오르티스 데 도밍게스는 1810년 음모에 가담한 혐의로 체포되었다.[5] 호세파 오르티스 데 도밍게스는 미겔 이달고에게 경고를 보냈고, 그는 체포를 피해 그리토 (독립의 외침)를 외쳤다.[16] 무력 투쟁이 시작되자 케레타로는 왕당파 군대에 점령되었고, 반군에 의해 점령된 마지막 주요 도시였다.[15]

전쟁이 끝난 후, 산티아고 데 케레타로는 1823년 케레타로 주의 주도가 되었으며, 1825년 주의 첫 헌법이 공포되었다.[5] 1822년 멕시코가 독립하고 짧은 멕시코 제1제국 이후 공화제가 시작되자, 초기에 케레타로를 수도로 하자는 안도 있었지만 실현되지 못했다.[54] 미국-멕시코 전쟁 중인 1847년, 미국군이 멕시코를 침공했을 때 케레타로는 멕시코의 수도로 선포되었고,[5] 1848년에는 임시로 멕시코 정부가 케레타로로 이전했다.[54] 1년 후, 과달루페 이달고 조약이 이 도시에서 서명되어 멕시코 영토의 거의 절반을 할양하고 전쟁을 종식시켰다.[5]

1867년, 멕시코의 막시밀리안 1세는 케레타로 포위전에서 패배하여 미겔 미라몬과 토마스 메히아 장군과 함께 포로로 잡혔으며,[5] 5월에 세로 데 라스 캄파나스에서 사형 선고를 받았다.[15] 막시밀리안은 케레타로의 종의 언덕에서 총살되었다.

막시밀리안 황제와 그의 장군 메히아, 미라몬은 1867년 6월 19일 케레타로에서 처형되었다.


멕시코 혁명 동안 이곳에서 주요 전투는 벌어지지 않았지만, 다양한 파벌이 이곳을 통과했다.[8] 멕시코 혁명 중인 1916년부터 1917년까지 베누스티아노 카란사 대통령은 케레타로에서 헌법 제정 회의를 열었고, 현재까지 이어지는 멕시코 헌법이 제정되었다.[54]

1916년 케레타로에서 베누스티아노 카란사와 멕시코 입헌주의 운동의 다른 지도자들.


1940년대부터 케레타로의 공업화가 진행되었다.[54]

=== 20세기 ===

베누스티아노 카란사 대통령은 1916년 2월 2일 헌법 제정 회의를 소집하여 케레타로를 임시 수도로 지정했고, 이듬해 2월 5일 미합중국 멕시코 합중국 정치 헌법을 제정했다.[5][17] 이 헌법은 여전히 이 나라의 법으로 남아 있다.[14]

케레타로 시의 남중부 전망.


1996년 9월 10일, 케레타로 주 의회는 주의 헌법을 개정하여 수도의 공식 명칭을 "산티아고 데 케레타로"로 복원했다.[18]

3. 1. 설립 이전

기원후 200년경, 북쪽으로 이동한 메소아메리카 그룹이 이 지역에 정착했으며, 이곳의 고고학 유적지는 테오티우아칸의 영향을 보여준다. 고전 시대부터 이 지역에는 톨루킬라와 라스 라나스라는 두 개의 인구 중심지가 있었다. 현재 엘 세리토로 알려진 산은 의례 중심지였지만, 알 수 없는 이유로 나중에 버려졌다.[8]

후기 스페인 정복 이전 시대에는 오토미족이 이 지역에 거주했는데, 그들은 아즈텍 제국 시대에 정착된 도시 거주자가 되었고, 정치적으로도 세련되었다. 아즈텍 제국은 그들을 '''틀라세틸리 오토미''' 또는 "오토미 국가/국가"라고 불렀다. 이 지역은 1440년대에 쉴로테페크의 오토미 지배하에 있었고, 이는 다시 멕시코-테노치티틀란의 아즈텍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15세기 후반 아우이조틀의 통치하에, 아즈텍은 이 지역을 직접 관리했으며, 북쪽의 치치메카 영토에 대한 방어선으로 여겼다.[8] 쉴로테페크에서 오토미족은 가장 인구가 많은 민족이었지만, 주로 치치메카를 포함한 다른 집단도 있었다. 이 두 집단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이곳에서 발견된다. 오토미족은 정의된 영토를 가진 가족 씨족과 같은 집단으로 조직되었으며, 돌, 나무 또는 흙벽돌 가옥에 살았다. 그들은 정착 농부였으며, 아즈텍과는 달리 전쟁을 그들의 문화의 큰 부분으로 만들지 않았다.[8]

3. 2. 설립

스페인 도시 산티아고 데 케레타로는 1531년 7월 25일에 건설되었는데, 스페인인 에르난 페레스 보카네그라 이 코르도바가 오토미족의 지도자 코닌(세례명은 페르난도 데 타피아)과 함께 도착하면서 시작되었다.[5] 코닌은 당시 아스테카 지배 하의 오토미족의 행정 장관이었다.[53] 이날 스페인군과 나와족 동맹군은 상그레말(당시에는 인로토페케) 언덕에서 현지 반란군 오토미족 및 치치메카족과 전투를 벌였다. 프라이 이시드로 펠릭스 데 에스피노자의 기록에 따르면, 치치메카족이 승리할 찰나에 일식이 발생했고, 스페인군은 붉은 십자가를 단 흰 말을 탄 성 야고보를 보았다고 주장하여 치치메카족이 항복했다.[8][54] 이 사건으로 인해 이 도시의 이름은 산티아고(성 야고보) 데 케레타로라고 불리게 되었고,[5][14][53][55] 언덕에는 돌 십자가와 교회, 수도원이 세워졌다.[5][53]

그러나 스페인의 지배는 점차적으로 성장했다. 1520년대에 케레타로 남부와 멕시코주 북부의 오토미족과 많은 치치메카족은 에르난 코르테스와 동맹을 맺었다.[54] 1526년과 1529년 사이에 에르난 페레스 데 보카네그라가 이끌고 온 첫 스페인군은[8][54] 비폭력적인 수단을 사용하려 했으나,[15][56] 초기 시도는 현지인들에 의해 격퇴되어 우밀판과 아캄바로 시를 건설하게 되었다.[8]

보카네그라는 실로테페케 영주 코닌과 협상하여 협력을 얻었고, 코닌은 스페인-치치메카/오토미족 분쟁을 종식시킨 공로로 이 지역의 스페인 총독이 되었다.[8][54] 코닌은 원주민과 스페인 거주자를 분리하여, 원주민은 상그레말 언덕과 그 주변에, 스페인 거주자는 현재 역사 중심지 주변에 거주하게 했다.[8][54] 도시의 스페인 구역은 D. 후안 산체스 데 알라니스가 설계했고,[5][53] 원주민 구역은 전통적인 오토미족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1535년에 첫 시의회가 소집되었고, 1537년에 푸에블로 데 인디오스(인디언 마을)로 명명되어 엔코미엔다가 종식되었다.[8][54] 이 기간 동안 프란체스코회가 선교 사업을 위해 도착했고,[15] 나중에는 예수회, 아우구스티누스회 등이 합류했다.[56] 케레타로는 처음에는 인디오의 푸에블로(Pueblo)로, 스페인인 이주 후 1606년에는 비야(Villa)로 지정되었다. 1665년에 산티아고는 도시(Ciudad)로 인정받았고, 현재도 사용되는 시 문장이 수여되었다.[54]

3. 3. 식민지 시대 전성기

1606년에 정착지는 마을로 선포되었고, 1655년까지 스페인인들만 도시에서 살고 있었다. 1656년에는 "무이 노블 이 레알 시우다드 데 산티아고 데 케레타로"(매우 고귀하고 충실한 산티아고 데 케레타로 시)로 선언되었다.[8] 이 명예는 케레타로의 성장, 농업 생산, 산업 및 교육 기관을 인정하여 부왕 루이스 데 벨라스코가 요청했다.[5] 18세기에는 비공식적으로 "바히오의 진주"와 "부왕령의 세 번째 도시"로 알려졌다.[8]

17세기에는 프란체스코 수도회에 디에기노 수도회가 합류하여 산 안토니오 수도원을 건설했고, 예수회는 산 이그나시오 및 산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단과 도미니코회, 카르멜회와 누에바에스파냐에서 가장 크고 부유했던 산타 클라라 데 아시스 왕립 수녀원을 건설했다. 케레타로는 또한 텍사스와 캘리포니아까지 북쪽으로 간 많은 선교사들의 훈련 장소였다. 이들 대부분은 1683년 산타 크루스 수도원에 설립된 콜레히오 데 프로파가시온 데 라 페(신앙 전파 대학)에서 교육을 받았다.[8] 일부 졸업생들은 남아메리카까지 가기도 했다.[8] 도시 초기 개발 과정에서 폭력으로 인해 16세기의 건물 중 온전하게 남아있는 것은 거의 없었으며, 17세기에 정점에 달했다. 결과적으로, 도시에서 가장 오래된 구조물은 대부분 바로크 건축 양식이다.[8]

3. 4. 독립과 수도 지위

케레타로는 멕시코 독립 전쟁의 요람 중 하나로 여겨지며, 그 공로는 대부분 호세파 오르티스 데 도밍게스에게 돌아간다.[16] 그녀는 도시의 시장('코레히도르')의 아내였으며, 자신의 지위를 이용하여 신생 반란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다.[16] 호세파 오르티스 데 도밍게스가 주최한 '테르툴리아스'라는 문학 서클은 크리오요와 스페인 출신 모두에게 열려 있었으나, 이그나시오 아옌데와 스페인인 사이의 논쟁 이후 크리오요만 참석했다. 이 모임은 1810년 음모로 절정에 달했고, 계획이 발각되기 전까지 진행되었다.[8]

1810년 9월, 반란을 위해 무기를 비축한 혐의로 에피그메니오 곤잘레스가 체포되었고, 시장 미겔 도밍게스와 호세파 오르티스 데 도밍게스는 1810년 음모에 가담한 혐의로 체포되었다.[5] 호세파 오르티스 데 도밍게스는 미겔 이달고에게 경고를 보냈고, 그는 체포를 피해 그리토 (독립의 외침)를 외쳤다.[16] 무력 투쟁이 시작되자 케레타로는 왕당파 군대에 점령되었고, 반군에 의해 점령된 마지막 주요 도시였다.[15]

전쟁이 끝난 후, 산티아고 데 케레타로는 1823년 케레타로 주의 주도가 되었으며, 1825년 주의 첫 헌법이 공포되었다.[5] 1822년 멕시코가 독립하고 짧은 멕시코 제1제국 이후 공화제가 시작되자, 초기에 케레타로를 수도로 하자는 안도 있었지만 실현되지 못했다.[54] 미국-멕시코 전쟁 중인 1847년, 미국군이 멕시코를 침공했을 때 케레타로는 멕시코의 수도로 선포되었고,[5] 1848년에는 임시로 멕시코 정부가 케레타로로 이전했다.[54] 1년 후, 과달루페 이달고 조약이 이 도시에서 서명되어 멕시코 영토의 거의 절반을 할양하고 전쟁을 종식시켰다.[5]

1867년, 멕시코의 막시밀리안 1세는 케레타로 포위전에서 패배하여 미겔 미라몬과 토마스 메히아 장군과 함께 포로로 잡혔으며,[5] 5월에 세로 데 라스 캄파나스에서 사형 선고를 받았다.[15] 막시밀리안은 케레타로의 종의 언덕에서 총살되었다.

멕시코 혁명 동안 이곳에서 주요 전투는 벌어지지 않았지만, 다양한 파벌이 이곳을 통과했다.[8] 멕시코 혁명 중인 1916년부터 1917년까지 베누스티아노 카란사 대통령은 케레타로에서 헌법 제정 회의를 열었고, 현재까지 이어지는 멕시코 헌법이 제정되었다.[54]

1940년대부터 케레타로의 공업화가 진행되었다.[54]

3. 5. 20세기

베누스티아노 카란사 대통령은 1916년 2월 2일 헌법 제정 회의를 소집하여 케레타로를 임시 수도로 지정했고, 이듬해 2월 5일 미합중국 멕시코 합중국 정치 헌법을 제정했다.[5][17] 이 헌법은 여전히 이 나라의 법으로 남아 있다.[14] 1996년 9월 10일, 케레타로 주 의회는 주의 헌법을 개정하여 수도의 공식 명칭을 "산티아고 데 케레타로"로 복원했다.[18]

4. 지리

산티아고 데 케레타로는 멕시코 케레타로 주의 주도이자 최대 도시이다. 멕시코 중부에 위치해 있으며, 바히오 지역의 일부이다. 멕시코 시티에서 북서쪽으로 213km, 산 미겔 데 아옌데에서 남동쪽으로 63km, 산 루이스 포토시에서 남쪽으로 200km 떨어져 있다.

자치구의 면적은 682.7 km²이며, 케레타로주 내 3개의 자치구와 과나후아토주 내 1개의 자치구와 접한다.

자치구는 구릉, 산맥, 평지를 포함한다. 대부분의 구릉은 케레타로-산 루이스 포토시 고속도로와 평행하게 남쪽에서 북쪽으로 영토를 가로지른다. 대부분의 평야는 북쪽에 위치해 있으며, 일부 화산암 돌출부가 있는 퇴적 토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도는 해발 1,900~2,460m로, 엘 부이, 피에 데 가요, 엘 파톨, 엘 나보, 엘 파이자노 산이 가장 높다. 도시는 해발 1,900m의 평지에 위치해 있다. 케레타로 강이라는 단 하나의 강이 있으며, 이 강은 라 카냐다를 만들었다. 다수의 개울이 있으며, 많은 개울이 계절성이 있고, 산악 지역 근처에는 샘물이 있다.

영토에는 금, 은, 망간, 주석, 수은, 납, 아연, 오팔, 석영, cantera 석재(건축용) 등 다양한 광물 매장지가 있다.

5. 기후

케레타로는 반건조 기후(쾨펜 기후 구분 ''BSh'')를 띠며, 연중 온화한 기온을 보인다.[19] 5월의 평균 최고 기온은 30.7°C이다.[19] 강수량의 대부분은 6월부터 8월 사이에 내린다.[8] 겨울에는 영하의 기온을 보이기도 한다.[8]

1951년부터 2010년까지의 기록에 따르면, 월별 평균 최고 기온은 1월 23.0°C, 2월 24.6°C, 3월 27.6°C, 4월 29.5°C, 5월 30.7°C, 6월 29.2°C, 7월 26.9°C, 8월 26.8°C, 9월 25.7°C, 10월 25.9°C, 11월 24.9°C, 12월 23.5°C이다. 연평균 최고 기온은 26.5°C이다.[20][21]

월별 평균 기온은 1월 15.1°C, 2월 16.2°C, 3월 18.7°C, 4월 20.7°C, 5월 22.5°C, 6월 21.9°C, 7월 20.4°C, 8월 20.3°C, 9월 19.5°C, 10월 18.6°C, 11월 16.9°C, 12월 15.5°C이다. 연평균 기온은 18.9°C이다.[20][21]

월별 평균 최저 기온은 1월 7.1°C, 2월 7.8°C, 3월 9.8°C, 4월 12.0°C, 5월 14.3°C, 6월 14.6°C, 7월 13.9°C, 8월 13.7°C, 9월 13.3°C, 10월 11.2°C, 11월 8.9°C, 12월 7.5°C이다. 연평균 최저 기온은 11.2°C이다.[20][21]

월별 강수량은 1월 15.3mm, 2월 8.8mm, 3월 3.6mm, 4월 15.2mm, 5월 42.8mm, 6월 95.4mm, 7월 130.8mm, 8월 84.9mm, 9월 70.1mm, 10월 40.4mm, 11월 9.9mm, 12월 10.3mm이다. 연간 총 강수량은 527.5mm이다.[20][21]

월별 평균 강수 일수는 1월 2.8일, 2월 1.8일, 3월 0.8일, 4월 2.4일, 5월 6.5일, 6월 9.7일, 7월 11.5일, 8월 8.5일, 9월 7.5일, 10월 4.9일, 11월 2.4일, 12월 1.9일이다. 연간 총 강수 일수는 60.7일이다.[20][21]

월별 평균 일조 시간은 1월 241.8시간, 2월 237.7시간, 3월 268.4시간, 4월 264.2시간, 5월 252.1시간, 6월 208.5시간, 7월 213.8시간, 8월 225.1시간, 9월 210.7시간, 10월 235.3시간, 11월 231.5시간, 12월 213.6시간이다. 연간 총 일조 시간은 2802.7시간이다.[20][21]

6. 동식물

케레타로 주변 지역은 들판, 스텝 및 언덕으로 가득하다.

케레타로 주변 지역은 들판, 스텝 및 언덕으로 가득합니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오르간 파이프와 선인장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선인장과 유카를 볼 수 있다. 건조한 기후에 적응된 나무로는 시내와 강 근처에 메스키트, 버드나무, 사이프러스가 있다. 동물군은 주로 작은 포유류, 사슴, 맹금류 및 파충류로 구성된다. 일부 지역에서는 제왕나비도 볼 수 있다. 케레타로 시의 자연 보호 구역으로는 페냐 콜로라도, 탕가노, 파르케 에콜로지카오 조야-라 바레타 및 엘 시마타리오 국립공원이 있다.[8]

도시 근처에 있는 시에라 고르다 데 케레타로는 시에라 마드레 오리엔탈의 일부로, 유네스코에 의해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이 보호 구역은 매우 험준한 지형으로, 총 면적은 24,803헥타르이다. 이 지역에는 360종의 조류, 130종의 포유류, 71종의 파충류, 23종의 양서류가 서식하고 있다. 또한 멸종 위기에 처한 훔볼트, 재규어, 오소 네그로, 과카마야를 포함하여 이 나라 나비 종의 약 30%가 서식하고 있다. 식물 종으로는 멸종 위기종을 포함하여 1,710종이 있으며 멕시코에서 가장 잘 보존된 산림 지역 중 하나로 여겨진다. 프라이 주니페로 세라의 선교 노선이 이곳을 지나가며 소타노 델 바르로와 같은 동굴이 이곳에 위치해 있다.[23]

7. 경제

케레타로는 지난 10년간 경제 성장이 눈부셨으며, 구매력 평가(PPP) 기준 1인당 국내총생산(GDP) 2만 달러로 중산층 도시이다.[24] 유엔 인간 개발 지수에서 멕시코 23위에 올랐으며,[25] 주요 경제 잡지인 América Economía는 2006년에 "라틴 아메리카에서 사업하기 가장 좋은 도시" 13위,[26] 2007년에는 몬테레이에 이어 멕시코에서 두 번째로 좋은 곳이자 라틴 아메리카 5위로 평가했다.[27] FDI 매거진은 2007년 "미래의 도시" 설문 조사에서 케레타로를 인구 50만 명에서 200만 명 사이의 북미 도시 중 비용 효율성이 세 번째로 높은 도시로 선정했다.[28]

케레타로의 유리 가공은 1700년대에 케레타로를 경제 중심지로 만들었고, 유리 공예는 오늘날에도 이 도시의 상징입니다.


1970년대까지 농업이 주된 경제 기반이었으나, 1950년대부터 시작된 산업 확장으로 현재는 시 인구의 0.01%만이 농업에 종사한다.[8] 주요 고용주는 도시를 둘러싸고 산후안델리오까지 뻗어 있는 산업 단지이며, 대부분 외국 소유이거나 외국 투자 자금으로 건설되었다.[8] 산업에는 기계 및 자동차 부품, 식품 가공, 제지 제품, 인쇄, 화학 제품 및 유리가 포함된다.[8]

케레타로의 경제 성장은 국가 평균을 상회하며, 도시 측은 인프라, 공공 서비스, 공원 조성, 스포츠 및 문화 시설에 대한 투자 덕분이라고 보고 있다.[9] 경제는 도시로의 이민을 부추겨 연간 3.5% 이상의 인구 증가를 보였으며,[9] 산업화는 멕시코의 가난한 지역에서 많은 수의 이주민을 끌어들였지만, 이들 중 많은 수가 실업 상태이거나 불완전 고용 상태이다.[8] 멕시코 북부 주나 미국으로 이주하려는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거쳐 가기 때문에 상업이 시에서 가장 큰 경제 활동이 되었다.[8]

케레타로의 후리카 지구의 고층 건물.


관광은 도시에서 경제 부문으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가장 중요한 부문 중 하나로, 도시 총생산의 21%를 차지한다.[47] 스탠다드 앤 푸어스(Standard & Poor's)와 신문 ''레포르마''는 케레타로를 멕시코에서 가장 안전하고 삶의 질이 높은 도시 중 하나로 선정했다.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 사무국에 따르면, 도시는 향후 20~25년 동안 35%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9] 2009년과 2010년의 경제 성장은 세계적인 경기 침체로 인해 1~2% 사이로 예측되었다.[29]

케레타로에 본사를 둔 주요 기업으로는 봄바르디아 에어로스페이스(Bombardier Aerospace)(멕시코의 항공기 제조 시설), 켈로그(Kellogg Company), 삼성전자(Samsung Electronics), 대우건설(Daewoo E&C), 콜게이트-팜올리브(Colgate-Palmolive)가 있다. 하만 인터내셔널(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 미쉐린(Michelin), 테트라 팩(Tetra Pak), 지멘스 멕시코(Siemens Mexico), 뉴 홀랜드(New Holland Agriculture), 포르시아(Faurecia), ABC 그룹, 오토리브(Autoliv), TRW 오토모티브(TRW Automotive), 트랜스미션 테크놀로지스 코퍼레이션(Transmission Technologies Corporation), 발레오(Valeo), 후나이(Funai), 프록터 앤 갬블(Procter & Gamble), 네슬레(Nestlé), 필그림스 프라이드(Pilgrim's Pride), 산탄데르 은행(Banco Santander)의 라틴 아메리카 콜센터, 마베 멕시코(Mabe Mexico), 이리자르(Irizar), 스카니아(Scania AB), 히타치(Hitachi), 코스탈, 에어노바, 다나 홀딩(Dana Holding Corporation), 다우 케미컬(Dow Chemical Company), 보스(Bose Corporation), 알파 힐렉스, 생고뱅(Saint-Gobain), 플렉스-N-게이트(Flex-N-Gate), 티센크루프(ThyssenKrupp), TCS가 있다.

8. 산티아고 데 케레타로 축제

산티아고 데 케레타로 축제(Festival of Santiago de Querétaro)는 성주간 동안 8일 동안 도시에서 열리는 연례 예술 및 문화 행사이다.[31] 이 행사는 케레타로 시, CONACULTA, 케레타로 주 관광부에서 후원한다.[32] 매년 행사는 테마를 가지며, 2009년에는 "Arte in Todos los Sentidos"(모든 감각의 예술)였다. 행사는 시립 박물관, 게레로 정원, 제네아 정원, 로살리오 솔라노 극장과 도심 주변의 다양한 광장 등 여러 장소에서 열린다. 축제는 멕시코 및 해외 방문객을 유치하기 위해 성주간 휴가 기간에 열린다. 행사는 코레히도라 거리에서 콘스티투옌테스, 앙헬라 페랄타, 후아레스, 마데라, 게레로 거리로 이어지는 역사 지구의 거리를 따라 시작되는 개막 퍼레이드로 시작된다. 퍼레이드는 공무원이 행사를 시작하는 장소에서 끝난다.[31]

8일 동안 멕시코 및 해외 예술가들이 공연을 하고 작품을 전시한다. 행사에는 음악, 그림, 춤, 사진, 문학, 특별 워크숍 및 어린이 놀이터가 포함된다. 마지막 날에는 방문객들이 도시의 레스토랑에서 지역 요리를 맛볼 수 있는 요리 행사가 열린다.[32] 2009년 행사에는 110개의 이벤트가 있었으며 총 3,150,000명의 예상 참석자가 있었는데,[31] 2008년의 260,000명을 훨씬 넘어섰다.[32] 2009년 행사에는 전통 멕시코 음악, 록 및 재즈를 특징으로 하는 콘서트가 있었다.[31] 일부 해외 예술가들은 이탈리아, 아르헨티나, 브라질에서 왔다. 멕시코 예술가로는 모렐리아 출신의 전통 음악 그룹인 핀데쿠에쿠아, 과나후아토 출신의 그룹 에스파르자, 톨루카 출신의 재즈코프가 포함되었다.[32]

도시의 상징인 넵튠 분수

9. 광역권

케레타로 광역권은 국립 인구 위원회(CONAPO)의 정의에 따라 케레타로 주의 케레타로, 코레히도라, 엘 마르케스, 우이미르판와 과나후아토 주의 아파세오 엘 알토를 포함한다.[33] 2020년 기준 총 면적은 2,427.3km2이며, 총 인구는 1,594,212명으로 멕시코에서 8번째, 아메리카 대륙에서 128번째로 큰 광역권이다.[34]

케레타로 광역권은 1990년대 후반부터 높은 인구 증가율을 보이며 칸쿤에 이어 멕시코에서 두 번째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34] 특히 엘 마르케스 자치구는 지난 10년간 인구가 거의 두 배로 증가했다.[34] 이러한 인구 증가는 멕시코 시티, 멕시코 주, 과나후아토, 미초아칸, 베라크루스 등지에서 온 이주민들의 영향이 크다. 2005년에만 10,465명이 이주해 온 것으로 추산된다.[25]

최근 몇 년간 교육, 경제, 치안, 삶의 질 등의 요인으로 멕시코 북부와 중부에서 산티아고 데 케레타로 시로의 이주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높은 치안 수준은 베네수엘라, 콜롬비아, 브라질, 스페인 등 다른 국가 출신 사람들을 유치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주민 수 증가에 따라 자치구는 이주민 지원 기관 설립을 고려하고 있다.[35]

케레타로는 멕시코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5대 광역권 중 하나이다.[36] 2008년 1월, 과나후아토 주에 위치한 접경 자치구인 아파세오 엘 알토 정부는 12만 명의 주민을 위한 도시 개발 계획을 발표했으며, 이는 산티아고 데 케레타로 광역권의 일부가 될 것이다.[37]

자치구유형면적 (km2)2020년 인구 조사2010년 인구 조사변동
케레타로케레타로핵심682.71049777801940
코레히도라케레타로핵심234.9212567143073
엘 마르케스케레타로핵심747.6231668116458
우이미르판케레타로주변388.13680835554
아파세오 엘 알토과나후아토주변373.96339264433
총계align="left"|align="left"|2,427.315942121161458


10. 교통

케레타로의 주요 버스 터미널과 주변 고속도로.


케레타로는 멕시코의 교차로 역할을 한다. 멕시코시티에서 피에드라스 네그라스까지 이어지는 연방 고속도로 57이 케레타로를 통과하며, 연방 고속도로 45는 케레타로에서 과나후아토 방면으로 서쪽으로 뻗어 있다.[38] 연방 고속도로 57번의 시내 구간은 베르나르도 킨타나라고 불리며, 도시의 주요 간선 도로이다.[38] 연방 고속도로 45번은 시내 남쪽을 통과하며, 신코 데 페브레로 가도는 이들을 남북 방향으로 연결하여 일종의 순환 도로를 형성한다.[38] 멕시코 시티와 멕시코 서부를 연결하는 철도 노선도 도시를 가로지른다.

''리브라미엔토 수르-폰이엔테''는 건설 중인 새로운 순환 도로로, 일부 구간은 이미 존재한다.[38] 완공되면 베르나르도 킨타나의 남동쪽에 연결되어 시의 남서부와 서부를 돌아 산타 로사 자우레기 북부 교외까지 연결될 예정이다.[38]

시에라 고르다 선교단을 설립한 선교사 후니페로 세라의 이름을 딴 고속도로는 또 다른 순환 도로를 만든다.[39] 이 도로는 케레타로 북동쪽에서 구 공항 주변을 지나 후리키야 북부 교외에 도달하여 리브라미엔토 수르-폰이엔테까지 남쪽으로 내려간다.[39]

케레타로의 대중교통은 특정 노선을 따라 승객을 태우고 내리는 민간 버스 회사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도시의 모든 지역을 운행하는 123개의 허가된 노선을 담당한다.[40] 일반 택시도 운행된다.[40] 또한 시에는 대규모 시외 버스 터미널이 있다.[40]

케레타로 국제공항은 2004년에 운영을 시작하여, 시내에 있던 구 잉. 페르난도 에스피노자 구티에레스 국제공항을 대체했다.[41] 이 공항은 여객 및 화물 수송, 개인 항공기 모두를 처리하며, 최근 몇 년간 여객 수송량 면에서 멕시코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공항 중 하나가 되었다.[41] 1999년, 필요성을 나타내는 연구 결과에 따라 구 공항을 국제 공항으로 전환하려는 계획이 시작되었으며, 2002년에 인프라 건설이 시작되었다.[42]

10. 1. 도로

케레타로는 멕시코의 교차로 역할을 한다. 멕시코시티에서 피에드라스 네그라스까지 이어지는 연방 고속도로 57이 케레타로를 통과하며, 연방 고속도로 45는 케레타로에서 과나후아토 방면으로 서쪽으로 뻗어 있다.[38] 연방 고속도로 57번의 시내 구간은 베르나르도 킨타나라고 불리며, 도시의 주요 간선 도로이다.[38] 연방 고속도로 45번은 시내 남쪽을 통과하며, 신코 데 페브레로 가도는 이들을 남북 방향으로 연결하여 일종의 순환 도로를 형성한다.[38] 멕시코 시티와 멕시코 서부를 연결하는 철도 노선도 도시를 가로지른다.

''리브라미엔토 수르-폰이엔테''는 건설 중인 새로운 순환 도로로, 일부 구간은 이미 존재한다.[38] 완공되면 베르나르도 킨타나의 남동쪽에 연결되어 시의 남서부와 서부를 돌아 산타 로사 자우레기 북부 교외까지 연결될 예정이다.[38]

시에라 고르다 선교단을 설립한 선교사 후니페로 세라의 이름을 딴 고속도로는 또 다른 순환 도로를 만든다.[39] 이 도로는 케레타로 북동쪽에서 구 공항 주변을 지나 후리키야 북부 교외에 도달하여 리브라미엔토 수르-폰이엔테까지 남쪽으로 내려간다.[39]

10. 2. 대중교통

케레타로의 대중교통은 특정 노선을 따라 승객을 태우고 내리는 민간 버스 회사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도시의 모든 지역을 운행하는 123개의 허가된 노선을 담당한다.[40] 일반 택시도 운행된다.[40] 또한 시에는 대규모 시외 버스 터미널이 있다.[40]

10. 3. 항공

케레타로 국제공항은 2004년에 운영을 시작하여, 시내에 있던 구 잉. 페르난도 에스피노자 구티에레스 국제공항을 대체했다.[41] 이 공항은 여객 및 화물 수송, 개인 항공기 모두를 처리하며, 최근 몇 년간 여객 수송량 면에서 멕시코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공항 중 하나가 되었다.[41] 1999년, 필요성을 나타내는 연구 결과에 따라 구 공항을 국제 공항으로 전환하려는 계획이 시작되었으며, 2002년에 인프라 건설이 시작되었다.[42]

11. 교육 및 연구

케레타로 시와 주변 지역에는 멕시코에서 가장 중요한 대학교들이 자리 잡고 있다. 멕시코 국립 자치 대학교, 아나우악 대학교, ITESM(몬테레이 공과대학) 등은 교외에 캠퍼스를 설립하여 중요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43] UNAM은 공립 기관이며, 아나우악 대학교와 ITESM-케레타로는 사립 기관이다.


  • 케레타로 자치 대학교(1625년 로욜라의 성 이냐시오 대학으로 설립. 케레타로 주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대학교이다. 타임스 고등 교육 잡지의 "2024년 멕시코 최고 대학교"에서 5위를 차지했다.)[44]
  • 케레타로 공과대학
  • 멕시코 델 바예 대학교
  • 아나우악 대학교
  • 콘템포라네아 대학교
  • 테크밀레니오 대학교, 케레타로 캠퍼스
  • 멕시코 만 대학교, 케레타로 캠퍼스
  • 케레타로 폴리테크닉 대학교
  • 쿠아우테모크 대학교
  • 유니베르-알리앗 대학교
  • 에스쿠엘라 반카리아 이 코메르시알
  • 케레타로 코레히도라 대학교
  • 베라크루사나 대학교
  • 아테마하크 델 바예 대학교
  • 마리스타 대학교
  • 에스타도 노르말 학교
  • 런던 대학교 연구 센터
  • 리세오 대학교
  • [http://www.uteq.edu.mx/ 케레타로 공과 대학교]
  • [http://www.unaq.edu.mx/ 케레타로 국립 항공 대학교]
  • 미식 및 고등 연구 기관
  • 커뮤니케이션 과학 연구 센터
  • 케레타로 간호 자원 교육 센터
  • 건설 공과 대학
  • 치과 연구 센터
  • 안다마세이 대학교 센터
  • 바히오 고등 연구 센터
  • 북부 인터 아메리카 대학교
  • 인문학 대학교
  • 라틴 메트로폴리탄 대학교
  • 정신 건강 대학원 연구 센터
  • CNCI 대학교
  • 케레타로 기업 교육 대학교
  • 케레타로 국제 대학교
  • 응용 과학 및 첨단 기술 연구 센터 (IPN의 일부)
  • CUDH


이 도시에는 7개 이상의 연구 센터도 있다. 가장 중요한 곳으로는 CIATEQ, CIDESI 및 CIDETEQ가 있다. 또한 여러 개의 사립 연구 센터가 있다.

참조

[1] 간행물 INEGI, Anuario Estadístico del Estado de Querétaro, 2003
[2] 웹사이트 TelluBase—Mexico Fact Sheet (Tellusant Public Service Series) https://tellusant.co[...] Tellusant 2024-01-11
[3] 뉴스 Mexico scraps daylight saving time except along border with US https://www.usatoday[...] Associated Press 2023-03-16
[4] 웹사이트 Bajío, el nuevo milagro mexicano http://t21.com.mx/op[...]
[5] 웹사이트 Santiago, Querétaro http://www.elclima.c[...] El Clima 2009-11-12
[6] 웹사이트 Free Article for Non-Subscriber | Stratfor http://www.stratfor.[...] 2013-11-29
[7] 웹사이트 Free Article for Non-Subscriber | Stratfor http://www.stratfor.[...] 2013-11-29
[8] 웹사이트 Enciclopedia de los Municipios de México Querétaro Querétaro http://www.inafed.go[...] INAFED 2009-11-12
[9] 웹사이트 Together with the growth of the city, grow also the municipal public services with quality to Benedit the inhabitants of the municipality http://www.mqro.gob.[...] Municipality of Querétaro 2009-11-12
[10] 뉴스 Querétaro: la palabra más hermosa del Español http://mexico.cnn.co[...] 2011-12-14
[11] 뉴스 El estado de Querétaro festejará que su nombre es la palabra más bonita http://mexico.cnn.co[...] 2011-12-14
[12] 뉴스 'Querétaro', la palabra elegida como la más hermosa en el Día del Español http://mexico.cnn.co[...] 2011-12-14
[13] 뉴스 Querétaro y las otras cinco palabras favoritas del español https://www.bbc.co.u[...] 2011-12-14
[14]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Santiago de Querétaro http://www.frommers.[...] Frommers 2009-11-12
[15] 웹사이트 About Santiago de Querétaro http://www.explorand[...] Explorando Mexico 2009-11-12
[16] 웹사이트 Attractions http://www.frommers.[...] Frommers 2009-11-12
[17] 웹사이트 Curiosidades del Constituyente de Querétaro (1916-1917) https://www.proceso.[...] 2017-02-05
[18] 웹사이트 Periódico Oficial del Estado de Querétaro, CXXIX-38 https://www.poderjud[...] 1996-09-12
[19] 논문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updated http://www.schweizer[...] 2013-01-15
[20] 웹사이트 Normales climatológicas 1951-2010 http://smn.cna.gob.m[...] Servicio Meteorológico Nacional 2013-01-15
[21] 웹사이트 Normales climatológicas 1981-2000 http://smn.cna.gob.m[...] Comision Nacional Del Agua 2013-01-15
[22] 웹사이트 Normales climatológicas para Querétaro, Querétaro http://www.cm.colpos[...] Colegio de Postgraduados 2013-01-05
[23] 웹사이트 A la conquista de Querétaro http://www.mexicodes[...] Mexico Desconocido 2009-11-12
[24] 웹사이트 'IDH Municipal 2000–2005 base de datos' http://www.undp.org.[...] 2008-12-17
[25] 뉴스 Querétaro, fifth place nationally in population growth: Crespo http://www.jornada.u[...] 2009-11-12
[26] 웹사이트 Picasa Web Albums - Jorge Arturo - publicar http://picasaweb.goo[...] 2011-12-03
[27] 웹사이트 Las Mejores Ciudades Para Hacer Negocios 2007 http://lh6.google.co[...] 2007-12-24
[28] 웹사이트 fDi Intelligence – Your source for foreign direct investment information - fDiIntelligence.com http://www.fdimagazi[...] Fdimagazine.com 2011-12-03
[29] 웹사이트 La proyección de crecimiento es muy conservadora http://grupoformulaq[...] Grupo Formula Querétaro 2009-11-12
[30] 논문 Urban-regional transformations and middle-class immigration from Mexico City to Querétaro https://www.scielo.o[...] 2007-12
[31] 뉴스 Inició el Festival Santiago de Querétaro 2009 http://www.oem.com.m[...] 2009-11-12
[32] 웹사이트 Festival de Querétaro 2009, Art in all senses set to begin http://www.arts-hist[...] Artes e Historia 2009-11-12
[33] 웹사이트 Delimitation of Mexico's Metropolitan Areas 2015 https://www.gob.mx/c[...] CONAPO 2020-12-29
[34] 웹사이트 Censo de Población y Vivienda 2020 - SCITEL https://www.inegi.or[...] INEGI 2021-01-27
[35] 뉴스 Queretaro to start tracking migrants to the state - the Queretaro Post https://mexicodailyp[...] 2021-09-10
[36] 웹사이트 Urban Competitiveness Index 2020, General Results https://imco.org.mx/[...] Instituto Mexicano para la Competitividad (IMCO) 2021-01-02
[37] 웹사이트 Detalle de comunicado http://www.guanajuat[...] Guanajuato.gob.mx 2011-12-03
[38] 뉴스 Un año más de retraso en el Libramiento Sur Poniente http://www.libertadd[...] 2009-11-12
[39] 뉴스 Construirán distribuidor vial Bernardo Quintana, en Querétaro http://rotativo.com.[...] 2009-11-12
[40] 웹사이트 Transporte in Querétaro, Mexico http://www.enjoymexi[...] Enjoy Mexico 2009-11-12
[41] 웹사이트 Estadística Operacional de Aeropuertos / Statistics by Airport https://www.sct.gob.[...] SCT 2021-01-27
[42] 웹사이트 Aeropuerto Internacional de Querétaro http://www.aiq.com.m[...] AIQ 2009-11-12
[43] 웹사이트 Best Universities in Mexico https://www.timeshig[...] THE Student 2023-10-13
[44] 웹사이트 Best Universities in Mexico https://www.timeshig[...] THE Student 2024-06-23
[45] 웹사이트 Historic Monuments Zone of Querétaro https://whc.unesco.o[...] UNESCO 2009-11-12
[46] 간행물 Historic Places Rated: The List http://traveler.nati[...] 2011-12-03
[47] 뉴스 Santiago de Querétaro, corazón de la historia mexicana y un lugar diferente para descansar http://www.eltiempo.[...] 2009-11-12
[48] 웹사이트 Where to Go / What to Do in Santiago de Querétaro http://www.explorand[...] Explorando Mexico 2009-11-12
[49] 웹사이트 Beaterio de Santa Rosa de Viterbo http://www.mqro.gob.[...] Municipality of Querétaro 2009-11-12
[50] 웹사이트 Museo de la Ciudad Santiago de Querétaro http://sic.conaculta[...] CONACULTA 2009-11-12
[51] 웹사이트 Bakersfield Sister City Project Corporation {{!}} People Helping People http://bakersfieldsi[...] 2018-06-25
[52] 웹사이트 Queretaro, Mexico to become Indy's 10th sister city https://www.wthr.com[...] WTHR 2023-04-06
[53] 웹사이트 Santiago, Querétaro http://www.elclima.c[...] El Clima 2009-11-12
[54] 문서 Enciclopedia de los Municipios de México http://www.inafed.go[...] INAFED 2009-11-12
[55]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Santiago de Querétaro http://www.frommers.[...] Frommers 2009-11-12
[56] 웹사이트 About Santiago de Querétaro http://www.explorand[...] Explorando Mexico 2009-11-12
[57] 웹사이트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Querétaro http://worldweather.[...] 2012-05-20
[58] 웹사이트 Weatherbase: Historical Weather for Querétaro, Querétaro https://www.weatherb[...] Weatherbase 2012-01-04
[59] 웹인용 Normales climatológicas 1951-2010 http://smn.cna.gob.m[...] Servicio Meteorológico Nacional 2013-01-15
[60] 웹인용 Normales climatológicas 1981-2000 http://smn.cna.gob.m[...] Comision Nacional Del Agua 2013-01-15
[61] 웹인용 Normales climatológicas para Querétaro, Querétaro http://www.cm.colpos[...] Colegio de Postgraduados 2013-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