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케이프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이프주는 1910년 남아프리카 연방에 편입되면서 신설되었으며, 유색 인종에게 참정권을 부여했으나 1956년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에 따라 박탈당했다.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에 케이프주는 컬러드에게만 선거권을 인정했으며, 1970년대에는 반투스탄이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1994년 아파르트헤이트 폐지 이후 이스턴케이프주, 노던케이프주, 웨스턴케이프주 등으로 분리되었으며, 1991년 인구 조사에 따른 행정 구역 정보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폐지된 주 - 오렌지 자유국주
    오렌지 자유국주는 1991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구 조사에서 자스트론, 루흐스빌, 블룸폰테인, 웰콤 등 여러 구획으로 나뉘어 인구가 조사되었으며, 각 구획별 상세 인구 정보는 본 문서에 기술되어 있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폐지된 주 - 나탈주
    나탈주는 1910년 나탈 식민지가 남아프리카 연방에 편입되면서 신설되었으며, 1960년 공화정 전환 국민투표에서 반대 표가 높게 나온 유일한 주였고, 1981년 콰줄루가 분리되었으며, 1994년 콰줄루 반투스탄과 함께 콰줄루나탈주를 형성하였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역사 - 남아프리카 연방
    남아프리카 연방은 보어 전쟁 이후 네덜란드계와 영국계의 화합을 위해 건국되었으며, 영국 군주를 국가 원수로 하는 자치령이었으나 1934년 주권 국가가 되었고, 행정 수도 프리토리아, 입법 수도 케이프타운, 사법 수도 블룸폰테인으로 구성되었으며, 1961년 국민투표를 통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전환되었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역사 - 트란스발 식민지
    트란스발 식민지는 보어인들의 대이주로 세워진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제2차 보어 전쟁 후 영국의 식민지가 되어, 1910년 남아프리카 연방에 편입된 지역으로, 보어인 독립 운동 좌절과 흑인 참정권 문제가 논의되었다.
케이프주
개요
약칭 (아프리칸스어),
영어 명칭Cape Province, Cape of Good Hope Province
아프리칸스어 명칭Provinsie van die Kaap die Goeie Hoop
행정
수도케이프타운
정부 형태케이프 주 의회
역사
이전 국가케이프 식민지
시작일1910년 5월 31일
종료일1994년 4월 27일
통계
1991년 인구6,125,335명
지도
1994년 3월 1일 케이프 주의 위치 지도
1994년 당시 케이프 주의 위치

2. 역사

1910년 5월 31일, 케이프 식민지남아프리카 연방에 편입되면서 케이프주가 신설되었으며, 케이프 식민지의 일부였던 월비스베이도 케이프주에 편입되었다. 케이프주는 남아프리카 연방에서 유일하게 유색 인종에게 참정권을 부여한 주였으나, 1956년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에 따라 박탈당했다.

1970년대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로부터 제한된 자치권을 받은 흑인들을 위한 반투스탄트란스케이(1976년 신설), 보푸사츠와나(1977년 신설), 시스케이(1981년 신설)가 케이프주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1994년 3월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월비스베이나미비아에 반환했다. 1994년 총선거를 계기로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이 폐지됨에 따라 케이프주는 이스턴케이프주, 노던케이프주, 웨스턴케이프주 전체와 노스웨스트주 일부로 분리되었다.

2. 1. 케이프 식민지 (주 설립 이전)

케이프 식민지는 1910년 5월 31일 남아프리카 연방에 편입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월비스베이도 케이프주에 포함되었다. 케이프주는 남아프리카 연방에서 유색 인종에게 참정권을 부여한 유일한 주였으나, 1956년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에 따라 참정권을 박탈당했다.[1]

2. 2. 케이프 주 (1910년 - 1994년)

1910년 남아프리카 연방이 결성되면서 기존의 영국령 케이프 식민지는 케이프 주로 개칭되었다. 케이프 주는 영국령 베추아날란드(현재 보츠와나베추아날란드 보호령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 그리콰랜드 동부(콰줄루-나탈주 콕스타드) 및 그리콰랜드 서부(노던케이프주 킴벌리)와 같이 병합했던 지역을 포함하고 있어 남아프리카 공화국 4개 주 중 가장 컸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 영토의 2/3, 약 717000km2에 달했다.

남아프리카 연방은 케이프 주, 나탈 주, 오렌지 자유국, 트란스발 주의 4개 주가 연합하여 형성된 연방이었기 때문에, 3권의 수도가 각각 각 주의 주도에 위치하고, 케이프타운에는 남아프리카의 입법부가 설치되었다.

케이프 식민지는 전통적으로 인종에 관계없이 참정권 자격을 적용하는 케이프 자유주의를 따랐으나, 연방 성립 이후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으로 인해 유색 인종의 참정권은 점차 박탈되었다. 1970년대에는 흑인들을 위한 반투스탄트란스케이, 보푸사츠와나, 시스케이가 케이프주에서 분리되었다.

1994년 3월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월비스베이나미비아에 반환했다. 1994년 총선거를 계기로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이 폐지됨에 따라 케이프주는 이스턴케이프주, 노던케이프주, 웨스턴케이프주 전체, 노스웨스트주 일부로 분리되었다.

2. 2. 1. 케이프 자유주의와 참정권

케이프 식민지는 전통적으로 인종에 관계없이 모든 남성에게 동등하게 참정권 자격을 적용하는 비인종적 선거권 제도를 시행했는데, 이를 케이프 자유주의라고 한다. 연합 협상 과정에서 케이프 총리 존 X. 메리먼은 이 다인종 선거권 제도를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나머지 지역으로 확대하려 했으나, 백인 통치를 굳게 유지하려 했던 이전 보어 공화국들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혀 실패했다.[2][3]

남아프리카 연방 성립 이후에도 케이프 주는 다인종 자격 선거권의 제한된 버전을 유지하여, 컬러드(혼혈인)와 흑인 아프리카인이 투표할 수 있는 유일한 주였다.[2][3]

하지만, 몇 년 동안 이 인종 차별 없는 유권자 명부를 약화시키기 위해 일련의 법률이 통과되었다. 1931년, 백인 유권자에 대한 제한적인 선거권 자격이 폐지되었지만, 흑인과 컬러드 유권자에 대해서는 유지되었다.[4] 1956년 아파르트헤이트 정부는 "비백인"에 대한 모든 잔여 참정권을 폐지했다. 이 과정에서 정부는 의회에서 많은 수의 추가적인 상원 의원을 임명해야 했다.[5] 요하네스 스트레이돔 총리가 이끄는 국민당 정부는 컬러드의 이익을 대표하는 백인 의원의 선출을 인정하는 대신 컬러드로부터 선거권을 박탈했으며, 1970년에는 그 의석마저 폐지했다.[12]

2. 2. 2. 아파르트헤이트와 분할

1910년 5월 31일, 케이프 식민지남아프리카 연방에 편입되면서 케이프주가 신설되었으며, 케이프 식민지의 일부였던 월비스베이도 케이프주에 편입되었다. 케이프주는 설립 이전부터 남아프리카 연방에서 유일하게 유색 인종에게 참정권을 부여했지만, 1956년 요하네스 스트레이돔 총리가 이끄는 국민당 정부에 의해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의 일환으로 박탈당했다.[12]

1970년대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로부터 제한된 자치권을 받은 흑인들을 위한 반투스탄트란스케이(1976년 신설), 보푸사츠와나(1977년 신설), 시스케이(1981년 신설)가 케이프주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에, 백인의 남아프리카 지배를 영속화하려는 정책의 일환으로 다양한 반투족 국가를 위한 소위 "반투스탄"이 기존의 주에서 분할되었다. 케이프 주에서는 트란스케이(1976년)와 시스케이(1981년) 지역이 남아프리카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6]

2. 3. 분주 이후 (1994년 - 현재)

1994년 4월 최초의 완전 민주주의 선거 이후, 트란스케이시스케이 반투스탄은 케이프주와 재결합되었고, 이후 국가는 현재의 9개 주로 분할되었다. 케이프주는 웨스턴케이프주, 이스턴케이프주, 노던케이프주의 3개 소규모 주와 노스웨스트주 일부로 분리되었다. 원래 케이프 식민지의 영토였던 월비스 베이는 두 달 전에 할양되어 나미비아로 넘어갔다.[1]

3. 1991년의 행정 구역

1991년 인구 조사에서 케이프주의 구(區)와 인구는 다음과 같았다.[7]

구(區)인구
애버딘8,009
애들레이드15,220
올버니 (주요 도시 그레이엄스타운)69,705
앨버트 (주요 도시 버거스도르프)16,995
알렉산드리아26,651
알리왈-노르드27,486
바클리-오스12,821
바클리-웨스35,012
배서스트32,419
보퍼트-웨스31,726
베드퍼드16,074
벨빌269,995
브레이다스도르프23,076
브리튼스타운6,523
칼레돈79,052
칼리츠도르프6,759
칼비니아18,430
케이프179,537
카나번9,728
캐스카트14,815
세레스47,052
클랜윌리엄28,144
콜스버그15,446
크래독37,144
드 아르25,438
오스-런던240,474
엘리엇14,159
포트 보퍼트22,793
프레이저버그4,367
조지95,597
굿우드259,620
고르도니아 (주요 도시 업핑턴)[8]118,623
그래프-레이넷34,440
핸키24,548
하노버4,399
하트스워터29,146
헤이 (주요 도시 그리쿠아타운)[9]11,104
하이델베르크11,519
허버트 (주요 도시 더글러스)[10]26,316
헤르마누스21,610
호프메이어4,995
호프필드8,822
호프타운11,175
휴먼스도르프43,799
인드웨9,483
얀센빌9,797
주베르티나13,385
켄하트11,353
킴벌리167,060
킹 윌리엄 타운29,653
커크우드30,766
크나이스나50,420
콤가14,142
퀼스리비에르133,577
쿠루만24,817
래디스미스12,705
레이디 그레이7,530
랭스버그5,781
맥리어16,653
말름스버리113,450
미델버그21,737
몰테노11,702
몬태규21,674
무어리스버그11,159
모셀베이59,170
머레이스버그5,960
나마퀄랜드 (주요 도시 스프링복)62,536
노우포르트8,348
오츠혼68,093
파알136,121
피어스턴4,983
필립스타운8,799
피케트버그34,152
포트엘리자베스670,653
포스트마스버그54,790
프리스카19,185
프린스 앨버트8,567
퀸스타운44,469
리치먼드6,326
리버스달25,021
로버트슨32,331
시몬스타드58,323
서머셋-오스29,758
서머셋-웨스59,947
스텔렌보쉬73,839
스테르크스트룸7,687
스타인스버그10,593
스테이틀러빌5,341
스트랜드40,096
스터터하임40,119
서더랜드3,596
스웰렌담32,147
타르카9,538
툴백25,334
유이텐하헤182,551
유니언데일9,354
반린스도르프12,815
벤터스타드5,777
빅토리아 웨스트11,910
브레데네르부르흐39,908
프레덴달28,962
브라이버그98,551
왈비스 베이 (남아프리카 공화국 1878–1994)22,999
워렌턴22,368
웰링턴37,432
윌리스톤4,177
윌로우모어10,734
워데하우스 (주요 도시 도르드레흐트)[11]15,540
우스터117,159
윈버그1,101,668


4. 역대 행정관

옛 남아프리카 공화국 지방 행정관 목록#케이프 주 문서를 참고하라.

5. 남아프리카 공화국과의 관계 (한국의 관점)

주어진 원본 소스에 내용이 없으므로,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참조

[1] 법률 South Africa Act, 1909 §6 :s:South Africa Act,[...]
[2] 웹사이트 EISA South Africa: White domination and Black resistance (1881-1948) https://web.archive.[...] 2012-06-25
[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2-07-06
[4] 웹사이트 EISA South Africa: Historical franchise arrangements https://web.archive.[...] 2012-06-25
[5] 서적 Oxwagon Sentinel: Radical Afrikaner Nationalism and the History of the Ossewabrandwag LIT Verlag Münster 2009
[6] 웹사이트 The Homelands http://www.sahistory[...] 2017-12-31
[7] 웹사이트 Census > 1991 > RSA > Variable Description > Person file > District code https://web.archive.[...] Statistics South Africa – Nesstar WebView 2013-08-18
[8] 웹사이트 Dictionary of Southern African Place Names (Public Domain) https://archive.org/[...] Human Science Research Council
[9] 웹사이트 Dictionary of Southern African Place Names (Public Domain) https://archive.org/[...] Human Science Research Council
[10] 웹사이트 Dictionary of Southern African Place Names (Public Domain) https://archive.org/[...] Human Science Research Council
[11] 웹사이트 Dictionary of Southern African Place Names (Public Domain) https://archive.org/[...] Human Science Research Council
[12] 서적 南アフリカの歴史 明石書店 1995-06
[13] 법률 South Africa Act, 1909 §6 :s:South Africa Ac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