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반투스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투스탄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의 일환으로, 흑인들을 특정 부족별로 분류하여 거주지를 할당하고 자치권을 부여한 지역을 의미한다. 1910년 남아프리카 연방 성립 이후 흑인 토지 소유를 제한하는 법이 제정되었고, 1948년 아파르트헤이트가 법제화되면서 반투스탄 정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1959년 반투 자치 촉진법에 따라 흑인 지역이 설정되었으며, 1970년 반투 홈랜드 시민권법을 통해 흑인들은 특정 반투스탄의 시민으로 지정되어 남아프리카 공화국 시민권을 박탈당했다. 1976년부터 1981년까지 트란스케이, 보푸타츠와나, 벤다, 시스케이가 독립했으나, 국제 사회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반투스탄은 강제 이주와 빈곤, 인권 침해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으며, 1994년 아파르트헤이트 붕괴와 함께 해체되었다. 이후, 반투스탄은 완전한 시민적, 정치적 권리 없이 사람들이 살도록 강요받는 지역을 비판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투스탄 - 벤다
    벤다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의해 독립이 선포되었던 반투스탄으로, 트란스발 주에 비연속 영토로 구성되었고 시바사에서 토호얀두로 수도가 이전되었으며, 대통령과 군사 정부를 거쳐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재통합되었고, 벤다어, 영어, 아프리칸스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벤다대학교를 주요 교육 기관으로 두었다.
  • 반투스탄 - 트란스케이
    트란스케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으로 코사족을 위해 세워진 반투스탄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으나 국제적 승인을 받지 못하고 경제적으로 의존하다 199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재편입되었다.
  • 나미비아의 역사 - 동카프리비
    동카프리비는 나미비아 카프리비 스트립에 설치된 반투스탄으로 자치 지위를 부여받았으나, 민족 기반 대표 당국으로 대체된 후 나미비아 독립 전환기에 폐지되었다.
  • 나미비아의 역사 - 헤레로랜드
    헤레로랜드는 1968년 오덴달 계획에 따라 나미비아 동부에 위치했던 반투스탄으로, 헤레로족과 나마족 학살 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통치와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으로 지정되었으며, 1990년 나미비아 독립과 함께 해체되었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역사 - 남아프리카 연방
    남아프리카 연방은 보어 전쟁 이후 네덜란드계와 영국계의 화합을 위해 건국되었으며, 영국 군주를 국가 원수로 하는 자치령이었으나 1934년 주권 국가가 되었고, 행정 수도 프리토리아, 입법 수도 케이프타운, 사법 수도 블룸폰테인으로 구성되었으며, 1961년 국민투표를 통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전환되었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역사 - 트란스발 식민지
    트란스발 식민지는 보어인들의 대이주로 세워진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제2차 보어 전쟁 후 영국의 식민지가 되어, 1910년 남아프리카 연방에 편입된 지역으로, 보어인 독립 운동 좌절과 흑인 참정권 문제가 논의되었다.
반투스탄
개요
별칭홈랜드
유형자치 지역
존속 기간1950년대 ~ 1994년
위치남아프리카 공화국 및 남서아프리카 (현재 나미비아)
인종 그룹반투족
정치 체제명목상 자치 또는 독립
설립반투 자치 정부법, 1951년
반투 헌법법, 1971년
해체1994년 4월 27일
남아프리카공화국 재통합1994년 총선
역사적 맥락
배경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정책
목적흑인 시민권 박탈
인종 분리 강화
백인 소수 지배 유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반투스탄
남아프리카 공화국 반투스탄 지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반투스탄 (1986년)
범주자치 반투스탄
독립 반투스탄
자치 반투스탄가잔쿨루
콰콰
쾅가네
콰은데벨레
콰줄루
레보와
독립 반투스탄보푸타츠와나
시스케이
트란스케이
벤다
중요 사항국제적인 승인을 받지 못함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에서만 인정
남서아프리카 (나미비아)의 반투스탄
남서아프리카 반투스탄 지도 (1978년)
남서아프리카 (나미비아)의 반투스탄 (1978년)
반투스탄 목록부시만란트
다마랄란트
동카프리비 (로지)
헤레로란트
카오코란트
카방고란트
나마란트
오밤보란트
레호보트
츠와날란트
중요 사항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통치 하에 설치
독립적인 지위 획득 실패
결과
시민권 박탈흑인들은 해당 반투스탄의 시민으로 간주되어 남아프리카 공화국 시민권을 박탈당함.
경제적 영향빈곤 심화, 기반 시설 부족
사회적 영향강제 이주
공동체 파괴
사회 서비스 부족
폐지 및 통합
과정1994년 총선 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재통합
새로운 지방 정부 체제 수립
현재반투스탄 지역은 현재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일부 지역으로 남아 있음.
비판 및 논쟁
주요 비판인종 차별 정책의 핵심 도구
흑인들의 정치적, 경제적 권리 박탈
국제 사회의 광범위한 비난
옹호론거의 없음. 극소수의 아파르트헤이트 옹호론자들만이 옹호.
기타 정보
관련 법률반투 자치 정부법, 1951년
반투 헌법법, 1971년
관련 인물헨드릭 페르부르트
마그누스 말란
관련 사건샤프빌 학살
관련 용어
아파르트헤이트 관련 용어집단 지역법
인종 등록법
통행증법

2. 역사적 배경

반투스탄 제도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백인 정권의 흑인 토지 강탈 정책에서 비롯되었다. 1913년 원주민 토지법(Natives Land Act, 1913)은 흑인에게 국토의 7%만을 허용했고, 1936년 정부는 이를 13.6%로 늘릴 계획이었지만 완전히 시행되지 못했다.[4]

1948년 국민당 집권 후, 헨드릭 프렌슈 베르워드 총리는 '그랜드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을 통해 백인 중심 사회 재편을 추진했다. 반투스탄(홈랜드) 창설은 이 전략의 핵심 요소로, 장기적으로 반투스탄을 독립시켜 흑인의 남아프리카 공화국 시민권과 투표권을 박탈하고 백인 통치를 유지하려는 목적이었다.

'반투스탄'이라는 용어는 파키스탄인도(힌두스탄)의 분리와 유사점을 보여주기 위해 만들어졌으나, 경멸적인 용어로 사용되었다. 넬슨 만델라는 국민당의 계획이 인도 분할과 실질적인 유사점이 없으며, '반투스탄'이라는 용어는 국민당의 사기를 돕는 오용이라고 비판했다.[6]

베르워드는 반투스탄이 흑인들의 '원래 고향'이라고 주장하며, 1951년 반투 당국법을 도입하여 흑인 민족 집단에 '홈랜드'를 할당했다. 홈랜드는 협력적인 부족 지도자들이 운영하고, 비협조적인 족장은 강제로 폐위되었다.

1959년 반투 자치법은 '분리 개발' 계획을 수립하여 홈랜드를 자치 영토, 나아가 명목상 독립 국가로 발전시키려 했다. 이 과정은 네 단계로 이루어졌다.


  • 다양한 부족을 단일 '영토 당국'으로 통일
  • 제한된 자치 권한을 가진 입법 의회 설립
  • '자치 영토'로 설립
  • 완전한 명목상의 독립 부여


트란스케이는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의 '시험장' 역할을 했다.

존 보르스터 총리는 아파르트헤이트에 대한 '계몽적인' 접근 방식의 일환으로 이 정책을 강화했지만, 실제 의도는 흑인을 홈랜드 국민으로 만들어 남아프리카 공화국 시민권을 제거하는 것이었다. 1970년 흑인 홈랜드 시민권법은 모든 흑인을 홈랜드 시민으로 지정하고 남아프리카 공화국 시민권을 취소했다. 1971년 반투 홈랜드 헌법법은 홈랜드의 헌법 개발 단계에 대한 청사진을 제공했다.

1984년까지 10개의 홈랜드가 자치를 달성했고, 그 중 4개(트란스케이, 보푸타츠와나, 벤다, 시스케이)는 독립을 선언했다.

10개 반투스탄의 제도적, 법적 개발 시기는 다음과 같다.

홈랜드부족/국가영토
당국
입법
의회
자치
정부
명목상
독립
비고
트란스케이코사1956년[8]1963년[9]1963년[9]1976년[10]영토 당국과 입법 의회의 선구자는 1931년부터 존재했다.[11]
보푸타츠와나츠와나1961년[12]1971년[13]1972년[14]1977년[15]1961년에 설립된 영토 당국은 1968년에 재편되었다.[16]
벤다벤다1962년[17]1971년[18]1973년[19]1979년[20]1962년에 설립된 영토 당국은 1969년에 재편되었다.[21]
시스케이코사1961년[22]1971년[23]1972년[24]1981년[25]영토 당국과 입법 의회의 선구자는 1934년부터 1955년까지 존재했다.[26][27] 1961년에 설립된 영토 당국은 1968년에 재편되었다.[28]
레보와북부 소토 (페디)1962년[29]1971년[30]1972년[31]1962년에 설립된 영토 당국은 1969년에 재편되었다.[32]
가잔클루총가 (상안)1962년[33]1971년[34][35]1973년[36]1962년에 설립된 영토 당국은 1969년에 재편되었다.[37]
콰콰남부 소토1969년[38][39]1971년[40]1974년[41]
콰줄루줄루1970년[42]1972년[43]1977년[44]
콰은데벨레은데벨레1977년[45]1979년[46]1981년[47]
카은과네스와지1976년[48]1977년[49]1984년[50]홈랜드 상태는 1982년 6월부터 12월까지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51]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350만 명으로 추산되는 흑인들이 강제 이주되어 반투스탄에 재정착했다.

다원 관계 개발부 장관 코니 뮬더는 1978년 국회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흑인 시민이 한 명도 남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52] 그러나 이 목표는 달성되지 못했고, 1986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흑인 인구의 약 39%만이 반투스탄에 살았다.[53]

2. 1. 초기 토지 제한 정책

1910년 남아프리카 연방 성립 후, 1913년 원주민 토지법(Natives Land Act, 1913) 제정으로 흑인 소유 토지가 전 국토의 7%로 제한되었다.[4] 1936년 정부는 흑인 소유 토지를 13.6%로 늘릴 계획이었으나, 토지 매입 지연으로 이 계획은 완전히 시행되지 못했다.[4]

2. 2. 아파르트헤이트와 반투스탄

1948년 국민당 집권 후, 헨드릭 프렌슈 베르워드 총리는 '그랜드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을 통해 백인 중심 사회 재편을 추진했다. 1951년 반투 당국법 제정으로 흑인을 부족별로 분류하고 거주지를 할당했다.[111] 1959년 반투 자치법 제정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백인 지역(87%)과 흑인 지역(13%)으로 분리하고, 흑인 지역에는 10개의 주요 부족별 반투스탄을 창설했다.[111] 베르워드는 반투스탄이 남아프리카 공화국 흑인들의 "원래 고향"이라고 주장했다.

1970년 반투 홈랜드 시민권법에 따라 모든 흑인을 특정 반투스탄의 '시민'으로 지정하고 남아프리카 공화국 시민권을 박탈했다.[111] 각 반투스탄을 '독립'시키면 남아프리카에서 일하는 흑인 노동자는 '외국인 노동자'가 되므로, 노동자로서의 권한을 제한할 수 있다는 논리였다.[113]

1976년 트란스케이가 '독립'한 것을 시작으로 1981년까지 보푸타츠와나, 벤다, 시스케이가 뒤를 이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외에 '독립'을 승인한 국가는 없었지만, 이스라엘1982년에 시스케이 무역 대표부를, 1985년에 보푸타츠와나 대표부 설치를 인정하는 등, 일정 외교 관계를 가졌다.[114] 그 외 은데벨레, 레보와, 가잔클루, 캉구와네, 콰콰, 콰줄루는 '자치구'로 지정되었다.

넬슨 만델라는 1959년 기사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신문들은 국민당의 계획을 '반투스탄'으로 명명했다. ... 국민당의 제안과는 실질적인 유사점이 없는데, ... 분할은 아프리카인에 의해 결코 승인된 적이 없으며 앞으로도 없을 것이다. 따라서 '반투스탄'이라는 용어는 완전한 오용이며 국민당이 사기를 저지르는 데 도움이 될 뿐이다."[6]

1985년 1월, P. W. 보타 대통령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 흑인들이 반투스탄 시민권을 갖는 대신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적법에 따라 남아프리카 공화국 시민권을 더 이상 박탈당하지 않을 것이며, 독립된 반투스탄 내 흑인 시민들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시민권을 재신청할 수 있다고 선언했다. F. W. 데 클레르크는 1987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총선에서 국민당을 대표하여 "도시 지역으로 몰려드는 흑인 노동자의 물결을 돌려놓으려는 모든 노력은 실패했다. ... 경제는 도시 지역에 흑인 다수가 영구적으로 존재할 것을 요구한다. 그들은 정치적 대표 없이 해마다 남아프리카에 머물 수 없다."라고 말했다.[63] 1989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가원수로 보타의 뒤를 이은 데 클레르크는 1990년 3월, 더 이상 반투스탄에 독립을 부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64]

2. 3. 반투스탄의 '독립'과 국제적 비난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는 1976년 트란스케이 독립을 시작으로 보푸타츠와나, 벤다, 시스케이 등 4개의 반투스탄을 "독립"시키고 주권국가로 대우했다.[111] 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일하는 흑인 노동자들을 '외국인 노동자'로 간주하여 노동권을 제한하기 위한 조치였다.[113]

유엔은 이러한 반투스탄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고 'TBVC 제국'이라 칭하며 비판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외에 이들 '독립'을 승인한 국가는 없었으나, 이스라엘은 1982년 시스케이 무역 대표부, 1985년 보푸타츠와나 대표부 설치를 인정하는 등 일정 수준의 외교 관계를 유지했다.[114]

3. 반투스탄의 실상

반투스탄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가장 개발되지 않은 지역으로, 대부분 농경과 목축에 적합하지 않은 땅이었다. 스티브 비코는 반투스탄으로 지정된 지역은 국토에서 가장 개발이 덜 되었고, 농경에도 목축에도 적합하지 않은 토지라고 지적했다.[116] 또한 바다에 면한 반투스탄도 없었고, 광물 자원에 대한 권리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가 엄격하게 통제했다.[116]

반투스탄은 경제적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의존했으며, 주민들은 저임금과 열악한 노동 조건에 시달렸다. 반투스탄 내 산업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의 통제를 받았으며, 흑인 노동자들은 노동조합을 결성하는 것조차 어려웠다. 비코는 반투스탄 경계 지역에서 급성장하는 산업은 정부 보조금을 받아 생산물에 대한 세금이 면제됨에도 불구하고, 도시 임금의 약 3분의 1 수준의 저임금만 지급된다고 비판했다.[116] 또한, 산업 평의회 합의가 효력을 갖는 지리적 범위를 벗어나 있어, 반투스탄에서 일하는 아프리카인 노동자는 노동조합을 조직할 수조차 없어 고용주에게 착취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116]

이러한 상황을 종합하여, 비코는 반투스탄을 "백인 정치인이 고안한 최대의 사기 행위"라고 비판했다.[116]

3. 1. 강제 이주와 인권 침해

1960년부터 1983년 사이에 350만 명으로 추산되는 흑인들이 백인 지역에서 반투스탄으로 강제 이주당했다.[52] 이러한 강제 이주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가 흑인 인구를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완전히 제거하려는 목표의 일환이었다.

반투스탄의 "국민 의회" 의석 대부분은 지명되었으며, 재정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의 원조에 크게 의존했다. 반투스탄 지도자들은 아파르트헤이트 정권의 협력자로 간주되어 흑인 대중의 분노를 샀다.

4. 반투스탄 목록

당국입법
의회자치
정부명목상
독립비고트란스케이코사1956[8]1963[9]1963[9]1976[10]1931년부터 "연합 트란스케이 영토 일반 평의회"라는 이름으로 영토 당국과 입법 의회의 선구자가 존재했다.[11]보푸타츠와나츠와나1961[12]1971[13]1972[14]1977[15]1961년에 설립된 영토 당국은 1968년에 재편되었다.[16]벤다벤다1962[17]1971[18]1973[19]1979[20]1962년에 설립된 영토 당국은 1969년에 재편되었다.[21]시스케이코사1961[22]1971[23]1972[24]1981[25]1934년부터 1955년까지 "시스케이 일반 평의회"라는 이름으로 영토 당국과 입법 의회의 선구자가 존재했다.[26][27] 1961년에 설립된 영토 당국은 1968년에 재편되었다.[28]레보와북부 소토 (페디)1962[29]1971[30]1972[31]—1962년에 설립된 영토 당국은 1969년에 재편되었다.[32]가잔쿨루총가 (상안)1962[33]1971[34][35]1973[36]—1962년에 설립된 영토 당국은 1969년에 재편되었다.[37]콰콰남부 소토1969[38][39]1971[40]1974[41]—콰줄루줄루1970[42]1972[43]1977[44]—콰은데벨레은데벨레1977[45]1979[46]1981[47]—카은과네스와지1976[48]1977[49]1984[50]—홈랜드 상태는 1982년 6월부터 12월까지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51]



남서아프리카(나미비아)의 반투스탄
반투스탄수도[79]최다 대표 부족입법 위원회 설립자치대표 권한 연도
오밤보랜드온당구아오밤보1968[80]1973[81]1980[82]–1989 (1990)[77]
카방고랜드룬두카방고1970[83]1973[84]1980[85]–1989 (1990)[77]
동카프리비[86]카티마 물릴로로지1972[87]1976[88]1980[89]–1989 (1990)[77]
나마랜드키트만스후프나마1976[90]1980[91]–1989 (1990)[77]
레호보스레호보스바스터[92]1977[93][94]1980–1989 (1990)[77][97]
다마라랜드웰위치아다마라1977[98][99]1980[100]–1989 (1990)[77]
헤레로랜드오카카라라헤레로[101]1980[102]–1989 (1990)[77]
츠와나랜드아미누이스츠와나1980[103]–1989 (1990)[77]
부시맨랜드춤크웨[104]
카오코랜드오포포힘바[105]


4. 1. 남아프리카 공화국

1913년 원주민 토지법(Natives Land Act, 1913)에 따라 흑인에게는 국토의 7%만이 허용되었다. 1936년 정부는 이를 13.6%로 늘릴 계획이었지만, 토지 매입이 느려 완전히 시행되지 못했다.[4]

국민당(남아프리카 공화국)(National Party)이 1948년 집권하면서, 헨드릭 프렌슈 베르워드(Hendrik Frensch Verwoerd)는 집단 거주 구역법(Group Areas Act)과 1954년 원주민 재정착법(Natives Resettlement Act, 1954) 등 "그랜드 아파르트헤이트" 조치를 도입하여 백인이 인구 다수가 되도록 남아프리카 공화국 사회를 재편했다. 홈랜드(반투스탄) 창설은 이 전략의 핵심 요소였으며, 장기적인 목표는 반투스탄을 독립시켜 흑인의 남아프리카 공화국 시민권과 투표권을 박탈하고 백인 통제를 유지하는 것이었다.

넬슨 만델라(Nelson Mandela)는 1959년 기사에서 "반투스탄"이라는 용어가 인도 분할과 관련하여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비판하며, 국민당의 계획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분리된 자치 국가로 분할하는 것이 아니며, 보호 구역 밖의 아프리카인에게는 어떤 권리도 주지 않는다고 지적했다.[6]

베르워드는 반투스탄이 남아프리카 공화국 흑인들의 "원래 고향"이라고 주장했다. 1951년 다니엘 프랑수아 말란(Daniel François Malan) 정부는 반투 당국법(Bantu Authorities Act)을 도입하여 흑인 민족 집단에 할당된 "홈랜드"를 설립하고, 협력적인 부족 지도자들을 통해 운영했다. 1959년 반투 자치법(Bantu Self-Government Act)은 "분리 개발" 계획을 수립하여 홈랜드가 장기적으로 자치 영토, 궁극적으로는 명목상 완전한 "독립" 국가로 발전하도록 했다.

트란스케이는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의 "시험장" 역할을 하며, 제도적 개발은 1959년 법 이전에 시작되었고, 자치 및 독립 달성도 다른 홈랜드보다 먼저 시행되었다.

존 보르스터(John Vorster) 총리는 아파르트헤이트에 대한 "계몽적인" 접근 방식의 일환으로 이 정책을 강화했지만, 진정한 의도는 흑인을 홈랜드 국민으로 만들어 남아프리카 공화국 시민으로서의 권리를 제거하는 것이었다. 1970년 흑인 홈랜드 시민권법(Black Homelands Citizenship Act)은 모든 흑인을 홈랜드 시민으로 공식 지정하고 남아프리카 공화국 시민권을 취소했으며, 1971년 반투 홈랜드 헌법법(Bantu Homelands Constitution Act)은 홈랜드의 헌법 개발 청사진을 제공했다.

1984년까지 10개 홈랜드 모두 자치를 달성했고, 트란스케이, 보푸타츠와나, 벤다, 시스케이 4곳은 1976년과 1981년 사이에 독립을 선언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10개 반투스탄의 제도적 및 법적 개발 시기는 다음과 같다.

홈랜드부족/국가영토
당국
입법
의회
자치
정부
명목상
독립
비고
트란스케이코사1956[8]1963[9]1963[9]1976[10]
보푸타츠와나츠와나1961[12]1971[13]1972[14]1977[15]
벤다벤다1962[17]1971[18]1973[19]1979[20]
시스케이코사1961[22]1971[23]1972[24]1981[25]
레보와북부 소토 (페디)1962[29]1971[30]1972[31]
가잔쿨루총가 (상안)1962[33]1971[34][35]1973[36]
콰콰남부 소토1969[38][39]1971[40]1974[41]
콰줄루줄루1970[42]1972[43]1977[44]
콰은데벨레은데벨레1977[45]1979[46]1981[47]
카은과네스와지1976[48]1977[49]1984[50]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350만 명의 흑인이 강제 이주를 당했다. 다원 관계 개발부(Minister of Plural Relations and Development) 장관 코니 뮬더(Connie Mulder)는 1978년 흑인 남아프리카 공화국 시민이 한 명도 없을 것이라고 언급했지만,[52] 1986년에는 약 39%[53]의 흑인만이 반투스탄에 살았다.

1985년 P. W. 보타 대통령은 흑인들이 남아프리카 공화국 시민권을 더 이상 박탈당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고, F. W. 데 클레르크는 1987년 흑인 노동자의 도시 유입을 막는 노력이 실패했으며 흑인 다수가 도시에 영구 거주한다고 말했다.[63] 1990년 데 클레르크는 더 이상 반투스탄에 독립을 부여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64]

1990년대 아파르트헤이트 정권은 홈랜드를 변경하지 않고 "현대화"하려 했고, 자치 홈랜드 독립 설득 시도와 "독립적인" 흑인 "도시 국가" 창설도 고려했다. 1990년부터 1994년까지 "연합" 아이디어가 유지되었지만, 아프리카 민족 회의의 "1인 1표" 원칙과 단일 국가 요구로 결국 폐기되었다.[65] 1994년 선거 전 일부 홈랜드 지도자들은 반투스탄 해체에 반대하며 백인 극우 정당 등의 지원을 받았다.

각 반투스탄의 수도, 민족 집단, 자치 및 형식적 독립 연도는 다음과 같다.

반투스탄수도민족 집단자치
연도
형식적 독립
연도
트란스케이움타타코사1963[9]–19761976[10]–1994[67]
보푸타츠와나마바토, 마피켕츠와나1972[14]–19771977[15]–1994[67]
벤다토호얀두, 시바사벤다1973[19]–19791979[20]–1994[67]
시스케이비쇼, 즈웰리샤코사1972[24]–19811981[25]–1994[67]



반투스탄수도부족연도
레보와레보와크고모, 세셰고북부 소토 (페디)1972[31]–1994[67]
가잔쿨루기야니총가 (샹간)1973[36]–1994[67]
콰콰푸타디트자바남부 소토1974[41]–1994[67]
콰줄루울룬디, 농고마줄루족1977[44]–1994[67]
콰은데벨레콰므랑가, 시야부스와은데벨레족1981[47]–1994[67]
카은과네루이빌, 스호만스달스와지족1984[50]–1994[67]



최초의 반투스탄은 카이저 달리옹가 마탄지마의 트란스케이였고, 콰줄루는 망고수투 ("가차") 부텔레지가 이끌었다. 레소토에스와티니는 반투스탄이 아닌 1960년대 영국에서 독립한 주권 국가였다.

4. 1. 1. 독립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는 1976년 트란스케이 독립을 시작으로 4개의 반투스탄을 '독립'시키고 주권 국가로 대우했다. 그러나 이들 영토는 대부분 경제적 기반이 없는 불모지였기 때문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계속해서 흑인 노동력을 이용할 수 있었고, 독립된 반투스탄 '국가'들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영향력 아래에 있었다. 유엔 회원국 중 이스라엘[118], 비회원국 중 중화민국(타이완)[119]만이 이들 국가와 상업적 교류를 했을 뿐, 외교 관계를 맺은 나라는 없었다.

다음은 독립을 선언한 4개의 반투스탄이다.

4. 1. 2. 자치구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남서아프리카 (현재의 나미비아)의 "홈랜드" 지도

4. 2. 남서아프리카 (나미비아)

1968년부터 폭스 오덴달이 이끄는 위원회의 1964년 권고안에 따라 남서아프리카 (현재의 나미비아)에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유사한 10개의 홈랜드가 설립되었다.[70][71] 1989년 5월에 모두 해체되었다. "반투스탄"이라는 용어는 이 맥락에서 다소 부적절한데, 그 이유는 관련된 일부 민족이 반투족이 아닌 코이산족이었고, 레호보스 바스터족은 복잡한 사례이기 때문이다.

1960년대, 국제 연맹의 위임 통치 하에 남서 아프리카를 통치하던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다수 흑인 인구에 대한 소수 백인 통치와 관련하여 국제적인 압력을 받게 되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구상한 해결책—오덴달 계획—은 백인과 비백인 인구를 분리하고, 고립된 흑인 영토에 자치를 부여하여 백인을 광대한 나머지 지역의 다수 인구로 만드는 것이었다. 더욱이 각 민족 집단을 분리하고 법으로 사람들을 제한된 지역에 가두어 인종 차별이 자동적으로 사라지게 할 것으로 예상했다.[68]

경계가 정해진 영토는 "반투스탄"이라고 불렸고, 나머지 땅은 "경찰 구역"이라고 불렸다. 즉시 경찰 구역에서 고용된 모든 비백인들은 "이주 노동자"가 되었고, 반투스탄의 출입을 감시하기 위해 통행법이 제정되었다.[68]

모든 반투스탄의 총 영토는 경찰 구역과 대략 같은 크기였다. 그러나 모든 반투스탄은 주로 농촌 지역이었고 주요 도시를 제외했다. 모든 항구, 철도 네트워크의 대부분, 포장 도로 기반 시설, 모든 대형 공항, 수익성이 좋은 다이아몬드 지역 및 국립 공원은 경찰 구역에 위치해 있었다.[68]

1980년 7월,[73] 이 제도는 민족만을 기준으로 하며 지리적으로 정의된 지역을 기반으로 하지 않는 2단계 행정 단위(토지 소유권, 농업, 초등학교 교사 훈련 수준까지의 교육, 보건 서비스, 사회 복지 및 연금과 같은 여러 업무 담당)인 별도의 정부("대표 당국") 형태로 변경되었다.

반투스탄수도[79]최다 대표 부족입법 위원회 설립자치대표 권한 연도
오밤보랜드온당구아오밤보1968[80]1973[81]1980[82]–1989 (1990)[77]
카방고랜드룬두카방고1970[83]1973[84]1980[85]–1989 (1990)[77]
동카프리비[86]카티마 물릴로로지1972[87]1976[88]1980[89]–1989 (1990)[77]
나마랜드키트만스후프나마1976[90]1980[91]–1989 (1990)[77]
레호보스레호보스바스터[92]1977[93][94]1980–1989 (1990)[77][97]
다마라랜드웰위치아다마라1977[98][99]1980[100]–1989 (1990)[77]
헤레로랜드오카카라라헤레로[101]1980[102]–1989 (1990)[77]
츠와나랜드아미누이스츠와나1980[103]–1989 (1990)[77]
부시맨랜드춤크웨[104]
카오코랜드오포포힘바[105]


4. 2. 1. 자치구

4. 2. 2. 비자치 지역

다음은 1978년 당시 남서아프리카에 설치된 비자치 반투스탄 지역이다.

5. 반투스탄의 해체와 그 이후

199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아파르트헤이트 정권이 붕괴하면서 모든 반투스탄은 해체되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재통합되었다.[65] 보푸타츠와나, 시스케이, 레보와 등 일부 반투스탄 지도자들은 통합에 반대하는 움직임을 보였고, 아프리카너 저항 운동(AWB)과 같은 극우 단체의 지원을 받기도 했다.[65] 그러나 보푸타츠와나, 시스케이, 레보와 등의 친 아파르트헤이트 정부는 공무원 파업 등으로 붕괴되었다.[65]

반투스탄 해체 이후, 반투 호로미사와 같이 이전 반투스탄 지도자들은 남아프리카 정치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6. 국제사회의 반응과 비판

1979년 중앙정보국(CIA)이 발행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인종별 인구 통계 지도


반투스탄 정책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 흑인 인구를 분리하고 차별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겨져 국제사회로부터 광범위한 비판을 받았다.

넬슨 만델라는 1959년 기사에서 "반투스탄"이라는 용어가 인도 분할과 유사점을 갖도록 의도되었지만, 실제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흑인 차별 정책을 은폐하기 위한 기만적인 용어라고 비판했다.[6]

아파르트헤이트 정책 설계자인 헨드릭 프렌슈 베르워드는 반투스탄이 흑인들의 "원래 고향"이라고 주장했지만, 이는 흑인들의 권리를 박탈하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백인 중심 국가로 유지하기 위한 명분에 불과했다.

흑인 의식 운동 활동가 스티브 비코는 반투스탄이 열악한 환경, 경제적 종속, 정치적 억압을 통해 흑인들을 통제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비판하며, "백인 정치인이 고안한 최대의 사기 행위"라고 규정했다.[116]

반투스탄의 "국민 의회"는 대부분 지명 의석이었고, 재정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에 크게 의존했다. 또한, 수백만 명의 흑인들이 강제 이주를 당하는 등 인권 침해가 심각했다.

반투스탄은 흑인들을 부족별로 분리하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일하는 흑인 노동자들을 '외국인 노동자'로 만들어 노동권을 제한하기 위한 정책이었다.[113] 이러한 정책은 국제 사회의 비난을 받았고, 유엔은 반투스탄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았다.

6. 1. 유엔과 국제사회의 비판

국제 사회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정책과 반투스탄을 강력하게 비판했다. 유엔은 반투스탄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았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대한 제재를 결의했다.[111] 남아프리카 공화국 외에 '독립'을 승인한 국가는 없었지만, 이스라엘1982년시스케이 무역 대표부를, 1985년에 보푸타츠와나 대표부 설치를 인정하는 등, 일정 외교 관계를 가졌다.[114]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는 1976년 트란스케이의 독립을 인정한 것을 시작으로 4개의 반투스탄을 "독립"시키고 주권국가로 대우했다. 그러나 유엔 회원국 중 이스라엘[118], 그리고 비회원국 중 중화민국(타이완)[119]만이 이들 반투스탄 4국과 상업적 교류를 했을 뿐, 이들과 외교관계를 맺은 나라는 없었다.

이론적으로 자치 반투스탄은 내부 기능의 많은 측면에 대한 통제권을 가졌지만 아직 주권 국가는 아니었다. 독립 반투스탄(트란스케이, 보푸타츠와나, 벤다 및 시스케이, TBVC 국가)은 완전한 주권 국가가 되도록 의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은 식민지 정부와 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로부터 거의 주목을 받지 못했고 여전히 매우 미개발된 상태였다. 이는 이들 국가의 통치 능력을 크게 감소시켰고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에 매우 의존하게 만들었다.

독립 반투스탄이 존재한 기간 동안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이들의 독립을 인정한 유일한 국가였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는 이들의 인정을 위해 로비를 벌였다. 1976년, 미국 하원에서 대통령에게 트란스케이를 인정하지 말 것을 촉구하는 결의안이 나오자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는 법안에 반대하도록 국회의원들에게 강력하게 로비했다.[54]

7. 다른 맥락에서의 사용

"반투스탄"이라는 용어는 완전한 시민적, 정치적 권리 없이 사람들이 살도록 강요받는 지역을 비난하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1] 이러한 맥락에서 여러 지역이 반투스탄에 비유되곤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1. one of the areas in South Africa where black people lived during the apartheid system; 2. SHOWING DISAPPROVAL any area where people are forced to live without full civil and political rights." https://web.archive.[...] 2017-10-15
[2] 서적 Bantustan oed
[3] 웹사이트 Bantustan | Definition, History, Map, & Facts https://www.britanni[...] 2019-07-13
[4] 서적 South Africa : the rise and fall of apartheid Routledge 2016
[5] 서적 "Between Ethnicity and Nationhood: Shaka Day and the Struggle over Zuluness in post-Apartheid South Africa" Routledge UK 1998
[6] 서적 No Easy Walk to Freedom Heinemann 2021-01-12
[7] 서적 Into the laager. Afrikaners living on the edge. Jonathan Ball Publishers 2016
[8] 간행물 The Transkeian Territorial Authority was established to replace the United Transkeian Territories General Council, by Proclamation No. R.180 in SA Government Gazette No. 5736 of 31 August 1956 with effect from 1 September 1956.
[9] 간행물 The Transkei was granted self-government by the Transkei Constitution Act 48 of 1963. This Act established the Transkei Legislative Assembly and the government departments with effect from 30 May 1963.
[10] 간행물 The Transkei was granted "independence" by the Status of Transkei Act 100 of 1976 with effect from 26 October 1976.
[11] 간행물 The Transkeian Territories General Council and the [[Pondoland]] General Council were amalgamated to become the United Transkeian Territories General Council, with effect from 1 January 1931, by Proclamation No. 279 in SA Government Gazette No. 1911 of 28 November 1930.
[12] 간행물 The Tswana Territorial Authority was established in terms of the Bantu Authorities Act No. 68 of 1951 by Government Notice No. 585 in SA Government Gazette No. 6666 of 21 April 1961 with effect from 1 May 1961.
[13] 간행물 The Tswana Legislative Assembly was established with effect from 1 May 1971, in terms of the Bantu Homelands Constitution Act No. 21 of 1971 (Act 21 of 1971), by Proclamation No. R.87 in SA Government Gazette No. 3083 of 30 April 1971.
[14] 간행물 The Tswana Territorial Authority was declared a self-governing territory within the Republic, under the new name Bophuthatswana,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Bantu Homelands Constitution Act No. 21 of 1971, by Proclamation No. R.131 of 26 May 1972, with effect from 1 June 1972. Called the Bophuthatswana Constitution Proclamation, 1972. The Bophuthatswana Legislative Assembly was established by the same proclamation.
[15] 간행물 The Status of Bophuthatswana Act 89 of 1977 granted Bophuthatswana "independence" with effect from 6 December 1977.
[16] 간행물 Government departments established by Proclamation No. R.141 in SA Government Gazette No. 2091 of 12 June 1968.
[17] 간행물 The Thoho-ya-Ndou Territorial Authority was established, in terms of the Bantu Homelands Constitution Act 21 of 1971, by Government Notice No. R.1864 in SA Government Gazette No. 370 of 9 November 1962 with effect from 1 December 1962.
[18] 간행물 The Venda Legislative Assembly was established by Proclamation No. R.119 in SA Government Gazette 3110 of 21 May 1971 with effect from 1 June 1971.
[19] 간행물 Venda was declared a self-governing territory within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with effect from 1 February 1973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Bantu Homelands Constitution Act 21 of 1971, by Proclamation No. R.12 in SA Government Gazette No. 3769 of 26 January 1973.
[20] 간행물 Venda was granted "independence" by the Status of Venda Act 107 of 1979 with effect from 13 September 1979.
[21] 간행물 The name of the Territorial Authority was changed to the Venda Territorial Authority by Government Notice No. R.837 in SA Government Gazette No. 2406 of 23 May 1969. The government departments of the Venda Territorial Authority were established by Proclamation No. R.168 in SA Government Gazette No. 2440 of 20 June 1969.
[22] 간행물 The Ciskeian Territorial Authority was established in terms of the Bantu Authorities Act 68 of 1951, by Government Notice No. R.496 in SA Government Gazette No. 6656 of 24 March 1961 with effect from 1 April 1961.
[23] 간행물 The Ciskeian Legislative Assembly was established with effect from 1 June 1971 by Proclamation No. R.118 in SA Government Gazette No. 3110 of 21 May 1971.
[24] 간행물 Ciskei became a self-governing territory within the Republic with effect from 1 August 1972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Bantu Homelands Constitution Act 21 of 1971 by Proclamation No. R.187 in SA Government Gazette No. 2622 of 28 July 1972. Called the Ciskei Constitution Proclamation, 1972.
[25] 간행물 The Status of Ciskei Act 110 of 1981 granted Ciskei "independence" with effect from 4 December 1981.
[26] 간행물 The Ciskeian General Council was established with effect from 1 April 1934, in terms of the Native Affairs Act 23 of 1920 and the Native Administration Act 38 of 1927, by Proclamation No. 34 in SA Government Gazette No. 2177 of 9 March 1934.
[27] 간행물 The Ciskeian General Council was disestablished with effect from 1 January 1956, by Proclamation No. 279 in SA Government Gazette No. 5600 of 23 December 1955.
[28] 간행물 The Government departments of the Ciskeian Territorial Authority were established by Proclamation No. R.143 in SA Government Gazette No. 2092 of 12 June 1968.
[29] 간행물 The Lebowa Territorial Authority was established by Government Notice No. R.1274 in SA Government Gazette No. 310 of 10 August 1962 with effect from 1 September 1962.
[30] 간행물 The Lebowa Legislative Assembly was established with effect from 1 July 1971, by Proclamation No. R.156 in SA Government Gazette No. 3177 of 30 June 1971.
[31] 간행물 Lebowa was declared a self-governing territory within the Republic with effect from 2 October 1972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Bantu Homelands Constitution Act, 1971 (Act 21 of 1971), by Proclamation No. R.225 in SA Government Gazette No. 3666 of 29 September 1972.
[32] 간행물 Lebowa Government departments were established by Proclamation No. R.115 in SA Government Gazette No. 2377 of 2 May 1969.
[33] 간행물 The Matshangana Territorial Authority was established in terms of the Bantu Authorities Act 68 of 1951, by Government Notice No. R.1863 in SA Government Gazette No. 370 of 9 November 1962 with effect from 1 December 1962.
[34] 간행물 The Machangana Legislative Assembly was established with effect from 1 July 1971, by Proclamation No. R.148 in SA Government Gazette No. 3163 of 25 June 1971.
[35] 간행물 The name "Machangana" was substituted for "Matshangana" by Proclamation No. R.113 in SA Government Gazette No. 3098 of 14 May 1971.
[36] 문서 The Machanga Territorial Authority was declared, under the new name Gazankulu
[37] 문서 The Government departments of the Matshangana Territorial Authority were established
[38] 문서 At the beginning of 1969, plans were published to unite the existing Southern Sotho tribal authorities into a homeland under the name of KwaKwa.
[39] 문서 The Basotho by Borwa Territorial Authority was established
[40] 문서 The Basotho-QwaQwa Legislative Assembly was established
[41] 문서 QwaQwa was established as a self-governing territory within the Republic
[42] 문서 The Zulu Territorial Authority was established
[43] 문서 The KwaZulu Legislative Assembly was established
[44] 문서 The Territory was proclaimed a self-governing territory within the Republic, under the name of KwaZulu
[45] 문서 The Ndebele Territorial Authority was established
[46] 문서 The KwaNdebele Legislative Assembly was established
[47] 문서 KwaNdebele was established as a self-governing territory within the Republic
[48] 문서 The Swazi Territorial Authority was established
[49] 문서 The KaNgwane Legislative Assembly was established
[50] 문서 KaNgwane was established as a self-governing territory within the Republic
[51] 서적 A Survey of Race Relations in South Africa 1982 South African Institute of Race Relations
[52]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Regionalism: The Case of Southern Africa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4-10-29
[53] 웹사이트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outh Africa in the late 1980s - The O'Malley Archives https://www.nelsonma[...] 2019-01-10
[54] 웹사이트 A Fine Face for Apartheid http://kora.matrix.m[...] 2019-01-10
[55] 웹사이트 S8 - Transkei(Entité DXCC ayant changé de préfixe) http://lesnouvellesd[...] 2020-01-30
[56] 웹사이트 Bantustans http://autocww2.colo[...] Colorado.edu 2012-06-07
[57] 서적 South Africa, the Prospects of Peaceful Change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20-10-25
[58] 웹사이트 Ciskei's Independent Way https://reason.com/1[...] Reason 2021-11-11
[59] 서적 Struggles for Self-Determination: The Denial of Reactionary Statehood in Af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60] 뉴스 Apartheid's 'Sovereign' Offspring: 'Independent' black homelands have become a battleground in the struggle for power in South Africa. The dispute could threaten the nation's future. https://www.latimes.[...] 2022-11-08
[61] 서적 South Africa: Time Running Ou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0-09-13
[62] 웹사이트 Survey of race relations in South Africa: 1983 http://psimg.jstor.o[...] South African Institute of Race Relations 2019-01-10
[63] 문서 Politicians and Apartheid: Trailing in the People's Wake Human Sciences Research Council
[64] 문서 "[https://books.google.com/books?id=EoTt9GkYP3UC&q=De+Klerk&pg=PA16 South Africa's Bantustans: From Dumping Grounds to Battlefronts" Motala Grafiska
[65] 문서 The most important concessions to Zulu separatists and to the white government and opposition forces were the [[wikisource: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Amendment Act, No. 2 of 1994|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Amendment Act, No. 2 of 1994]] and the [[wikisource: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Second Amendment Act, No. 3 of 1994|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Second Amendment Act, No. 3 of 1994]], which amended the [[wikisource: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1993/1994-04-27|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1993]] (the "Interim Constitution" that ended apartheid) already before this constitution came into force on 27 April 1994 (the first day of the first democratic elections).
[66] 문서 Act to introduce a new Constitution for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and to provide for matters incidental thereto (Act No. 200 of 1993)
[67] 문서 All Bantustans (both nominally independent and self-governing) were dismantled and their territories reincorporated into South Africa with effect from 27 April 1994
[68] 간행물 The Bantustan Proposals for South-West Af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6-10
[69] 간행물 How Good People Become Absurd: J.P. van S. Bruwer, the Making of Namibian Grand Apartheid and the Decline of Volkekunde https://doi.org/10.1[...] 2021-06-04
[70] 서적 A Survey of Race Relations in South Africa 1968 South African Institute of Race Relations
[71] 문서 The legal framework between 1968 and 1980 of "separate development" (from the establishment of territorial authorities, legislative assemblies, to the granting of self-government and eventual "independence") for the homelands in South West Africa, closely following the model in South Africa proper, was laid down in the Development of Self-Government for Native Nations in South-West Africa Act, 1968 (Act No. 54 of 1968) and the Development of Self-Government for Native Nations in South-West Africa Amendment Act, 1973 (Act No. 20 of 1973).
[72] 웹사이트 Namibian Homelands https://www.worldsta[...] 2019-11-23
[73] 문서 Representative Authorities Proclamation, 1980 (Proclamation AG. 8 of 1980)
[74] 문서 Representative Authority of the Whites Proclamation, 1980 (Proclamation AG. 12 of 1980)
[75] 문서 Representative Authority of the Coloureds Proclamation, 1980 (Proclamation AG. 14 of 1980)
[76] 서적 A Survey of Race Relations in South Africa 1980 South African Institute of Race Relations
[77]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Namibia – Schedules https://www.servat.u[...] 2020-06-19
[78] 간행물 Beyond Black and White: Ethnicity and Land Reform in Namibia https://www.cairn.in[...]
[79] 웹사이트 'South-West Africa, Proposed Homelands." in: The Bantustan Proposals for South-West Africa, p 179.' http://www.long-dama[...] 2016-08-19
[80] 서적 A Survey of Race Relations in South Africa 1968 South African Institute of Race Relations
[81] 서적 A Survey of Race Relations in South Africa 1973 South African Institute of Race Relations
[82] 문서 Representative Authority of the Ovambos Proclamation, 1980 (Proclamation AG. 23 of 1980)
[83] 서적 A Survey of Race Relations in South Africa 1970 South African Institute of Race Relations
[84] 서적 A Survey of Race Relations in South Africa 1973 South African Institute of Race Relations
[85] 문서 Representative Authority of the Kavangos Proclamation, 1980 (Proclamation AG. 26 of 1980)
[86] 서적 A Survey of Race Relations in South Africa 1974 South African Institute of Race Relations
[87] 서적 A Survey of Race Relations in South Africa 1972 https://archive.org/[...] South African Institute of Race Relations
[88] 서적 A Survey of Race Relations in South Africa 1976 South African Institute of Race Relations
[89] 문서 Representative Authority of the Caprivians Proclamation, 1980 (Proclamation AG. 29 of 1980)
[90] 서적 A Survey of Race Relations in South Africa 1976 South African Institute of Race Relations
[91] 문서 Representative Authority of the Namas Proclamation, 1980 (Proclamation AG. 35 of 1980)
[92] 서적 A Survey of Race Relations in South Africa 1976 South African Institute of Race Relations
[93] 문서 Rehoboth Self-Government Act, 1976 (Act No. 56 of 1976)
[94] 서적 A Survey of Race Relations in South Africa 1976 South African Institute of Race Relations
[97] 웹사이트 'Declaration of Independence 1990." Rehoboth Basters, 20 March 1990' http://rehobothbaste[...] 2019-11-24
[98] 서적 A Survey of Race Relations in South Africa 1970 South African Institute of Race Relations
[99] 서적 A Survey of Race Relations in South Africa 1977 South African Institute of Race Relations
[100] 문서 Representative Authority of the Damaras Proclamation, 1980 (Proclamation AG. 32 of 1980)
[101] 서적 A Survey of Race Relations in South Africa 1972 https://archive.org/[...] South African Institute of Race Relations
[102] 문서 Representative Authority of the Hereros Proclamation, 1980 (Proclamation AG. 50 of 1980)
[103] 문서 Representative Authority of the Tswanas Proclamation, 1980 (Proclamation AG. 47 of 1980)
[104] 서적 A Survey of Race Relations in South Africa 1980 South African Institute of Race Relations
[105] 문서 Kaokoland was very scarcely populated and greatly affected by the struggle for independence of Namibia, and most specifically by the so-called "[[South African Border War|bush war]]" that was fought across the border with Angola. No unified institutions were established in Kaokoland either before or after 1980.
[106] 서적 Mythologies Without End: The US, Israel, and the Arab-Israeli Conflict, 1917-2020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4-17
[106] 서적 The Contemporary Middle East: A Westview Reader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1-04-17
[106] 서적 Spacing Debt: Obligations, Violence, and Endurance in Ramallah, Palestine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2021-04-17
[106] 간행물 Evicting Palestine 2016
[106] 서적 Palestine Inside Out: An Everyday Occupation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2021-04-17
[107] 웹사이트 Sri Lanka: The National Question and the Tamil Liberation Struggle http://www.tamilnati[...] Zed Books Ltd, London
[108] 뉴스 Dalits create space for themselves https://web.archive.[...] "[[Asia Times Online]]" 2005-01-26
[109] 웹사이트 A call to justice (2) By Bishop Matthew Hassan Kukah - Blueprint https://www.blueprin[...] 2018-04-09
[110] 논문 Terminologies of Control: Tracing the Canadian-South African Connection in a Word https://doi.org/10.1[...] 2007-04-01
[111] 문서 吉田(2012):491
[112] 뉴스 実質は黒人切り捨て 重要地点は話さぬ白人 南アの新国家トランスカイ 朝日新聞 1976-10-26
[113] 문서 吉田(2012):491
[114] 논문 남아프리카와 이스라엘의 화평 과정에 대한 선주민족 노동력 정책의 영향에 대해 : 자본의 요청과 선주민족 통합의 관계로부터 https://hdl.handle.n[...] 関西学院大学総合政策学部研究会 2018-09
[115] 문서 吉田(2012):493
[116] 문서 해안에 면한 반투스탄도 있지만 항만은 백인 지구로 되어 있었다. 트란스카이 항목을 참조하십시오.
[117] 웹사이트 Bantustan https://www.macmilla[...] Macmillan Dictionary
[118] 웹사이트 Bantustans, A Zionist Dream http://cosmos.ucc.ie[...]
[119] 웹사이트 people-and-politics-sharon-s-bantustans-are-far-from-copenhagen-s-hope http://www.haaretz.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