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르넬리아 아프리카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르넬리아 아프리카나는 고대 로마의 귀족 여성으로, 명장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의 딸이자 티베리우스 셈프로니우스 그라쿠스의 아내였다. 12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그중 티베리우스와 가이우스 그라쿠스 형제를 훌륭한 정치 지도자로 키워냈다. 남편 사후 재혼하지 않고 자녀 교육에 전념했으며, 만년에는 학문 연구에 매진했다. 그녀는 아들들의 정치 활동을 지지하며, 그들의 죽음 이후에도 존경받았으며, 로마에 동상이 세워지기도 했다. 코르넬리아는 로마 여성의 전형으로 칭송받았지만, 그녀에 대한 평가는 시대와 작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그녀가 직접 쓴 것으로 추정되는 편지의 진위 여부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키피오 가 -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는 제2차 포에니 전쟁에서 한니발을 격파하고 아프리카에서 로마의 세력을 확장한 고대 로마의 장군으로,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했으나 말년에는 정치적 탄압을 받았다. - 스키피오 가 -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는 로마 공화정 시대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스키피오 가문에 입적되어 제3차 포에니 전쟁과 누만티아 전쟁에서 뛰어난 군사적 재능을 발휘했으며, 감찰관으로 사회 풍기를 바로잡고 티베리우스 그라쿠스의 개혁에 반대하는 등 정치적으로도 활동했다. - 기원전 2세기 사망 - 폴리비오스
폴리비오스는 아카이아 동맹 귀족 출신 그리스 역사가이자 정치가로, 로마에 인질로 끌려간 후 로마 귀족과 관계를 맺으며 로마 공화정의 흥망성쇠를 다룬 『역사』를 저술했고, 효율적인 통신 방식인 '폴리비오스 정사각형'을 고안했다. - 기원전 2세기 사망 - 히파르코스
히파르코스는 기원전 2세기 중후반에 활동한 니카이아 출신의 고대 그리스 천문학자이자 수학자로, 삼각함수표 작성, 별의 밝기 등급 분류, 춘분점 세차 운동 발견, 정밀한 별 목록 편찬 등 천문학 발전에 크게 기여하여 "삼각법의 아버지"라 불린다.
코르넬리아 아프리카나 |
---|
2. 생애
코르넬리아는 티베리우스 셈프로니우스 그라쿠스와 결혼하여 슬하에 12명의 자녀를 두었으나, 티베리우스, 가이우스, 셈프로니아만이 성인이 될 때까지 살아남았다.[1][2][3] 남편 사후 프톨레마이오스 8세의 청혼을 거절하고 자식 교육에 헌신하였으며, 그리스어와 라틴어 등 학문에 힘쓰며, 블로시우스(쿠마에 출신)와 디오파네스(미틸레네 출신) 등의 그리스 학자들을 초빙하여 자식들의 교육에 힘썼다.[4]
그녀는 아들 티베리우스와 가이우스의 정치적 행보를 지지하였고, 발레리우스 막시무스에 따르면, 그녀는 자녀들을 "보석"에 비유하며 큰 자부심을 느꼈다고 한다.
그라쿠스 형제가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한 후, 그녀는 미세눔의 별장으로 은퇴했지만, 그리스 학자들을 포함한 많은 학자들과 교류하며 만년을 보냈다.[5] 로마는 그녀의 미덕을 기리기 위해 그녀가 죽은 후 동상을 세우기로 결정했다.
2. 1. 초기 생애와 결혼
코르넬리아는 중년에 접어든 티베리우스 셈프로니우스 그라쿠스와 결혼했다. 정식 결혼은 기원전 172년으로, 코르넬리아는 18세, 남편 티베리우스는 45세였다.[1] 이 결혼은 행복한 결실을 맺었고, 그들은 12명의 자녀를 두었는데,[1] 이는 로마 기준으로는 매우 드문 경우였다. 그 중 여섯은 아들이었고 여섯은 딸이었다.[2] 어린 시절을 넘긴 자녀는 세 명으로, 사촌인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아에밀리아누스와 결혼한 셈프로니아, 그리고 민중 개혁 시도로 로마의 정치 제도를 거스른 두 그라쿠스 형제 (티베리우스와 가이우스 그라쿠스)였다.[3]기원전 154년 남편이 죽은 후, 그녀는 과부로 남기로 결정했지만 공주와 같은 지위를 누리며 자녀 교육에 전념했다. 그녀는 심지어 프톨레마이오스 8세의 청혼을 거절했는데, 이는 그녀가 유일한 남편이 죽은 후 정숙하고 헌신적인 아내가 되려고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녀의 거절은 단순히 자녀를 양육하는 방식에 있어 더 많은 독립과 자유를 원했다는 사실로 정당화될 수도 있다.[4]
2. 2. 과부 시절과 자녀 교육
코르넬리아는 중년에 접어든 티베리우스 셈프로니우스 그라쿠스와 결혼하여 행복한 결혼 생활을 했다. 이들은 로마 기준으로 매우 드문 경우인 12명의 자녀를 두었으나[1][2], 이 중 성인이 될 때까지 살아남은 자녀는 세 명이었다. 그들은 사촌인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아에밀리아누스와 결혼한 셈프로니아와 민중 개혁을 시도했던 그라쿠스 형제 (티베리우스와 가이우스 그라쿠스)였다.[3]남편이 죽은 후에도 코르넬리아는 과부로 남으며 공주와 같은 지위를 누리고 자녀 교육에 전념했다. 그녀는 프톨레마이오스 8세의 청혼을 거절했는데, 이는 남편 사후 정숙하고 헌신적인 아내가 되려는 의지 때문이었다. 혹은 자녀 양육에 있어 더 많은 독립과 자유를 원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4]
코르넬리아는 만년에 문학, 라틴어, 그리스어를 공부했다. 그녀는 로마로 데려온 그리스 학자들, 특히 젊은이들을 가르치기 위해 온 철학자 블로시우스(쿠마에 출신)와 디오파네스 (미틸레네 출신)를 활용했다. 그녀는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아들들의 교육에 광범위한 역할을 수행하여 "우수한 로마 정치 지도자"를 배출하는 결과를 낳았다.[4] 코르넬리아는 자신의 아들 티베리우스와 가이우스가 보수적인 귀족 가문의 분노를 샀을 때에도 항상 그들을 지지했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에 따르면, 그녀는 자녀들을 "보석"에 비유하며 큰 자부심을 느꼈다고 한다.
2. 3. 그라쿠스 형제의 정치 활동 지원
코르넬리아는 아들 티베리우스와 가이우스의 정치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지했다. 그녀는 교육의 중요성을 깨닫고 그리스 학자들을 초빙하여 아들들을 교육했으며, 그 결과 아들들은 "우수한 로마 정치 지도자"로 성장했다.[4]플루타르코스의 기록에 따르면, 코르넬리아는 가이우스에게 호민관 마르쿠스 옥타비우스를 탄핵시킨 법을 폐지하도록 요청했고, 로마 시민들은 그녀에 대한 존경심으로 이를 받아들였다.[7] 또한, 코르넬리아는 외국인 수확자들을 고용하여 가이우스를 돕게 함으로써 로마 집정관 루키우스 오피미우스의 권력 약화를 도왔을 가능성도 제기된다.[8]
가이우스는 자신의 정치적 반대자가 코르넬리아를 모욕하자, "티베리우스를 낳은 코르넬리아를 모욕하는 것이냐?"[10]라며 강하게 반박했다. 이는 그라쿠스 형제가 어머니의 명성을 정치적으로 이용했음을 보여준다.

2. 4. 말년과 죽음
남편 티베리우스 셈프로니우스 그라쿠스가 죽은 후, 코르넬리아는 과부로 남기로 결정했지만 공주와 같은 지위를 누리며 자녀 교육에 전념했다. 그녀는 프톨레마이오스 8세의 청혼을 거절했는데, 이는 유일한 남편이 죽은 후 정숙하고 헌신적인 아내가 되려고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녀를 양육하는 방식에 있어 더 많은 독립과 자유를 원했다는 사실로도 설명할 수 있다.[4]만년에 코르넬리아는 문학, 라틴어, 그리스어를 공부했다. 코르넬리아는 로마로 데려온 그리스 학자들, 특히 젊은이들을 교육하기 위해 온 철학자 블로시우스(쿠마에 출신)와 디오파네스(미틸레네 출신)를 활용했다. 그녀는 교육의 중요성을 깨달았고, "과거 공화정 시대" 동안 아들들의 교육에 광범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우수한 로마 정치 지도자"를 배출하는 결과를 낳았다.[4] 코르넬리아는 자신의 아들 티베리우스와 가이우스의 행동이 그녀가 태어난 보수적인 귀족 가문을 분노하게 했을 때에도 그들을 항상 지지했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에 따르면, 그녀는 자녀들을 "보석" 및 다른 귀중한 것들에 비유하며 큰 자부심을 느꼈다.
그라쿠스 형제가 비극적인 죽음을 맞은 후, 그녀는 로마를 떠나 미세눔에 있는 별장으로 은퇴했지만 계속해서 손님을 맞이했다. 그녀의 별장에는 그리스 학자를 포함한 많은 학자들이 방문하여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읽고 토론했다.[5] 로마는 그녀의 미덕을 숭배했고, 그녀가 노년에 사망했을 때, 로마 시는 그녀를 기리는 동상을 세우기로 결정했다.
코르넬리아가 사망한 후 그녀의 대리석 조각상이 세워졌지만, 기단만 남아 있다.[15] 이 조각상은 "동시대 사람들이 공공 장소에 세운 최초의 세속 로마 여성의 모습"이었다. 그녀의 조각상은 술라의 혁명적인 통치 기간 동안에도 유지되었으며, 400년 후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의 어머니인 헬레나의 초상화와 함께 미래 로마 여성의 모델이 되었다. 이후, 반민중주의 보수 세력은 그라쿠스 형제에 대한 언급을 삭제하고, 그녀를 아프리카누스의 딸로서 언급하도록 변경했다.[16]
3. 코르넬리아의 편지
코르넬리우스 네포스의 필사본에는 코르넬리아가 막내 아들 가이우스에게 보낸 것으로 추정되는 편지의 일부가 남아있다. 이 편지가 진짜라면, 코르넬리아는 자신의 글이 오늘날까지 남아있는 단 네 명의 로마 여성 중 한 명이 된다. 이는 로마 여성들이 정치 명문가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될 수 있다.[4] 편지는 기원전 122년 가이우스의 호민관 취임 직전에 쓰인 것으로 추정된다. 편지의 표현은 1인칭을 사용하고, 매우 단호하며, 날 것 그대로의 감정을 드러내고 있어 당시 여성의 글쓰기에서는 새로운 것이었을 수 있다.[4]
> "적에게 복수하는 것은 아름다운 일이라고 말할 것이다. 나에게 이보다 더 크거나 아름다운 일은 없지만, 조국에 해를 끼치지 않고 이러한 목표를 추구할 수 있을 때만 해당된다. 하지만 그렇게 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기에, 우리의 적들은 오랫동안, 여러 이유로 멸망하지 않을 것이고, 우리의 조국이 파괴되고 멸망하는 것보다는 지금과 같은 상태로 있을 것이다.
>
> …
>
> 나는 엄숙하게 맹세하건대, 티베리우스 그라쿠스를 살해한 자들을 제외하고는, 당신이 나에게 이렇게 많은 어려움과 고통을 안겨준 적은 없었다. … (중략) … 만약 당신이 계속 고집한다면, 당신의 잘못으로 인해 당신의 평생 동안 그러한 어려움을 겪게 될까 두렵고, 그 어떤 때에도 당신은 스스로 행복해질 수 없을 것이다."[14]
기원전 40년대 초, 키케로는 네포스의 동시대인으로서 코르넬리아의 편지를 언급했다.[12] 키케로는 그의 친구 아티쿠스를 인용하며, 아티쿠스가 아이들의 언어에 대한 어머니의 영향력을 주장하면서, 그라쿠스 형제들이 코르넬리아의 양육보다 그녀의 연설에 더 많은 영향을 받았음을 편지의 스타일이 보여준다고 언급했다. 마르쿠스 파비우스 퀸틸리아누스는 "우리는 그들의 어머니 코르넬리아가 그라쿠스 형제의 웅변에 크게 기여했으며, 그녀의 매우 박식한 연설은 또한 그녀의 편지를 통해 미래 세대에게 전해졌다"라고 말하며 코르넬리아의 편지에 대한 아티쿠스의 견해를 다시 한번 확인했다.[14]
키케로가 코르넬리아의 편지를 언급한 것은 당시 로마 엘리트들이 코르넬리아의 글에 익숙했음을 보여주지만, 오늘날 역사가들은 이 단편들이 실제로 코르넬리아의 말인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13][14] 이 단편들은 코르넬리아 아들들의 개혁에 반대했던 옵티마테 파벌에 의해 유포된 선전일 가능성이 높다.[13] 편지는 코르넬리아가 아들의 개혁에 반대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고, 가이우스를 로마 공화국의 복지와 어머니의 뜻을 무시하는 급진주의자로 묘사하는데, 이는 남아있는 단편들이 코르넬리아가 실제로 썼던 내용을 위조했거나 상당히 변조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13]
4. 유산과 평가
코르넬리아는 그라쿠스 형제의 비극적인 죽음 이후에도 현명한 어머니로서 사람들에게 존경받았다.[15] 기원전 100년에 그녀가 사망하자 그녀를 기리는 동상이 세워졌으나, 현재는 동상의 받침대만 남아있다.[15]
코르넬리아에 대한 평가는 시대에 따라 변화했다. 로마 시대에는 그녀의 뛰어난 교육과 능력이 강조되었지만, 후대로 갈수록 '이상적인 어머니'의 모습으로 그려졌다. 그녀의 교육은 아들들에게 훌륭한 가르침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여겨졌고, 그녀는 가족을 둘러싼 정치적 논란에서 벗어나 영웅적인 인물로 묘사되었다. 하지만, 역사학자 에밀리 헤멜리크는 "우리가 알고 있는 코르넬리아는 후대에 만들어진 모습이 크다"라고 평가했다.[24]
발레리우스 막시무스의 책에는 코르넬리아와 관련된 유명한 일화가 있다. 그녀는 자신의 옷차림과 장신구가 검소하다는 친구들의 질문에 두 아들을 가리키며 "이들이 내 보석이다"라고 답했다고 한다.[25][26]
코르넬리아는 오하이오주의 여성적인 국가 의인화로도 여겨진다. 오하이오 주청사 부지에는 그녀의 일화에서 유래한 "이들이 내 보석이다"라는 제목의 조각상이 오랫동안 서 있었다.[27]
코르넬리아는 주디 시카고의 페미니즘 예술 작품인 ''디너 파티''(1974–1979)에서 코르넬리아 그라키라는 이름으로 헤리티지 플로어에 금색으로 장식되어 있다.[29]
4. 1. 로마 시대의 평가
그녀가 사망한 후 코르넬리아의 대리석 조각상이 세워졌지만, 기단만 남아 있다.[15] 이 조각상은 "동시대 사람들이 공공 장소에 세운 최초의 세속 로마 여성의 모습"이었다. 그녀의 조각상은 술라의 혁명적인 통치 기간 동안에도 유지되었으며, 400년 후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의 어머니인 헬레나의 초상화와 함께 미래 로마 여성의 모델이 되었다. 이후, 반민중주의 보수 세력은 그녀의 아들들에 대한 언급을 삭제하고, 그라키 형제의 어머니가 아닌 아프리카누스의 딸로서 그녀를 언급하도록 변경했다.[16]역사적인 코르넬리아의 모습은 다소 모호하게 남아 있다. 로마 문학에 묘사된 그녀의 모습은 객관적인 기록보다는 로마 작가들이 그녀에게 부여한 의미를 더 많이 반영하는 듯하다. 이러한 의미는 로마 사회, 특히 여성의 역할이 변화함에 따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했다. 문학 작품을 해석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은 코르넬리아가 직접 썼다고 전해지는 단 하나의 작품만이 남아있다는 사실과, 고전학자들이 19세기부터 그 진위 여부에 의문을 제기해 왔다는 사실 때문이다. 위에 상세히 언급된 ''코르넬리아 단편(Cornelia Fragments)''은 기원전 124년에 그녀의 아들 가이우스에게 쓴 편지의 일부로 추정되며, 나중에 그라쿠스 형제에 대해 쓴 코르넬리우스 네포스의 필사본에 보존되었다.[17] 이 편지에서 코르넬리아는 가이우스가 호민관에 출마하려는 의도에 강하게 반대한다. 또한 그녀는 아들 가이우스에게 형 티베리우스 그라쿠스의 혁명적인 정책을 계속하지 말 것을 촉구했는데, 이는 결국 티베리우스의 죽음으로 이어졌다. 이 단편들은 현재는 유실된 네포스의 ''가이우스 그라쿠스 전기''에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높다.[18]
''단편''의 진위 논란은 편지의 문체와 내용에 집중되어 왔다.[19] 단편이 기원전 2세기 말 교육받은 로마 귀족의 문체와 언어와 유사하다는 데 대체로 동의하지만, 몇몇 학자들은 코르넬리아가 편지에서 가이우스의 정책을 꾸짖는 내용이 다른 자료에 보존된 그녀의 입장과 상충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한다.[20] 그녀가 가이우스에게 쏟는 격렬함은 몇몇 학자들에게 그녀의 모성애에 대한 믿음과 상충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의구심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단편''이 코르넬리아의 정치적 이념을 아들들의 이념과 분리하려는 의도를 가진 누군가가 만들어낸 위조 작품일 가능성을 제기한다. 반면 다른 학자들은 훨씬 나중에 만들어진 허구이며, 작가가 코르넬리아가 했을 법한 말을 재창조하려는 "수사적인 연습"을 한 것이고, 이 편지가 5세기경 아에밀리우스 프로부스가 편집한 네포스의 작품에 의도치 않게 정당한 자료로 포함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17] 이러한 이론들 자체도 문제가 있는데, 편지는 단 하나의 데이터 포인트일 뿐이므로 코르넬리아의 정치적 이상에 대한 광범위한 결론을 재구성하거나 "모성애"라는 막연한 생각에 대한 추론을 하기에 불충분하다. 또한, 만약 실제로 위조범의 작품이라면, 그는 기원전 2세기 말 로마 엘리트의 문법, 언어 및 문체에 능숙한 전문가였을 것이다.[21] 다수는 ''단편''이 진본이며, 자신의 아들 외에는 누구에게도 자신의 엄중한 꾸짖음을 읽히려고 하지 않았던 고도로 교육받은 여성의 사적인 편지를 나타낸다고 믿는 듯하다.
''단편''이 코르넬리아가 남긴 유일한 1차 사료이기 때문에, 역사적인 코르넬리아의 재구성은 주로 후대 로마 작가들이 그녀를 어떻게 보았는지에 의존한다. 이는 로마의 코르넬리아 묘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뚜렷하게 변했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플루타르크의 견해에 크게 영향을 받은 코르넬리아에 대한 초기 이미지는, 가족의 부, 기회, 교육(특히 그리스어)에 대한 관심으로 인해 라틴어와 그리스어 수사학에서 최고의 교육을 받은 귀족 여성의 모습이다.[22] 그녀는 아들들의 정치적 정책과 여성임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강력한 수사적 능력을 개발(그리고 자주 사용)했다는 점 때문에 다소 논란의 여지가 있었다. 이러한 초기 기록들은 그녀의 교육과 능력을 강조하지만, 그녀의 모성 역할에는 비교적 덜 강조한다.
그 후 수세기 동안 코르넬리아는 로마 작가들의 눈에 비친 모습이 진화했으며, 그녀에 대한 기억은 그들의 의도에 맞게 조정되었다. 그녀의 교육적 성취와 능력은 "이상화된 모성"의 모범으로서의 역할로 대체되었다. 그녀의 교육은 어머니로서의 역할에 통합되어 아들에게 전수하는 수단이 되었다. 그녀는 가족을 둘러싼 정치적 논란에서 벗어나 영웅적인 인물로 변모했다.[23] 역사학자 에밀리 헤멜리크는 "우리가 알고 있는 코르넬리아는 후대의 창작물인 정도가 매우 크다."라고 결론짓는다.[24]
4. 2. 현대의 평가
역사 속 코르넬리아의 모습은 다소 불분명하다. 로마 문학에 나타난 그녀의 모습은 객관적인 기록이라기보다는 로마 작가들이 그녀에게 부여한 의미를 더 많이 반영하는 듯하다. 이러한 의미는 로마 사회, 특히 여성의 역할이 변화함에 따라 시간이 지나면서 변했다. 코르넬리아가 직접 썼다고 전해지는 유일한 작품은 단편적인 편지글뿐이고, 그 진위 여부도 19세기부터 고전학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어 왔기 때문에 문학 작품 해석은 더욱 어렵다.[17] ''코르넬리아 단편(Cornelia Fragments)''은 기원전 124년에 그녀의 아들 가이우스에게 쓴 편지의 일부로 추정되며, 나중에 그라쿠스 형제에 대해 쓴 코르넬리우스 네포스의 필사본에 보존되었다.[17] 이 편지에서 코르넬리아는 가이우스가 호민관에 출마하려는 것에 강하게 반대한다. 또한 그녀는 아들에게 형 티베리우스의 혁명적인 정책을 계속하지 말 것을 촉구했는데, 이는 결국 티베리우스의 죽음으로 이어졌다. 이 단편들은 현재는 유실된 네포스의 ''가이우스 그라쿠스 전기''에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높다.[18]''단편''의 진위 논란은 편지의 문체와 내용에 집중되어 왔다.[19] 단편이 기원전 2세기 말 교육받은 로마 귀족의 문체와 언어와 유사하다는 데 대체로 동의하지만, 몇몇 학자들은 코르넬리아가 편지에서 가이우스의 정책을 꾸짖는 내용이 다른 자료에 보존된 그녀의 입장과 상충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한다.[20] 그녀가 가이우스에게 쏟는 격렬함은 몇몇 학자들에게 그녀의 모성애에 대한 믿음과 상충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의구심 때문에, 일부 학자들은 ''단편''이 코르넬리아의 정치적 이념을 아들들의 이념과 분리하려는 의도를 가진 누군가가 만들어낸 위조 작품일 가능성을 제기하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훨씬 나중에 만들어진 허구이며, 작가가 코르넬리아가 했을 법한 말을 재창조하려는 "수사적인 연습"을 한 것이고, 이 편지가 5세기경 아에밀리우스 프로부스가 편집한 네포스의 작품에 의도치 않게 정당한 자료로 포함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17] 이러한 이론들 자체도 문제가 있는데, 편지는 단 하나의 데이터 포인트일 뿐이므로 코르넬리아의 정치적 이상에 대한 광범위한 결론을 재구성하거나 "모성애"라는 막연한 생각에 대한 추론을 하기에 불충분하다. 또한 지적되었듯이, 만약 실제로 위조범의 작품이라면, 그는 기원전 2세기 말 로마 엘리트의 문법, 언어 및 문체에 능숙한 전문가였을 것이다.[21] 다수는 ''단편''이 진본이며, 자신의 아들 외에는 누구에게도 자신의 엄중한 꾸짖음을 읽히려고 하지 않았던 고도로 교육받은 여성의 사적인 편지를 나타낸다고 믿는 듯하다.
''단편''이 코르넬리아가 남긴 유일한 1차 사료이기 때문에, 역사적인 코르넬리아의 재구성은 주로 후대 로마 작가들이 그녀를 어떻게 보았는지에 의존한다. 이는 로마의 코르넬리아 묘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뚜렷하게 변했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플루타르코스의 견해에 크게 영향을 받은 코르넬리아에 대한 초기 이미지는, 가족의 부, 기회, 교육(특히 그리스어)에 대한 관심으로 인해 라틴어와 그리스어 수사학에서 최고의 교육을 받은 귀족 여성의 모습이다.[22] 그녀는 아들들의 정치적 정책과 여성임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강력한 수사적 능력을 개발(그리고 자주 사용)했다는 점 때문에 다소 논란의 여지가 있었다. 이러한 초기 기록들은 그녀의 교육과 능력을 강조하지만, 그녀의 모성 역할에는 비교적 덜 강조한다.
그 후 수세기 동안 코르넬리아는 로마 작가들의 눈에 비친 모습이 진화했으며, 그녀에 대한 기억은 그들의 의도에 맞게 조정되었다. 그녀의 교육적 성취와 능력은 "이상화된 모성"의 모범으로서의 역할로 대체되었다. 그녀의 교육은 어머니로서의 역할에 통합되어 아들에게 전수하는 수단이 되었다. 그녀는 가족을 둘러싼 정치적 논란에서 벗어나 영웅적인 인물로 변모했다.[23] 역사학자 에밀리 헤멜리크는 "우리가 알고 있는 코르넬리아는 후대의 창작물인 정도가 매우 크다."라고 결론짓는다.[24]
4. 3. 대중문화 속의 코르넬리아
발레리우스 막시무스가 저술한 ''기억할 만한 행위와 말 아홉 권''(IV, 4, ''incipit'')에 실린 일화는 코르넬리아가 아들들에게 헌신하고 존경받았음을 보여준다.[25][26] 코르넬리아는 친구들이 그녀의 옷차림과 장신구에 대해 질문했을 때, 부유한 로마 여성과 달리 매우 검소하고 절제된 모습을 보였다. 코르넬리아는 두 아들을 가리키며, ''haec ornamenta mea [sunt]'', 즉 "이들이 내 보석이다"라고 말했다.[26]
코르넬리아는 오하이오주의 여성적인 국가 의인화로도 여겨진다. 그녀에게서 유래된 "이들이 내 보석이다"라는 문구를 제목으로 한 조각상이 오하이오 주청사 부지에 오랫동안 서 있었다. 이 조각상은 종종 ''오하이오의 보석''이라고 불리며, 레비 스코필드가 1894년에 완성했다. 조각상은 로마 귀부인이 단상 위에 홀로 서서 일곱 명의 남자들에게 손짓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는데, 이들은 각각 오하이오 주와 미국 남북 전쟁에서 연방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들이다.[27] 이들은 코르넬리아가 아들들을 대신하여 애정을 담아 언급한 대상이다. 이 조각상은 시카고 만국 박람회에 처음 전시되었으며, 박람회 이름 자체가 미국 의인화에게 경의를 표하는 것이었다.[28]
코르넬리아는 주디 시카고의 상징적인 페미니즘 예술 작품인 ''디너 파티''(1974–1979)의 헤리티지 플로어에 코르넬리아 그라키라는 이름으로 금색으로 장식되어 있다.[29]
5. 가족 관계
코르넬리아는 티베리우스 셈프로니우스 그라쿠스와 중년에 결혼하여 행복한 가정을 이루었고, 슬하에 12명의 자녀를 두었다.[1] 이는 로마 시대 기준으로 매우 드문 경우였다.[2] 이 중 성인이 될 때까지 살아남은 자녀는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아에밀리아누스와 결혼한 셈프로니아, 그라쿠스 형제(티베리우스와 가이우스 그라쿠스) 3명이었다.[3]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 | |
남편 | 티베리우스 셈프로니우스 그라쿠스 마이오르 | |
아들 | 티베리우스 그라쿠스 | |
아들 | 가이우스 그라쿠스 | |
딸 | 셈프로니아 |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아에밀리아누스와 결혼 |
참조
[1]
서적
Life of Tiberius and Gaius Gracchus
http://www.stoa.org/[...]
[2]
서적
Matrona Docta: Educated Women in the Roman Élite from Cornelia to Julia Domna
Psychology Press
[3]
서적
Life of Tiberius and Gaius Gracchus
http://www.stoa.org/[...]
[4]
서적
Women Writing Latin
http://dx.doi.org/10[...]
2013-10-11
[5]
학술지
Cornelia and the Women of Her Family
https://www.jstor.or[...]
1990
[6]
서적
Politics in the Ancient World and Politics
http://dx.doi.org/10[...]
BRILL
2020-11-28
[7]
서적
Gaius Gracchus
https://www.perseus.[...]
Harvard University Press
[8]
서적
Gaius Gracchus
https://www.perseus.[...]
Harvard University Press
[9]
서적
The Gracchi
Clarendon Press
[10]
서적
Gaius Gracchus
https://www.perseus.[...]
Harva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Gaius Gracchus
https://www.perseus.[...]
Harva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Women's Roles in Ancient Civilizations
Greenwood Press
[15]
웹사이트
Base of a statue of Cornelia. Rome, Capitoline Museums, Palazzo Senatorio, Tabularium (Roma, Musei capitolini, Palazzo Senatorio)
http://ancientrome.r[...]
2022-08-22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웹사이트
The Latin Library
[26]
서적
A Class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Harper
[27]
웹사이트
The Ohio Statehouse, These Are My Jewels (Statue)
https://ohiostatehou[...]
Government of Ohio
2024-03-06
[28]
뉴스
Before Lady Liberty, There Was Lady Columbia, America's First National Mascot
https://www.smithson[...]
2023-10
[29]
서적
The Dinner Party: From Creation to Preservation
Merre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