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하 (소프트웨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하는 웹 기반의 통합 도서관 시스템으로, SQL 데이터베이스를 백엔드로 사용하고 MARC 표준에 카탈로그 데이터를 저장한다. 1999년 뉴질랜드에서 처음 개발되었으며, 웹 2.0 기능, 통합 카탈로그, 온라인 대출, 바코드 인쇄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2000년대 초반부터 여러 국가의 도서관에서 도입되었으며, 정기적인 릴리스를 통해 업데이트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서관 자동화 - 온라인 컴퓨터 도서관 센터
온라인 컴퓨터 도서관 센터(OCLC)는 도서관, 교육 기관, 연구 기관 등에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영리 협력 단체로서, WorldCat 구축 및 유지 관리, 듀이 십진 분류법 시스템 소유 등을 통해 도서관 자동화와 정보 접근성 향상에 기여하며 위키미디어 재단과의 협력 등으로 정보 공유 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있다. - 도서관 자동화 - Z39.50
Z39.50은 도서관 자동화 시스템 간 정보 공유를 위한 프로토콜로, 자료 검색 및 교환을 가능하게 하며, 다양한 정보 검색 기능과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SRU/SRW와 같은 대안이 제시되기도 한다. - 펄 소프트웨어 - 무버블 타입
무버블 타입은 식스 어파트에서 개발한 웹 블로그 게시 시스템으로, 다양한 기능과 정적/동적 페이지 생성 방식을 제공하며, 펄로 작성되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고 플러그인으로 기능 확장이 용이하다. - 펄 소프트웨어 - 덕덕고
덕덕고는 2008년 가브리엘 와인버그가 설립한 사용자 추적을 하지 않는 개인 정보 보호 검색 엔진으로, 검색어 기반 광고, 야후!-빙 검색 제휴 네트워크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며, 다양한 기능과 유료 구독 서비스 Privacy Pro를 통해 서비스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코하 (소프트웨어)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개발자 | 코하 커뮤니티 |
최초 출시일 | 2000년 1월 |
최신 버전 출시일 | }} |
운영체제 | 리눅스 |
프로그래밍 언어 | Perl JavaScript HTML |
지원 언어 수 | 26 |
장르 | 통합 라이브러리 시스템 |
라이선스 | GPL-3.0-or-later |
웹사이트 | 코하 공식 웹사이트 |
![]() |
2. 특징
코하는 웹 기반 통합 도서관 시스템으로, SQL 데이터베이스(MariaDB 또는 MySQL 선호)를 백엔드로 사용하며, MARC 표준에 카탈로그 데이터를 저장하고 Z39.50 또는 SRU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매우 구성 가능하고 적응력이 뛰어나며,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있다.[2]
코하는 다음과 같은 통합 도서관 시스템에서 기대할 수 있는 대부분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2]
- 태깅, 댓글, 소셜 공유, RSS 피드와 같은 다양한 웹 2.0 기능
- 통합 카탈로그 기능
- 사용자 정의 검색
- 온라인 대출
- 바코드 인쇄
- 이용자 카드 생성
- 보고서 생성
- OPAC을 통한 이용자 자체 등록 양식
2. 1. 기술적 특징
코하는 웹 기반 통합 도서관 시스템이다. SQL 데이터베이스(MariaDB 또는 MySQL 선호)를 백엔드로 사용하며, MARC 표준에 카탈로그 데이터를 저장하고 Z39.50 또는 SRU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매우 구성 가능하고 적응력이 뛰어나며,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있다.[2]코하는 다음과 같은 통합 도서관 시스템에서 기대할 수 있는 대부분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2]
- 태깅, 댓글, 소셜 공유, RSS 피드와 같은 다양한 웹 2.0 기능
- 통합 카탈로그 기능
- 사용자 정의 검색
- 온라인 대출
- 바코드 인쇄
- 이용자 카드 생성
- 보고서 생성
- OPAC을 통한 이용자 자체 등록 양식
2. 2. 주요 기능
코하는 웹 기반 통합 도서관 시스템이다. SQL 데이터베이스(MariaDB 또는 MySQL 선호)를 백엔드로 사용하며, MARC 표준에 카탈로그 데이터를 저장하고 Z39.50 또는 SRU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매우 구성 가능하고 적응력이 뛰어나며,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있다.[2]코하는 다음과 같은 통합 도서관 시스템에서 기대할 수 있는 대부분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2]
- 태깅, 댓글, 소셜 공유, RSS 피드와 같은 다양한 웹 2.0 기능
- 통합 카탈로그 기능
- 사용자 정의 검색
- 온라인 대출
- 바코드 인쇄
- 이용자 카드 생성
- 보고서 생성
- OPAC을 통한 이용자 자체 등록 양식
3. 역사
코하는 1999년 뉴질랜드 호로웬와 도서관 재단(Horowhenua Library Trust)을 위해 Katipo Communications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2000년 1월에 첫 번째 설치가 시작되었다.[3] 2000년부터 여러 회사들이 코하에 대한 상업적 지원을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현재는 50곳이 넘는다.[4]
2001년, 프랑스 마르세유 출신의 폴 풀랭(Paul Poulain)은 폴 풀랭/Paul Poulain프랑스어 다국어 지원을 포함한 여러 새로운 기능을 코하에 추가했다.[5] 2010년까지 코하는 영어, 프랑스어, 중국어, 아랍어 및 여러 다른 언어로 번역되었다. MARC 표준 및 Z39.50에 대한 목록화 및 검색 표준 지원은 2002년에 추가되었으며, 이후 애든스 카운티 공공 도서관(Athens County Public Libraries)의 후원을 받았다.[6] 폴 풀랭은 2007년에 BibLibre를 공동 설립했다.[7]
2005년, 오하이오에 본사를 둔 LibLime으로 거래하는 Metavore, Inc.라는 회사가 코하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크로포드 카운티 연합 도서관 시스템의 후원을 받은 Zebra 지원을 포함한 많은 새로운 기능을 추가했다. Zebra 지원은 검색 속도를 높였을 뿐만 아니라 수천만 건의 서지 기록을 지원할 수 있도록 확장성을 개선했다.[8]
2007년 버몬트에 있는 여러 도서관 그룹이 버몬트 도서관에서 코하의 사용을 테스트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각 도서관마다 별도의 구현이 생성되었고, 이후 버몬트 코하 자동화 도서관 조직(Vermont Organization of Koha Automated Libraries, VOKAL)이 도서관에서 사용할 단일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기 위해 조직되었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2011년에 출시되었고, 57개의 도서관이 ByWater Solutions에서 호스팅하고 지원하는 코하를 채택했다.[9] 버몬트의 또 다른 도서관 컨소시엄인 캐터마운트 도서관 네트워크(Catamount Library Network) 또한 코하를 채택했다(ByWater Solutions에서 호스팅). 이전에 자동화된 버몬트 도서관은 Follett 또는 다른 상업용 소프트웨어 공급업체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했다.[10]
2010년 킹스 펀드(King's Fund)는 PTFS Europe의 지원을 받아 광범위한 타당성 조사를 거쳐 코하로 마이그레이션했다.[11]
2011년 스페인 문화부(Ministry of Culture (Spain))는 코하의 맞춤형 버전인 KOBLI의 유지 관리를 시작했다.[12][13][14] 이 프로젝트는 2018년에 종료되었다.[15]
2014년 터키 문화부(Ministry of Culture (Turkey))는 1,136개의 공공 도서관에서 1,700만 개 이상의 자료와 약 200만 명의 활성 사용자와 함께 Koha–Devinim을 사용하기 시작했다.[16] 음악 도서관과 같은 전문 도서관은 오픈 소스 특성으로 인해 특정 사용 사례에 대한 더 쉬운 사용자 정의를 제공하기 때문에 코하를 채택했다.[17]
2017년 ''도서관 기술 보고서''(Library Technology Reports) 기사에서는 코하가 "세계에서 가장 널리 구현된 오픈 소스 통합 도서관 시스템(ILS)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18]
3. 1. 초기 개발 및 발전
코하는 1999년 뉴질랜드 호로웬와 도서관 재단(Horowhenua Library Trust)을 위해 Katipo Communications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2000년 1월에 첫 번째 설치가 시작되었다.[3] 2000년부터 여러 회사들이 코하에 대한 상업적 지원을 제공하기 시작했다.[4]2001년, 프랑스 마르세유 출신의 폴 풀랭(Paul Poulain)은 다국어 지원을 포함한 여러 새로운 기능을 코하에 추가하기 시작했다.[5] 2010년까지 코하는 영어에서 프랑스어, 중국어, 아랍어 및 여러 다른 언어로 번역되었다. MARC 표준 및 Z39.50에 대한 목록화 및 검색 표준 지원은 2002년에 추가되었다.[6] 폴 풀랭은 2007년에 BibLibre를 공동 설립했다.[7]
2005년, 오하이오에 본사를 둔 LibLime으로 거래하는 Metavore, Inc.라는 회사가 코하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크로포드 카운티 연합 도서관 시스템의 후원을 받은 Zebra 지원을 포함한 많은 새로운 기능을 추가했다. Zebra 지원은 검색 속도를 높였을 뿐만 아니라 수천만 건의 서지 기록을 지원할 수 있도록 확장성을 개선했다.[8]
2007년 버몬트에 있는 여러 도서관 그룹이 버몬트 도서관에서 코하의 사용을 테스트하기 시작했다. 버몬트 코하 자동화 도서관 조직(Vermont Organization of Koha Automated Libraries, VOKAL)이 도서관에서 사용할 단일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기 위해 조직되었고, 2011년에 출시되었다. 57개의 도서관이 코하를 채택하고 ByWater Solutions에서 호스팅하고 지원하는 공유 운영 환경으로 이동했다.[9] 버몬트의 또 다른 도서관 컨소시엄인 캐터마운트 도서관 네트워크(Catamount Library Network) 또한 코하를 채택했다.[10]
2010년 킹스 펀드(King's Fund)는 PTFS Europe의 지원을 받아 코하로의 마이그레이션을 완료했다.[11] 2011년 스페인 문화부(Ministry of Culture (Spain))는 코하의 맞춤형 버전인 KOBLI의 유지 관리를 시작했다.[12][13][14] 이 프로젝트는 2018년에 종료되었다.[15]
2014년 터키 문화부(Ministry of Culture (Turkey))는 1,136개의 공공 도서관에서 코하–Devinim을 사용하기 시작했다.[16]
2017년 ''도서관 기술 보고서''(Library Technology Reports) 기사에서는 코하가 "세계에서 가장 널리 구현된 오픈 소스 통합 도서관 시스템(ILS)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18]
3. 2. 지역별 도입 사례
코하는 1999년 뉴질랜드 호로웬와 도서관 재단(Horowhenua Library Trust)을 위해 Katipo Communications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2000년 1월에 첫 번째 설치가 시작되었다.[3] 2000년부터 여러 회사들이 코하에 대한 상업적 지원을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현재는 50곳이 넘는다.[4]2001년, 프랑스 마르세유 출신의 폴 풀랭(Paul Poulain)은 다국어 지원을 포함한 여러 새로운 기능을 코하에 추가했다.[5] 2010년까지 코하는 영어, 프랑스어, 중국어, 아랍어 및 여러 다른 언어로 번역되었다. MARC 표준 및 Z39.50에 대한 목록화 및 검색 표준 지원은 2002년에 추가되었으며, 이후 애든스 카운티 공공 도서관(Athens County Public Libraries)의 후원을 받았다.[6] 풀랭은 2007년에 BibLibre를 공동 설립했다.[7]
2005년, 오하이오에 본사를 둔 LibLime으로 거래하는 Metavore, Inc.라는 회사가 코하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크로포드 카운티 연합 도서관 시스템의 후원을 받은 Zebra 지원을 포함한 많은 새로운 기능을 추가했다. Zebra 지원은 검색 속도를 높였을 뿐만 아니라 수천만 건의 서지 기록을 지원할 수 있도록 확장성을 개선했다.[8]
2007년 버몬트에 있는 여러 도서관 그룹이 버몬트 도서관에서 코하의 사용을 테스트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각 도서관마다 별도의 구현이 생성되었고, 이후 버몬트 코하 자동화 도서관 조직(Vermont Organization of Koha Automated Libraries, VOKAL)이 도서관에서 사용할 단일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기 위해 조직되었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2011년에 출시되었고, 57개의 도서관이 ByWater Solutions에서 호스팅하고 지원하는 코하를 채택했다.[9] 버몬트의 또 다른 도서관 컨소시엄인 캐터마운트 도서관 네트워크(Catamount Library Network) 또한 코하를 채택했다(ByWater Solutions에서 호스팅). 이전에 자동화된 버몬트 도서관은 Follett 또는 다른 상업용 소프트웨어 공급업체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했다.[10]
2010년 킹스 펀드(King's Fund)는 PTFS Europe의 지원을 받아 광범위한 타당성 조사를 거쳐 코하로 마이그레이션했다.[11]
2011년 스페인 문화부(Ministry of Culture (Spain))는 코하의 맞춤형 버전인 KOBLI의 유지 관리를 시작했다.[12][13][14] 이 프로젝트는 2018년에 종료되었다.[15]
2014년 터키 문화부(Ministry of Culture (Turkey))는 1,136개의 공공 도서관에서 1,700만 개 이상의 자료와 약 200만 명의 활성 사용자와 함께 Koha–Devinim을 사용하기 시작했다.[16] 음악 도서관과 같은 전문 도서관은 오픈 소스 특성으로 인해 특정 사용 사례에 대한 더 쉬운 사용자 정의를 제공하기 때문에 코하를 채택했다.[17]
2017년 ''도서관 기술 보고서''(Library Technology Reports) 기사에서는 코하가 "세계에서 가장 널리 구현된 오픈 소스 통합 도서관 시스템(ILS)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18]
3. 3. LibLime과의 분쟁
2009년, LibLime과 코하 커뮤니티의 다른 구성원들 사이에 분쟁이 발생했다. 이 분쟁은 LibLime이 사이트 콘텐츠에 대한 포용력을 보이지 않고, 커뮤니티에 소프트웨어 패치를 기여하지 않는다는 점에 집중되었다.[20] 여러 참가자들은 LibLime이 소프트웨어와 커뮤니티를 포크했다고 믿는다고 선언했다.[21][22][23][24][25][26] 별도의 웹 존재, 소스 코드 저장소 및 커뮤니티가 설립되었다.[27] LibLime이 PTFS에 인수된 2010년 3월 이후에도 포크는 계속되었다.[28]2011년 11월, LibLime은 뉴질랜드 뉴질랜드 지식 재산청으로부터 ''koha''라는 이름의 사용에 대한 임시 상표를 허가받았다고 발표했다.[29] 코하 커뮤니티와 Catalyst IT Ltd (NZ)는 임시 상표 허가에 성공적으로 이의를 제기했으며, 2013년 12월에 결정이 내려졌고[30] LibLime이 비용을 지불하도록 했다.[31][32][33]
4. 출시
Koha 릴리스는 월별 유지 관리 릴리스와 연 2회 기능 릴리스를 통해 정기적인 달력 기반 패턴을 따른다. 각 Koha 릴리스는 릴리스의 연도와 월 번호로 구성된 버전 번호를 갖는다.[46]
4. 1. 버전 관리
wikitable
```
Koha 릴리스는 월별 유지 관리 릴리스와 연 2회 기능 릴리스를 통해 정기적인 달력 기반 패턴을 따른다. 각 Koha 릴리스는 릴리스의 연도와 월 번호로 구성된 버전 번호를 갖는다.[46]
4. 2. 최신 및 과거 릴리스
wikitable
```
Koha 릴리스는 월별 유지 관리 릴리스와 연 2회 기능 릴리스를 통해 정기적인 달력 기반 패턴을 따른다. 각 Koha 릴리스는 릴리스의 연도와 월 번호로 구성된 버전 번호를 갖는다.[46]
5. 수상 경력
- 2000년 인터랙티브 뉴질랜드 어워드의 "비영리" 부문에서 수상하였다.[47]
- 2000년 LIANZA / 3M의 "도서관 혁신" 부문에서 수상하였다.[48]
- 2003년 레 트로피 뒤 리브르 공공기관 부문에서 수상하였다.
- 2004년 컴퓨터월드 엑셀런스 어워드의 "비영리 단체의 IT 활용" 부문에서 수상하였다.[49]
- 2014년 뉴질랜드 오픈 소스 어워드의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부문 결선에 진출하였다.[50]
참조
[1]
웹사이트
IRC log for #koha, 2010-03-02
http://irc.koha-comm[...]
Koha community
[2]
웹사이트
"24.11.00 release"
https://koha-communi[...]
Koha Community
[3]
웹사이트
Koha: a Gift to Libraries from New Zealand
http://www.linuxjour[...]
2003-02-01
[4]
웹사이트
Paid Support
https://koha-communi[...]
Koha Library Software Community
2011-08-18
[5]
웹사이트
BibLibre
http://drupal.biblib[...]
[6]
웹사이트
The Koha Project
http://www.myacpl.or[...]
Athens County Public Libraries
2011-08-18
[7]
웹사이트
Faites le choix de l'expertise
http://www.biblibre.[...]
Bib libre
2010-05-01
[8]
웹사이트
Koha: Empowering Libraries with Open Source Innovation -
https://vwsonline.or[...]
2023-09-24
[9]
웹사이트
VOKAL, The Vermont Koha Project
http://www.vermontli[...]
2011-12-09
[10]
웹사이트
VOKAL VT Public
https://sites.google[...]
2011-08-18
[11]
간행물
Koha: Choosing and implementing an open source integrated library management system
https://issuu.com/al[...]
2011-01-01
[12]
웹사이트
KOBLI, a customized version of KOHA
http://koha.1045719.[...]
Nabble
2011-08-18
[13]
웹사이트
Kobli Koha
http://aims.fao.org/[...]
FAO
2013-12-12
[14]
보고서
Informe de evaluación del sistema integrado de gestión de bibliotecas Koha para las Bibliotecas de la Administración General del Estado
http://travesia.mcu.[...]
Grupo de Trabajo de Catálogo Colectivo de las Bibliotecas de la Administración General del Estado
2010-09-27
[15]
웹사이트
Koha-Kobli sistema integrado de gestión para las bibliotecas de la AGE {{!}} Ministerio de Cultura y Deporte
https://www.culturay[...]
2023-01-14
[16]
웹사이트
Video to announce a talk about Turkey's Koha installation at PakistanKohaCon19
https://kohapakistan[...]
2019-03-01
[17]
컨퍼런스
Refactoring a Library's Legacy Catalog: a Case Study
http://wiki.muziekco[...]
[18]
학술지
Open Source Library Systems: Koha
https://journals.ala[...]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17-08-01
[19]
웹사이트
Koha Library Automation Package
https://www.openhub.[...]
OpenHub
2019-08-21
[20]
웹사이트
Koha
http://koha.org/
[21]
웹사이트
Library Matters: Liblime forks Koha
http://library-matte[...]
Google
2011-08-18
[22]
웹사이트
Koha and LibLime and the letter and the spirit of open source
http://www.librarian[...]
Librarian
2011-08-18
[23]
웹사이트
LibLime To the Koha Community: Fork You!
http://blog.libraryj[...]
Library journal
2011-08-18
[24]
웹사이트
The Koha fork and being the change you want to see
http://librariansmat[...]
Librarians Matter
2011-08-18
[25]
웹사이트
Koha community squares off against commercial fork
https://lwn.net/Arti[...]
2011-08-18
[26]
웹사이트
IRC log for #koha, 2010-02-02
http://irc.koha-comm[...]
[27]
웹사이트
Koha Library Software
https://koha-communi[...]
[28]
웹사이트
LibLime Acquisition by PTFS Marks a New Era for Koha
http://www.libraryjo[...]
2011-08-18
[29]
웹사이트
PTFS/LibLime Granted Provisional Use of Koha Trademark in New Zealand
http://www.liblime.c[...]
Liblime
2012-06-25
[30]
웹사이트
Koha trademark case won by NZ developers
http://www.radionz.c[...]
2013-12-11
[31]
웹사이트
iTWire - Koha wins trademark stoush with US defence contractor
http://www.itwire.co[...]
[32]
웹사이트
Koha trademark battle settled
http://www.nzherald.[...]
2013-12-13
[33]
문서
NZIPOTM 47
http://media.nzheral[...]
[34]
웹사이트
Koha 24.05.00 released
https://koha-communi[...]
2024-06-24
[35]
웹사이트
Koha 23.11 released
https://koha-communi[...]
2024-06-24
[36]
웹사이트
Koha 23.05 released
https://koha-communi[...]
2023-07-06
[37]
웹사이트
Koha 22.11 released
https://koha-communi[...]
2023-03-16
[38]
웹사이트
Koha 22.05 released
https://koha-communi[...]
2022-05-28
[39]
웹사이트
Koha 21.11 released
https://koha-communi[...]
2021-12-01
[40]
웹사이트
Koha 21.05 release
https://koha-communi[...]
2021-05-29
[41]
웹사이트
Koha 20.11 release
https://koha-communi[...]
2021-01-07
[42]
웹사이트
Koha 20.05 release
https://koha-communi[...]
2020-05-31
[43]
웹사이트
Koha 19.11 release
https://koha-communi[...]
2020-04-28
[44]
웹사이트
Koha 19.05 release
https://koha-communi[...]
2020-04-28
[45]
웹사이트
Koha 18.11 release
https://koha-communi[...]
2020-07-23
[46]
웹사이트
Release Schedule
https://koha-communi[...]
Koha Community
2020-04-28
[47]
웹사이트
News
http://computerworld[...]
Fairfax
2000-10-24
[48]
웹사이트
"'Library Idol' – It's the 3M Award for 'Innovation in Libraries'"
http://lianza2009.wo[...]
2009-10-07
[49]
웹사이트
News
http://computerworld[...]
Fairfax
2004-06-28
[50]
웹사이트
Award Categories
http://www.nzosa.org[...]
NZ Osa
2014-11-20
[51]
웹인용
IRC log for #koha, 2010-03-02
http://irc.koha-comm[...]
Koha community
[52]
웹인용
20.11.00 release
https://koha-communi[...]
Koha Community
[53]
웹인용
Koha 22.05 released
https://koha-communi[...]
2022-05-28
[54]
웹인용
Koha 21.11 released
https://koha-communi[...]
2021-12-01
[55]
웹인용
Koha 21.05 release
https://koha-communi[...]
2021-05-29
[56]
웹인용
Koha 20.11 release
https://koha-communi[...]
2021-01-07
[57]
웹인용
Koha 20.05 release
https://koha-communi[...]
2020-05-31
[58]
웹인용
Koha 19.11 release
https://koha-communi[...]
2020-04-28
[59]
웹인용
Koha 19.05 release
https://koha-communi[...]
2020-04-28
[60]
웹인용
Koha 18.11 release
https://koha-communi[...]
2020-07-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