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콘스탄티노스 데메르치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스탄티노스 데메르치스는 1876년에 태어나 1936년에 사망한 그리스의 법학자이자 정치인이다. 아테네 대학교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뮌헨에서 유학 후, 아테네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민법 및 친족법을 가르쳤다. 1910년 자유당 소속으로 국회의원이 되었고, 1911년 그리스 헌법 개정에 기여했다. 1935년 11월, 국왕 게오르기오스 2세에 의해 임시 총리로 임명되어 외무, 전쟁, 해군 장관을 겸임했으나, 1936년 4월 심장 발작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의 총리 -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그리스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인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는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을 창당하여 총리를 역임하며 사회 개혁, 복지 확대, 독립 외교를 추구했으나, 경제난과 부패 스캔들로 비판받기도 하며 그리스 정치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그리스의 총리 - 알렉산드로스 파파고스
    알렉산드로스 파파고스는 그리스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그리스 내전에 참전하여 공산주의 세력을 격퇴하고 총리를 역임하며 그리스 경제 부흥에 기여하다가 사망했다.
  • 그리스의 정치인 -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는 오스만 제국령 마케도니아 출신의 그리스 정치인으로, 총리와 대통령을 역임하며 그리스의 민주주의 회복과 유럽 연합 가입에 기여했다.
  • 그리스의 정치인 - 포피 예니마타
    포피 예니마타는 1987년 아테네 대학교를 졸업하고 국회의원, 차관 등을 역임했으며, 범헬레니즘 사회당과 변화를 위한 운동의 대표를 지낸 그리스 정치인이다.
  • 아테네 출신 - 알렉산드로스 파파고스
    알렉산드로스 파파고스는 그리스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그리스 내전에 참전하여 공산주의 세력을 격퇴하고 총리를 역임하며 그리스 경제 부흥에 기여하다가 사망했다.
  • 아테네 출신 - 요르고스 란티모스
    그리스 출신 영화 감독 요르고스 란티모스는 독창적인 연출 스타일과 사회적 주제를 다루는 영화들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송곳니》, 《더 랍스터》, 《더 페이버릿: 여왕의 여자》, 《가여운 것들》 등의 작품으로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하였다.
콘스탄티노스 데메르치스
기본 정보
콘스탄티노스 데메르치스
이름콘스탄티노스 데메르치스
정치 경력
직책그리스의 총리
군주게오르기오스 2세
임기 시작1935년 11월 30일
임기 종료1936년 4월 13일
전임게오르기오스 콘딜리스
후임요안니스 메탁사스
소속 정당자유사상당 (1922–1936)
개인 정보
출생일1876년 1월 12일
출생지아테네, 그리스
사망일1936년 4월 13일
사망지아테네, 그리스
배우자알려진 정보 없음
학력뮌헨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

2. 생애와 경력

아테네 대학교 법학대학에서 공부하고 1896년 박사 학위를 받은 후 뮌헨에서 3년간 머물렀다.[2] 아테네로 돌아와 법학 교수로 재직했으며, 1904년 민법 교수가 되었다.[3][4] 1910년 총선에서 자유당 소속으로 처음 당선되었으며, 1911년 그리스 헌법 개정에 기여하며 사법부 판사들의 종신직 정지를 지지했다.

1924년 그리스 제2공화국 성립 후 정당을 결성했지만 단기간에 해산했다. 1935년 국왕 게오르기오스 2세는 데메르치스를 임시 총리로 임명했으며, 그는 외무, 전쟁, 해군 장관을 겸임했다. 비례대표제 선거에서 왕당파와 공화파가 비슷한 의석을 확보하고 공산당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자, 육군의 불만이 커졌고, 데메르치스는 유효한 대책을 내놓지 못한 채 1936년 4월 13일 심장 발작으로 사망했다.[8][9]

2. 1. 초기 생애 및 학문 활동

1876년 11월 7일 아테네에서 태어났다. 아테네 대학교 법학대학에서 공부했으며, 1896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2] 그 후 뮌헨으로 가서 3년간 머물렀다. 아테네로 돌아와 법학 교수로 가르치기 시작했다.[2] 1904년, 민법 교수가 되었다.[3][4] 1928년, 아테네 대학교 법학부 친족법 교수가 되었다.

2. 2. 정치 경력

콘스탄티노스 데메르치스는 1910년 그리스 의회 선거에서 당선되며 정계에 입문했다. 1912년 재선되어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정부와 알렉산드로스 자이미스 정부에서 해군 장관을 역임했다.[5] 1924년에는 잠시 "연합 진보당"을 창당해 대표를 맡기도 했다.

1925년 테오도로스 팡갈로스가 쿠데타로 집권하고 의회를 해산하자, 이에 반발한 파블로스 쿤투리오티스 대통령이 사임했다. 데메르치스는 후임 대통령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팡갈로스에게 큰 표 차로 패배했다. 팡갈로스 독재 정권이 무너진 후, 1926년 선거에서 아테네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1928년 아테네 대학교 법학 교수로 임용된 후, 1935년까지 정치 활동을 중단하고 학업에 전념했다.[2] 1935년 그리스 왕정 복고와 함께 게오르기오스 2세 국왕의 요청으로 총리직을 수락하여 무당파 내각을 이끌었다. 그의 정부는 1936년 총선을 성공적으로 치렀으나, 선거 결과 왕당파와 공화파가 거의 비슷한 의석을 확보하고 공산당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면서 정국은 혼란에 빠졌다.[8][9] 데메르치스는 이러한 상황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채 1936년 4월 13일 심장 발작으로 사망했다.[3] 그의 사후 총리직은 이오안니스 메탁사스에게 넘어갔다.[6][7]

2. 2. 1. 초기 정치 활동 (1910년 - 1928년)

1910년 그리스 의회 선거에서 당선되면서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5] 1912년 3월 11일 선거에서 국회의원으로 재선되었고, 1913년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정부에서 니콜라오스 스트라토스의 뒤를 이어 해군 장관을 맡아 약 1년간 재직했다. 1917년 알렉산드로스 자이미스 정부에서도 해군 장관을 역임했다.[5]

1924년, 그리스 제2공화국 성립 이후 다른 정치인들과 함께 "연합 진보당"을 창당하고 대표로 선출되었으나, 당은 단기간에 해산되었다.

테오도로스 팡갈로스 장군이 1925년 6월 권력을 잡고 9월에 의회를 해산했다. 1926년 3월, 팡갈로스 정부의 독단적인 행위에 항의하며 파블로스 쿤투리오티스 대통령이 사임하자, 데메르치스는 거의 모든 정당으로부터 후임 대통령 후보로 지명되었다. 민주당은 기권을 촉구했지만 소용이 없었고, 데메르치스 역시 지지를 받지 못했다. 팡갈로스는 데메르치스의 56,126표에 비해 782,589표를 얻으며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팡갈로스 독재가 몰락한 후, 1926년 11월 7일 선거에서 그는 아테네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1928년, 아테네 법학대학의 친족법 교수로 임명되었고, 그 해부터 1935년까지 정치 참여를 자제하고 대학 업무에 전념했다.[2]

2. 2. 2. 총리 재임 (1935년 - 1936년)

1935년 그리스 왕정 복고 후, 국왕 게오르기오스 2세는 어떤 정당에도 속하지 않았던 데메르치스를 총리로 임명했다. 데메르치스는 무당파 내각을 구성하고 1935년 11월 30일 총리로 취임하여 외무부 장관직을 겸임했다.[2]

그의 정부는 1936년 1월 26일 총선을 모범적인 질서 속에서 치렀다.[2] 선거 다음 날, 데메르치스는 국왕에게 사임을 표명했지만, 정치 지도자들과의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지면서 국왕은 다시 데메르치스에게 정부 구성을 요청했다.[2] 그러나 1936년 4월 13일 아침, 데메르치스는 심장마비로 사망했다.[3] 총리직은 이오안니스 메탁사스가 승계받았다.[6][7]

총선에서 왕당파는 143석, 공화파는 141석을 확보했고, 15석을 얻은 공산당이 캐스팅 보트를 쥐게 되었다.[8][9] 공산당과의 협력을 둘러싼 육군의 불만이 커지는 가운데, 데메르치스는 유효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사망했다.

3. 평가

데메르치스는 법학자이자 정치인으로서 그리스 근현대사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다. 특히 1911년 헌법 개정 과정에서 사법부 독립을 위해 노력한 점은 높이 평가받는다. 그러나 1936년 총선 이후 혼란스러운 정국을 수습하지 못하고 사망함으로써, 그리스가 민주주의에서 멀어지고 메탁사스 독재로 이어지는 길을 막지 못했다는 비판도 받는다.[8][9]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당시 그리스 정치의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여겨진다.

참조

[1] 서적 Parties and Elections in Greece: The Search for Legitimacy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1987
[2] 서적 History of the Balkans: Volume 2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07-29
[3] 서적 A Short History of Modern Greece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1986-11-28
[4] 웹사이트 Anemi - Digital Library of Modern Greek Studies - Οι υπουργοί των εξωτερικών της Ελλάδας 1829-2000 / Αντώνης Μακρυδημήτρης. https://anemi.lib.uo[...] 2023-02-04
[5] 서적 British Documents on Foreign Affairs--reports and Papers from the Foreign Office Confidential Print: Greece, 1847-1914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ublications of America 1987
[6] 서적 Popular Autocracy in Greece, 1936-1941: A Political Biography of General Ioannis Metaxa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4-23
[7] 서적 The Defence and Fall of Greece 1940-1941 https://books.google[...] Pen and Sword 2013-07-02
[8] 서적 リチャード・クロッグ、(2004)p.121
[9] 서적 桜井(2005)、p.333
[10] 문서 아테네를 장악하지 못한 대립 정부의 수반
[11] 문서 군사/독재 정권 수반
[12] 문서 비상시 또는 과도 정부 수반
[13] 문서 "[[\uCD94\x95\x9D\xAD\xB5 \xC1\xA9\xC7\xA5\xAE\xB0 \xAD\x08\xB8\xB0\xC6\xC7 \xAD\xB8\xB8\xF0\xC7\xC1 \xB7\xCE\xB8\xA7\xC7\xD1\xBD\xBA]](1941~1944) \xC1\xA9\xC7\xA5\xAE\xB0\xC7\xD1 \xD5\xD0\xC1\xFA\xC0\xFA \xD6\xE4\xB8\xB0\xC1\xA4 \xAC\xBD\xC1\xFA \xAD\xB8\xB8\xF0\xC2\xF7]]\xC0\xFA \xC1\xAE\xBA\xD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