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는 1907년 오스만 제국령 마케도니아에서 태어나 그리스의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그는 아테네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변호사로 활동하다가 인민당에 입당하여 1936년 국회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정계에서 두각을 나타내 1955년부터 1963년까지 총리를 역임하며, 그리스 경제의 5개년 계획을 발표하고 키프로스 독립에 기여했다. 1963년 총리직에서 사임 후 프랑스로 망명했다가, 1974년 군사 정권 붕괴 이후 귀국하여 다시 총리가 되었고, 신민주주의당을 창당하여 민주주의를 회복시켰다. 그는 1980년과 1990년에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1995년까지 재임했으며, 1998년 9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카라만리스는 그리스의 유럽 연합 가입을 이끌었으며, 그의 조카인 코스타스 카라만리스 역시 총리를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의 보수주의 - 알렉산드로스 파파고스
알렉산드로스 파파고스는 그리스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그리스 내전에 참전하여 공산주의 세력을 격퇴하고 총리를 역임하며 그리스 경제 부흥에 기여하다가 사망했다. - 그리스의 보수주의 - 요안니스 메탁사스
그리스의 장군이자 정치인이었던 요안니스 메탁사스는 1936년부터 1941년 사망할 때까지 그리스의 독재자로 통치하며 권위주의적인 정치를 펼쳤고, 이탈리아의 최후통첩을 거부하며 그리스-이탈리아 전쟁을 일으켰다. - 그리스에서 프랑스로 이민간 사람 -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그리스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인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는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을 창당하여 총리를 역임하며 사회 개혁, 복지 확대, 독립 외교를 추구했으나, 경제난과 부패 스캔들로 비판받기도 하며 그리스 정치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그리스에서 프랑스로 이민간 사람 - 콘스탄티노스 가브라스
그리스 출신 프랑스 영화 감독 코스타가브라스는 정치적인 소재를 서스펜스 넘치는 연출로 풀어내는 스타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정치적 부패, 억압, 제국주의 등 사회 비판적인 주제, 특히 우익 또는 극우 운동과 정권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영화에 담아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중앙마케도니아주 출신 - 스테파노스 아타나시아디스
스테파노스 아타나시아디스는 PAOK 유소년 아카데미 출신으로 PAOK에서 100골 이상을 기록하고 유로파리그 해트트릭을 달성하는 등 뛰어난 득점력을 보인 그리스의 전 축구 선수이며, 그리스 국가대표팀 경력과 그리스 컵 우승 및 다수의 개인 수상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 중앙마케도니아주 출신 - 고체 델체프
고체 델체프는 오스만 제국 출신의 마케도니아 독립 혁명가이자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의 주요 지도자로, 마케도니아와 아드리아노플 지역의 자치 획득을 목표로 활동하며 불가리아와 북마케도니아에서 민족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 |
로마자 표기 | Konstantinos Karamanlis |
발음 | /konstaˈdinos karamanˈlis/ |
출생일 | 1907년 3월 8일 |
출생지 | 오스만 제국 살로니카 빌라예트 퀴프쾨이 |
사망일 | 1998년 4월 23일 |
사망지 | 그리스 아테네 |
안장 장소 | 아테네 필로테이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 재단 본부 |
![]() | |
정치 경력 | |
정당 | 인민당(1936–1951) 그리스 경보(1951–1955) 국민급진연합(1955–1963) 신민주주의당(1974–1998) |
배우자 | 아말리아 카넬로풀루 (1951년 결혼, 1972년 이혼) |
학력 | 아테네 대학교 |
친척 | 코스타스 카라만리스 (조카) 코스타스 카라만리스 (조카) |
그리스 대통령 | |
대통령 재임 기간 | 1980년 5월 10일 – 1985년 3월 10일 1990년 5월 5일 – 1995년 3월 10일 |
총리 | 게오르기오스 랄리스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콘스탄티노스 미초타키스 |
이전 대통령 | 콘스탄티노스 차초스 흐리스토스 사르체타키스 |
다음 대통령 | 요아니스 알레브라스 (대행) 콘스탄티노스 스테파노풀로스 |
그리스 총리 | |
총리 재임 기간 | 1955년 10월 6일 – 1958년 3월 5일 |
총리 재임 기간2 | 1958년 5월 17일 – 1961년 9월 20일 |
총리 재임 기간3 | 1961년 11월 4일 – 1963년 6월 17일 |
총리 재임 기간4 | 1974년 7월 24일 – 1980년 5월 10일 |
대통령 | 페돈 기지키스 미하일 스타시노풀로스 콘스탄티노스 차초스 |
부총리 | 게오르기오스 마브로스 |
이전 총리 | 알렉산드로스 파파고스 콘스탄티노스 게오르가코풀로스 콘스탄티노스 도바스 아다만티오스 안드루초풀로스 |
다음 총리 | 콘스탄티노스 게오르가코풀로스 콘스탄티노스 도바스 파나기오티스 피피넬리스 게오르기오스 랄리스 |
국왕 | 파블로스 1세 |
2. 생애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는 1907년 그리스 마케도니아 세레스 시 근처 프로티 마을에서 태어났다.[3][4] 당시 이 지역은 오스만 제국의 영토였다. 1913년 제1차 발칸 전쟁과 제2차 발칸 전쟁 이후 마케도니아가 그리스에 합병되면서 그리스 시민이 되었다. 그의 아버지 게오르기오스 카라만리스는 교사였으며, 1904년부터 1908년까지 그리스 마케도니아 독립 운동에 참여했다. 카라만리스는 마케도니아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후 아테네로 가서 아테네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했다. 이후 세레스에서 변호사로 활동하며 인민당에 입당, 1936년 총선에서 28세의 나이로 국회의원에 선출되었다. 건강 문제로 그리스-이탈리아 전쟁에는 참전하지 못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카라만리스는 그리스 정계에서 빠르게 두각을 나타냈다. 알렉산드로스 파파고스 총리 내각에서 공공 사업부 장관을 역임했다.[5] 1955년 파파고스 총리 사망 후, 파울로스 국왕은 48세의 카라만리스를 총리로 임명했다.[5]
총리로서 여성 참정권 보장, 그리스 경제 5개년 계획 발표 등 여러 정책을 추진했으며, 연이은 선거에서 승리했다. 1959년에는 농업 및 산업 생산 향상, 인프라 투자, 관광 산업 육성을 위한 그리스 경제의 5개년 계획(1959-64)을 발표하여 그리스 경제 기적의 기반을 마련했다. 키프로스 분쟁 해결을 위해 노력하여 취리히-런던 협정을 체결하고 키프로스 독립을 지지했다.
1963년, 그리고리스 람브라키스 암살 사건과 왕실과의 갈등으로 총리직을 사임하고 프랑스 파리로 망명했다. 1967년 군사 쿠데타 이후 군사 정권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1974년 터키의 키프로스 침공으로 군사 정권이 붕괴되자 귀국하여 총리에 취임, 민주주의를 회복하고 그리스 공산당을 합법화하는 등 메타폴리테프시를 이끌었다. 신민주주의당(Νέα Δημοκρατία (ND))을 창당하고 1974년 총선에서 승리하여 다시 총리가 되었다. 1974년 그리스 국민투표를 통해 군주제를 폐지하고 헬레닉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새로운 헌법을 제정했다.
1980년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1981년 그리스의 유럽 경제 공동체 가입을 이끌었다. 1985년 대통령직에서 사임했으나, 1990년 다시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1995년까지 재임했다.
카라만리스는 1995년 88세의 나이로 은퇴할 때까지 총 60년 이상 정치 활동을 했다. 그는 민주주의에 대한 헌신과 유럽 통합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78년 카를스상을 수상했다. 1998년 9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자신이 설립한 싱크탱크인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 재단[25]에 자신의 기록 보관소를 남겼다.
1951년 아말리아 메가파누 카넬로풀루와 결혼했으나 1972년 이혼했고, 자녀는 없었다.
2. 1. 초기 생애
카라만리스는 1907년 그리스 마케도니아 세레스 시 근처 프로티 마을에서 태어났다.[3][4] 당시 이 지역은 오스만 제국의 영토였다. 1913년 제1차 발칸 전쟁과 제2차 발칸 전쟁 이후 마케도니아가 그리스에 합병되면서 그리스 시민이 되었다. 그의 아버지 게오르기오스 카라만리스는 교사였으며, 1904년부터 1908년까지 그리스 마케도니아 독립 운동에 참여했다.카라만리스는 마케도니아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후 아테네로 가서 아테네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했다. 세레스에서 변호사로 활동했고, 인민당에 입당하여 1936년 총선에서 28세의 나이로 국회의원에 당선되며 정계에 입문했다. 건강 문제로 그리스-이탈리아 전쟁에는 참전하지 못했다.
2. 2. 첫 번째 총리 임기 (1955-196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카라만리스는 그리스 정계에서 빠르게 두각을 나타냈다. 1951년 알렉산드로스 파파고스 총리 내각에서 공공 사업부 장관을 역임했다.[5] 1955년 파파고스 총리 사망 후, 파울로스 국왕은 48세의 카라만리스를 총리로 임명했다.[5] 이는 스테파노스 스테파노풀로스와 파나요티스 카넬로풀로스 등 파파고스의 후계자로 여겨졌던 고위 정치인들을 제치고 이루어진 것이어서 그리스 정계를 놀라게 했다.총리가 된 후, 카라만리스는 그리스 집회를 국가 급진 연합으로 재편성했다. 그가 총리로서 추진한 최초의 법안 중 하나는 1952년 명목상으로 승인되었지만 유보되었던 여성의 완전한 참정권을 보장하는 것이었다. 카라만리스는 연이어 세 번의 선거(1956년 2월, 1958년 5월, 1961년 10월)에서 승리했다.
1959년, 그는 농업 및 산업 생산 향상, 인프라에 대한 대규모 투자, 관광 산업 육성을 강조하는 그리스 경제의 5개년 계획(1959-64)을 발표했는데,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그리스 경제 기적의 기반을 마련했다.

국제적으로 카라만리스는 정부의 이전 전략 목표였던 에노시스(그리스와 키프로스의 통일)를 포기하고 키프로스의 독립을 지지했다. 1958년 그의 정부는 영국 및 터키와 협상을 진행했고, 이는 키프로스 독립에 대한 합의의 기초가 된 취리히-런던 협정으로 이어졌다. 1959년 2월, 키프로스 지도자 마카리오스 3세가 런던에서 이 계획을 비준했다.
막스 메르텐 사건(1960): 나치 독일 점령군]]의 테살로니키 주둔 군정 고문(Kriegsverwaltungsrat)이었던 막스 메르텐은 1959년 그리스에서 전범으로 유죄 판결을 받고 25년형을 선고받았다. 그 해 11월 3일, 메르텐은 전범 사면 혜택을 받아 석방되었고, 서독으로 송환되었다.[6]
독일에서 메르텐은 "증거 불충분"으로 모든 혐의에서 결국 무죄 판결을 받았다. 1960년 9월 28일 독일 신문 함부르크 에코(Hamburger Echo)와 슈피겔은 메르텐이 독일 당국에 제출한 진술서 발췌 내용을 보도했는데, 메르텐은 카라만리스 등 그리스 정치인들이 나치 협력자였다고 주장했다. 카라만리스는 이러한 주장을 근거 없는 터무니없는 것으로 일축했다. 메르텐의 혐의는 법정에서 결코 입증되지 않았다.

카라만리스는 1958년 초부터 유럽 경제 공동체(EEC) 가입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했다. 1961년 7월 9일, 그의 정부와 유럽은 그리스의 유럽 경제 공동체 준회원국 협정 의정서에 서명했다.

1961년 그리스 총선에서 국민급진연합이 득표율 50.8%와 176석을 획득했다. 주요 야당인 통합민주좌파(EDA)와 중앙연합(Centre Union)은 유권자 협박과 부정행위 의혹을 제기하며 결과에 불복했다. 중앙연합 지도자 게오르기오스 파판드레우는 새롭고 공정한 선거가 치러질 때까지 "굴하지 않는 투쟁"을 시작했다.
1963년, 그리고리스 람브라키스 암살 사건이 발생했다. 우익 극단주의자들의 소행으로 밝혀졌으며, 카라만리스는 이 사건에 충격을 받고 "이 나라를 누가 통치하는가?"라고 발언했다. 이후 왕실과의 갈등(왕실의 영국 방문 계획 및 헌법 개정 문제)으로 인해 총리직을 사임하고 프랑스 파리로 망명했다.
2. 3. 망명 시기 (1963-1974)
1963년 그리스 총선에서 국가 급진 연합이 게오르기오스 파판드레우가 이끄는 중앙 연합에 패배하자, 카라만리스는 결과에 실망하여 "트리안타필리데스"라는 가명으로 그리스를 떠났다. 이후 그는 프랑스 파리에서 11년간 자발적인 망명 생활을 했다.1967년 게오르기오스 파파도풀로스 대령을 중심으로 한 장교들이 1967년 그리스 쿠데타를 일으켜 헌법 질서를 무너뜨렸다. 카라만리스는 군사 정권에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했다.
1966년, 그리스의 콘스탄티노스 2세는 그의 사절 데메트리오스 비치시오스를 파리로 보내 카라만리스에게 그리스로 돌아와 정치에 복귀할 것을 제안했다. 콘스탄티노스 2세가 사망한 후 제기한 주장에 따르면, 카라만리스는 국왕이 헌법상의 권한으로 계엄령을 선포하는 조건하에서 돌아올 것이라고 답했다고 한다.[13] 그러나 카라만리스는 이 주장을 부인했다.[15]
미국의 저널리스트 사이러스 레오 설츠버거 2세는 카라만리스가 로리스 노스타드를 방문하여 자신이 이끄는 강력한 보수 정권 수립을 위한 그리스 쿠데타에 대한 미국의 지원을 로비했지만, 노스타드는 그러한 일에 관여하는 것을 거부했다고 주장했다.[14]
2001년, 슈타지(동독 비밀경찰)의 전 요원들은 그리스 수사 기자들에게 냉전 시대에 카라만리스의 명예를 훼손하기 위해 그가 쿠데타를 계획했다는 허위 증거를 조작하는 선전 활동을 벌였으나 실패했다고 주장했다.[17][18][19]
2. 4. 두 번째 총리 임기 (1974-1980)
1974년 터키의 키프로스 침공으로 군사 정권이 붕괴되었다. 1974년 7월 23일, 파이돈 기지키스(Phaedon Gizikis) 대통령은 파나기오티스 카넬로풀로스(Panagiotis Kanellopoulos) 등 구 정권 정치인들과 회동을 가졌고, 군 수뇌부도 이 회의에 참석했다. 회의의 안건은 선거를 치를 수 있는 국가 연립 정부를 구성하는 것이었다.[20] 초기에는 전 총리 파나기오티스 카넬로풀로스가 새로운 과도 정부의 수장으로 제안되었으나, 다른 정치인들이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자리를 뜬 후, 에반겔로스 아베로프는 카라만리스만이 성공적인 과도 정부를 이끌 수 있는 유일한 정치적 인물이라고 주장했다. 기지키스와 군 수뇌부는 처음에는 이에 대해 의구심을 표했지만, 결국 아베로프의 주장에 설득되었다.[20] 참석한 군 지휘관 중 아라파키스 제독이 카라만리스를 지지하는 의견을 가장 먼저 표명했다.결정적인 개입 이후, 기지키스는 카라만리스에게 총리직을 맡아 줄 것을 요청하기로 결정했다. 프랑스 망명 생활 동안 카라만리스는 1967년 4월 그리스에서 권력을 장악한 그리스 군사 정권(1967-1974년)에 대해 공개적으로 반대했다. 그는 이제 망명 생활을 끝내고 민주주의를 회복하기 위해 소환되었다.[20] 그의 귀국 소식이 알려지자 환호하는 아테네 시민들이 거리로 나와 "에르케테! 에르케테!(Έρχεται! Έρχεται! 그는 온다! 그는 온다!)"를 외쳤다.[20] 수천 명의 아테네 시민들은 공항으로 가서 그를 맞이하기도 했다.[21] 카라만리스는 임시 대통령 파이돈 기지키스 아래 총리로 취임했으며, 기지키스는 메타폴리테프시 기간 동안 새로운 헌법이 제정될 때까지 임시로 대통령직을 유지하다가 이후 정식으로 선출된 미하일 스타시노풀로스 대통령에게 자리를 물려주었다.
메타폴리테프시 초창기 불안정한 몇 주 동안, 카라만리스는 새로운 쿠데타를 우려하여 구축함의 감시를 받는 요트에서 생활해야 했다. 카라만리스는 키프로스 분쟁으로 인해 전쟁 직전에 놓인 그리스와 터키 간의 긴장을 외교적 경로를 통해 완화하려고 시도했다. 그리스 정부가 게오르기오스 마브로스(George Mavros)에 의해 대표된 제네바에서의 두 차례 연속 회의는 1974년 8월 14일 터키의 대규모 침공이나 그 후속적인 키프로스 37% 점령을 막지 못했다. 카라만리스는 항의의 표시로 그리스를 나토(NATO)의 군사 부문에서 탈퇴시켰고 1980년까지 그 상태를 유지했다.
군부 통치에서 다원적 민주주의로의 굳건한 이행 과정은 성공적이었다. 메타폴리테프시 이행 기간 동안 카라만리스는 그리스 내전 이후 금지되었던 그리스 공산당(KKE)을 합법화했다. 공산당의 합법화는 많은 사람들에게 정치적 포용주의와 화해의 제스처로 여겨졌다. 동시에 그는 모든 정치범들을 석방하고 군사 정권에 대한 모든 정치 범죄를 사면했다.[22] 그는 독재 정권의 협력자들과 임명자들을 정부 관료직에서 제거하는 데 신중한 접근 방식을 취했으며, 대령들의 정권 붕괴 4개월 후인 1974년 11월에 자유 선거를 실시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골리즘 사상의 영향을 받은 카라만리스는 보수 정당인 신민주주의당(Νέα Δημοκρατία (ND))을 창당했고, 1974년 그리스 총선에서 54.4%라는 기록적인 득표율을 기록하며 압도적인 의회 다수를 확보하여 총리가 되었다.
이 선거 직후에는 1974년 그리스 국민투표를 통해 군주제 폐지와 헬레닉 공화국 수립이 결정되었고, 1975년에는 전직 독재자들의 재판(그리스 군사 정권 재판)이 텔레비전으로 중계되었다. 전직 독재자들은 반역죄와 폭동죄로 사형 선고를 받았으나, 이후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다. 그리고 새로운 헌법이 제정되었다.
1977년 그리스 총선에서 신민주주의당이 다시 선거에서 승리했고, 카라만리스는 1980년까지 총리직을 유지했다. 그의 정부의 대외 정책은 전쟁 이후 처음으로 미국, 소련, 제3세계 간의 다극화(multi-polar approach)를 지향했으며, 이 정책은 그의 후임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에 의해서도 계속되었다.
카라만리스 총리 재임 기간 동안 그의 정부는 은행 및 운송업을 포함한 여러 부문에서 많은 국유화를 단행했다. 국가 주도 부문을 육성한 그의 경제적 국가주의(statism) 정책은 많은 사람들에 의해 "사회주의 열풍(socialmania)"으로 묘사되었다.[23]

1979년 카라만리스는 유럽 경제 공동체(현 유럽 연합)와의 가입 조약에 서명했다.[24]
2. 5. 대통령 임기 (1980-1985, 1990-1995)
1979년 카라만리스는 유럽 경제 공동체(현 유럽 연합)와의 가입 조약에 서명한 후 총리직을 사임하고,[24] 1980년 의회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1981년 그리스가 유럽 경제 공동체의 열 번째 회원국으로 공식 가입하는 것을 지켜보았다. 그는 1985년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하다 사임했으며, 크리스토스 사르체타키스(Christos Sartzetakis)가 그의 뒤를 이었다.[24]1989년 정치 위기와 당시의 정치적 양극화 상황에서 그는 "헬라스는 끝없는 혼란 속으로 변해 버렸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1990년, 그는 콘스탄티노스 미초타키스(Konstantinos Mitsotakis) 총리의 보수 정부 하에서 보수적인 의회 다수결에 의해 다시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1995년까지 재임했고, 코스티스 스테파노풀로스(Kostis Stephanopoulos)가 그의 뒤를 이었다.
3. 평가 및 유산
카라만리스는 1995년 88세의 나이로 은퇴할 때까지 60년 이상 정치 활동을 했다. 총리로 14년, 공화국 대통령으로 10년을 재임했으며, 5번의 의회 선거에서 승리했다.[25] 민주주의에 대한 헌신과 유럽 연합의 초기 단계부터 유럽 통합에 앞장선 공로로 1978년 카를스상을 수상했다. 그는 자신이 설립하고 기금을 마련한 보수적인 싱크탱크인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 재단에 자신의 기록 보관소를 남겼다.[25] 1998년 91세의 나이로 단기간의 질병 끝에 사망했다.
그는 그리스의 초기 고속 경제 성장을 이끈 지도자로 칭송받으며, 그리스의 유럽 연합 가입을 성공적으로 이끈 주요 인물로 평가받는다. 지지자들은 그를 카리스마 넘치는 ''에트나르케스''(Ethnarches)로 칭송했다.[26]
메타폴리테프시 기간 동안 민주주의를 성공적으로 복원하고 그리스 공산당을 합법화했으며, 그리스 의회 민주주의 체제를 수립하여 국가적 분열을 해결하는 데 기여했다.[28][29][30] 군사정권 재판에서 군사정권 주요 인물들에게 중형을 선고하여 군부의 헌법 위반에 대한 면책 시대가 끝났음을 알렸다.[29] 그의 유럽 통합 정책은 그리스와 미국 간의 수직적 관계를 종식시킨 것으로 평가받는다.[29][31]
2005년 6월 29일, 헤로데스 아티쿠스 오데온에서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의 그리스 문화 공헌을 기념하는 시청각 공연이 열렸다. 조지 레몬두스가 연출을 맡았고, 스타브로스 자라카코스가 음악을 선정하고 지휘했다. "문화적 기억"이라는 제목의 이 행사는 콘스탄티노스 G. 카라만리스 재단이 주최했다.[32] 2007년에는 그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여러 행사가 개최되었다.
3. 1. 긍정적 평가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그리스 경제의 급속한 성장을 이끌었으며, 그리스 경제 기적의 기반을 마련했다.[5] 1959년 그는 농업 및 산업 생산 향상, 인프라 투자, 관광 산업 육성을 위한 5개년 계획(1959-64)을 발표했다.그는 그리스의 유럽 연합(EU) 가입을 성공적으로 이끈 주역으로 평가받는다.[9] 1958년부터 유럽 경제 공동체(EEC) 가입을 적극 추진하여 1961년 그리스와 EEC 간의 준회원국 협정 의정서 서명식을 이끌어냈다.[10] 이후 1979년 정식 가입 조약에 서명했고, 그리스는 1981년 EEC의 10번째 회원국이 되었다.[10]
메타폴리테프시 기간 동안 군사 정권 붕괴 이후 민주주의를 성공적으로 복원하고, 그리스 의회 민주주의 체제를 수립하는 데 기여했다.[20] 그는 그리스 내전 이후 금지되었던 그리스 공산당(KKE)을 합법화하여 국민 통합을 위해 노력했다.[22]
1978년, 유럽 통합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카롤루스 대제상을 수상했다.
3. 2. 부정적 평가
카라만리스는 극우 단체들을 묵인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들 단체는 1961년 선거에서 폭력과 부정을 저질렀고, 그리고리스 람브라키스 암살에 책임이 있다는 의혹을 받았다.[26] 1961년 총선에서 국민급진연합은 50.8%의 득표율로 176석을 획득했지만, 야당인 중앙 연합과 EDA는 부정선거라고 비난하며 선거 결과를 인정하지 않았다.[26] 중앙 연합은 군 지도부, 그리스 중앙 정보국, 극우 성향의 국민방위대대 등이 '페리클레스'라는 계획에 따라 선거 결과를 조작했다고 주장했다.[26]1963년 5월, 좌파 국회의원 그리고리스 람브라키스가 테살로니키에서 평화 시위 도중 우익 극단주의자들에게 살해당했다. 이들은 지역 헌병대와 긴밀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26] 게오르기오스 파판드레우는 "이 나라를 누가 통치하는가?"라며 카라만리스 정부를 강하게 비난했다.
카라만리스의 1970년대 사회주의적 경제 정책도 비판의 대상이었다.[26] 그의 정부는 은행 및 운송업을 포함한 여러 부문을 국유화했는데, 이는 "사회주의 열풍(socialmania)"으로 묘사되기도 했다.[23]
1974년 키프로스 사태에 대한 대처가 미흡했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27]
3. 3. 기타
그의 조카 코스타스 카라만리스는 신민주주의당 당수가 되어 2004년부터 2009년까지 그리스 총리를 역임했다. 또 다른 조카인 코스타스 카라만리스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인프라 및 교통부 장관을 역임했다.[28][29][30]참조
[1]
웹사이트
Karamanlis Foundation
http://www.ikk.gr/
[2]
서적
Political leaders of contemporary Western Europe: a biographical dictionary
Greenwood
[3]
서적
Political leaders of contemporary Western Europe: a biographical dictionary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4]
웹사이트
Konstantinos Karamanlis.
http://www.britannic[...]
britannica.com
2010-02-01
[5]
서적
The Wrong Horse
[6]
웹사이트
Kathimerini on the Merten affair
https://web.archive.[...]
2006-07-12
[7]
웹사이트
Queen Frederika. An arrogant woman who was a grand-daughter of the Kaiser
http://www.anagnosis[...]
[8]
서적
The Birth of Neofascism in Greece
Papazisis Editions
[9]
웹사이트
Greece's Gain
https://web.archive.[...]
Time Magazine Archives
[10]
웹사이트
Destination Europe
https://web.archive.[...]
2006-08-07
[11]
웹사이트
Karamanlis' personal contacts with the German and French leaders (Konrad Adenauer and De Gaulle), to shift Greek foreign policy towards stronger ties with the nascent (EEC)
https://web.archive.[...]
2006-08-08
[12]
웹사이트
"I Am with You, Democracy Is with You"
https://web.archive.[...]
Time magazine archives
2008-07-06
[13]
뉴스
Constantine Speaks
TO BHMA
2006-01-29
[14]
서적
Postscript with a Chinese Accent
Macmillan Publishing Co.
[15]
웹사이트
Karamanlis reaction from Ta Nea
http://ta-nea.dolnet[...]
2020-02
[16]
웹사이트
Reaction from the Left: Ta Nea
http://ta-nea.dolnet[...]
2020-02
[17]
방송
Gkrizes Zones
Mega channel television
[18]
웹사이트
Greek press on Stasi falsifications
http://www.in.gr/new[...]
[19]
웹사이트
Greek press on Stasi campaign
http://www.in.gr/new[...]
[20]
웹사이트
Athens News on Metapolitefsi
http://www.athensnew[...]
[21]
웹사이트
Thousands went to the airport to greet him
http://www.athensnew[...]
[22]
웹사이트
Rise and decline of Democracy: online article
http://users.hol.gr/[...]
[23]
웹사이트
Economy and Statism
https://web.archive.[...]
2007-03-16
[24]
웹사이트
Karamanlis was sworn in as the country's first elected president on 6 May
https://web.archive.[...]
2006-08-08
[25]
웹사이트
Konstantinos G. Karamanlis Foundation website
http://www.karamanli[...]
[26]
웹사이트
charismatic patriarch at the helm
https://web.archive.[...]
2006-08-08
[27]
서적
Graduation 1974
Oceanis
[28]
웹사이트
Ελληνοαμερικανικές σχέσεις 1974–1999
http://news.kathimer[...]
ekathimerini
[29]
웹사이트
Greek_American relations 1974_1999
http://www.eliamep.g[...]
Hellenic Foundation of European and Foreign Policy
[30]
웹사이트
Konstantinos Karamanlis
http://www.britannic[...]
Britannica
[31]
웹사이트
Karamanlis' unflinching political orientation towards the unification of Europe
https://web.archive.[...]
2006-08-08
[32]
웹사이트
Tribute website
http://www.culturegu[...]
2007-03-24
[33]
기타
君主制時代
[34]
기타
共和制移行後
[35]
기타
섭정이나 임시 대통령
[36]
설명
[37]
설명
[38]
설명
[39]
설명
[40]
설명
[41]
설명
[42]
설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