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쿠리아 민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리아 민회는 로마의 직접 민주주의 체제에서 사용된 주요 회의 중 하나로, 입법, 선거, 사법 문제에 대한 투표를 담당했다. 쿠리아 민회는 로마 왕정 시대부터 존재했으며, 공화정 시대에는 그 권한이 축소되어 제사장 취임, 입양 등 제한적인 결정만 할 수 있었다. 공화정 시대에 권한이 백인회와 부족회로 이관되었고, 이후에는 최고위 로마 행정관의 선거 비준 권한 등 상징적인 역할만 수행했다. 제정 시대에 들어서면서 쿠리아 민회의 권한은 원로원이나 황제에게 이관되어 점차 쇠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왕국 - 누마 폼필리우스
    누마 폼필리우스는 로마의 두 번째 왕으로, 종교 개혁과 사회 정책을 통해 로마의 종교 제도와 역법을 개혁하고 야누스 신전을 건립했으며, 로마력 개혁을 이끌었다.
  • 로마 왕국 - 라티누스
    라티누스는 로마와 그리스 신화에서 라틴족의 시조이자 라티움의 왕으로, 신통기에서는 오디세우스와 키르케의 아들, 아이네이스에서는 아이네이아스에게 딸을 주어 로마 건국에 기여한 인물로 묘사되며 라틴 민족의 기원과 정체성을 상징한다.
  • 로마 공화국 - SPQR
    SPQR(원로원과 로마 시민)은 고대 로마를 상징하는 라틴어 약어로, 로마 공화정부터 제정 시대까지 공식 표어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로마 시의 문장 및 문서에서 코무네를 나타내는 약자로 사용되고, 로마의 역사와 권위를 상징하는 다의적인 표현이다.
  • 로마 공화국 - 옵티마테스
    로마 공화정 말기 원로원 중심의 귀족 세력이었던 옵티마테스는 기득권 유지를 추구하며 평민파와 갈등하고 공화정 몰락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으며, 현대에는 다원적 정치 관계 속에서의 그들의 행태가 분석되고 있다.
  • 폐지된 입법부 - 대한제국 중추원
    대한제국 중추원은 갑오개혁으로 설립되어 의회적 성격을 갖추었으나, 공화정 수립 루머로 황제의 견제를 받았으며, 독립협회 폐지 이후 자문기관으로 역할이 축소되다가 1907년 기능이 종식되었다.
  • 폐지된 입법부 - 소련 인민대표대회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페레스트로이카 개혁으로 1989년 설립된 소련 인민대표대회는 다양한 사회 단체와 지역을 대표하는 2,250명의 대의원으로 구성된 소련의 최고 입법 기구였으며, 자유 선거를 통해 선출된 대표들이 공산당 일당 독재 체제를 넘어 정치적 다양성을 가져왔으나 소련 붕괴를 촉진했고, 1991년 소련 해체와 함께 해산되었다.
쿠리아 민회
개요
명칭쿠리아 민회
로마자 표기Comitia Curiata
일본어 표기クリア民会 (쿠리아 민카이)
역사적 배경
기원로마 왕정 시대
설립 시기로마 건국 초기
창설자로물루스
조직 및 구성
구성 단위30개의 쿠리아 (Curiae)
쿠리아 대표각 쿠리아별 1표
투표 방식쿠리아 단위 투표 (다수결)
권한 및 기능
주요 기능왕의 선출 (왕정 시대)
법안 승인
전쟁 선포
고위 관료 선출
양자 결연 승인 (Adoption)
종교적 기능 수행
공직 임명 승인임페리움 (Imperium) 보유자의 공직 임명 승인
기타 기능가문 및 가족 관련 사항 결정
종교 행사 주관
쇠퇴 및 변화
쇠퇴 시기로마 공화정 시대
권한 축소트리부스 민회 (Comitia Tributa)의 성장
평민회 (Concilium Plebis)의 등장
역할 변화주로 종교적인 기능 수행
존속 여부명맥은 유지, 실질적인 권한 상실
법적 측면
법안 승인레스 (leges) 승인 권한
임페리움 부여공화정 시대, 임페리움 보유자에게 권한 부여
추가 정보
관련 용어쿠리아 (Curia)
트리부스 민회 (Comitia Tributa)
평민회 (Concilium Plebis)
로마 원로원 (Senatus)

2. 절차

로마의 직접 민주주의 체제에서 민회는 입법, 선거, 사법 문제에 대한 투표를 위해 사용되었다.[6] 쿠리아 민회는 이러한 민회 중 하나였다. 민회는 공식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그 행위는 모든 로마 시민에게 적용되었다.[7]

민회가 투표하기 며칠 전에는 항상 공고가 있어야 했다. 선거의 경우, 선거 발표와 실제 선거 사이에 최소 17일 이상(3번의 장날)이 지나야 했다. 기원전 98년에는 법안 제안과 투표 사이에 3번의 장날 간격을 두도록 하는 법률(''lex Caecilia Didia'')이 통과되었다. 형사 재판의 경우, 민회 주재 행정관은 조사 첫날 피고인에게 통지(''diem dicere'')를 하고, 매일 마지막 날 조사의 상태를 알리는 통지(''diem prodicere'')를 해야 했다. 조사가 완료된 후, 유죄 판결 또는 무죄 판결에 대한 최종 투표 전에 3번의 장날 간격이 필요했다.

한 번에 하나의 민회만 운영될 수 있었으며, 진행 중인 회기는 행정관이 유권자를 "소환"(''avocare'')하면 해산될 수 있었다. 주재 행정관 외에도 여러 행정관이 조력자로 참석하여 절차적 분쟁 해결을 돕고, 유권자가 주재 행정관의 결정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도록 했다.[10] 점술가들은 신들의 징조를 해석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11] 주재 행정관은 회의 전날 밤에 조짐(''auspices'')에 대한 예비 조사를 수행했다.[12] 불리한 조짐을 핑계로 회기를 중단하는 경우도 있었다.

투표일에는 유권자들이 먼저 집회에 모여 토론과 선거 운동을 했다.[9] 집회에서 유권자들은 쿠리아별로 분류되지 않았다. 개인 시민의 연설은 입법 또는 사법 문제의 경우, 주재 행정관의 허가를 받은 경우에만 들을 수 있었다. 선거의 경우, 선출직 후보자들만 연설할 수 있었다.[13] 집회 동안, 투표할 법안은 "전령"이 민회에 읽었다. 항아리를 가져와 제비뽑기로 쿠리아의 투표 순서를 결정했다.

유권자들은 "각자의 그룹으로 흩어져라"(''discedite, quirites'')라는 지시를 받고 해산된 후, 울타리가 쳐진 구역 뒤에 모여[9] 조약돌이나 기표 용지를 항아리에 넣어 투표했다. 투표 바구니(''cistae'')는 관리(''custodes'')가 감시했고, 이들은 투표 용지를 세어 결과를 주재 행정관에게 보고했다. 각 쿠리아에서 과반수 투표가 해당 쿠리아의 투표 방식을 결정했다. 해가 질 때까지 과정이 완료되지 않으면, 유권자들은 해산되었고 다음 날 과정이 다시 시작되어야 했다.

3. 권한의 쇠퇴

로마 왕정 시대부터 존재해 온 쿠리아 민회는, 로마 공화정이 시작되면서 그 권한이 축소되기 시작했다. 공화정 초기, 쿠리아 민회의 많은 정치적 권한은 백인회와 부족회로 넘어갔다.[2] 기원전 471년에는 렉스 풀릴리아에 의해 호민관 선거가 부족회로 이관되기도 했다.[14]

이후 쿠리아 민회는 몇 가지 이론적인 권한만을 유지했다.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최고위 로마 행정관 (집정관 및 프라에토르)의 선거를 ''렉스 쿠리아타 데 임페리오''(임페리움에 관한 쿠리아 법)를 통해 비준하는 권한이었다. 이 법은 행정관에게 법적 지휘권 (임페리움)을 부여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백인회에서 이 권한을 부여했고, 쿠리아 민회의 비준은 로마 왕정 시대의 유산을 상기시키는 형식적인 절차에 불과했다.[15] 쿠리아 민회는 권한을 잃은 후에도 집정관과 프라에토르가 주재했으며, 다른 회의와 마찬가지로 로마 행정관 (특히 평민 호민관)과 불길한 징조에 의해 방해를 받았다.[16]

공화정 중후기에는 쿠리아 민회의 임페리움 확인 필요성을 둘러싼 논쟁이 있었다. 일부에서는 ''프라에토르''가 임페리움 확인 없이는 사법 업무를 수행할 수 없고, ''집정관''은 군대 지휘나 후임자 선거를 위한 ''코미티아 켄투리아타'' 소집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17] 그러나 이러한 규칙은 널리 무시되었고, 법률에는 쿠리아 법이 없더라도 "가장 엄격한 법률 형식에 따라 선출된 자와 마찬가지로 법적으로 행정관이 될 수 있다"는 조항이 포함되기도 했다.[17] 기원전 212년경에는 원로원이 스페인 속주의 프로프라에토르인 루키우스 마르키우스에게 임페리움을 부여하는 법률이 없다는 사실을 문제 삼지 않고, 선거를 불법으로 선언하지 않았다. 기원전 54년, 집정관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는 술라가 프로마기스트레이트에게 도시로 돌아올 때까지 임페리움을 부여하고 쿠리아의 임페리움 부여에 대한 언급이 없는 법률을 통과시켰으며, 새로운 행정관을 선출하기 위해 민회를 소집할 권한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후기 공화국 시대에 ''옵티마테스''와 ''포풀라레스'' 사이의 갈등이 심화되면서, 원로원은 속주 총독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하려 하면서, 행정관들이 불만을 무시하더라도 이 법률의 중요성을 강조했을 가능성이 있다.

쿠리아 민회에서 투표된 행위는 대부분 상징적이었고 일반적으로 찬성이었다.[18] 기원전 218년 이전으로 추정되는 시기에, 쿠리아 민회의 30개 쿠리아는 폐지되고, 각 쿠리아를 대표하는 30명의 리토르로 대체되었다.[19]

쿠리아는 항상 로마 가족을 기반으로 조직되었기 때문에,[20] 기원전 27년 로마 공화국 멸망 이후에도 씨족 문제에 대한 관할권을 유지했다.[21] 폰티펙스 막시무스의 주재 하에,[2] 유언장을 증명하고 입양을 비준했으며,[2] 특정 사제를 임명하고, 시민을 파트리키 계급에서 플레브스 계급으로 (또는 그 반대로) 변경했다. 기원전 59년에는 푸블리우스 클로디우스 풀케르를 파트리키 신분에서 플레브스 신분으로 변경하여 플레브스 호민관에 출마할 수 있도록 했다. 기원전 44년에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유언장을 비준하여, 카이사르가 조카 가이우스 옥타비아누스 (후일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를 아들과 상속자로 입양할 수 있게 했다.[22]

로마 제국이 성립되면서 쿠리아 민회의 제재 권한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고, ''임페리움'' 부여 권한은 원로원으로 이관되거나 특별 ''렉스 데 임페리오''를 통해 황제에게 위임되었다.[23]

4. 제정 시대

사료 부족으로 상세한 실태는 분명하지 않지만, 로마 왕정 시대부터 존재하고 있었다고 여겨진다. 일부 ‘쿠리아’(가문별 공동체)의 논의에 따라 다양한 결정이 내려진 것으로 알려졌다.

참조

[1] 서적 The History of Rome
[2] 서적 The Senate of the Roman Republi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Senate Document 103-23.
[3] 문서 Taylor, 3, 4
[4] 문서 Abbott, 250
[5] 문서 Abbott, 253
[6] 서적 The Constitution of the Roman Republic Oxford University Press
[7] 문서 Abbott, 251
[8] 문서 Abbott, 252
[9] 서적 Roman Voting Assemblies: From the Hannibalic War to the Dictatorship of Caesar https://archive.org/[...]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0] 문서 Taylor, 63
[11] 문서 Taylor, 63
[12] 문서 Taylor, 7
[13] 문서 Taylor, 16
[14] 문서 Livy, Ab urbe condita, ii. 58.
[15] 문서 Taylor, 3, 4
[16] 문서 Taylor, 3, 4
[17] 서적 The Roman Assemblies Cooper Square Publishers, Inc
[18] 문서 Taylor, 3, 4
[19] 문서 Taylor, 3, 4
[20] 문서 Abbott, 250
[21] 문서 Abbott, 253
[22] 문서 Taylor, 3, 4
[23] 서적 A Constitutional and Political History of Rome https://archive.org/[...] Methuen & 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